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69360B1 -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 Google Patents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69360B1
KR102169360B1 KR1020140155901A KR20140155901A KR102169360B1 KR 102169360 B1 KR102169360 B1 KR 102169360B1 KR 1020140155901 A KR1020140155901 A KR 1020140155901A KR 20140155901 A KR20140155901 A KR 20140155901A KR 102169360 B1 KR102169360 B1 KR 102169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guide slot
slider
transmission cabl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55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6036A (ko
Inventor
나정봉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55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69360B1/ko
Publication of KR20160056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6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6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69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3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being transmitted by a cab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6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 F16H61/28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 F16H2061/2892Generation or transmission of movements for final actuating mechanisms with at least one movement of the final actuating mechanism being caused by a non-mechanical force, e.g. power-assisted other gears, e.g. worm gears, for transmitting rotary motion to the output mechanis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 Gear-Shifting Mechanism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변속레버와 변속기 사이를 연결하여 조작력을 전달하는 변속케이블의 조정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변속케이블에 연결되고 타측에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며, 삽입부의 외부면에 다수의 삽입톱니가 형성된 제 1 로드 및 일단이 변속기측 레버에 연결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며, 가이드슬롯의 양측면에 다수의 가이드톱니가 형성된 제 2 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가 가이드슬롯에 삽입되어 삽입톱니와 가이드톱니가 치합됨에 따라 변속케이블의 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변속케이블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중립 조정 불량시 정비성이 향상되며 세밀한 조정이 가능한 변속케이블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변속케이블 조정장치{ADJUSTING DEVICE FOR TGS-CABLE}
본 발명은 차량용 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조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삽입톱니가 형성된 삽입부를 구비하는 제 1 로드 및 가이드톱니가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구비하는 제 2 로드를 이용하여 변속케이블의 길이를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변속케이블 조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란 엔진에 의해 발생된 동력을 차량의 주행 상태에 알맞도록 회전력과 속도를 바꾸어 구동 바퀴에 전달하는 장치로 수동 변속기와 자동 변속기로 구분된다.
차량을 운전하는 운전자는 운전석 주위의 콘솔면 또는 핸들에 장착된 변속레버를 조작하여 수동 변속기 또는 자동 변속기의 변속단을 자신이 원하는 변속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수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이용하여 자동차의 주행 상태에 맞는 기어를 선택하면 케이블이나 로드 등을 통해 운전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되고, 자동 변속기는 운전자가 변속레버를 움직이면 케이블을 통해 인히비터 스위치를 구동시켜 운전자가 원하는 움직임을 변속기에 전달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도 1은 종래 수동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전자가 차량을 변속하기 위해 변속레버의 노브(1')를 작동하면, 변속레버(1)의 하단에 연결된 변속케이블(2)은 움직이며 변속기측 레버(4)를 작동시키고, 이에 따라 변속기(3)는 차량의 변속단을 운전자가 선택한 변속단으로 변경하게 된다.
이때, 상기 변속케이블(2)을 변속레버(1)에 조립시 엔진이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약간의 조립편차가 생기게 되므로 변속케이블의 길이를 조절하여야 하며, 브라켓(5)과 변속기측 레버(4) 사이의 거리가 일정할 때만 기어 중립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브라켓(5)과 변속기측 레버(4) 사이에는 볼조인트 또는 조정너트 등으로 이루어진 변속케이블 조정장치(6)가 설치되며, 작업자는 이러한 변속케이블 조정장치(6)를 한 바퀴씩 회전하며 브라켓(5)과 변속기측 레버(4) 사이의 간격을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 변속케이블 조정장치는 변속케이블을 조절하는데 시간이 많이 걸리고 작업과정 또한 복잡하여 작업성이 떨어지며 세밀한 조정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변속케이블 조정장치는 차체의 진동에 의해 볼조인트 또는 조정너트 등이 풀려 변속케이블의 길이가 가변될 소지가 다분하고, 이에 따라 중립 조정 불량이 다수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이 종래 변속케이블 조정장치의 조정 불량으로 인한 기어 삽입/치합 관련 클레임은 2013년 기준으로 1.41%를 차지할 정도로 자주 발생하고 있어 개선된 변속케이블 조정장치의 필요성이 점차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제 1 로드와 제 2 로드를 이용하여 변속케이블을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고 중립 조정 불량시 정비성이 향상되며 세밀한 조정이 가능한 변속케이블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잠금부 및 스위치를 이용하여 차체의 진동으로 인해 변속케이블의 길이가 가변될 가능성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변속케이블 조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본 발명의 기재로부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차량의 변속레버와 변속기 사이를 연결하여 조작력을 전달하는 변속케이블의 조정장치에 있어서, 일단이 변속케이블에 연결되고 타측에 삽입부가 돌출 형성되며, 삽입부의 외부면에 다수의 삽입톱니가 형성된 제 1 로드; 및 일단이 변속기측 레버에 연결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롯이 형성되며, 가이드슬롯의 양측면에 다수의 가이드톱니가 형성된 제 2 로드; 를 포함하며, 상기 삽입부가 가이드슬롯에 삽입되어 삽입톱니와 가이드톱니가 치합됨에 따라 변속케이블의 길이가 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케이블 조정장치는, 상기 삽입부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가로방향 길이가 가이드슬롯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잠금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케이블 조정장치는, 상기 삽입부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며, 잠금부가 고정 또는 회전되도록 잠금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스위치; 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케이블 조정장치에서 상기 스위치는, 상기 잠금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돌출 또는 압입되는 손잡이; 상기 손잡이의 돌출 또는 압입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의 하단과 하우징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더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케이블 조정장치에서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손잡이의 압입에 대응하여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원추형의 헤드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연장되는 원통형의 지지부; 및 상기 헤드부와 지지부 사이에 결합되며, 다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회전방지턱; 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은, 삽입부를 구비한 제 1 로드 및 가이드슬롯을 구비한 제 2 로드를 이용하여 변속케이블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므로 차량의 생산효율이 증대되며 기어의 중립 조정 불량시 정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삽입톱니와 가이드톱니의 치합을 이용하여 변속케이블의 길이를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어 기어 삽입/치합과 관련된 필드의 불만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삽입부의 상부면에 잠금부를 형성하고 잠금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스위치를 구비하여 삽입부가 가이드슬롯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체의 진동으로 인한 변속케이블 길이 가변 문제를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스위치를 기계식으로 구성하여 잔고장이 적고 주변환경의 영향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으며 차량의 생산원가가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 수동 변속기가 장착된 차량의 작동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케이블 조정장치가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케이블 조정장치가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케이블 조정장치가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삽입부 및 잠금부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모습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케이블 조정장치가 조립되는 모습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케이블 조정장치가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케이블 조정장치가 조립된 모습을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삽입부 및 잠금부의 모습을 도시한 투영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변속케이블 조정장치는, 삽입부(12)가 돌출 형성된 제 1 로드(10) 및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롯(22)이 형성된 제 2 로드(20)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로드(10)의 일단(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 단부)은 변속케이블(도 1의 2)에 연결되어 변속레버(도 1의 1)의 조작력을 전달 받으며, 삽입부(12)는 제 1 로드(10)의 타측(도시된 실시예에서 우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 1 로드(10)는 전체적으로 납작한 사각 막대 형태로 형성되며, 변속케이블이 연결되는 부분에 인접하여 변속기의 브라켓(도 1의 5)과 결합되는 원판 형태의 브라켓 고정부(14)가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2)는 후술되는 가이드슬롯(22)에 삽입 가능하도록 전체적으로 사각형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삽입부(12)의 외부면에는 다수의 삽입톱니(12a)가 형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로드(20)의 일단(도시된 실시예에서 우측 단부)에는 변속기측 레버(도 1의 4)와 결합될 수 있도록 레버 고정부(24)가 형성되고, 제 2 로드(20)의 타측(도시된 실시예에서 좌측)에는 가이드슬롯(22)이 길게 관통 형성된다.
상기 제 2 슬롯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절곡된 막대 판 형태로 형성되며, 절곡된 부분의 내측에 제 1 로드(10)가 완전히 삽입될 수 있도록 제 1 로드(10)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슬롯(22)의 양측면에는 삽입부의 삽입톱니(12a)와 대응되는 형태로 다수의 가이드톱니(22a)가 형성되며, 가이드슬롯(22)의 폭은 삽입부(12)의 크기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작업자는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 2 로드(20)가 제 1 로드(10)의 상부에 덮이도록 결합하여 변속케이블의 길이를 조정하며, 이때 삽입톱니(12a)와 가이드톱니(22a)가 치합됨에 따라 변속케이블의 길이가 결정된다.
또한, 상기 삽입부(12)의 상부면에는 잠금부(30)가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잠금부(30)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며 그 가로방향 길이가 가이드슬롯(22)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된다.
상기 잠금부(30)는 삽입부(12)가 가이드슬롯(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서, 차체의 진동으로 인한 변속케이블의 길이 가변 문제를 해결하고 다른 작업공구 없이 삽입부를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작업자는 도 5a에 도시된 것처럼 잠금부(30)가 가이드슬롯(22)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삽입부(12)를 가이드슬롯(22)에 삽입한 후, 도 5b에 도시된 것처럼 잠금부(30)를 90° 회전시켜 가이드슬롯(22)을 포함한 제 2 로드(20)가 걸리도록 하여 고정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위치의 모습 및 작동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삽입부(12)의 내부에는 잠금부(30)가 고정 또는 회전되도록 잠금부(3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스위치(40)가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40)는, 모터나 전자석 등을 작동시켜 전기식으로 구성되거나 각 부품을 기계적으로 작동시켜 기계식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기계식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이와 같이, 상기 스위치(40)를 기계식으로 구성하면 전기식에 비해 잔고장이 적고 주변 환경의 영향에 의해 스위치가 작동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되지 않아 작동 안정성을 보장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위치(40)는, 잠금부(30)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돌출 또는 압입되는 손잡이(44), 손잡이(44)의 돌출 또는 압입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우징(42) 내부에 수용되는 슬라이더(46) 및 슬라이더(46)의 하단과 하우징(42)의 하부 내측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더(46)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8)으로 구성된다.
작업자가 상기 손잡이(44)를 눌러 압입시키면 슬라이더(46)는 스프링(48)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하부로 슬라이딩 되며, 손잡이(44)를 놓아 돌출시키면 슬라이더(46)는 스프링(4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슬라이딩 된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슬라이더(46)는, 손잡이(44)의 압입에 대응하여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원추형의 헤드부(46a), 헤드부(46a)의 하부에 연장되는 원통형의 지지부(46c), 헤드부(46a)와 지지부(46c) 사이에 결합되며 다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회전 방지턱(46b) 및 지지부(46c)의 하단에 결합되어 스프링(48)과 접촉되는 회전링(46d)으로 구성된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상태에서 슬라이더(46)는 스프링(48)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어 있으며 손잡이(44)는 잠금부(30)로부터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46)에 형성된 다각형 회전 방지턱(46b)은 하우징(42)의 상단에 걸려 있으며, 이에 따라 잠금부(30)는 회전되지 않고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 다음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손잡이(44)를 눌러 압입시키면 슬라이더의 헤드부(46a)는 손잡이(44)에 의해 자연스럽게 하부로 이동되고 슬라이더(46)는 전체적으로 스프링(48)의 탄성력을 이겨내고 하부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더(46)에 형성된 회전 방지턱(46b)은 하우징(42)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되고 작업자는 잠금부(30)를 자유롭게 회전시켜 잠금부(30)를 도 5b와 같은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다시 손잡이(44)를 놓아 돌출시키면 슬라이더(46)는 스프링(48)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부로 이동되고, 회전 방지턱(46b)은 하우징(42)의 상단에 걸려 잠금부(30)는 고정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변속케이블 조정장치는 종래 변속케이블 조정장치에 비해 변속케이블의 길이를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 기어 삽입/치합과 관련된 필드의 불만을 해소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 : 제 1 로드 12 : 삽입부
12a : 삽입톱니 14 : 브라켓 고정부
20 : 제 2 로드 22 : 가이드슬롯
22a : 가이드톱니 24 : 레버 고정부
30 : 잠금부 40 : 스위치
42 : 하우징 44 : 손잡이
46 : 슬라이더 46a : 헤드부
46b : 회전 방지턱 46c : 지지부
46d : 회전링 48 : 스프링

Claims (5)

  1. 일단이 변속케이블에 연결되고 타측에 삽입부(12)가 돌출 형성되며, 삽입부(12)의 외부면에 다수의 삽입톱니(12a)가 형성된 제 1 로드(10)와, 일단이 변속기측 레버에 연결되고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가이드슬롯(22)이 형성되며, 가이드슬롯(22)의 양측면에 다수의 가이드톱니(22a)가 형성된 제 2 로드(20)가 포함되어 차량의 변속레버와 변속기 사이를 연결하여 조작력을 전달하는 변속케이블의 조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2)가 가이드슬롯(22)에 삽입되어 삽입톱니(12a)와 가이드톱니(22a)가 치합됨에 따라 변속케이블의 길이를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삽입부(12) 내에 설치되어 상기 삽입부(12)가 가이드슬롯(22)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잠금부(30)를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더(46)를 구비한 스위치(4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46)는 손잡이(44)의 압입에 대응하여 하부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 원추형의 헤드부(46a)와 상기 헤드부(46a)의 하부에 연장되는 원통형의 지지부(46c); 및 상기 헤드부(46a)와 지지부(46c) 사이에 결합되며, 다각형 형태의 단면을 가지는 회전방지턱(46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2)의 상부면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가로방향 길이가 가이드슬롯(22)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형성되는 잠금부(3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40)는;
    상기 삽입부(12)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삽입되며, 잠금부(30)가 고정 또는 회전되도록 잠금부(3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40)는,
    상기 잠금부(30)에 이동 가능하도록 삽입되어 돌출 또는 압입되는 손잡이(44);
    상기 손잡이(44)의 돌출 또는 압입에 따라 상하로 이동되도록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슬라이더(46); 및
    상기 슬라이더(46)의 하단과 하우징의 내측 사이에 배치되어 슬라이더(46)에 탄성복원력을 제공하는 스프링(48);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5. 삭제
KR1020140155901A 2014-11-11 2014-11-11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KR102169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901A KR102169360B1 (ko) 2014-11-11 2014-11-11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55901A KR102169360B1 (ko) 2014-11-11 2014-11-11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036A KR20160056036A (ko) 2016-05-19
KR102169360B1 true KR102169360B1 (ko) 2020-10-23

Family

ID=5610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55901A KR102169360B1 (ko) 2014-11-11 2014-11-11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6936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10707B1 (ko) * 2018-09-28 2019-08-13 주식회사평화발레오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879B1 (ko) * 2003-09-08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변속 기구
KR100836364B1 (ko) * 2007-06-20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조립장치
KR100981602B1 (ko) * 2007-12-06 2010-09-13 (주) 미창케이블 차량용케이블 연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018A (ko) * 2005-12-19 2007-06-2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 변속기의 작동 케이블과 인히비터 스위치 레버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4879B1 (ko) * 2003-09-08 2005-09-1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 변속기의 변속 기구
KR100836364B1 (ko) * 2007-06-20 2008-06-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수동변속기의 변속케이블 조립장치
KR100981602B1 (ko) * 2007-12-06 2010-09-13 (주) 미창케이블 차량용케이블 연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6036A (ko) 2016-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53708B1 (ko) 스티어링 컬럼의 틸팅장치
DE102012203095A1 (de) Betätigungseinrichtung zur Auswahl einer Schaltstufe eines Getriebes
KR102325546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KR20140010108A (ko) 다축 구동 장치
EP1705408A2 (en) Manual transmission
KR102169360B1 (ko)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CN103968059A (zh) 档杆机构和车辆
KR101723866B1 (ko) 자동차 변속상태 수동조작 장치
KR102166706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EP2692583B1 (de) Verstelleinrichtung für einen Kraftfahrzeugscheinwerfer
EP3254167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einstellen einer drehbewegung oder schwenkbewegung eines bedienelements für ein fahrzeug
CN202371143U (zh) 倒挡操作限位结构、六挡换挡器以及六挡变速器操纵机构
KR101673781B1 (ko) 차량용 변속 레버 장치
CN110626416B (zh) 一种位置可调的手柄杆以及农用机械转向手柄
KR101462919B1 (ko) 공용변속레버와 브라켓 체결구조
KR100661726B1 (ko) 차량용 자동변속장치
KR101941567B1 (ko) 수동변속기의 디텐트 장치
KR100461809B1 (ko) 수동 변속기의 변속 조작 장치
EP0834683A1 (en) Vehicle transmission control device
US20190219096A1 (en) Ball joint device
KR101959795B1 (ko) 변속 레버의 디턴트 장치
KR100803429B1 (ko) 차량 파킹 어셈블리
KR101602053B1 (ko) 웜기어 타입 액츄에이터를 이용한 쉬프트 바이 와이어용 파킹 장치
KR101902417B1 (ko) 차량용 변속 조절장치
KR101406517B1 (ko) 차량용 변속 조작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