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707B1 -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010707B1 KR102010707B1 KR1020180115439A KR20180115439A KR102010707B1 KR 102010707 B1 KR102010707 B1 KR 102010707B1 KR 1020180115439 A KR1020180115439 A KR 1020180115439A KR 20180115439 A KR20180115439 A KR 20180115439A KR 102010707 B1 KR102010707 B1 KR 10201070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cement
- shift lever
- shift
- lever
- shift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4—Ratio selector apparatus
- F16H59/044—Ratio selector apparatus consisting of electrical switches or senso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7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selector lever, e.g. grip parts, mounting or manufactur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 F16H59/10—Range selector apparatus comprising le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2059/026—Details or special features of the selector casing or lever sup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자동화 수동변속기에 적용되어 변속레버의 유격을 줄이고 변속레버에 대한 변위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하여 정확한 변속시점을 판단함으로써 원활한 변속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는 변속레버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변속케이블(1)과 연결되는 레버 고정부(10), 상기 레버 고정부(10)와 연동하고 경사면(23)을 갖춘 이동 구조물(20), 상기 경사면과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구형체(40)를 갖추고서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외측에 고정되는 홀더 구조물(30), 및 상기 홀더 구조물(30)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변위를 계측하는 변위 검출부(50)를 구비한다.
전술한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는 변속레버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변속케이블(1)과 연결되는 레버 고정부(10), 상기 레버 고정부(10)와 연동하고 경사면(23)을 갖춘 이동 구조물(20), 상기 경사면과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구형체(40)를 갖추고서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외측에 고정되는 홀더 구조물(30), 및 상기 홀더 구조물(30)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변위를 계측하는 변위 검출부(50)를 구비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반자동화 수동변속기에 적용되어 변속레버의 유격을 줄이고 변속레버에 대한 변위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하여 정확한 변속시점을 판단할 수 있는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변속기에 있어 변위검출은 운전자에 의한 변속의지를 판단하는 데 중요한 척도가 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컨대, 자동 변속기의 경우에는 변속레버에 대한 변위는 인히비터 스위치를 통해 검출되어 변속시 유압경로의 설정과 함께 클러치와 브레이크류의 마찰요소로 제공되는 작동압의 조절에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수동 변속기의 경우에는 변속레버에 대한 변위 검출은 별도로 이루어지지 않고, 변속레버의 이동에 따른 셀렉트방향과 시프트방향으로의 변위만을 컨트롤기구로 전달하여 해당 변속단 기어로의 동력 전달을 구현하게 된다.
한편, 반자동화 수동변속기의 경우에는 변속레버에 대한 정확한 변위 검출을 기반으로 셀렉트방향과 시프트방향으로 각각 동작하는 액츄에이터에 대한 변위가 개별적으로 제어되기 때문에 변속시 변속레버의 변위 검출은 변속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게 된다.
특히, 반자동화 수동변속기는 엔진과 변속기 사이의 동력 전달을 조절하는 클러치의 작동이 페달에 의한 조작 구조가 아닌 액츄에이터에 의한 동작 구조이므로, 변속시 변속레버에 대한 변위 검출은 해당 액츄에이터의 동작이 정확한 변속시점에서 개시될 수 있게 유도하여 변속의 품질과 응답성을 향상시키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사안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종래 반자동화 수동변속기를 탑재한 차량에서는 변속시 변속레버의 변위를 보다 빠른 시간 내에 정확하게 검출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고, 무엇보다도 각종 유격이나 외부 진동에 따라 발생하는 변속레버의 변위를 운전자에 의한 변속의지로 오판할 경우에는 정확한 변속이 구현될 수 없는 문제를 야기하게 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반자동화 수동변속기에 적용되어 변속레버의 유격을 줄이고 변속레버에 대한 변위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하여 정확한 변속시점을 판단함으로써 원활한 변속이 구현될 수 있도록 하는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변속레버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변속케이블과 연결되는 레버 고정부, 상기 레버 고정부와 연동하고 경사면을 갖춘 이동 구조물, 상기 경사면과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구형체를 갖추고서 상기 이동 구조물의 외측에 고정되는 홀더 구조물, 및 상기 홀더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구조물의 변위를 계측하는 변위 검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레버 고정부는 상기 변속레버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부, 및 상기 변속케이블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이동 구조물은 상기 레버 고정부의 수용홈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몸체부, 및 상기 변속케이블을 수용하고 상기 변위 검출부를 장착하는 제2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각을 달리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제2몸체부는 자유단부에 상기 홀더 구조물의 단차부와의 걸림작용을 매개로 상기 홀더 구조물에 대한 상기 이동 구조물의 이탈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홀더 구조물은 상기 변속케이블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 지점부, 상기 고정 지점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동 구조물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연장 몸체부, 및 상기 연장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을 향해 상기 구형체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리턴 스프링을 내장하는 수용 몸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홀더 구조물은 상기 구형체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예압 조절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예압 조절부는 상기 수용 몸체부의 관통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리턴 스프링에 대한 예압축력을 조절하는 조정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홀더 구조물의 연장 몸체부에 설치되는 유도형 위치센서, 및 상기 이동 구조물의 제2몸체부의 외측에서 상기 유도형 위치센서와 대향하는 위치로 설치되는 금속성 유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는 반자동화 수동변속기에 적용되는 것으로, 변속레버의 하단부에서 변속케이블과 연결되는 부위에 홀더 구조물의 설치를 통해 변속레버에 대한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변속레버와 연동하는 이동 구조물과 홀더 구조물 사이에 변위 검출부를 설치하여 변속레버의 변위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하고 정확한 변속시점을 판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정확한 변속시점에서 변속 액츄에이터에 대한 작동 제어를 통해 원활한 변속이 구현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에 대한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를 1차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를 완전하게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를 1차적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를 완전하게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하면, 변속레버(미도시)의 하단부와 결합되는 레버 고정부(10), 변속시 상기 레버 고정부(10)와 연동하는 이동 구조물(20), 상기 이동 구조물(20)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구형체(40)를 갖춘 홀더 구조물(30), 및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변위를 계측하여 변속제어유니트(TCU)에 출력하는 변위 검출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레버 고정부(10)는 변속레버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변속케이블(1)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상기 레버 고정부(10)는 상기 변속레버의 하단부를 내부에 긴밀하게 수용하여 결합하는 수용홈부(11), 및 상기 수용홈부(11)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변속케이블(1)의 일단부를 고정하여 결합하는 결합부(12)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수용홈부(11)는 상기 변속레버의 하단부를 내부에 긴밀한 접촉상태로 수용함으로써 변속시 호형상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변속레버의 하단부에 대한 변위를 일정한 높이에서 직선방향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결합부(12)는 상기 변속케이블(1)과의 결합을 통해 변속시 상기 변속레버에 의한 변위를 상기 변속케이블(1)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변속레버는 하단부에 상기 수용홈부(11)와의 상대변위가 가능한 선접촉의 결합을 위해 구형의 머리부를 갖추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이동 구조물(20)은 상기 레버 고정부(10)를 외부에서 고정하도록 좌우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레버 고정부(10)의 수용홈부(11)를 내부에 수용하여 결합하는 제1몸체부(21), 및 상기 제1몸체부(21)로부터 일체로 연장되면서 상기 변속케이블(1)을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변위 검출부(50)를 장착하는 제2몸체부(22)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제2몸체부(22)는 외주면에 경사면(23)을 형성하는 바, 상기 경사면(23)은 경사각을 서로 달리하는 다중 굴절구조로서 상기 제2몸체부(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경사면(23)은 상기 제2몸체부(22)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높이를 연속적으로 변화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져 변속시 상기 구형체(40)와의 긴밀한 접촉을 통해 절도감을 부여함과 동시에 변속 완료시 상기 구형체(40)와의 탄력적인 접촉을 통해 상기 변속레버에 대한 변위를 적극적으로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제2몸체부(22)는 자유단부에 상기 홀더 구조물(30)과의 걸림작용을 통해 상기 홀더 구조물(30)에 대한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이탈을 제한하는 걸림턱(24)을 형성한다. 즉, 상기 걸림턱(24)은 상기 이동 구조물(20)과 상기 홀더 구조물(30) 사이의 조립완료시 상기 홀더 구조물(30)로부터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원치않는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이동 구조물(20)은 상기 레버 고정부(10)와 일체형 구조로 인서트 사출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이동 구조물(20)은 내부에 상기 레버 고정부(10)를 삽입한 상태의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수용홈부(11)와 상기 제1몸체부(21)가 단일의 구조로 이루어지고, 상기 변속케이블(1)은 상기 수용홈부(11)와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제2몸체부(22)의 내부에 삽입되어 고정된 구조를 이루게 된다.
상기 홀더 구조물(30)은 상기 이동 구조물(20)을 외부에서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좌우로 분할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변속케이블(1)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 지점부(31), 상기 고정 지점부(31)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동 구조물(20)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트임 구조로 이루어지는 연장 몸체부(32), 및 상기 연장 몸체부(32)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23)을 향해 상기 구형체(40)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리턴 스프링(41)을 내장하는 수용 몸체부(33)를 구비한다.
이 경우, 상기 고정 지점부(31)는 차체에 고정되어 상기 홀더 구조물(30)에 대한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연장 몸체부(32)는 상기 고정 지점부(31)와 상기 수용 몸체부(33) 사이를 상기 변속케이블(1)의 배치방향을 따라 길게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를 위해, 상기 고정 지점부(31)는 상기 변속케이블(1)을 수용하는 후술되는 케이블 커버(60)를 내부에 수용하는 호형상의 내주면을 구비하고, 상기 내주면의 외측에서 나사 결합을 위한 체결면을 갖추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면은 상기 연장 몸체부(32)에도 동일한 형태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연장 몸체부(32)는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제2몸체부(22)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고정 지점부(31)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되는 트임 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수용 몸체부(33)는 상기 구형체(40)와 상기 리턴 스프링(41)을 내장하기 위한 관통홀(34)을 구비하는 바, 상기 관통홀(34)은 상기 수용 몸체부(33)의 내부에서 상기 구형체(40)를 상기 경사면(23)을 향해 이동 가능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관통홀(34)은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변위방향에 대해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수용 몸체부(33)는 상기 걸림턱(24)과의 걸림작용을 통해 상기 홀더 구조물(30)에 대한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이탈을 제한하기 위한 단차부(33a)를 구비한다. 즉, 상기 단차부(33a)는 상기 연장 몸체부(32)와 상기 수용 몸체부(33) 사이에서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제2몸체부(22)에 형성된 상기 걸림턱(24)과의 접촉을 통해 상기 홀더 구조물(30)에 대한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이탈을 제한하는 역할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홀더 구조물(30)은 상기 경사면(23)과 접촉하는 상기 구형체(40)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예압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바, 상기 예압 조절부는 상기 수용 몸체부(33)의 관통홀(34)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리턴 스프링(41)에 대한 예압축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조정나사(35)로 이루어진다.
즉, 예압 조절부는 상기 관통홀(34)에 삽입되는 리턴 스프링(41), 상기 관통홀(34)의 내부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41)을 매개로 배면이 탄발 지지되는 상기 구형체(40), 및 상기 관통홀(34)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리턴 스프링(41)에 대한 예압축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하는 상기 조정나사(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형체(40)는 상기 관통홀(34)의 내부에 수용된 상태에서 배면이 상기 리턴 스프링(41)을 매개로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제2몸체부(22)에 형성되는 상기 경사면(23)과 탄력적으로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구형체(40)는 상기 관통홀(34)에 대한 상기 조정나사(35)의 체결정도에 따라 변화되는 상기 리턴 스프링(41)의 예압축력을 매개로 상기 경사면(23)에 대한 접촉 하중을 달리하게 된다.
상기 변위 검출부(50)는 변속시 상기 홀더 구조물(30)에 대한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상대변위를 계측하는 센서로 구성되는 것으로, 예컨대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변위를 비접촉 방식으로 계측하는 센서로서, 상기 홀더 구조물(30)의 연장 몸체부(32)에 설치되는 인쇄회로기판(51)에 실장되는 유도형 위치센서(Inductive Position Sensor; 52), 및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제2몸체부(22)의 외측에서 상기 유도형 위치센서(52)와 대향하는 위치로 설치되는 금속성 유도체(Metallic Target; 25)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변속케이블(1)을 내장하여 이동을 안내하는 케이블 커버(60), 및 상기 케이블 커버(60)의 일단부 외측에 장착되어 차체에 고정되는 케이블 홀더(7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케이블 커버(60)는 상기 케이블 홀더(70)에 대해 피봇 결합되어 있어, 상기 케이블 커버(60)의 자유단부는 상기 케이블 홀더(70)에 대해 상하 및 좌우방향으로 선회 가능함으로써 변속시 호형상의 궤적을 따라 이동하는 변속레버의 하단부측 변위로부터 기인하는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호형상 변위를 직선방향으로 원활하게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커버(60)는 상기 홀더 구조물(30)과 일체형 구조로 인서트 사출로서 제작될 수도 있다. 즉, 상기 홀더 구조물(30)은 내부에 상기 케이블 커버(60)를 삽입한 상태의 인서트 사출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반자동화 수동변속기에 적용되어, 변속레버의 하단부에서 변속케이블(1)과 연결되는 부위에 구형체(40)를 장착한 홀더 구조물(30)의 설치를 통해 변속시 변속레버에 대한 유격을 최소화할 수 있고, 변속레버와 연동하는 이동 구조물(20)과 홀더 구조물(30) 사이에 변위 검출부(50)를 설치함으로써 변속레버의 변위를 보다 정밀하게 검출하여 정확한 변속시점을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정확한 변속시점의 판단은 변속 액츄에이터에 대한 작동 제어를 통해 원활한 변속 작용의 구현으로 귀결될 수 있을 것이다.
즉, 상기 레버 고정부(10)의 수용홈부(11)는 변속레버의 하단부와의 결합을 통해 변속시 발생하는 이동력을 상기 결합부(12)로 제공하고, 상기 결합부(12)는 변속케이블(1)과의 결합을 통해 변속레버로부터 제공되는 이동력을 변속케이블(1)로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제1몸체부(21)와 제2몸체부(22)는 상기 레버 고정부(10)의 수용홈부(11)와 결합부(12)를 각각 내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홀더 구조물(30)의 내부에서 직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이때, 상기 이동 구조물(20)과 상기 홀더 구조물(30) 사이에 구비되는 변위 검출부(50)는 변속시 상기 홀더 구조물(30)에 대한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이동거리를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홀더 구조물(30)의 수용 몸체부(33)에 구비되는 구형체(40)는 리턴 스프링(41)에 의한 탄발력을 매개로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제2몸체부(22)에 형성된 경사면(23)과의 접촉을 통해 변속 완료시 상기 홀더 구조물(30)에 대한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위치를 규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정나사(35)에 대한 체결정도에 따른 상기 리턴 스프링(41)의 예압축력의 조절이나 상기 경사면(23)에 대한 경사각도의 조절을 통해 상기 홀더 구조물(30)에 대한 상기 이동 구조물(20)의 위치 규제를 보다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변속케이블
10-레버 고정부 11-수용홈부
12-결합부 20-이동 구조물
21-제1몸체부 22-제2몸체부
23-경사면 24-걸림턱
25-금속성 유도체 30-홀더 구조물
31-고정 지점부 32-연장 몸체부
33-수용 몸체부 34-관통홀
35-조정나사 40-구형체
41-리턴 스프링 50-변위 검출부
51-인쇄회로기판 52-유도형 위치센서
60-케이블 커버 70-케이블 홀더
10-레버 고정부 11-수용홈부
12-결합부 20-이동 구조물
21-제1몸체부 22-제2몸체부
23-경사면 24-걸림턱
25-금속성 유도체 30-홀더 구조물
31-고정 지점부 32-연장 몸체부
33-수용 몸체부 34-관통홀
35-조정나사 40-구형체
41-리턴 스프링 50-변위 검출부
51-인쇄회로기판 52-유도형 위치센서
60-케이블 커버 70-케이블 홀더
Claims (8)
- 변속레버의 하단부와 결합되고 변속케이블과 연결되는 레버 고정부;
상기 레버 고정부와 연동하고 경사면을 갖춘 이동 구조물;
상기 경사면과 탄력적으로 접촉하는 구형체를 갖추고서 상기 이동 구조물의 외측에 고정되는 홀더 구조물; 및
상기 홀더 구조물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구조물의 변위를 계측하는 변위 검출부를 구비하는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버 고정부는 상기 변속레버의 하단부를 수용하는 수용홈부, 및 상기 변속케이블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이동 구조물은
상기 레버 고정부의 수용홈부를 내부에 수용하는 제1몸체부; 및
상기 변속케이블을 수용하고 상기 변위 검출부를 장착하는 제2몸체부를 구비하고,
상기 경사면은 상기 제2몸체부의 외주면에서 길이방향을 따라 경사각을 달리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몸체부는 자유단부에 상기 홀더 구조물의 단차부와의 걸림작용을 매개로 상기 홀더 구조물에 대한 상기 이동 구조물의 이탈을 제한하는 걸림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홀더 구조물은
상기 변속케이블을 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고 차체에 고정되는 고정 지점부;
상기 고정 지점부로부터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이동 구조물을 이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연장 몸체부; 및
상기 연장 몸체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을 향해 상기 구형체를 탄력적으로 가압하도록 리턴 스프링을 내장하는 수용 몸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홀더 구조물은 상기 구형체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예압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예압 조절부는 상기 수용 몸체부의 관통홀에 나사 결합되어 상기 리턴 스프링에 대한 예압축력을 조절하는 조정나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변위 검출부는
상기 홀더 구조물의 연장 몸체부에 설치되는 유도형 위치센서; 및
상기 이동 구조물의 제2몸체부의 외측에서 상기 유도형 위치센서와 대향하는 위치로 설치되는 금속성 유도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5439A KR102010707B1 (ko) | 2018-09-28 | 2018-09-28 |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15439A KR102010707B1 (ko) | 2018-09-28 | 2018-09-28 |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0707B1 true KR102010707B1 (ko) | 2019-08-13 |
Family
ID=67624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15439A KR102010707B1 (ko) | 2018-09-28 | 2018-09-28 |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0707B1 (ko)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5678B1 (ko) | 2002-01-18 | 2005-04-27 | (주)원이기공 | 오존발생장치의 원격관리방법 |
JP2010008393A (ja) * | 2008-05-29 | 2010-01-14 | Toyota Motor Corp | シフトフィーリング評価装置 |
KR20120129660A (ko) * | 2011-05-20 | 2012-11-28 | 주식회사 인팩 | 변속기 케이블의 연결 장치 |
KR20160056036A (ko) * | 2014-11-11 | 2016-05-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
JP2017026017A (ja) * | 2015-07-21 | 2017-02-0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の手動解除機構 |
-
2018
- 2018-09-28 KR KR1020180115439A patent/KR10201070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85678B1 (ko) | 2002-01-18 | 2005-04-27 | (주)원이기공 | 오존발생장치의 원격관리방법 |
JP2010008393A (ja) * | 2008-05-29 | 2010-01-14 | Toyota Motor Corp | シフトフィーリング評価装置 |
KR20120129660A (ko) * | 2011-05-20 | 2012-11-28 | 주식회사 인팩 | 변속기 케이블의 연결 장치 |
KR20160056036A (ko) * | 2014-11-11 | 2016-05-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변속케이블 조정장치 |
JP2017026017A (ja) * | 2015-07-21 | 2017-02-02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用パーキングロック装置の手動解除機構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042560B2 (ja) | シフトバイワイヤギアシフト装置 | |
US6530293B1 (en) | Shift mechanism for motor vehicle transmissions | |
US8519282B2 (en) | Joystick device | |
US6834564B2 (en) | Accelerator pedal module | |
EP2636926A1 (en) | Gearshift device for an automotive transmission | |
EP3044480A1 (en) | Shift lever assembly with electronic detection of modes of transmission | |
US20170146115A1 (en) | Control element, in particular for a motor vehicle | |
JP2019528533A (ja) | 可変力電子式車両クラッチペダル | |
KR102010707B1 (ko) | 변속레버의 변위 측정 및 변속감 조절장치 | |
EP3498582A1 (en) | Throttle grip device | |
KR101896312B1 (ko) | 클러치 엑추에이터 유닛 | |
US11079009B2 (en) | Shift signal transmitter for a manual transmission of a vehicle and shift apparatus for a manual transmission | |
CN111720532B (zh) | 用于车辆的换挡杆装置 | |
US20180269016A1 (en) | Vehicle switch | |
WO2018007947A1 (en) | Gear shift control device with a control lever supported by means of a universal joint and with a position detection system for detecting the position of the control lever | |
US20160097446A1 (en) | Worm backlash adjustment device | |
EP1280034B1 (en) | Device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pedal | |
US20070039405A1 (en) | Reacting force controller for accelerator pedal | |
KR101512411B1 (ko) | 차량용 브레이크 로봇 장치 | |
KR102579361B1 (ko) | 차량용 변속레버의 위치결정장치 | |
KR101453400B1 (ko) | 자동차용 스티어링 기어의 유격 보상 장치 | |
KR20100062636A (ko) | 추진축 센터베어링 높이 조절장치 | |
US6058796A (en) | Footed operated motor control | |
KR102614168B1 (ko) | 케이블의 위치 검출 장치 및 시프트케이블의 위치 검출 장치가 구비된 전자식 수동변속기 | |
CN111927945A (zh) | 线缆的位置检测设备以及用于电子手动变速器的换挡线缆的位置检测设备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