KR101743447B1 -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 - Google Patents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43447B1
KR101743447B1 KR1020110067071A KR20110067071A KR101743447B1 KR 101743447 B1 KR101743447 B1 KR 101743447B1 KR 1020110067071 A KR1020110067071 A KR 1020110067071A KR 20110067071 A KR20110067071 A KR 20110067071A KR 101743447 B1 KR101743447 B1 KR 101743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ck
sliding surface
bush
housing
rack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7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5588A (ko
Inventor
최원혁
이태헌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067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43447B1/ko
Publication of KR20130005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5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2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 B62D5/22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 of steering gear or particular application for rack-and-pinion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02Steering gears mechanical
    • B62D3/12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 B62D3/126Steering gears mechanical of rack-and-pinion type characterised by the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 Support Of The B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에 관한 것으로, 서로 이격되어 슬롯부를 형성하고, 내측부가 랙바와 접촉되는 복수개의 접동면부; 및 서로 이웃한 상기 접동면부를 연결하고, 인장 및 압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슬롯부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주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름부에 의해 이웃한 접동면부의 슬롯부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게 되어 랙부시를 랙하우징의 내측에 인입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고, 주름부의 가변에 의해 랙부시의 지름의 크기가 가변됨으로써, 랙부시에 랙바의 인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RACK BUSH OF STEER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에 관한 것으로, 랙부시와 랙바의 접촉을 유지하여 이음을 저감하고, 랙하우징, 랙부시 및 랙바의 조립성을 보정할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조향륜을 움직일 수 있도록 운전석과 조향륜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운전석의 조향핸들 하측에 마련되는 조향축과, 이 조향축과 연결되는 로터리밸브, 그리고 로터리밸브의 동작에 따라 조향륜을 직접 동작시킬 수 있도록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조향륜에 연결되는 랙바를 구비하여 마련된다.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조향핸들과 조향축의 하측에는 측면에 유압펌프가 연결된 로터리밸브가 마련된다. 로터리밸브의 하부 외측에는 랙하우징이 마련된다. 랙하우징은 로터리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오일이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중공관으로 양측이 개구형성된다. 그리고 랙하우징의 내부에는 랙바가 마련된다.
개구가 형성된 랙하우징의 양측에는 랙바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랙부시가 마련된다. 랙부시는 중공으로 마련되어 외주면이 랙하우징의 내부면과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그 내주면은 그 내부에 삽입되는 랙바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랙바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랙부시는 랙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일측단의 외주측에 돌출부가 형성된다.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랙하우징에는 홈이 마련된다. 이로써 랙부시를 랙하우징에 삽입시킬 때 홈의 내부로 돌출부가 삽입되어 랙하우징의 내부에 랙부시가 고정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조향장치는 운전자에 의해 조향륜을 움직일 수 있도록 운전석과 조향륜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으로서, 운전석의 조향핸들 하측에 마련되는 조향축과, 이 조향축과 연결되는 로터리밸브, 그리고 로터리밸브의 동작에 따라 조향륜을 직접 동작시킬 수 있도록 좌,우 양측으로 연장되어 조향륜에 연결되는 랙바를 구비하여 마련된다.
이를 간단히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조향핸들과 조향축의 하측에는 측면에 유압펌프가 연결된 로터리밸브가 마련된다. 로터리밸브의 하부 외측에는 랙하우징이 마련된다. 랙하우징은 로터리밸브를 통해 공급되는 오일이 유동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마련되는 중공관으로 양측이 개구형성된다. 그리고 랙하우징의 내부에는 랙바가 마련된다.
개구가 형성된 랙하우징의 양측에는 랙바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도록 랙부시가 마련된다. 랙부시는 중공으로 마련되어 외주면이 랙하우징의 내부면과 밀착되어 고정되는 것으로서, 그 내주면은 그 내부에 삽입되는 랙바의 외주면과 밀착되어 랙바의 슬라이딩을 안내하게 된다. 이러한 랙부시는 랙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도록 그 일측단의 외주측에 돌출부가 형성된다. 돌출부에 대응되도록 랙하우징에는 홈이 마련된다. 이로써 랙부시를 랙하우징에 삽입시킬 때 홈의 내부로 돌출부가 삽입되어 랙하우징의 내부에 랙부시가 고정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는: 서로 이격되어 슬롯부를 형성하고, 내측부가 랙바와 접촉되는 복수개의 접동면부; 및 서로 이웃한 상기 접동면부를 연결하고, 인장 및 압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슬롯부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주름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동면부의 외측면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랙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는 홈부에 맞물려 상기 접동면부를 상기 랙하우징에 고정시킨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접동면부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슬롯부의 크기를 고정시키고, 상기 랙하우징의 내측부에 접하는 오링이 안착되는 오링홈부가 더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름부의 양단부는 상기 접동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주름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름부의 가변에 의해 슬롯부의 크기를 가변할 수 있고, 랙부시의 지름의 크기가 가변됨으로써, 랙부시를 랙하우징의 내측에 인입 및 고정을 용이하게 하며, 랙부시의 개구부에 랙바의 인입을 용이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동면부에 오링홈부를 구비하여 오링을 장착함으로써, 랙부시의 지름크기를 고정할 수 있어, 랙부시가 랙하우징과 랙바 사이에서 안정적으로 결합되게 함은 물론 랙하우징과 랙부시 사이의 유격을 최소화하여 댐핑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가 구비된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가 구비된 조향장치의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가 구비된 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A부분 확대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가 구비된 조향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10)는 접동면부(11)와, 주름부(12)를 포함한다. 접동면부(11)와 주름부(12)가 연결되는 랙부시(10)는 링형상이다. 랙부시(10)의 외측은 랙하우징(1)의 내측부에 접하고, 랙부시(10)의 내측부는 랙바(2)와 밀착된다. 이러한 랙부시(10)의 형상은 복수개의 접동면부(11)와, 서로 이웃한 접동면부(11) 사이에서 복수개의 접동면부(11)를 연결하는 주름부(12)로 형성된다.
접동면부(11)는 서로 이웃한 접동면부(11) 사이로 공간이 형성되는 슬롯부(S)를 형성한다. 접동면부(11)의 내측부는 랙바(2)와 접촉된다. 슬롯부(S)는 서로 이웃한 접동면부(11)의 이격거리를 좁힐 수 있는 공간으로, 랙부시(10)가 랙하우징(1)의 내측에 인입될 때, 랙부시(10)의 외주연의 폭을 줄일 수 있게 하여 랙부시(10)를 랙하우징(1)으로 인입을 용이하게 한다.
주름부(12)는 접동면부(11)와 서로 이웃한 접동면부(11)를 연결한다. 주름부(12)는 접동면부(11)의 양단부에 연장 형성되고, 주름부(12)는 인장 및 압축가능하게 구비된다. 접동면부(11)와 주름부(12)의 연결에 의해 형성된 랙부시(10)는 그 지름이 가변가능한 링형상을 갖게 된다. 이로 인해 주름부(12)는 슬롯부(S)의 크기를 가변시키고, 접동면부(11)와 주름부(12)에 의해 형성되는 원형의 랙부시(10)의 지름을 크게 하거나 작게 하여 크기를 가변시킨다.
도 2,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동면부(11)의 외측면에는 돌출부(13)가 구비된다.
돌출부(13)는 접동면부(11)의 타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13)는 랙하우징(1)의 내측에 형성되는 홈부(1a)에 맞물려 접동면부(11)를 랙하우징(1)에 고정시킨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동면부(11)의 외측 둘레에는 오링(3)이 안착되는 오링홈부(14)가 더 형성된다. 오링(3)은 오링홈부(14)에 안착 고정되어, 접동면부(11)와 주름부(12)의 연결에 의해 형성되는 링형상의 지름 크기를 고정시켜, 그 크기가 가변되는 것을 방지하고, 오링(3)의 상단부가 랙하우징(1)의 내측부에 접하게 된다. 이로 인해 랙부시(10)와 랙하우징(1)의 유격(D)을 최소화시킨다.
주름부(12)의 인장 및 압축에 의해 서로 이웃한 접동면부(11) 사이의 이격 거리가 가변되므로, 랙하우징(1)과 접동면부(11) 사이에 유격(D)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조향장치의 진동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오링(3)은 오링홈부(14)에 안착되어 주름부(12)의 가변을 방지하여 랙부시(10)의 지름크기가 가변되지 않게 하여 랙바(2)와의 접촉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랙부시(10)와 랙하우징(1) 사이의 유격(D)을 줄여 댐핑할 수 있게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름부(12)의 양단부는 접동면부(11)와 연결되고, 주름부(12)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주름부(12)의 형상을 '∩'와 같이 형성하였으나, 이에 한정될 것을 아니라 할 것이며, 서로 이웃한 접동면부(11) 사이의 슬롯부(S)의 크기를 가변하여 랙부시(10)의 지름을 가변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라면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10)의 작동원리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10)는 랙하우징(1)의 내부에 랙부시(10)를 삽입하여 돌출부(13)와 홈부(1a)를 결합시켜 고정시킨다.
즉, 접동면부(11)의 단부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3)와 랙하우징(1)의 홈부(1a)가 원주방향으로 일치하도록 배치시킨 후 랙부시(10)를 랙하우징(1)의 개구된 측으로 인입시킨다. 이때, 서로 이웃한 접동면부(11)가 눌리게 되고, 슬롯부(S)의 크기가 줄어들게 된다. 또한, 주름부(12)도 압축되어 랙부시(10)의 전체적인 지름이 감소하고, 랙부시(10)는 랙하우징(1)의 내부로 원활하게 삽입된다.
랙하우징(1)의 홈부(1a)에 접동면부(11)의 돌출부(13)가 맞물리면 접동면부(11)는 그 성질상의 복원력으로 인해 눌리기 전의 상태로 복원된다.
또한, 랙부시(10)의 개구부로 랙바(2)가 인입되면, 랙하우징(1)과 접동면부(11) 사이의 유격(D)에 의해 주름부(12)가 인장된다. 이로 인해 랙바(2)는 랙부시(10)의 개구부로 인입이 용이하게 된다.
랙하우징(1)과 랙부시(10) 및 랙바(2)가 모두 조립된 상태에서, 랙부시(10)의 지름의 크기가 가변가능하게 되므로 랙하우징(1)과 랙부시(10) 및 랙바(2) 사이에는 유격(D)이 발생된다. 랙바(2)가 랙부시(10)의 개구부에 인입된 후, 랙바(2)가 구동되면, 유격(D)공간만큼 랙바(2)의 움직임에 따라 진동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랙바(2)와 랙부시(10) 사이의 접촉이 일정하게 유지되지 못한다. 이를 방지 하기 위해, 접동면부(11)의 둘레를 따라 동일 원주상에 설치되는 오링홈부(14)에 오링(3)을 장착하여, 주름부(12)에 의한 랙부시(10)의 지름의 가변을 방지하고, 오링(3)의 상단부가 랙하우징(1)의 내측부에 접촉되게 되므로, 랙하우징(1)과 랙부시(10) 사이의 유격(D)을 최소화하여 댐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되는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랙하우징 1a : 홈부
2 : 랙바 3 : 오링
10 : 랙부시 11 : 접동면부
12 : 주름부 13 : 돌출부
14 : 오링홈부 S : 슬롯부
100 : 조향장치

Claims (4)

  1. 서로 이격되어 슬롯부를 형성하고, 내측부가 랙바와 접촉되는 복수개의 접동면부; 및
    서로 이웃한 상기 접동면부를 연결하고, 인장 및 압축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슬롯부의 크기를 가변시키는 주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동면부의 외측면에는 돌출부가 구비되고,
    상기 돌출부는 랙하우징의 내측에 형성되는 홈부에 맞물려 상기 접동면부를 상기 랙하우징에 고정시키고,
    상기 접동면부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슬롯부의 크기를 고정시키고, 상기 랙하우징의 내측부에 접하는 오링이 안착되는 오링홈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주름부의 양단부는 상기 접동면부와 연결되고, 상기 주름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주름부가 압축되면, 상기 슬롯부의 크기가 줄어들어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접동면부의 거리가 근접해지고,
    상기 주름부가 인장되면, 상기 슬롯부의 크기가 늘어나 서로 이웃하는 상기 접동면부의 거리가 멀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067071A 2011-07-06 2011-07-06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 KR101743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071A KR101743447B1 (ko) 2011-07-06 2011-07-06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7071A KR101743447B1 (ko) 2011-07-06 2011-07-06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88A KR20130005588A (ko) 2013-01-16
KR101743447B1 true KR101743447B1 (ko) 2017-06-05

Family

ID=4783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7071A KR101743447B1 (ko) 2011-07-06 2011-07-06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434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77019A (ja) * 2017-04-14 2018-11-15 株式会社ジェイテクト ステアリング装置
KR102173415B1 (ko) * 2019-06-04 2020-11-0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8104A1 (en) * 2006-10-13 2008-04-17 Arlt George E Steering gear assembly having rack bushi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88104A1 (en) * 2006-10-13 2008-04-17 Arlt George E Steering gear assembly having rack bush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5588A (ko) 2013-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36322A (zh) 方向盘结构
JP2008296899A (ja) サポートヨーク間隙自動調整装置
KR20090046489A (ko) 조향 컬럼의 기밀장치
KR101743447B1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
WO2018047431A1 (ja) 防振装置本体および防振装置
WO2016047341A1 (ja) 鞍乗り型車両のエンジン支持構造
CN105263682A (zh) 便携式作业机械
JP2016064721A5 (ko)
JP2019537692A (ja) 減衰軸受、減衰軸受の製造方法、及び、減衰軸受を備えた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KR101510401B1 (ko) 전동식 스티어링 댐핑부쉬
KR102216191B1 (ko) 차량용 조향장치
KR101743443B1 (ko) 스티어링 시스템의 소음진동 저감장치
KR101736092B1 (ko) 차량 조향장치용 더스트 커버
JP6110609B2 (ja) 乗り物用シート装置
KR20140000083U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기어박스
KR102210686B1 (ko) 차량용 조향장치
JP2009248616A (ja) トルクロッドの取り付け構造
KR102151112B1 (ko) 차량용 전동식 조향장치
KR20170042399A (ko) 차량용 조향장치의 랙부시
KR20150033479A (ko) 로어암 부시장치
JP2016068843A (ja) グリップヒータの固定構造
KR101746569B1 (ko) 로드 삽입형 에어댐핑부시
KR20200050263A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바 지지장치
KR101950219B1 (ko) 차량용 케이블용 결합 장치
KR102072427B1 (ko) 안승형 차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