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2417B1 -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2417B1
KR101902417B1 KR1020180013764A KR20180013764A KR101902417B1 KR 101902417 B1 KR101902417 B1 KR 101902417B1 KR 1020180013764 A KR1020180013764 A KR 1020180013764A KR 20180013764 A KR20180013764 A KR 20180013764A KR 101902417 B1 KR101902417 B1 KR 101902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ssembly
support
detent
rotation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호준
신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엠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엠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엠스코
Priority to KR10201800137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24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2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2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3/00Control outputs from the control unit to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or to other devices than the final output mechanism
    • F16H63/02Final output mechanisms therefor; Actuating means for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final output mechanisms
    • F16H63/38Det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16H2059/0282Lever handles with lock mechanisms, e.g. for allowing selection of reverse gear or releasing lever from park position

Abstract

본 발명은 레버가 고정되는 회전지지단에 설치되어 상하로 유동하는 고정디텐트에 의해 레버의 회전이 제어되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는, 레버가 결합되는 회전조립체(100)와;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하측에 구비되며, 회전조립체(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조립체(200)와; 상기 지지조립체(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고정디텐트(300)와; 상기 지지조립체(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디텐트(30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400)와; 상기 지지조립체(200)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500)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레버의 이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변속이 자연스럽게 가능하며, 내구성과 품질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Control device of transmission for a car}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가 고정되는 회전지지단을 지지하는 지지조립체의 상단에 상하로 탄성을 가지도록 설치되는 고정디텐트에 의해 레버의 회전이 제어되도록 하는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變速機)는 트랜스미션이라고도 불리는 것으로, 각종 엔진에서 발생하는 동력을 속도에 따라 필요한 회전력으로 바꾸어 전달하는 기기를 만한다.
통상 자동차의 변속기는 1단부터 4 또는 5단까지의 변속단계로 이루어져 감속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사용자의 클러치 조작여부에 따라 직접 조작하는 수동방식과 유압으로 미션이 속도에 따라 맞는 변속을 직접 해주는 자동방식이 있다.
그리고, 자동차의 운전자는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속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며, 근래에는 주로 운전자가 변속 레버를 전후로 당기거나 미는 동작에 의해 변속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특허 등록 제10-0331426호에서와 같이 운전자는 상측으로 돌출된 변속 레버를 전후(또는 좌우로도)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속도를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러한 구조에서는 디텐트 플레이트에 형성된 다수의 걸림턱들이 고정된 위치와 형상을 가지고 있으므로 디텐트 핀의 이동이 원활하지 못하여 변속 레버를 조작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특허 제10-0331426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레버가 고정되는 회전지지단을 지지하는 지지조립체의 상단에 상하로 탄성을 가지는 고정디텐트가 구비되어 레버의 전후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돌고 하는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는, 레버가 결합되는 회전조립체(100)와;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하측에 구비되며, 회전조립체(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조립체(200)와; 상기 지지조립체(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고정디텐트(300)와; 상기 지지조립체(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디텐트(30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400)와; 상기 지지조립체(200)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5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디텐트(300)는,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 반경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멈춤턱(130)과 간섭되어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디텐트(300)는, 중앙부에 쌍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310)와;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31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310)보다 낮은 위치를 가지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오목부(320)와; 양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조립체(200)에 삽입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봉(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봉(330)에 각각 장착되고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조립체(200)의 지지부(220) 상단에는,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부재(25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봉(330)은에 각각 장착되며,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걸림돌기(310)와 오목부(320)의 상면은,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멈춤턱(130) 저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레버가 결합되는 회전조립체에는 하측으로 돌출된 멈춤턱이 구비되고, 회전조립체를 지지하는 지지조립체에는 고정디텐트가 상하로 유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레버의 전후 이동이 원활하게 되므로 사용자의 레버 조작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서로 접촉하는 멈춤턱의 하면과 고정디텐트의 상면이 서로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면접촉에 의해 내구성이 향상되고 레버 조작시 떨림이나 유동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고정디텐트의 양단에 하측으로 돌출된 한 쌍의 지지봉이 형성되고 여기에 탄성부재(압축스프링)이 각각 구비되어 지지봉이 지지조립체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레버의 회전에 따라 고정디텐트에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전후 유동이 방지되므로 안정된 레버 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완충부재가 더 구비되어 회전조립체의 하단에 형성되는 멈춤턱이 고정디텐트의 상면을 벗어나게 되는 경우에 충격을 완화하게 되는 장점이 있으며, 이러한 완충부재에는 조립안내봉이 더 형성된다. 따라서,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정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고정디텐트의 상세 구성을 보인 정면도.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완충부재의 상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완충부재의 상세 구성을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일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로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는, 레버가 결합되는 회전조립체(100)와,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하측에 구비되며 회전조립체(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조립체(200)와, 상기 지지조립체(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고정디텐트(300)와, 상기 지지조립체(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디텐트(30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400)와, 상기 지지조립체(200)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500)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조립체(100)는, 사용자(운전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레버(도시되지 않음)가 일체로 장착되는 부분이며, 운전자의 레버 동작에 의해 상기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회전조립체(100)는, 레버(도시되지 않음)의 하단이 고정 장착되는 레버결합부(110)와, 상기 레버결합부(110)의 하측 좌우 양단에 형성되는 회전지지단(120)과, 상기 한 쌍의 회전지지단(120) 사이에 형성되며 하측으로 소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는 멈춤턱(130)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기 회전조립체(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는 '∩'형상(정면에서 볼 경우)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좌우 양단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한 쌍의 회전지지단(120)을 형성하며, 이러한 회전지지단(120)에는 좌우를 관통하는 축홀(122)이 형성된다.
상기 축홀(122)은, 상기 회전축(500)이 관통하여 통과하는 부분이다.
상기 레버결합부(110)는 상기 회전지지단(120)과는 반대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여기에 레버(도시되지 않음)가 고정된다.
상기 멈춤턱(130)은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상면과 간섭되는 부분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회전지지단(120) 중앙부를 연결하도록 하측으로 소정 크기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멈춤턱(130)의 하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가 상측으로 라운드지게 함몰된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멈춤턱(130)이 밀착하는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상면과 대응되는 곡률이다.
상기 지지조립체(200)는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하측에 구비되어 회전조립체(10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조립체(200)는 차량의 차체 등에 고정 결합되는 플레이트(210)와, 상기 플레이트(210)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500)이 관통 설치되도록 지지하는 지지부(22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부(220)에는 좌우로 관통되는 관통홀(222)이 형성되며, 이러한 관통홀(222)에는 구(球) 형상을 가지는 고정구(224)가 내장된다.
상기 고정구(224)에는 좌우로 관통된 홀(hole)이 더 구비되어 상기 회전축(500)이 좌우로 관통되도록 하며, 이러한 고정구(224)의 외측에는 베어링캡(226)이 감싸도록 설치된다. 또한, 이외에도 다수의 부시 등이 더 구비된다.
상기 지지부(220)에는 상면 전후단에는 한 쌍의 상단돌기(240)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마주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상단돌기(240)에는 되시된 바와 같이 끼움홀(242)이 전후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끼움홀(242)에는 아래에서 설명할 완충부재(250)의 끼움돌기(254)가 삽입된다.
상기 지지부(220)의 상단 즉, 상단돌기(240)에는 완충부재(250)가 고정 설치된다.
상기 완충부재(250)는 상기 회전조립체(100)가 레버(도시되지 않음)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상면을 벗어나게 되어 상기 상단돌기(240)와 부딪히는 경우에 완충 역할을 하도록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완충부재(250)는 고무와 같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자세한 구성은 아래에서 설명한다.
상기 회전축(5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로 소정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레버가 구비되는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 중심이 된다. 즉, 상기 회전축(500)은 상기 지지조립체(200)의 지지부(220)를 좌우로 관통하며,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지지단(120)에 형성된 좌우의 축홀(122)을 각각 관통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지부(220)의 우측에는 측면연결체(230) 등이 더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연결체(230)에는 좌우복귀스프링(232)이 더 구비되어, 상기 측면연결체(230)가 좌우로 이동한 다음 탄성에 의해 원상으로 복귀하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레버(도시되지 않음)의 좌우 이동후 복귀가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고정디텐트(300)는 상기 지지조립체(200)의 지지부(220) 상단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부분이다.
상기 회전조립체(100)는, 상기 지지조립체(200)의 지지부(220) 상단으로부터 상측으로 소정 부분 돌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멈춤턱(130)과 간섭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지지조립체(200)의 내부에 내장되며,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져 아래에 설명할 고정디텐트(300)의 지지봉(330)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고정디텐트(300)를 상방으로 밀어올리는 기능을 한다. 즉, 상기 탄성부재(400)는 압축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상기 고정디텐트(300)가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멈춤턱(130)에 밀려 하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다시 원상으로 복귀하도록 고정디텐트(300)에 상방향의 힘을 가하는 역할을 한다.
도 3 및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내부 구성을 보인 측단면도 및 정단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상세 구성을 보인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디텐트(300)는,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 반경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멈춤턱(130)과 간섭되어 상하로 유동한다.
상기 고정디텐트(300)는, 중앙부에 쌍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310)와,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31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310)보다 낮은 위치를 가지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오목부(320)와, 양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조립체(200)에 삽입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봉(330) 등으로 이루어진다.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방으로 돌출된 원호 형상을 가지는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중앙부는 하측으로 함몰되어 오목부(320)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오목부(320)의 좌우(도3 및 도 5에서) 양단에는 걸림돌기(310)가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멈춤턱(130)이 상기 고정디텐트(300)와 밀착된 상태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부터 이동하다가 도 3과 같이 상기 오목부(320)에 놓이게 되면,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310)에 의해 일정 크기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좌우로 이동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좌우 양단에는 지지단(340)이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지지단(340)에도 서로 대칭되는 형상의 지지턱(350)이 각각 상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봉(3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단(34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지지조립체(200)에 삽입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상면은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멈춤턱(130)의 하면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걸림돌기(310)와 오목부(320)의 상면은,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멈춤턱(130) 저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멈춤턱(130)이 상기 고정디텐트(300)를 하측으로 미는 경우에, 멈춤턱(130)의 하면 전체가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상면 전체와 접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상기 멈춤턱(130)과 고정디텐트(300)의 접촉 면적이 넓어지면, 상기 멈춤턱(130)이 고정디텐트(300)를 누르는 힘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작용하므로 고정디텐트(300)의 상하 유동이 균일하게 일어나고,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이 원활하게 가능해진다.
상기 지지조립체(200)에는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양단이 장착되도록 하는 수용홈(500)이 하측으로 함몰되게 형성된다.
상기 수용홈(500)은, 도시(도 3)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단(340)이 수용되어 하측으로 소정 거리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단홈(510)과, 상기 탄성부재(400)가 수용되도록 하는 부재홈(520)과, 상기 지지봉(330)이 수용되어 상하로 유동하도록 안내하는 봉홈(5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봉홈(530)의 내경은, 상기 지지봉(330)의 외경보다는 더 크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봉(330)이 상기 봉홈(530)에 수용된 상태로 상하로 유동 가능하도록 한다. 그리고, 이러한 봉홈(530)의 내경 크기는 상기 탄성부재(400)의 외경 크기보다는 작은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탄성부재(400)가 상기 봉홈(530) 내부로 삽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재홈(520)의 내경은, 상기 봉홈(530)의 내경보다는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한편, 상기 단홈(510)의 내경보다는 작은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부재홈(520)의 내경은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탄성부재(400)의 외경보다는 더 큰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단홈(510)의 깊이는 상기 고정디텐트(300)가 상하로 충분히 유동하는데 방해되지 않는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수용홈(500)은, 상기 단홈(510)과 부재홈(520) 및 봉홈(530)이 각각 단차지게 형성되어 각각의 내부에 지지단(340)과 탄성부재(400) 및 지지봉(330)이 수용되도록 한다.
한편, 도 6a 및 도 6b에는 상기 완충부재(250)의 상세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도 6a에는 상기 완충부재(25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b에는 상기 완충부재(250)의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250)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상기 한 쌍의 상단돌기(240)에 각각 안착되는 몸체(252)와, 상기 몸체(252)가 상기 상단돌기(240)에 고정되도록 하는 끼움돌기(254)와, 상기 끼움돌기(254)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250)가 상기 상단돌기(24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이탈방지턱(256)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몸체(252)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으로 갈수록 점차 단면적(도 6b에서 볼 때)이 커지도록 형성되며,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단돌기(240)의 내면에 각각 밀착 고정된다.
상기 끼움돌기(254)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는 환봉 형상의 원기둥으로 형성되며, 상기 몸체(252)의 좌측면 중앙으로부터 좌측(도 6a 및 도 6b에서)으로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끼움돌기(254)는 상기 상단돌기(240)의 끼움홀(242)에 삽입된다.
상기 이탈방지턱(25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끼움돌기(254)의 좌측(도 6a 및 도 6b에서)단에 형성되며, 상기 끼움돌기(254)의 외경 및 상기 끼움홀(242)의 내경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끼움돌기(254)가 상기 끼움홀(242)에 삽입되면 상기 이탈방지턱(256)은 상기 끼움홀(242)의 외측으로 돌출되므로 상기 완충부재(250)는 상기 상단돌기(240)에 고정된 상태로 이탈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250)에는 조립 편의를 위해 조립안내봉(258)이 더 형성되기도 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도 6b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방지턱(256)에는 좌측으로 돌출된 조립안내봉(258)이 더 형성된다. 상기 조립안내봉(258)은 상기 끼움돌기(254)와 같이 가는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외경은 상기 끼움홀(242)의 내경보다 작은 크기를 가지고, 길이는 상기 끼움홀(242)의 길이보다 더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250)의 조립시에는 먼저 상기 조립안내봉(258)을 상기 상단돌기(240)의 끼움홀(242)이 삽입시켜 반대측으로 상기 조립안내봉(258)의 끝단이 나오게 한 다음, 조립안내봉(258)의 끝단을 당기면 상기 완충부재(250)는 고무재질이므로 상기 이탈방지턱(256)은 내측으로 압축된 상태로 상기 끼움홀(242)을 통과하게 된다.
상기 이탈방지턱(256)이 상기 끼움홀(242)을 통과하게 되면, 상기 끼움돌기(254)가 상기 끼움홀(242) 내부에 삽입되어 완충부재(250)가 상단돌기(240)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되므로 완충부재(250)의 조립이 완료되며, 이후에는 상기 조립안내봉(258)은 불필요하므로 도 6b의 점선 부분은 절단함이 바람직하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먼저 상기에서 설명한 다수의 부품을 조립하면 도 1과 같은 상태가 되며, 이때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레버결합부(110)에는 레버(도시되지 않음)가 장착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레버를 손으로 잡고 전후로 당기게 되면 상기 회전조립체(100)가 회전축(500)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레버가 중앙에 놓여져서 도 3과 같은 상태가 되면,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멈춤턱(130)이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오목부(320)에 놓이게 된다. 이렇게 되면 사용자(운전자)가 레버를 손으로 잡고 전후로 이동시키는 등의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상기 회전조립체(100)가 스스로 전후(도 3에서는 좌우)로 움직이지 못하고 정지된다.
물론, 이때에도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멈춤턱(130)은 상기 고정디텐트(300)를 누르고 있으므로 고정디텐트(300)는 약간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봉(330)의 하단이 상기 봉홈(530)에 일부분 수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운전자)가 레버(도시되지 않음)를 전후로 움직이게 되면, 상기 회전조립체(100)가 회전축(500)을 축으로 전후(도 3에서는 좌우)로 움직이게 된다.
따라서, 이때는 상기 오목부(320)에 위치되어 있던 상기 멈춤턱(130)이 전후(도 3에서는 좌우)로 움직이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멈춤턱(130)이 상기 걸림돌기(310)를 접촉할 때에는 상기 고정디텐트(300)는 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지지봉(330)의 하단은 상기 봉홈(530)으로 더 깊이 내려가게 된다.
그런 다음, 상기 멈춤턱(130)이 상기 걸림돌기(310) 부분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고정디텐트(300)는 상기 탄성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따라서, 상기 지지봉(330)은 상기 봉홈(530)에 의해 안내되어 상측으로 이동한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회전조립체(100)가 회전할 경우에는 상기 고정디텐트(300)는 상하로 유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완충부재(250)의 설치시에는 상기 조립안내봉(258)을 이용하여 조립하고, 조립 이후에는 도 6b의 점선부분인 조립안내봉(258)은 절단한다.
상기 완충부재(250)가 설치되면, 레버(도시되지 않음)의 조작에 따라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하단 즉, 상기 멈춤턱(130)이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상면을 벗어나게 되더라도 상기 한 쌍의 완충부재(250)와 접촉되므로 충격이 완화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탄성부재(400)을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양단에 설치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탄성부재(400)가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중앙부 하측에 구비되도록 하는 등의 변경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회전조립체 110. 레버결합부
120. 회전지지단 130. 멈춤턱
200. 지지조립체 210. 플레이트
220. 지지부 230. 측면연결체
240. 상단돌기 250. 완충부재
300. 고정디텐트 310. 걸림돌기
320. 오목부 330. 지지봉
340. 지지단 350. 지지턱
400. 탄성부재 500. 수용홈

Claims (5)

  1. 레버가 결합되는 회전조립체(100)와,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하측에 구비되며 회전조립체(100)가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지지조립체(200)와, 상기 지지조립체(200)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유동되는 고정디텐트(300)와, 상기 지지조립체(200)의 일측에 구비되며 상기 고정디텐트(300)에 일방향의 힘을 가하는 탄성부재(400)와, 상기 지지조립체(200)를 좌우로 관통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 중심이 되는 회전축(50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디텐트(300)는,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회전 반경과 대응되는 원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하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멈춤턱(130)과 간섭되어 상하로 유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디텐트(300)는,
    중앙부에 쌍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310)와;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310)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걸림돌기(310)보다 낮은 위치를 가지도록 하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오목부(320)와;
    양단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지지조립체(200)에 삽입 장착되는 한 쌍의 지지봉(3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400)는, 상기 한 쌍의 지지봉(330)에 각각 장착되고 압축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지조립체(200)의 지지부(220) 상단에는, 완충역할을 하는 완충부재(250)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디텐트(300)의 걸림돌기(310)와 오목부(320)의 상면은, 상기 회전조립체(100)의 멈춤턱(130) 저면과 대응되는 곡률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KR1020180013764A 2018-02-05 2018-02-05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KR101902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764A KR101902417B1 (ko) 2018-02-05 2018-02-05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764A KR101902417B1 (ko) 2018-02-05 2018-02-05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2417B1 true KR101902417B1 (ko) 2018-09-28

Family

ID=637216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764A KR101902417B1 (ko) 2018-02-05 2018-02-05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24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131B1 (ko) 2013-01-16 2013-12-13 경창산업주식회사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131B1 (ko) 2013-01-16 2013-12-13 경창산업주식회사 전자식 자동변속기 레버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97673A (en) Automatic transmission operating device
EP1092603B1 (en) Windscreen wiper device
US6196080B1 (en) Shift lever unit for dual-mode automatic transmission
KR100721890B1 (ko) 시프트 레버 장치
JP2012046096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101902417B1 (ko)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US20200072346A1 (en) Gearshift lever device
EP0747612A2 (en) Gear change device for a transmission
CN109424736B (zh) 用于挡位选择器组件的阻尼机构和挡位选择器组件
KR100410747B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조립체
JPH0863250A (ja) 連動機構
EP0721073A2 (en) Change lever supporting structure
EP3617558B1 (en) Gearshift lever device
KR101986138B1 (ko) 볼 조인트 장치
CN208348478U (zh) 手自一体换挡器的静音结构
JP3499298B2 (ja) シフトロック装置の解除機構
JP6653975B2 (ja) Atシフトレバー装置
KR102169360B1 (ko)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KR100309353B1 (ko) 변속조작기구의 케이블 연결구조
JPS6349764Y2 (ko)
KR101761298B1 (ko) 차량용 변속레버의 레버 지지 장치
JP2005079025A (ja) 押ボタンスイッチ構造
CN211951406U (zh) 变速操纵器用的选挡回位机构、变速操纵器及汽车
CN107740858B (zh) 一种手动换挡器总成
JPS634976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