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877B1 - 케이블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877B1
KR101643877B1 KR1020140180399A KR20140180399A KR101643877B1 KR 101643877 B1 KR101643877 B1 KR 101643877B1 KR 1020140180399 A KR1020140180399 A KR 1020140180399A KR 20140180399 A KR20140180399 A KR 20140180399A KR 101643877 B1 KR101643877 B1 KR 1016438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ing
cap
fixed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0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2709A (ko
Inventor
김규정
배기원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80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877B1/ko
Priority to JP2015226410A priority patent/JP6172541B2/ja
Priority to CN201510813216.4A priority patent/CN105703286B/zh
Priority to DE102015120158.5A priority patent/DE102015120158A1/de
Priority to US14/958,844 priority patent/US9586540B2/en
Publication of KR201600827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7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exible Shaft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브라켓과 체결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 돌기부를 포함하는 고정 캡; 브라켓 고정홈이 형성된 제1 몸체부와 상기 고정 캡에 삽입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고정 소켓; 및 상기 제2 몸체부와 상기 고정 캡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장착홈에 상기 브라켓 고정홈이 삽입되면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서 상기 고정 캡이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체결 돌기부가 상기 장착홈의 양 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홈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 돌기부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는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 장치{CABLE ANCHORING DEVICE}
본 발명은 차량의 브라켓과 결합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고정 장치는 차량 등의 내부에 각종 제어 케이블들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기계장치에는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다수 장착된다. 이때, 자동차 등의 기계장치에는 장착된 케이블이 꺾이거나 마찰로 인한 마모의 발생을 막기 위해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가 사용된다. 여기서, 케이블은 케이블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차체에 고정된 브라켓과 결합된다. 특히, U자형 브라켓에 체결되기 위한 케이블 고정 장치는 고정 돌기부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케이블 고정 장치는 회전성 및 비회전성인지에 따라 형상의 크기 또는 부품의 수가 결정되었다. 케이블 고정 장치가 회전성을 가지는 경우 회전을 위한 별도의 부품이 추가되기 때문에 부품의 수가 증가하여 형상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케이블 고정 장치는 부품 및 작동 원리에 따라 형상이 결정되었다. 케이블 고정 장치가 고정 돌기부 형상을 가지는 경우 브라켓에 체결할 시 케이블 고정 장치가 고정 돌기부 형상에 의해 외부로 돌출되어 간섭 충돌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별도의 구성 요소를 추가할 필요 없이 간섭 충돌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되지 않는 케이블 고정 장치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아 부품 수가 적은 소형의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 장치와 브라켓이 체결할 시 조립 방향성에 제약 없는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최소한의 돌기 형상을 가지며 간섭 충돌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적은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브라켓 및 브라켓과 체결되는 부재가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도 브라켓과 체결이 용이한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장치는 브라켓과 체결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 돌기부를 포함하는 고정 캡; 브라켓 고정홈이 형성된 제1 몸체부와 상기 고정 캡에 삽입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고정 소켓; 및 상기 제2 몸체부와 상기 고정 캡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장착홈에 상기 브라켓 고정홈이 삽입되면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서 상기 고정 캡이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체결 돌기부가 상기 장착홈의 양 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홈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 돌기부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는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케이블 고정 장치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않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 장치에서 체결 돌기부를 가진 고정 캡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블 고정 장치와 브라켓이 체결할 시 조립 방향성에 제약이 없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정 캡이 체결 돌기부를 포함하여 최소한의 돌기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간섭 충돌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적은 이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은 브라켓과 체결되는 체결 돌기부가 적어도 하나 의 경사면을 포함하기 때문에 케이블 고정 장치의 체결 돌기부와 브라켓의 체결홈이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도 케이블 고정 장치와 브라켓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소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와 브라켓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a, 도 16b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소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와 브라켓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고정 캡(200), 고정 소켓(300), 가압부재(400)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케이블 소켓(100), 보호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고정 캡(200)은 도넛 모양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고정 소켓(300)의 일부가 삽입된다. 이때, 고정 캡(200)과 고정 소켓(300) 사이에는 가압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캡(200)은 후술하게 될 브라켓(600)과 결합하기 위한 몸체부(210) 및 고정부(220)를 포함한다.
몸체부(210)는 체결홀(211)을 포함한다. 체결홀(211)은 고정 소켓(300)의 제2 몸체부(320)가 삽입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홀(211)은 제2 몸체부(320)의 체결 돌기(321)가 통과할 수 있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210)는 고정 소켓(300)의 제2 몸체부(32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220)는 체결 돌기부(221)를 포함하고, 체결 돌기부(221)는 브라켓(600)의 체결홈(610)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고정 캡(200)의 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 돌기부(221)는 후술하게 될 브라켓(600)의 체결홈(610)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220)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홈 또는 돌기(224)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 캡(200)에 외력을 가하여 고정 캡(200)을 후술하게될 고정용 파이프(120)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는 고정 캡(200)과 고정 소켓(300) 사이에 배치된 가압부재(400)의 탄성력을 극복하여야 하는데, 외력이 가해지는 고정부(220)의 외주면이 고정 캡(200)을 이동시키고자 하는 방향과 평행하므로, 고정부(220)의 외주면에 홈 또는 돌기(224)를 형성함으로써, 손가락 등의 외력을 가하는 물체와 고정부(220)의 외주면 사이의 마찰력을 증가시켜 가압부재(400)의 탄성력을 용이하게 극복하여 고정 캡(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600)과 체결하기 위해 고정부(220)의 외주면의 일부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224)에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이 가해진 방향에 따라 고정 캡(200)이 이동하고,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가압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캡(200)이 복귀하여 브라켓(600)과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부(220)의 외주면의 형상은 홈 또는 돌기(224) 외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체결 돌기부의 확대도이다.
체결 돌기부(221)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 돌기부(221)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면에 제1 경사면(222)이 형성되고, 하면에 제2 경사면(223)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 소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고정 소켓(300)은 원통형의 관형으로 형성되고, 고정 소켓(300) 내에 케이블 소켓(100)이 삽통하게 된다.
고정 소켓(300)은 제1 몸체부(310), 제2 몸체부(320)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310)는 고정부(311)를 포함한다. 고정부(311)에는, 브라켓(60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브라켓 고정홈(314)이 형성된다. 고정부(311)는 브라켓 고정홈(314)에 의해 구분되는 제1 고정부(312) 및 제2 고정부(313)를 포함한다.
제2 몸체부(320)는 체결 돌기(321)를 포함한다. 체결 돌기(321)는 제2 몸체부(320) 상에 형성된다. 체결 돌기(321)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후술하게 될 보호부재(500)와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돌기(321)와 보호부재(500)가 결합되면, 결합된 보호부재(500)가 고정 소켓(300)과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가압부재(400)는 단면이 원형이나 각형의 선재를 코일 상태로 감아 만든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400)는 스프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 돌기부(221)가 브라켓(600)의 고정 홈(6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가압할 수 있는 모든 부재를 포함한다. 가압부재(400)가 스프링일 경우, 고정 소켓(300)의 제2 몸체부(32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케이블 소켓(100)은 가이드 파이프(guide pipe, 110), 고정용 파이프(120) 및 댐퍼(Damper, 1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파이프(110)는 원통형의 관형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파이프(110) 내에 제어 케이블(control cable, 미도시)의 코어(core, 미도시)가 삽통된다. 가이드 파이프(110)의 직경은 고정 소켓(300)의 내부 직경보다 작고, 고정 소켓(300)에 삽입된다.
고정용 파이프(120)는 원통형의 관형으로 형성되고, 고정용 파이프(120) 내에 제어 케이블의 아우터(outer)가 삽통된다. 고정용 파이프(120)의 직경은 고정 소켓(300)의 내부 직경보다 작고, 고정 소켓(300)에 삽입된다.
댐퍼(130)는 가이드 파이프(110) 및 고정용 파이프(120)를 연결한다. 댐퍼(130)의 직경은 고정 소켓(300)의 내부 직경보다 작고, 고정 소켓(300)에 삽입된다. 가이드 파이프(110) 및 고정용 파이프(120)는 댐퍼(130)의 내측에서 서로 이격되어 마주보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보호부재의 단면도이다.
보호부재(500)는 개방홈(510) 및 체결공(520)을 포함한다.
보호부재(500)는 개방홈(510)이 형성되어 케이블 소켓(100)이 관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호부재(500)는 고정 소켓(300)의 제2 몸체부(32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체결공(520)은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체결공(520)은 고정 소켓(300)의 체결 돌기(321)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형성되고, 체결 돌기(321)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체결공(520)은 고정 소켓(300)으로부터 보호부재(500)의 이탈을 방지한다. 구체적으로, 고정 소켓(300)의 체결 돌기(321)와 체결공(520)이 체결되면, 보호부재(5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기 때문에 고정 소켓(300)으로부터 보호부재(5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호부재(500)는 먼지와 오염물질 등에 대해서 고정 소켓(30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400)가 스프링일 경우, 가압부재(400)는 고정 캡(200)과 고정 소켓(300) 또는 보호부재(500)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400)의 일단부는 고정 캡(200)의 내측 일면에 지지되고, 가압부재(400)의 타단부는 고정 소켓(300)의 제2 몸체부(320)의 일면 또는 보호부재(500)의 일면에 지지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의 정면도이다.
도 6에 따르면 브라켓(600)은 체결홈(610)을 포함하고, 브라켓(600)에는 장착홈(620)이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610)은 양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양측에 형성된 체결홈(610)은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11)가 체결될 수 있도록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620)에는 고정 소켓(300)의 브래켓 고정홈(314)이 삽입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와 브라켓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7은 케이블 고정 장치와 브라켓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케이블 고정 장치의 고정 캡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케이블 고정 장치가 브라켓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케이블 고정 장치의 고정 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10은 케이블 고정 장치의 고정 캡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브라켓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11은 케이블 고정 장치의 고정 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뿐만 아니라, 도 12는 케이블 고정 장치의 고정 캡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브라켓에 삽입되는 상태를 일측에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13은 케이블 고정 장치의 고정 캡이 결합된 상태를 일측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200)에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 케이블 고정 장치(10)가 브라켓(600)의 상부에 위치시키되, 고정 소켓(300)의 브라켓 고정홈(314)과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21)를 위치시킨다.
이 때, 고정 캡(200)은 고정 소켓(300)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고정 캡(200)을 회전시켜, 브라켓(600)의 두 체결홈(610) 상부에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21)를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다.
도 8, 도 10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캡(200) 에 고정용 파이프(120)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고정 캡(200)이 고정용 파이프(120) 방향으로 이동하고, 고정 소켓(300)의 브라켓 고정홈(314)과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가 위치하지 않게 되어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에 용이하게 삽입되고,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에 고정 소켓(300)의 브라켓 고정홈(314)이 삽입된다.
이때, 가압부재(400)가 스프링일 때는, 가압부재(400)는 압축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압부재(400)에 탄성력이 생긴다.
도 9, 도 11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캡(20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고정 캡(200)이 가압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소켓(300)의 고정부(311) 방향으로 복귀하게 된다.
반면, 가압부재(400)가 스프링이 아닐 경우, 별도의 외력을 가하여 고정 캡(200)을 고정 소켓(300)의 고정부(311) 방향으로 복귀시킨다. 이로 인해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21)가 브라켓(600)의 체결홈(610)에 삽입된다.
이 때,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21)의 위치가 브라켓(600)의 체결홈(610)의 위치와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도 체결 돌기부(221)에 형성된 제1 경사면(222) 또는 제2 경사면(223)이 브라켓(600)의 체결홈(610)과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되어 체결 돌기부(221)가 체결홈(610)에 삽입된다.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21)가 브라켓(600)의 체결홈(610)에 삽입되면,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상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은 고정 소켓(300)의 제1 고정부(312) 및 제2 고정부(313)에 의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상방,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이 모두 제한되기 때문에,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이 완전히 결합된다.
다른 방법으로 케이블 고정 장치(10)가 브라켓(600)의 상부에 위치하되,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소켓(300)의 브라켓 고정홈(314)과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이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케이블 고정 장치(10)가 수직 방향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 브라켓(600)의 체결홈(610) 상부의 브라켓(600)의 일부분 과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21)에 형성된 제1 경사면(222) 또는 제2 경사면(223)이 접촉하면서 고정 캡(200)이 고정용 파이프(1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에 고정 소켓(300)의 브라켓 고정홈(314)이 삽입되도록 완전히 케이블 고정 장치(10)를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에 삽입시키면, 가압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캡(200)이 고정 소켓(300)의 고정부(311) 방향으로 복귀하고,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21)가 브라켓(600)의 체결홈(610)에 삽입되어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이 완전히 결합된다.
케이블 고정 장치(10)를 브라켓(60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200)에 고정용 파이프(120)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고정 캡(200)이 고정용 파이프(1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케이블 고정 장치(10)를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시킨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케이블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고정 캡(200), 고정 소켓(300), 가압부재(400)를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케이블 소켓(100), 보호부재(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a, 도 16b 및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6a 은 고정 캡의 사시도이고, 도 16b는 체결 돌기부의 확대도이며, 도 17은 고정 캡의 단면도이다.
도 16a, 도 16b 및 도 17을 참조하면 고정 캡(200)은 도넛 모양의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고정 소켓(300)의 일부가 삽입된다. 이때, 고정 캡(200)과 고정 소켓(300) 사이에는 가압부재(400)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캡(200)은 브라켓(600)과 결합하기 위한 몸체부(210) 및 고정부(220)를 포함한다.
몸체부(210)는 체결홀(211)을 포함한다. 체결홀(211)은 고정 소켓(300)의 제2 몸체부(320)가 삽입되는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부(210)는 고정 소켓(300)의 제2 몸체부(32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고정부(220)는 체결 돌기부(221)를 포함하고, 브라켓(600)의 체결홈(610)에 대응하는 모양으로 고정 캡(200)의 후방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체결 돌기부(221)는 브라켓(600)의 체결홈(610)에 삽입될 수 있다.
고정부(220)의 외주면의 일부에는 일정 간격으로 홈 또는 돌기(22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600)과 체결하기 위해 고정부(220)의 외주면의 일부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224)에 외력이 가해지면 외력이 가해진 방향에 따라 고정 캡(200)이 이동하고, 가해진 외력을 제거하면 가압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캡(200)이 복귀하여 브라켓(600)과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실시 형태에 따른 고정부(220)의 외주면의 형상은 홈 또는 돌기(224) 외의 마찰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다른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체결 돌기부(221)는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 돌기부(221)는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경사면(225)이 형성될 수 있다.
도 18 및 도 1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정 소켓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8은 고정 소켓의 사시도이고, 도 19는 고정 소켓의 단면도이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고정 소켓(300)은 원통형의 관형으로 형성되고, 고정 소켓(300) 내에 케이블 소켓(100)이 삽통하게 된다.
고정 소켓(300)은 제1 몸체부(310), 제2 몸체부(320)를 포함한다.
제1 몸체부(310)는 고정부(311)와 체결 돌기(321)를 포함한다.
고정부(311)에 브라켓(600)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브라켓 고정홈(314)이 형성된다. 고정부(311)는 브라켓 고정홈(314)에 의해 구분되는 제1 고정부(312) 및 제2 고정부(313)를 포함한다.
체결 돌기(321)는 제1 몸체부(310) 상에 형성된다. 체결 돌기(321)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체결 돌기(321)와 보호부재(500)가 결합되면, 결합된 보호부재(500)가 고정 소켓(300)과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제2 몸체부(32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고정 캡(200)의 체결홀(211)에 삽입될 수 있다.
가압부재(400)는 단면이 원형이나 각형의 선재를 코일 상태로 감아 만든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400)는 스프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 돌기부(221)가 브라켓(600)의 체결홈(610)에 체결될 수 있도록 가압할 수 있는 모든 부재를 포함한다. 가압부재(400)가 스프링일 경우, 고정 소켓(300)의 제2 몸체부(32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400)가 스프링일 경우, 가압부재(400)는 고정 캡(200)과 고정 소켓(300)에 의해 지지된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400)의 일단부는 고정 캡(200)의 내측 일면에 지지되고, 가압부재(400)의 타단부는 고정 소켓(300)의 제1 몸체부(310)의 일면 또는 제2 몸체부(320)의 일면에 지지된다.
케이블 소켓(100), 보호부재(500) 및 브라켓(600)의 설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의 케이블 소켓(100), 보호부재(500) 및 브라켓(600)과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도 20 내지 도 2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와 브라켓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0은 케이블 고정 장치의 고정 캡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케이블 고정 장치가 브라켓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1은 케이블 고정 장치의 고정 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2는 케이블 고정 장치의 고정 캡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브라켓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3은 케이블 고정 장치의 고정 캡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뿐만 아니라, 도 24는 케이블 고정 장치의 고정 캡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브라켓에 삽입되는 상태를 일측에서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5는 케이블 고정 장치의 고정 캡이 결합된 상태를 일측에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0, 도 22 및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 장치(10)를 브라켓(600)의 상부에 위치시키되, 고정 소켓(300)의 브라켓 고정홈(314)과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21)를 위치시키고, 고정 캡(200)을 회전시켜, 브라켓(600)의 두 체결홈(610) 상부에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21)를 위치시킨 다음, 고정 캡(200)에 고정용 파이프(120)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고정 캡(200)이 고정용 파이프(1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로 인해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도 21, 도 23 및 도 2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캡(200)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고정 캡(200)이 가압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소켓(300)의 제2 몸체부(320) 반대 방향으로 복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21)가 브라켓(600)의 체결홈(610)에 삽입되면서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이 완전히 결합된다.
이 때,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21)의 위치가 브라켓(600)의 체결홈(610)의 위치와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도 체결 돌기부(221)에 형성된 경사면(225)이 브라켓(600)의 체결홈(610)과 접촉하면서 슬라이딩되어 체결 돌기부(221)가 체결홈(610)에 삽입된다.
다른 방법으로 케이블 고정 장치(10)가 브라켓(600)의 상부에 위치시키되,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소켓(300)의 브라켓 고정홈(314)과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이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길이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위치시키고, 고정 캡(200)을 회전시켜, 브라켓(600)의 두 체결홈(610) 상부에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21)를 위치시킨 다음, 케이블 고정부(10)가 수직 방향으로 상방에서 하방으로 이동하면 브라켓(600)의 체결홈(610) 상부의 브라켓(600)의 일부분과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21)에 형성된 경사면(225)이 접촉하면서 고정 캡(200)이 고정용 파이프(1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에 고정 소켓(300)의 브라켓 고정홈(314)이 삽입되도록 완전히 케이블 고정 장치(10)를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에 삽입시키면, 가압부재(400)의 탄성력에 의해 고정 캡(200)이 고정 소켓(300)의 제2 몸체부(320) 반대 방향으로 복귀하고, 고정 캡(200)의 체결 돌기부(221)가 브라켓(600)의 체결홈(610)에 삽입되어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이 완전히 결합된다.
케이블 고정 장치(10)를 브라켓(60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200)에 고정용 파이프(120)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고정 캡(200)이 고정용 파이프(120)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후 케이블 고정 장치(10)를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케이블 고정 장치에서 체결 돌기부를 가진 고정 캡이 회전 가능하기 때문에 케이블 고정 장치와 브라켓이 체결할 시 조립 방향성에 제약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고정 캡이 체결 돌기부를 포함하여 최소한의 돌기 형상을 가지기 때문에 간섭 충돌에 의한 변형 및 파손이 적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브라켓과 체결되는 체결 돌기부가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기 때문에 케이블 고정 장치의 체결 돌기부와 브라켓의 체결홈이 정확하게 정렬되지 않은 경우에도 케이블 고정 장치와 브라켓을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 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케이블 고정 장치 100: 케이블 소켓
200: 고정 캡 300: 고정 소켓
400: 가압부재 500: 보호부재

Claims (4)

  1. 브라켓과 체결하기 위한 한 쌍의 체결 돌기부를 포함하는 고정 캡;
    브라켓 고정홈이 형성된 제1 몸체부와 상기 고정 캡에 삽입되는 제2 몸체부를 포함하는 고정 소켓; 및
    상기 제2 몸체부와 상기 고정 캡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의 장착홈에 상기 브라켓 고정홈이 삽입되면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서 상기 고정 캡이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체결 돌기부가 상기 장착홈의 양 측벽에 형성된 한 쌍의 체결홈에 삽입되고,
    상기 체결 돌기부는 상기 체결홈에 대응하는 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경사면을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소켓을 관통하는 케이블 소켓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소켓의 제1 몸체부 또는 제2 몸체부에 삽입되는 보호부재를 더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4. 삭제
KR1020140180399A 2014-12-15 2014-12-15 케이블 고정 장치 KR1016438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399A KR101643877B1 (ko) 2014-12-15 2014-12-15 케이블 고정 장치
JP2015226410A JP6172541B2 (ja) 2014-12-15 2015-11-19 ケーブル固定装置
CN201510813216.4A CN105703286B (zh) 2014-12-15 2015-11-19 电缆锚定装置
DE102015120158.5A DE102015120158A1 (de) 2014-12-15 2015-11-20 Kabelverankerungsvorrichtung
US14/958,844 US9586540B2 (en) 2014-12-15 2015-12-03 Cable anchor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0399A KR101643877B1 (ko) 2014-12-15 2014-12-15 케이블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709A KR20160082709A (ko) 2016-07-11
KR101643877B1 true KR101643877B1 (ko) 2016-07-29

Family

ID=56081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0399A KR101643877B1 (ko) 2014-12-15 2014-12-15 케이블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586540B2 (ko)
JP (1) JP6172541B2 (ko)
KR (1) KR101643877B1 (ko)
CN (1) CN105703286B (ko)
DE (1) DE10201512015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201A (ko) * 2017-07-12 2019-01-22 경창산업주식회사 케이블 고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36466B2 (en) * 2018-10-04 2022-12-27 Johnson Controls Tyco IP Holdings LLP Systems and methods for gas valve assembly of an HVAC system
CN114784715B (zh) * 2022-05-20 2024-03-08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机电用安装固定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828B1 (ko) * 2010-06-28 2011-11-18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 케이블 이탈 방지용 소켓 클립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7691A (en) * 1978-03-06 1979-12-11 Teleflex Incorporated Motion transmitting remote control assembly
JPH10110718A (ja) * 1996-10-04 1998-04-28 Chuo Spring Co Ltd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端末取付構造
GB2346186B (en) * 1999-01-26 2002-11-27 Adwest Bowden Tsk Ltd Means for anchoring an elongate member
US6364265B1 (en) * 1999-06-07 2002-04-02 Accuride International, Inc. Extendable swivel mounting bracket
JP4500422B2 (ja) * 2000-10-12 2010-07-14 株式会社ハイレックスコーポレーション ケーブル固定用のワンタッチキャップ
US6634252B2 (en) * 2001-06-14 2003-10-21 Teleflex Incorporated Support for motion transmitting cable assembly
JP4015437B2 (ja) * 2002-02-18 2007-11-28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取付装置
GB0223959D0 (en) * 2002-10-15 2002-11-20 Hi Lex Cable System Company Lt Anchoring an elongate member
US8312788B2 (en) * 2007-07-19 2012-11-20 Infac Corporation Slide-and-snap lock assembly
CN201174543Y (zh) * 2008-04-02 2008-12-31 中国北车集团大同电力机车有限责任公司 机车室内外电缆或管路穿墙密封结构
KR101142172B1 (ko) * 2010-01-19 2012-05-07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IT1402431B1 (it) * 2010-09-20 2013-09-04 Sila Holding Industriale Spa Dispositivo di ancoraggio a montaggio rapido per l'ancoraggio di una guaina di un cavo di comando a una staffa di supporto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3828B1 (ko) * 2010-06-28 2011-11-18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 케이블 이탈 방지용 소켓 클립 어셈블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7201A (ko) * 2017-07-12 2019-01-22 경창산업주식회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101976447B1 (ko) * 2017-07-12 2019-05-10 경창산업주식회사 케이블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167600A1 (en) 2016-06-16
CN105703286B (zh) 2018-04-03
US9586540B2 (en) 2017-03-07
JP6172541B2 (ja) 2017-08-02
CN105703286A (zh) 2016-06-22
KR20160082709A (ko) 2016-07-11
JP2016116439A (ja) 2016-06-23
DE102015120158A1 (de) 2016-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877B1 (ko) 케이블 고정 장치
KR101522876B1 (ko) 케이블 고정 장치
JP5372594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公差吸収構造
JP2013258801A (ja) グロメット及びグロメット付ワイヤーハーネス
CN108541176B (zh) 用于固定电子装置的托架和用于固定电子装置的机构
JP6835981B2 (ja) 固定構造
KR102226417B1 (ko)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JP5709813B2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
KR102461375B1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CN109980403A (zh) 电插头连接器
KR101142172B1 (ko)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KR101354602B1 (ko) 파이프 부재용 락킹장치
JP6088345B2 (ja) コネクタ
JP6635588B2 (ja) コネクタ
KR102094394B1 (ko) 벌브홀더
KR101976447B1 (ko) 케이블 고정 장치
JP6722162B2 (ja) 端末支持装置および端末支持装置を用いた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US20190219096A1 (en) Ball joint device
CN106257781B (zh) 用于缆线的紧固装置
KR100543651B1 (ko) 케이블 소켓 조립체
JP7144311B2 (ja) 光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JP6719887B2 (ja) ケーブルコネクタ及びハーネス
JP2016082119A (ja) フィルタケース及びノイズフィルタ
KR200465413Y1 (ko) 방수용 커넥터
JP2011022526A (ja) 光コネクタプラ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