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779B1 - 전자식 버튼에 의한 로킹 해제가 가능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전자식 버튼에 의한 로킹 해제가 가능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779B1
KR101375779B1 KR1020130032774A KR20130032774A KR101375779B1 KR 101375779 B1 KR101375779 B1 KR 101375779B1 KR 1020130032774 A KR1020130032774 A KR 1020130032774A KR 20130032774 A KR20130032774 A KR 20130032774A KR 101375779 B1 KR101375779 B1 KR 1013757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ft lever
locking pin
locking
rotation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수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3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7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7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7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프트 레버 조립체는,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10)과, 시프트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축(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전자식 버튼 부재(21)를 포함하는 시프트 레버(20)와, 상기 시프트 레버(2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브라켓(10)에 대해 회동하는 이동 부재(30)와, 상기 전자식 버튼 부재(21)가 조작되면 그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이동 부재(30)에 대해서 로킹핀(45)을 후퇴시키도록 작동시키는 전자식 액츄에이터(4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부재(30)에는, 상기 로킹핀(45)에 걸려서 차량의 전방으로의 상기 시프트 레버의 회동을 금지시키는 제1 로킹부(51)와, 상기 로킹핀(45)에 걸려서 차량의 후방으로의 상기 시프트 레버의 회동을 금지시키는 제2 로킹부(52)와, 상기 로킹핀(45)에 걸려서 차량의 전방 및 후방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으로는 상기 시프트 레버(20)의 회동을 금지시키지만 다른 하나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는 상기 시프트 레버(20)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3 로킹부(53)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전자식 버튼에 의한 로킹 해제가 가능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Shift Lever Assembly Where Locking Is Releasable By Electronic Button}
본 발명은 차량의 시프트 레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자세하게는 전자식 버튼에 의한 로킹 해제가 가능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엔진의 회전력을 바퀴에 전달하기 위한 변속기로서 자동 변속기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자동 변속기는 주행 조건 등에 따라 TCU의 제어에 의해서 자동으로 변속 모드를 설정하지만 운전자가 주차모드, 후진모드, 주행모드, 중립모드 등과 같은 변속 모드를 선택하거나 수동으로 변속 모드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운전석에 시프트 레버 조립체가 제공된다.
시프트 레버를 조작할 때에 소정의 변속 모드에서는 그 조작을 제한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안전을 위해 주차모드(P)에서는 브레이크를 밟은 상태에서만 레버의 조작이 가능하게 한다든지, 중립 모드(N)에서 후진 모드(R)로 조작할 때에는 레버의 단부에 제공되는 노브에 마련된 버튼을 눌러서 레버 조작을 제한하는 로킹 상태를 해제하는 등의 조작 제한 장치가 필요하다. 그러한 장치의 일례로서 2007년 4월 13일에 공고된 한국특허 제0707137호에 개시된 장치가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장치에서는 레버 노브에 마련된 버튼을 눌렀을 때, 그러한 기계적 누름력이 시프트 레버 조립체의 하단부에 제공되는 소정의 기계 장치의 작동을 유도하여 로킹 상태가 해제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장치에 의하면 레버 안쪽에 기계식 버튼의 누름력을 아래쪽 조립체로 전달하기 위한 복잡한 구조의 부품들이 제공되어야 하고 무게도 증대하며, 기계식 버튼 작동을 위해 운전자가 세게 눌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종래 기술의 단점을 제거하여 전자식 버튼에 의해 편리하게 작동될 수 있는 차량의 시프트 레버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시프트 레버 조립체는,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10)과, 시프트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축(5)을 중심으로 브라켓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전자식 버튼 부재(21)를 포함하는 시프트 레버(20)와, 상기 시프트 레버(2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브라켓(10)에 대해 움직이는 이동 부재(30)와, 상기 전자식 버튼 부재(21)가 조작되면 그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이동 부재(30)에 대해서 로킹핀(45)을 후퇴시키도록 작동시키는 전자식 액츄에이터(4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 부재(30)에는, 상기 로킹핀(45)에 걸려서 차량의 전방으로의 상기 시프트 레버의 회동을 금지시키는 제1 로킹부(51)와, 상기 로킹핀(45)에 걸려서 차량의 후방으로의 상기 시프트 레버의 회동을 금지시키는 제2 로킹부(52)와, 상기 로킹핀(45)에 걸려서 차량의 전방 및 후방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으로는 상기 시프트 레버(20)의 회동을 금지시키지만 다른 하나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는 상기 시프트 레버(20)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3 로킹부(53)가 제공된다.
상기 제3 로킹부(53)는, 상기 시프트 레버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로킹핀을 눌러서 상기 이동 부재로부터 상기 로킹핀을 후퇴시키는 경사면(530)을 포함하는 구멍의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는, 상기 로킹핀(45)이 상기 이동 부재(30)를 바라보는 쪽의 반대쪽에서 상기 로킹핀(45)의 로킹 상태를 강제로 해제시키는 릴리스 버튼(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릴리스 버튼(60)은 전자식 버튼(21)이나 전자식 액츄에이터(40)가 작동하지 않는 비상 상황에서 로킹핀(45)의 걸림 상태를 해제하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상기 로킹핀(45)은 상기 이동 부재(30)에 대해서 진퇴 가능한 제1 단부(451)와, 상기 제1 단부(451)의 반대쪽에 제공되는 제2 단부(452)와, 상기 제2 단부측에 제공되는 릴리스 플레이트(453)를 포함하며; 상기 릴리스 버튼(60)은, 릴리스 버튼(60)이 조작될 때에 상기 릴리스 플레이트(453)에 접촉하여 상기 로킹핀(45)을 상기 이동 부재(30)에 대해서 후퇴시키는 경사부(65)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상기 전자식 액츄에이터(40)는 브레이크 작동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전자식 액츄에이터는, 상기 전자식 버튼(21)의 작동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작동 신호가 있을 때 상기 로킹핀(45)을 후퇴시키도록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자식 버튼과 전자식 액츄에이터에 의한 변속 모드 전환 금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종래의 기계식 구조에 비해서 월등하게 간단한 구조로도 동일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의 측면도.
도 2는 중립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후진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상태에서의 이동 부재의 확대도.
도 5는 도 3의 상태에서의 일부 평면도.
도 6은 주차 모드에서의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의 측면도.
도 7은 도 6의 상태에서의 일부 확대도.
도 8 및 도 9는 릴리스 버튼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부분과 관계가 적은 시프트 레버 조립체의 기타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그러한 설명이 생략되더라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명세서 및 도면의 기재를 바탕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재현하고 실시하는데에 전혀 아무런 장애가 없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는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도록 되어 있는 브라켓(10)과, 시프트 레버(20)와, 이동 부재(30)와, 전자식 액츄에이터(40)를 포함한다.
시프트 레버(20)는 시프트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축(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레버(20)의 단부에는 노브(25)가 제공되고 노브에는 전자식 버튼(21)이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서 시프트 방향은 도 1의 좌우 방향을 의미하며, 그 시프트 방향에서 레버(20)가 회동하는 양에 따라서 자동변속기의 변속 모드가 결정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도 1의 우측이 차량의 전방측, 좌측이 후방측으로 설명한다.
이동 부재(30)는 시프트 레버(20)가 조작에 따라 회동하는 것에 연동해서 브라켓(10)에 대해 움직인다. 이동 부재(3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프트 레버(20)의 조작에 따라서 회전하는 방식으로 움직일 수도 있고, 시프트 레버(20)의 조작에 따라서 예를 들어 직선 운동을 하는 방식으로 움직일 수도 있다.
전자식 액츄에이터(40)는 전자식 버튼(21)이 조작될 때에 그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이동 부재(30)에 대해서 로킹핀(45)을 후퇴시키도록 작동시킨다. 전자식 액츄에이터(40)는 전자식 버튼(21)의 조작 신호를 전달받을 수 있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러한 전기적 연결 구조는 공지 기술을 이용하여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핵심과는 거리가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동 부재(30)에는 제1 로킹부(51)와, 제2 로킹부(52)와, 제3 로킹부(53)가 제공된다. 로킹부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으며, 로킹부가 세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제1 로킹부(51)는, 로킹핀(45)에 걸려서 시프트 레버(20)가 차량의 전방으로 회동하는 것을 금지시킨다. 제2 로킹부(52)는 로킹핀(45)에 걸려서 차량의 후방으로의 시프트 레버(20)의 회동을 금지시킨다. 제3 로킹부(53)는 로킹핀(45)에 걸려서 차량의 전방부 및 후방부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으로는 시프트 레버(20)의 회동을 금지시키지만 다른 하나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는 시프트 레버(20)의 회동을 허용하도록 제공된다.
본 명세서 및 첨부 도면에서는, 제1 로킹부(51) 및 제2 로킹부(52)가 이동 부재(30)의 단부로 구성되고, 제3 로킹부(53)는 구멍의 형태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구성이라면 그 형태에 제한이 없다.
도 2에는 로킹핀(45)이 제1 로킹부(51)에 걸려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는 예를 들어 중립모드(N)에 시프트 레버(20)가 위치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차량의 전방 방향 즉 후진모드(R)로의 시프트 레버 회동은 금지되며, 차량의 후방 방향 즉 주행모드(D)로의 시프트 레버 회동은 가능하다.
도 3에는 로킹핀(45)이 제3 로킹부(52)에 걸려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에는 도 3과 같은 방향에서 본 이동 부재(30)의 확대도가, 도 4(b)에는 그 반대 방향 즉 전자식 액츄에이터(40)쪽에서 본 이동 부재(30)의 확대도가, 도 5에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는 예를 들어 후진모드(R)에 시프트 레버(20)가 위치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차량의 전방방향 즉 주차모드(P)로의 시프트 레버 회동은 금지되어야 하지만, 차량의 후방방향 즉 중립모드(N)로의 시프트 레버 회동은 허용되어야 한다. 도 4(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3 로킹부(53)는 그 내측에 경사면(530)이 제공되는 구멍의 형태를 취한다. 시프트 레버(20)가 제2 방향 즉 중립모드(N)로 회동하게 되면 경사면(530)이 제3 로킹부(53)에 걸려 있는 로킹핀(45)을 누르기 때문에 로킹핀(45)이 이동 부재(30)로부터 후퇴하게 된다. 그러나 제1 방향 즉 주차모드(P)로 회동시키면 제3 로킹부(53)에 걸린 상태이기 때문에 회동이 금지된다. 이 회동 금지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전자식 버튼(21)을 눌러서 작동시킴으로서 로킹핀(45)이 이동 부재(30)로부터 후퇴하여야 한다.
도 6에는 로킹핀(45)이 제2 로킹부(52)에 걸려 있는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7에는 일부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는 예를 들어 주차모드(P)에 시프트 레버(20)가 위치한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차량의 후방 방향 즉 후진모드(R)로의 시프트 레버 회동은 금지된다.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킹핀(45)이 제2 로킹부(52)에 걸려 있기 때문에 이동 부재(30)는 차량의 후방 방향 즉 후진모드(R)로의 회동이 금지되고 그에 따라 시프트 레버(20)의 회동이 금지된다.
로킹핀(45)의 후퇴는 전자식 버튼(21)의 조작 신호에 따라서 이루어지는데, 그러한 전자식 버튼(21)의 조작 신호에 더하여 브레이크 작동 신호를 더 수신하여 로킹핀(45)의 후퇴를 제어할 수도 있다. 즉 특정 변속 모드에서는 전자식 버튼(21)의 조작에 더하여 브레이크 작동도 이루어졌을 때에만 전자식 액츄에이터(40)가 로킹핀(45)을 후퇴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차모드(P)에서 전자식 버튼(21)이 눌러지고, 브레이크가 작동되었을 때에만 로킹핀(45)이 후퇴하도록 작동되어 안전도를 더 고양시키게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는 비상시에 수동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본 발명에 의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의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도 8과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릴리스 버튼(60)이 제공되는데, 이 릴리스 버튼(60)은 로킹핀(45)이 이동 부재(30)를 바라보는 쪽의 반대쪽에 제공되어 로킹핀(45)의 로킹상태를 강제적으로 해제시킨다.
로킹핀(45)은 이동 부재(30)에 대해서 진퇴 가능한 제1 단부(451)와, 제1 단부(451)의 반대쪽에 제공되는 제2 단부(452)와, 제2 단부측에 제공되는 릴리스 플레이트(453)를 포함한다.
릴리스 버튼(60)에는 하단에 경사부(65)가 제공되는데, 릴리스 버튼(60)이 눌러지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경사부(65)가 하강하고, 릴리스 플레이트(453)에 접촉하여 로킹핀(45)을 이동 부재(30)에 대해서 후퇴시킨다. 릴리스 버튼(60)이 눌러진 다음에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내부에는 복귀 스프링이 제공된다. 이 릴리스 버튼은 전자식 버튼(21)이나 전자식 액츄에이터(40)에 문제가 생겨서 작동이 되지 않는 비상 상황에서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전술한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그리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개량, 변경 및/또는 수정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됨이 명백하게 이해되어야 한다.
10: 브라켓
20: 시프트 레버
30: 이동 부재
40: 전자식 액츄에이터

Claims (6)

  1. 차량의 시프트 레버 조립체에 있어서,
    차량의 프레임에 고정되는 브라켓(10)과,
    시프트 방향으로 소정의 회전축(5)을 중심으로 상기 브라켓(10)에 대해서 회동 가능하게 제공되며 전자식 버튼 부재(21)를 포함하는 시프트 레버(20)와,
    상기 시프트 레버(20)의 회동에 연동하여 움직이는 이동 부재(30)와,
    상기 전자식 버튼 부재(21)가 조작되면 그 조작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이동 부재(30)에 대해서 로킹핀(45)을 후퇴시키도록 작동시키는 전자식 액츄에이터(40)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 부재(30)에는, 상기 로킹핀(45)에 걸려서 차량의 전방으로의 상기 시프트 레버의 회동을 금지시키는 제1 로킹부(51)와, 상기 로킹핀(45)에 걸려서 차량의 후방으로의 상기 시프트 레버의 회동을 금지시키는 제2 로킹부(52)와, 상기 로킹핀(45)에 걸려서 차량의 전방 및 후방 중 어느 하나의 방향인 제1 방향으로는 상기 시프트 레버(20)의 회동을 금지시키지만 다른 하나의 방향인 제2 방향으로는 상기 시프트 레버(20)의 회동을 허용하는 제3 로킹부(53)가 제공되는,
    시프트 레버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3 로킹부(53)는, 상기 시프트 레버가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할 때 상기 로킹핀을 눌러서 상기 이동 부재로부터 상기 로킹핀을 후퇴시키는 경사면(530)을 포함하는 구멍의 형태인,
    시프트 레버 조립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킹핀(45)이 상기 이동 부재(30)를 바라보는 쪽의 반대쪽에서 상기 로킹핀(45)의 로킹 상태를 강제로 해제시키는 릴리스 버튼(60)을 더 포함하는,
    시프트 레버 조립체.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킹핀(45)은 상기 이동 부재(30)에 대해서 진퇴 가능한 제1 단부(451)와, 상기 제1 단부(451)의 반대쪽에 제공되는 제2 단부(452)와, 상기 제2 단부측에 제공되는 릴리스 플레이트(453)를 포함하며,
    상기 릴리스 버튼(60)은, 릴리스 버튼(60)이 조작될 때에 상기 릴리스 플레이트(453)에 접촉하여 상기 로킹핀(45)을 상기 이동 부재(30)에 대해서 후퇴시키는 경사부(65)를 포함하는,
    시프트 레버 조립체.
  5.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액츄에이터(40)는 브레이크 작동 신호를 더 수신하고,
    상기 전자식 액츄에이터는, 상기 전자식 버튼(21)의 작동 신호와 상기 브레이크 작동 신호가 있을 때 상기 로킹핀(45)을 후퇴시키도록 작동시키는,
    시프트 레버 조립체.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 부재는 상기 시프트 레버(20)의 회동에 연동하여 상기 브라켓(10)에 대해 회전하는,
    시프트 레버 조립체.
KR1020130032774A 2013-03-27 2013-03-27 전자식 버튼에 의한 로킹 해제가 가능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 KR1013757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74A KR101375779B1 (ko) 2013-03-27 2013-03-27 전자식 버튼에 의한 로킹 해제가 가능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32774A KR101375779B1 (ko) 2013-03-27 2013-03-27 전자식 버튼에 의한 로킹 해제가 가능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779B1 true KR101375779B1 (ko) 2014-03-18

Family

ID=50649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2774A KR101375779B1 (ko) 2013-03-27 2013-03-27 전자식 버튼에 의한 로킹 해제가 가능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77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832A (ko) 2016-07-07 2018-01-17 황경숙 자동차 시프트 레버용 버핑장치
CN110023130A (zh) * 2016-11-28 2019-07-16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变速杆用安装托架和变速杆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0537U (ko) * 1987-11-05 1989-07-11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리까 덴끼세이사꾸쇼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
JPH10184868A (ja) * 1996-12-25 1998-07-14 Fuji Kiko Co Ltd シフトレバー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2004155215A (ja) 2002-11-01 2004-06-03 Fuji Kiko Co Ltd 自動車のシフトレバー装置のロック構造
KR20070029337A (ko) * 2005-09-09 2007-03-14 경창산업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이중 시프트 록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10537U (ko) * 1987-11-05 1989-07-11 가부시끼가이샤 도까이리까 덴끼세이사꾸쇼 자동변속기용 변속레버의 로크장치
JPH10184868A (ja) * 1996-12-25 1998-07-14 Fuji Kiko Co Ltd シフトレバーのシフトロック装置
JP2004155215A (ja) 2002-11-01 2004-06-03 Fuji Kiko Co Ltd 自動車のシフトレバー装置のロック構造
KR20070029337A (ko) * 2005-09-09 2007-03-14 경창산업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이중 시프트 록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5832A (ko) 2016-07-07 2018-01-17 황경숙 자동차 시프트 레버용 버핑장치
CN110023130A (zh) * 2016-11-28 2019-07-16 阿尔卑斯阿尔派株式会社 变速杆用安装托架和变速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137934Y2 (ko)
JPH071317Y2 (ja) 車両用セレクタレバー装置
KR102325546B1 (ko) 자동변속기 차량의 시프트 락 및 시프트 락 릴리즈를 구현하기 위한 일체형 장치
JP6533653B2 (ja) 変速レバーモジュール
US10343769B2 (en) Landing gear control system
KR101375779B1 (ko) 전자식 버튼에 의한 로킹 해제가 가능한 시프트 레버 조립체
US10731749B2 (en) Input device for a vehicle control system
CN105705364B (zh) 变速杆装置
US2751054A (en) Automatic emergency brake release mechanism
JP3708296B2 (ja) コラムat用シフトレバー装置のシフトロック機構
US11193579B2 (en) Vehicle shifter having a toggle cam with neutral lock
US20170335957A1 (en) Transmission shifter with multi-position lockout
KR101295007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시프트 레버 조립체
KR20120058733A (ko) Dih 일체형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JP6096257B2 (ja) シフトロック装置
KR102373155B1 (ko) 쉬프트락 릴리즈버튼의 장착구조
JP3532118B2 (ja) シフトレバー装置のシフトロック機構
KR102347764B1 (ko) 차량의 시프트 레버 어셈블리
JPH01223050A (ja) 車輌の盗難防止装置
KR100326385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 장치용 레버 어셈블리
JP2623623B2 (ja) シフトレバーのロツク装置
JP6804351B2 (ja) 変速操作装置
KR100384077B1 (ko) 자동차의 주차 브레이크의 해제 방지장치
JP2571723B2 (ja) ステアリングロック装置
JP3132223B2 (ja) 自動変速機のキーインタ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