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5546B1 -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5546B1
KR102325546B1 KR1020170025027A KR20170025027A KR102325546B1 KR 102325546 B1 KR102325546 B1 KR 102325546B1 KR 1020170025027 A KR1020170025027 A KR 1020170025027A KR 20170025027 A KR20170025027 A KR 20170025027A KR 102325546 B1 KR102325546 B1 KR 1023255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ock
shift
plunger
lock release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8456A (ko
Inventor
김선일
김은식
최지혁
민정선
배성욱
김선주
고진원
조양래
천만영
Original Assignee
기아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25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5546B1/ko
Priority to US15/825,578 priority patent/US10571014B2/en
Priority to DE102017222053.8A priority patent/DE102017222053A1/de
Priority to CN201711274052.8A priority patent/CN108506479B/zh
Publication of KR20180098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55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55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F16H59/105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21Selector apparatus for selecting modes, i.e. input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F16H2059/0282Lever handles with lock mechanisms, e.g. for allowing selection of reverse gear or releasing lever from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16H2061/223Electrical gear shift lock, e.g. locking of lever in park or neutral position by electric means if brake is not applied; Key interlock, i.e. locking the key if lever is not in park posi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22Locking of the control input devices
    • F16H2061/226Manual distress release of the locking means for shift levers, e.g. to allow towing of vehicle in case of breakdow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50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 F16H59/54Inputs being a function of the status of the machine, e.g. position of doors or safety belts dependent on signals from the brakes, e.g. parking br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와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가 1개의 케이스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모듈화된 구성이면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만을 사용해서 시프트 락의 기능을 구현하고, 시프트 락 릴리즈 레버가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직접 작동시키서 시프트 락 릴리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UNITE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HIFT LOCK AND SHIFT LOCK RELEASE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본 발명은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와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가 1개의 케이스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모듈화된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자동변속기의 차량에서 운전석 주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 시프트레버는 운전자의 조작시 디텐트플레이트에 형성된 레인지(range)의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P(파킹)단, R(후진)단, N(중립)단, D(주행)단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위치할 수 있도록 하단이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어 설치된다.
한편, 자동변속기 차량은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지 않으면 시프트레버의 P → R단 시프트가 불가능하도록 한 시프트 락 기능이 함께 구비되어 있는 바, 이러한 시프트 락 기능으로 인해 운전자의 부주의로 인한 안전사고의 발생을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시프트 락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는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 및 시프트 락 레버로 구성된다.
시프트레버가 P단에 위치하고 있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지 않은 상태일 때, 시프트 락 레버의 일단은 시프트레버의 몸체에 걸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시프트레버가 P단의 위치에서 R단 또는 다른 변속단으로 원치않게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시프트레버가 P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센서가 브레이크페달의 작동상태를 검출해서 콘트롤러(BCM, Body Control Module)로 전송하고, BCM의 제어에 의해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가 동작하며,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의 동작에 연동하여 시프트 락 레버가 동작하게 되는 바, 따라서 시프트레버의 몸체에 걸려져 있던 시프트 락 레버의 일단이 해제됨으로써 시프트레버의 락이 해제되고, 이에 따라 시프트레버는 운전자의 의지대로 P단의 위치에서 R단 또는 다른 변속단으로 이동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또한, 자동변속기 차량은 전술한 시프트 락 기능 외에 시프트 락 릴리즈 기능을 더 구비하고 있는 바,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 기능은 시프트레버가 P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은 상태일지라도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 등의 고장으로 인해 시프트 락이 해제되지 못하는 경우 사용하는 기능이다.
시프트 락 릴리즈 기능의 구현을 위해 시프트 락 릴리즈 레버가 구비되고, 시프트 락 릴리즈 레버의 수동 조작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의 플런저가 강제로 움직이고, 이에 따라 시프트레버의 몸체에 걸려져 있던 시프트 락 레버의 일단이 강제로 해제됨으로써 시프트레버의 락 상태를 해제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구조는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 및 시프트 락 레버가 각각 독립적인 위치에서 서로 연결구조를 갖도록 설치되고, 또한 시프트 락 레버 및 시프트 락 릴리즈 레버도 각각 독립적인 위치에서 서로 연결구조를 갖도록 설치된 구조로, 즉 3개 부품인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와 시프트 락 레버 및 시프트 락 릴리즈 레버가 각각 개별적으로 구분된 위치에 설치된 구조로, 이에 따라 각각의 부품마다 개별적으로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단점이 있고, 시프트레버와의 조립시 전체적인 사이즈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3개 부품인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와 시프트 락 레버 및 시프트 락 릴리즈 레버가 각각 개별적으로 구분된 위치에서 서로 연결구조를 갖도록 조립됨에 따라 부품간 연결부위에 조립 공차에 따른 산포가 커서 품질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단점이 있고, 이로 인해 시프트 락 또는 시프트 락 릴리즈 작동시 응답속도가 느려서 품질문제를 야기하는 단점도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개별적인 조립구조로 인해 조립시간의 과다소요 및 생산성의 감소의 원인이 되는 단점도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20-0373783호
본 발명은, 시프트 락의 기능 및 시프트 락 릴리즈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와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가 1개의 케이스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모듈화된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를 제공한 것으로, 이를 통해 설치공간의 확보를 최소화함에 따라 전체적인 사이즈 축소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고, 조립에 따른 산포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며, 더 나아가 시프트 락 또는 시프트 락 릴리즈 작동시 빠른 응답속도를 확보함으로써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만을 사용해서 시프트 락의 기능을 구현하고, 또한 시프트 락 릴리즈 레버가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직접 작동시키서 시프트 락 릴리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구조로, 이를 통해 종래에 사용하던 시프트 락 레버의 사용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부품수 감축과 원가절감 및 중량감소를 도모하고, 더 나아가 조립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는, 진퇴이동이 가능한 플런저를 구비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 상기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향한 이동시 플런저와의 접촉으로 플런저를 강제로 후퇴 이동시키는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 및 상기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와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가 일체형으로 모듈화가 되도록 결합되는 1개의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와 케이스에 양단이 지지되게 설치된 것으로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의 이동시 복귀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시프트레버 하우징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레버 하우징에는 시프트레버를 구비한 시프트레버 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의 일단은 시프트레버 하우징을 관통해서 시프트레버 바디와 대면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런저는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관통해서 양단이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런저의 일단은 시프트레버 하우징에 결합된 시프트레버 바디와 대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타단은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런저는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로 전원 인가시 시프트레버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 이동하고 전원 차단시 플런저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시프트레버 바디쪽으로 전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프트레버 바디에는 플런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삽입홈에 플런저의 일단이 삽입시 시프트 락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런저의 타단에는 플런저보다 직경이 큰 플런저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가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향해서 이동할 때에 플런저플레이트와 접촉하고;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와 플런저플레이트의 접촉시 플런저는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의 이동력을 전달받아서 시프트레버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강제 후퇴 이동하고; 상기 플런저의 강제 후퇴 이동시 시프트 락 릴리즈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의 세로방향 중간위치에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의 위쪽으로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가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에는 솔레노이드 단자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단자와 전원선의 연결부는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기준으로 케이스의 아래쪽부위에 의해 커버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케이스는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가 결합된 상측부와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가 결합된 중간부 및 솔레노이드 단자와 전원선의 연결부를 커버링하는 하측부가 각각 시프트레버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는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의 위쪽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결합된 것으로 작업자의 조작력을 전달받는 최상단의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하측으로 연장되어서 상하이동시 안내역할을 하는 중간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서 하측으로 이동시 플런저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로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는 조작부의 가로방향 단면적이 가장 크고 로드부가 가장 작으며 몸통부는 조작부와 로드부사이의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몸통부가 삽입된 케이스의 마주 대하는 두 측벽에는 상하로 연장된 슬롯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홀에는 몸통부에 형성된 스토퍼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슬롯홀과 스토퍼돌기는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의 상하이동을 안내함과 더불어 케이스에서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는, 시프트 락의 기능 및 시프트 락 릴리즈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와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가 1개의 케이스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모듈화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설치공간의 확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전체적인 사이즈 축소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조립에 따른 산포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더 나아가 시프트 락 또는 시프트 락 릴리즈 작동시 빠른 응답속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만을 사용해서 시프트 락의 기능을 구현하고, 시프트 락 릴리즈 레버가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직접 작동시키서 시프트 락 릴리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와 시프트 락 릴리즈 레버를 연결하는 중간부품(종래의 시프트 락 레버)의 사용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부품수 감축과 원가절감 및 중량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더 나아가 조립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가 결합된 시프트레버 장치의 측면도,
도 2는 도 1의 시프트레버 하우징의 측면도,
도 3은 도 1의 시프트레버를 구비한 시프트레버 바디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결합상태 사시도,
도 6과 도 7은 도 5를 A방향과 B방향에서 바라본 도면,
도 8은 도 7의 Ⅰ-Ⅰ선 단면도,
도 9는 도 6의 Ⅱ-Ⅱ선 단면도,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해서 시프트 락 기능 및 시프트 락 릴리즈 기능이 구현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변속기 차량에서 운전석 측부에는 시프트레버 하우징(1)이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시프트레버 하우징(1)에는 시프트레버(2)를 구비한 시프트레버 바디(3)의 하단이 힌지축(4)을 중심으로 전후방향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시프트레버(2)를 전후방향으로 조작하면 시프트레버(2)는 디텐트플레이트(5)에 형성된 레인지(range)의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P(파킹)단, R(후진)단, N(중립)단, D(주행)단 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위치함에 따라 변속기의 변속단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시프트레버 하우징(1)의 측면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서 시프트 락의 기능 및 시프트 락 릴리즈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와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가 1개의 케이스(30)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모듈화된 일체형 장치가 고정되게 결합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장치는 진퇴이동이 가능한 플런저(11)를 구비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 상기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를 향한 이동시 플런저(11)와의 접촉으로 플런저(11)를 강제로 후퇴 이동시키는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 상기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와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가 일체형으로 모듈화가 되도록 결합되는 1개의 케이스(30); 및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와 케이스(30)에 양단이 지지되게 설치된 것으로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의 이동시 복귀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4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30)는 시프트레버 하우징(1)의 일측면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레버 하우징(1)에는 시프트레버(2)를 구비한 시프트레버 바디(3)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11)의 일단은 시프트레버 하우징(1)의 구멍(1a)을 통해서 시프트레버 바디(3)와 대면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플런저(11)는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를 관통해서 양단이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바, 케이스(30)가 시프트레버 하우징(1)에 결합된 상태를 기준으로 도 8의 도시상태에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의 좌측으로 돌출된 일단은 시프트레버 하우징(1)의 구멍(1a)을 통해서 시프트레버 바디(3)와 대면하고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의 우측으로 돌출된 타단은 케이스(30)내에 위치하면서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플런저(11)는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로 전원 인가시 시프트레버 바디(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 이동하고 전원 차단시 플런저스프링(12)의 탄성력으로 시프트레버 바디(2)쪽으로 전진 이동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브레이크페달 센서의 신호를 전달받은 콘트롤러(BCM)의 제어에 의해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로 전원이 인가되고,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로 전원이 인가되면 자력에 의해 플런저(11)가 플런저스프링(12)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시프트레버 바디(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 이동을 하게 된다.
그리고,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로부터 발을 떼면 콘트롤러(BCM)의 제어에 의해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로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되고, 전원이 차단되면 솔레노이드의 자력이 소멸됨에 따라 플런저(11)는 플런저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서 시프트레버 바디(2)쪽으로 전진 이동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로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에는 솔레노이드 단자(13)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단자(13)는 전원선(6)의 단자(6a)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시프트레버 바디(3)에는 플런저삽입홈(3a,3b)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삽입홈(3a,3b)에 플런저(11)의 일단이 삽입되면 시프트 락 기능이 구현된다.
즉,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로 전원이 차단됨에 따라 플런저(11)가 플런저스프링(12)의 탄성력에 의해서 시프트레버 바디(2)쪽으로 전진 이동하고, 이의 동작에 의해 도 10과 같이 플런저(11)의 일단이 시프트레버 하우징(1)의 구멍(1a)을 관통한 후 시프트레버 바디(3)에 형성된 플런저삽입홈(3a,3b)에 삽입되면 시프트레버(2)의 조작이 불가능한 상태 다시 말해서 시프트 락의 기능이 구현되는 것이다.
도 3에서 시프트레버(2)로부터 근접거리에 형성된 플런저삽입홈(3a)은 P단 시프트 락을 구현하기 위한 홈이고, 좌측방향으로 이격된 타원형의 플런저삽입홈(3b)은 R단 시프트 락을 구현하기 위한 홈으로, 상기 타원형의 플런저삽입홈(3b)에서 플런저(11)가 우측 끝에 위치해서 걸려지면 R단 시프트 락이 구현된다.
상기 플런저(11)의 타단에는 플런저(11)보다 직경이 큰 플런저플레이트(14)가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가 레버스프링(40)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를 향해서 이동할 때에 도 11과 같이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는 플런저플레이트(14)와 접촉하고,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와 플런저플레이트(14)의 접촉시 플런저(11)는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의 이동력을 전달받아서 시프트레버 바디(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강제 후퇴 이동하고, 상기 플런저(11)의 강제 후퇴 이동시 플런저(11)의 일단이 플런저삽입홈(3a)으로부터 빠지게 됨에 따라 시프트 락 릴리즈 기능이 구현된다.
도 11에 도시된 도면부호 M2는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를 가압하는 공구이다.
시프트 락 릴리즈 기능은 플런저(11)가 플런저삽입홈(3a)에 삽입되어 있음에 따라 시프트 락의 기능이 구현되고 있는 상태에서, 솔레노이드 등의 고장으로 인해 운전자가 브레이크페달을 밟아주더라도 플런저(11)가 플런저삽입홈(3a)으로부터 빠지지 않는 상태일 때, 작업자가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를 조작해서 플런저(11)를 강제 후퇴 이동시킴에 따라 시프트 락을 수동으로 해제시켜 주는 안전기능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장치는 케이스(30)의 세로방향 중간위치에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가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의 위쪽으로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가 케이스(30)에 결합되며, 상기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에는 솔레노이드 단자(13)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단자(13)와 전원선(6)의 단자(6a)가 연결된 연결부(M1)는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를 기준으로 케이스(30)의 아래쪽부위에 의해 커버링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일체형 장치는 세로방향을 따라 위에서부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와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 및 솔레노이드 단자(13)와 전원선(6)의 단자(6a)가 연결된 연결부(M1)가 배치되도록 1개의 케이스(30)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모듈화된 구성인 바, 이를 통해 전체적인 외형적 크기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케이스(30)는 세로방향을 따라 위에서부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가 결합되는 상측부(31)와,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가 결합된 중간부(32), 및 솔레노이드 단자(13)와 전원선(6)의 단자(6a)가 연결된 연결부(M1)를 커버링하는 하측부(33)로 구분되고, 상기 상측부(31)와 중간부(32) 및 하측부(33)가 각각 시프트레버 하우징(1)에 스크루와 같은 체결부재(7)를 매개로 고정되도록 결합된다.
즉,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는 사용자의 조작력 및 레버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서 상하로 이동하는 부품이기에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가 결합된 케이스(30)의 상측부(31)는 강한 지지력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 한 바, 이를 위해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가 결합된 케이스(30)의 상측부(31)가 체결부재(7)를 매개로 시프트레버 하우징(1)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는 플런저(11)의 작동시 진동이 발생하는 부품으로 진동에 의한 떨림 및 소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강한 지지력을 확보하는 것이 바람직 한 바, 이를 위해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가 결합된 케이스(30)의 중간부(32)도 체결부재(7)를 매개로 시프트레버 하우징(1)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솔레노이드 단자(13)와 전원선(6)의 단자(6a)가 연결된 연결부(M1)는 외력 또는 충격이 전달되면 쉽게 전기적 연결상태가 쉽게 분리될 수 있는 바, 이를 예방하기 위해 솔레노이드 단자(13)와 전원선(6)의 단자(6a)가 연결된 연결부(M1)를 커버링하는 케이스(30)의 하측부(33)도 체결부재(7)를 매개로 시프트레버 하우징(1)에 고정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는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의 위쪽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케이스(30)의 상측부(31)에 결합된 것으로 작업자의 조작력을 전달받는 최상단의 조작부(21), 상기 조작부(21)의 하측으로 연장되어서 상하이동시 안내역할을 하는 중간의 몸통부(22), 및 상기 몸통부(22)의 하측으로 돌출되어서 하측으로 이동시 플런저플레이트(14)와 접촉하는 로드부(23)를 포함한다.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는 조작부(21)의 가로방향 단면적이 가장 크고 로드부(23)가 가장 작으며 몸통부(22)는 조작부(21)와 로드부(23)사이의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조작부(21)는 작업자의 조작력을 전달받는 부위로서 보다 넓은 면적으로 조작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가장 넓은 단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에 몸통부(22)와 로드부(23)는 조작부(2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단면적으로 형성함으로써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의 전체적인 외형적 크기를 축소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케이스(30)의 상측부(31)에서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의 몸통부(22)가 삽입된 마주 대하는 두 측벽에는 상하로 연장된 슬롯홀(34)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홀(34)에는 몸통부(22)에 형성된 스토퍼돌기(24)가 삽입되는 바, 상기 슬롯홀(34)과 스토퍼돌기(24)는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의 상하이동을 안내함과 더불어 케이스(30)에서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시프트 락의 기능 및 시프트 락 릴리즈의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와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20)가 1개의 케이스(30)에 의해서 일체형으로 모듈화된 구성으로, 이를 통해 설치공간의 확보를 최소화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전체적인 사이즈 축소 및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조립에 따른 산포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우수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더 나아가 시프트 락 또는 시프트 락 릴리즈 작동시 빠른 응답속도를 확보할 수 있게 됨으로써 품질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만을 사용해서 시프트 락의 기능을 구현하고, 시프트 락 릴리즈 레버(20)가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를 직접 작동시키서 시프트 락 릴리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10)와 시프트 락 릴리즈 레버(20)를 연결하는 중간부품(종래의 시프트 락 레버)의 사용을 없앨 수 있게 됨으로써 부품수 감축과 원가절감 및 중량감소를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더 나아가 조립시간의 단축을 통해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시프트레버 하우징 2 - 시프트레버
3- 시프트레버 바디 3a,3b - 플런저삽입홈
6 - 전원선 10 -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
11 - 플런저 20 -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
30 - 케이스 40 - 레버스프링

Claims (13)

  1. 진퇴이동이 가능한 플런저를 구비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
    상기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향한 이동시 플런저와의 접촉으로 플런저를 강제로 후퇴 이동시키는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 및
    상기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와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가 일체형으로 모듈화가 되도록 결합되는 1개의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는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의 위쪽에서 상하이동이 가능하도록 케이스에 결합된 것으로 작업자의 조작력을 전달받는 최상단의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하측으로 연장되어서 상하이동시 안내역할을 하는 중간의 몸통부; 및
    상기 몸통부의 하측으로 돌출되어서 하측으로 이동시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의 외부로 돌출된 플런저와 접촉하는 로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는 조작부의 가로방향 단면적이 가장 크고 로드부가 가장 작으며 몸통부는 조작부와 로드부사이의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와 케이스에 양단이 지지되게 설치된 것으로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의 이동시 복귀력을 제공하는 레버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시프트레버 하우징에 고정되게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레버 하우징에는 시프트레버를 구비한 시프트레버 바디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플런저의 일단은 시프트레버 하우징을 관통해서 시프트레버 바디와 대면하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관통해서 양단이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일단은 시프트레버 하우징에 결합된 시프트레버 바디와 대면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플런저의 타단은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의 이동경로상에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로 전원 인가시 시프트레버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후퇴 이동하고 전원 차단시 플런저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시프트레버 바디쪽으로 전진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프트레버 바디에는 플런저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삽입홈에 플런저의 일단이 삽입시 시프트 락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타단에는 플런저보다 직경이 큰 플런저플레이트가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가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향해서 이동할 때에 플런저플레이트와 접촉하고;
    상기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와 플런저플레이트의 접촉시 플런저는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의 이동력을 전달받아서 시프트레버 바디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강제 후퇴 이동하고;
    상기 플런저의 강제 후퇴 이동시 시프트 락 릴리즈 기능이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세로방향 중간위치에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가 결합되고;
    상기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의 위쪽으로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가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에는 솔레노이드 단자가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솔레노이드 단자와 전원선의 연결부는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를 기준으로 케이스의 아래쪽부위에 의해 커버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가 결합된 상측부와 시프트 락 솔레노이드가 결합된 중간부 및 솔레노이드 단자와 전원선의 연결부를 커버링하는 하측부가 각각 시프트레버 하우징에 고정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로드부는 하측으로 이동시 플런저플레이트와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12. 삭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통부가 삽입된 케이스의 마주 대하는 두 측벽에는 상하로 연장된 슬롯홀이 형성되고;
    상기 슬롯홀에는 몸통부에 형성된 스토퍼돌기가 삽입되며;
    상기 슬롯홀과 스토퍼돌기는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의 상하이동을 안내함과 더불어 케이스에서 시프트 락 릴리즈레버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KR1020170025027A 2017-02-24 2017-02-24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KR1023255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027A KR102325546B1 (ko) 2017-02-24 2017-02-24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US15/825,578 US10571014B2 (en) 2017-02-24 2017-11-29 Integrated apparatus for implementing shift lock and shift lock release functions of automatic transmission vehicle
DE102017222053.8A DE102017222053A1 (de) 2017-02-24 2017-12-06 Integrierte vorrichtung zum umsetzen einer schaltverriegelungs- und schaltverriegelungsfreigabefunktion eines automatischen getriebes von einem fahrzeug
CN201711274052.8A CN108506479B (zh) 2017-02-24 2017-12-06 用于实施换挡锁定和换挡锁定解除功能的集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027A KR102325546B1 (ko) 2017-02-24 2017-02-24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456A KR20180098456A (ko) 2018-09-04
KR102325546B1 true KR102325546B1 (ko) 2021-11-15

Family

ID=63112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027A KR102325546B1 (ko) 2017-02-24 2017-02-24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571014B2 (ko)
KR (1) KR102325546B1 (ko)
CN (1) CN108506479B (ko)
DE (1) DE1020172220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55851A (zh) * 2018-12-29 2019-04-02 宁波正朗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自动换挡器的锁止结构
JP7470710B2 (ja) * 2019-04-10 2024-04-18 ニッサン ノース アメリカ,インク シフトロックの保護
KR102347764B1 (ko) * 2020-07-21 2022-01-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프트 레버 어셈블리
JP2022131692A (ja) * 2021-02-26 2022-09-07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JP2023112898A (ja) * 2022-02-02 2023-08-15 株式会社Subaru 車両のシフトロック機構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8242A (en) * 1988-06-13 1992-01-07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Solenoid system for, for example, a brake/shift interlock for vehicular transmission control
US5402870A (en) * 1993-05-18 1995-04-04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oration Vehicle park/lock mechanism
US20080022805A1 (en) * 2006-07-28 2008-01-31 Brian Douglas Howe Shift lever locking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61250A (en) * 1975-05-31 1977-12-06 Tetsuya Tada Depress button type sprayer
JPH071317Y2 (ja) * 1987-11-04 1995-01-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用セレクタレバー装置
US5465818A (en) * 1994-01-07 1995-11-14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oration Park lock mechanism with means to prevent lockout member from accidentially becoming inoperative
US5799517A (en) * 1994-08-30 1998-09-01 Kabushiki Kaisha Tokai Rika Denki Seisakusho Vehicle locking device
US6325196B1 (en) * 1999-07-29 2001-12-04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ision Of Jsj Corporation Shifter with park lock and neutral lock device
US6676564B2 (en) * 2002-01-18 2004-01-13 Saia-Burgess Inc. Brake-shift lever interlock unit
JP4199951B2 (ja) * 2002-03-06 2008-12-2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バイワイヤ方式の車両用シフトレバー装置
KR200373783Y1 (ko) 2004-10-25 2005-01-27 삼립산업 주식회사 자동변속기의 시프트 록 장치
DE102008006398A1 (de) * 2008-01-28 2009-07-30 Zf Friedrichshafen Ag Notentriegelungseinrichtung für Parksperre
JP2015006866A (ja) * 2013-06-26 2015-01-15 デルタ工業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シフト装置
CN103821925B (zh) * 2014-03-05 2016-07-13 十堰达峰软轴有限公司 电子换档装置
KR101558766B1 (ko) * 2014-05-08 2015-10-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변속레버 모듈
JP6379014B2 (ja) * 2014-11-13 2018-08-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シフト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78242A (en) * 1988-06-13 1992-01-07 United Technologies Automotive, Inc. Solenoid system for, for example, a brake/shift interlock for vehicular transmission control
US5402870A (en) * 1993-05-18 1995-04-04 Grand Haven Stamped Products, Div. Of Jsj Corporation Vehicle park/lock mechanism
US20080022805A1 (en) * 2006-07-28 2008-01-31 Brian Douglas Howe Shift lever lock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506479A (zh) 2018-09-07
CN108506479B (zh) 2021-03-26
US20180245683A1 (en) 2018-08-30
US10571014B2 (en) 2020-02-25
KR20180098456A (ko) 2018-09-04
DE102017222053A1 (de) 2018-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5546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EP1795411B1 (en) Electric parking brake
US20140216193A1 (en) Activation Apparatus for a Transmission of a Motor Vehicle
JP4344541B2 (ja) 小型車両用連動ブレーキ装置
KR102166706B1 (ko) 버튼 타입 전자식 변속시스템
CN108367675A (zh) 用于防止自动变速器的误操作的设备
CN211117529U (zh) 车辆换挡装置及车辆
JP4969343B2 (ja) 車両用変速操作装置
EP3096043B1 (en) Automatic transmission assembly for preventing erroneous operation
KR101375779B1 (ko) 전자식 버튼에 의한 로킹 해제가 가능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
JP6890892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ロック機構
KR200459979Y1 (ko) 패들 스위치 유니트
KR20210045061A (ko) 전자식 클러치시스템용 클러치페달장치
JP2001171384A (ja) シフトレバー装置
KR20150040643A (ko) 자전거용 유압식 안전 브레이크 장치
US7004059B2 (en) Hydraulic master cylinder switch
US11226036B2 (en) Shift device
KR100887827B1 (ko)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변속레버장치
KR100212796B1 (ko) 자동차의 자동변속기용 변속조작장치
US20230311748A1 (en) Turn signal switch device
KR100361815B1 (ko) 파킹 케이블의 장력조정 너트
CN210162078U (zh) 一种具有警惕和鸣笛功能的机车司机控制器手柄
KR100476267B1 (ko)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안전장치
JP4468655B2 (ja) 車両のシフト装置
KR20050120941A (ko) 변속 레버의 쉬프트 록 장치용 솔레노이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