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94394B1 - 벌브홀더 - Google Patents

벌브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94394B1
KR102094394B1 KR1020140021599A KR20140021599A KR102094394B1 KR 102094394 B1 KR102094394 B1 KR 102094394B1 KR 1020140021599 A KR1020140021599 A KR 1020140021599A KR 20140021599 A KR20140021599 A KR 20140021599A KR 102094394 B1 KR102094394 B1 KR 102094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housing
section
terminal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1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00163A (ko
Inventor
최재훈
박성재
오승협
서태열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21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4394B1/ko
Publication of KR20150100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00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4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4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브홀더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벌브홀더는 일체로 된 하우징(10)에 제1터미널(30)과 제2터미널(40)이 설치되고, 하우징(10)의 선단으로 개방되는 삽입공간(12)에 벌브(50)가 삽입된다. 상기 벌브(50)의 제1전극부(56)는 상기 하우징(10)에 형성된 걸이슬롯(20)에 걸어지는데, 상기 걸이슬롯(20)에 상기 제1터미널(30)의 제1벌브접촉부(36)가 위치되어 상기 제1전극부(56)가 상기 걸이슬롯(20)에 걸어짐에 의해 상기 제1전극부(56)가 상기 제1벌브접촉부(36)와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 제1터미널(30)과 제2터미널(40)은 각각 압입걸이부(33,43)를 가져 상기 하우징(10)의 제1 및 제2 삽입슬롯(28,29)에 압입되어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벌브(50)의 장착상태를 육안으로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부품수가 상대적으로 적어 조립작업이 간소하게 되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벌브홀더{Bulb holder}
본 발명은 벌브홀더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장착된 벌브가 광을 내도록 하는 벌브홀더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자동차에서는 주변의 자동차에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서 벌브를 사용한다. 예를 들면 직진하던 자동차가 좌회전 또는 우회전을 할 때에는 특정 벌브를 온오프하여 좌회전 또는 우회전 신호를 제공한다.
벌브홀더에 장착되는 벌브는 벌브홀더의 터미널들에 정확하게 접촉되어야 함과 동시에 벌브홀더에 완벽하게 체결되어야 한다. 만약, 벌브가 벌브홀더에 견고하게 체결되지 않은 상태라면, 자동차의 주행중에 발생하는 진동과 충격에 의해 벌브가 벌브홀더에서 빠져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벌브홀더에 벌브를 장착하는 작업을 하는 경우에 벌브가 켜지는 것은 작업자가 육안으로 확인하게 되는데, 벌브가 벌브홀더에 삽입되어 완벽하게 체결된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는 없다. 특히, 종래의 벌브홀더에서는 벌브가 벌브홀더에 체결되지 않은 상태라도 터미널들과 벌브가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어, 벌브가 벌브홀더에 완벽하게 체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벌브가 켜질 수 있는 것만을 확인하면, 자동차에 벌브홀더가 장착되어 사용될 때, 진동과 충격에 의해 벌브가 벌브홀더에서 빠지면서 벌브가 꺼져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 10-2008-0084086 호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으로, 벌브가 벌브홀더에 삽입되어 체결되어야만 벌브가 켜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벌브홀더를 구성하는 부품을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벌브홀더에 터미널을 고정하는 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구비된 벌브가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벌브홀더에 있어서, 선단으로 개방되게 내부에 상기 벌브의 몸체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부가 걸어지는 걸이슬롯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삽입슬롯에 압입되어 걸어지고 상기 제1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2삽입슬롯에 압입되어 걸어지고 상기 제2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2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터미널에서 상기 제1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걸이슬롯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터미널은 제1몸체의 양측에 제1압입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를 중심으로 양단에 제1벌브접촉부와 제1외부접촉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벌브접촉부는 상기 걸이슬롯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외부접촉부는 하우징의 외면에 위치되며, 상기 제1벌브접촉부는 상기 제1몸체에 제1연장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벌브접촉부는 제1연장편에서 절곡되어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은 상기 삽입공간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안내채널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채널과 연결된 진입구간과 상기 진입구간의 일부와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부가 걸어지는 걸이구간과 상기 진입구간과 걸이구간을 연결하는 연결구간을 포함한다.
상기 걸이슬롯은 적어도 상기 걸이구간이 하우징의 외면으로 개방되어 상기 삽입공간과 외부 사이를 연통시킨다.
삭제
삭제
상기 제2터미널은 제2몸체의 양측에 제2압입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를 중심으로 양단에 제2벌브접촉부와 제2외부접촉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벌브접촉부는 상기 삽입공간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외부접촉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위치된다.
상기 제2벌브접촉부는 상기 제2몸체에 제2연장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벌브의 제2전극에 접촉되는 탄성변형가능한 탄성변형구간과 상기 탄성변형구간과 마주보게 형성된 지지구간으로 형성된다.
상기 탄성변형구간은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둘러서는 시일이 안착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벌브를 벌브홀더에 체결하는 구조를 제1전극부로 사용하고 상기 제1전극부가 체결되는 위치에 제1터미널의 제1벌브접촉부를 두었으므로 벌브가 벌브홀더에 체결되어야만 제1터미널과 제1전극부가 접촉되면서 벌브가 발광하도록 하였다. 따라서, 벌브가 벌브홀더에 정확하게 체결되었다는 것을 작업자가 쉽고 확실하게 알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사출성형된 하우징에 압입걸이부가 걸어져 고정되도록 하였으므로 하우징을 일체로 만들 수 있어 전체적으로 벌브홀더의 부품수를 줄일 수 있어 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에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을 삽입하는 제1삽입슬롯과 제2삽입슬롯을 형성하여 이들 터미널들이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하였으므로 조립작업이 간단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이 견고하게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례의 벌브홀더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벌브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1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례를 구성하는 제2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실시례의 벌브홀더에 벌브가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용상태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벌브의 제1전극부가 걸이슬롯에 안착되어 제1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실시례에서 벌브의 제2전극부가 제2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의 바람직한 실시례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벌브홀더의 외관과 골격을 하우징(10)이 형성한다. 상기 하우징(10)은 절연성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면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서 상기 하우징(10)은 전체가 일체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벌브(50)가 삽입되는 삽입공간(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간(12)은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으로 개방되어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선단 외면을 둘러서는 걸이턱(14)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이턱(14)은 도 8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장착하우징(60)에 벌브홀더가 장착될 때 상기 장착하우징(60)에 설치된 장착브라켓(62)에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장착브라켓(62)에 상기 하우징(10)의 걸이턱(14)이 걸어지는 구체적인 구조는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하우징(10)의 중간부 외면을 둘러서는 플랜지(16)가 소정의 폭만큼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6)는 대략 링형상으로 된다. 상기 플랜지(16)에는 시일(16')이 설치된다. 상기 플랜지(16)는 상기 장착하우징(60)과의 사이에 시일(16')이 밀착되어 방수작용을 하도록 한다. 도면부호 17은 본 발명의 벌브홀더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작업자가 잡는 손잡이이다.
상기 하우징(10)의 삽입공간(12)의 내면에는 안내채널(18)이 삽입공간(12)의 내부에서 입구까지 일직선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안내채널(18)이 서로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내채널(18)은 아래에서 설명될 벌브(50)의 제1전극부(56)가 이동되는 경로가 된다.
상기 안내채널(18)에 연결되어서는 걸이슬롯(28)이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20)은 본 실시례에서는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걸이슬롯(20)은 그 형상이 'J'자 형상으로 된다. 상기 걸이슬롯(20)은 상기 안내채널(18)과 연결된 진입구간(22), 상기 진입구간(22)과 일부 구간에서 나란히 형성되는 걸이구간(26) 상기 진입구간(22)과 걸이구간(26)을 연결하는 연결구간(24)으로 구성된다. 상기 걸이구간(26)에 아래에서 설명될 벌브(50)의 제1전극부(56)가 걸어지면 벌브(50)가 상기 하우징(10)에 걸어져 외부로 임의로 빠지지 않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걸이슬롯(20)이 상기 하우징(1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이는 아래에서 설명될 제1터미널(30)을 하우징(10)에 고정하기 위함이다. 하지만, 상기 걸이슬롯(20)중에서 상기 진입구간(22)과 연결구간(24)은 반드시 하우징(10)을 관통하여야 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상기 걸이슬롯(20)은 상기 하우징(10)에 2군데가 형성되는 것이 좋으나, 하나만이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상기 걸이슬롯(20)의 걸이구간(26)에 인접하여서는 제1삽입슬롯(28)이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슬롯(28)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1터미널(30)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1삽입슬롯(28)은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으로 개방되게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10)에는 또한 제2삽입슬롯(29)이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슬롯(29)은 아래에서 설명될 제2터미널(40)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상기 제2터미널(40)은 상기 하우징(10)의 선단에서부터 후방을 향해 소정거리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제1삽입슬롯(28)에 삽입되는 제1터미널(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제1터미널(30)은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1터미널(30)은 상기 장착브라켓(62)에 있는 제1연결터미널(도시되지 않음)과 벌브(50)의 제1전극부(56) 사이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제1터미널(30)에는 제1몸체(32)가 있다. 상기 제1몸체(32)는 판형상으로 상기 제1삽입슬롯(28)에 삽입된다. 상기 제1몸체(32)의 양단에는 제1압입걸이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압입걸이부(33)는 상기 제1삽입슬롯(28)의 내부 양측 내면에 파고들어 걸어지는 부분이다. 상기 제1몸체(32)에서 연장되어 제1연장편(34)이 있다. 상기 제1연장편(34)은 상기 걸이슬롯(20)의 걸이구간(26)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제1연장편(34)의 선단에는 탄성변형가능한 구조로 제1벌브접촉부(3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벌브접촉부(36)는 벌브(50)의 제1전극부(56)와 접촉하는 부분이다. 상기 제1벌브접촉부(36)는 상기 걸이슬롯(20)의 걸이구간(26) 내에 위치된다. 이는 도 7에 잘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몸체(32)에서 상기 제1벌브접촉부(36)가 있는 반대쪽,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제1연장편(34)이 있는 반대쪽에서 연장되어 제1외부접촉부(38)가 있다. 상기 제1외부접촉부(38)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위치되어 상기 장착브라켓(62)의 제1연결터미널과 접촉된다. 상기 제1외부접촉부(38)에는 제1반구형접점(3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반구형접점(39)은 상기 제1외부접촉부(38)의 일면에 반구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반대면에서는 반구형상으로 오목하게 들어간다. 상기 제1몸체(32)에 대해서 상기 제1외부접촉부(38)와 제1연장편(34)은 소정의 각도로 절곡되어 있다. 이 절곡각도는 하우징(10)의 설계조건에 따라 달리된다.
상기 하우징(10)의 제2삽입슬롯(29)을 통해서는 제2터미널(40)이 상기 하우징(10)에 장착된다. 상기 제2터미널(40)도 도전성 재질로 만들어지는 것이다. 상기 제2터미널(40)에는 제2몸체(42)가 있는데, 상기 제2몸체(42)의 양단에 제2압입걸이부(43)가 있어 상기 하우징(10)의 제2삽입슬롯(29)의 양측 내면에 압입되어 걸어진다.
상기 제2몸체(42)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제2연장편(44)이 있다. 상기 제2연장편(44)은 상기 제2몸체(42)의 일측에서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직선으로 연장된다. 상기 제2연장편(44)의 일단에는 제2벌브접촉부(46)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벌브접촉부(46)는 상기 제2연장편(44)에 연결되고 직선으로 연장되는 지지구간(47)과 상기 지지구간(47)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아치형으로 연장되어 탄성변형가능하게 만들어진 탄성변형구간(47')으로 구성된다. 상기 탄성변형구간(47')은 벌브(50)의 제2전극부(58)가 접촉됨에 의해 탄성변형되는 부분이다. 상기 탄성변형구간(47')은 벌브(50)의 제2전극부(58)에 접촉하면서 상기 벌브(50)가 삽입공간(12)의 외부로 이동되게 하는 힘을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제2벌브접촉부(46)가 탄성복원력에 의해 벌브(50)를 밀어줌에 의해 벌브(50)의 제1전극부(56)가 걸이구간(26)에 걸어져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몸체(42)에서 상기 제2연장편(44)의 반대쪽에 제2외부접촉부(48)가 구비된다. 상기 제2외부접촉부(48)는 상기 제2몸체(42)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나란히 연장된다. 상기 제2몸체(42)와 제2외부접촉부(43) 사이의 간격은 대략 하우징(10)의 대응되는 부분의 두께 정도이다.
참고로, 도 3에 도시된 벌브(5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벌브(50)에는 몸체부(52)와 유리구(54)가 있다. 상기 유리구(54)의 내부에는 예를 들면 필라멘트와 같은 발광부(도시되지 않음)가 있어 광을 발생시킨다. 상기 몸체부(52)에는 제1전극부(56)와 제2전극부(58)가 있어 상기 발광부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전극부(56)가 상기 몸체부(52)의 외면에 돌출되어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10)의 걸이슬롯(20)의 걸이구간(26)에 걸어지도록 된다. 즉, 상기 제1전극부(56)는 걸이구조인 동시에 통전을 위한 구조이다. 상기 몸체부(52)의 일측 끝부분에 제2전극부(58)가 있다. 상기 제2전극부(58)는 상기 제2터미널(40)의 제2벌브접촉부(46)와 전기적으로 접촉을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벌브홀더가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벌브홀더를 구성하는 하우징(10)과 시일(16')은 사출성형하여 만들고, 제1터미널(30)과 제2터미널(40)은 프레스장치를 사용하여 만든다. 이와 같이 만들어진 부품들을 조립하여 벌브홀더가 만들어지는데, 상기 하우징(10)의 제1삽입슬롯(28)에는 상기 제1터미널(30)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상기 제1터미널(30)의 제1몸체(33)를 상기 제1삽입슬롯(28)의 내부로 삽입하면, 상기 제1압입걸이부(33)가 상기 제1삽입슬롯(28)의 양측 내면을 파고들면서 삽입되어 걸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제1벌브접촉부(36)는 상기 걸이슬롯(20)의 걸이구간(26) 내에 위치하고 상기 제1외부접촉부(38)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제1외부접촉부(38)의 제1반구형접점(39)이 상기 하우징(10)의 외면에 돌출되어 위치된다.
그리고, 제2터미널(40)을 상기 하우징(10)의 제2삽입슬롯(29)에 삽입한다. 상기 제2터미널(40) 역시 제2몸체(42)의 제2압입걸이부(43)가 제2삽입슬롯(29)의 양측 내면에 압입되어 걸어져 고정된다. 상기 제2벌브접촉부(46)의 탄성변형구간(47')은 상기 삽입공간(12)의 최 내측 중심위치를 지나도록 된다. 상기 제2외부접촉부(48)는 상기 하우징(10)의 외면 일측에 설치된다.
위와 같이 조립된 벌브홀더에는 벌브(50)가 장착된다. 상기 삽입공간(12)의 내부에 상기 벌브(50)의 몸체부(52)가 삽입되어 위치되고, 상기 하우징(10)의 선단 전방에 상기 유리구(54)가 위치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벌브(50)가 상기 삽입공간(12)에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벌브(50)의 제1전극부(56)는 상기 하우징(10)의 안내채널(18)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제1전극부(56)가 상기 안내채널(18)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걸이슬롯(20)에 들어간다. 상기 제1전극부(56)가 상기 걸이슬롯(20)의 진입구간(22)의 끝부분에 위치한 상태에서는 상기 제2전극부(58)가 상기 제2터미널(40)의 제2벌브접촉부(46)를 눌러 탄성변형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걸이슬롯(20)의 진입구간(22)의 끝에 상기 제1전극부(56)가 위치되면 상기 벌브(50)를 회전시킨다. 상기 벌브(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전극부(56)는 상기 연결구간(24)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걸이구간(26)에 진입한다. 상기 걸이구간(26)에 상기 제1전극부(56)가 진입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벌브(5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제2터미널(40)의 제2벌브접촉부(46)가 복원되면서 상기 벌브(50)를 외부로 밀게 된다. 하지만, 상기 제1전극부(56)가 이미 걸이슬롯(20)의 걸이구간(26)에 있으므로, 상기 제1전극부(56)는 탄성복원력에 의해 밀려 상기 걸이구간(26)에 걸어지게 된다.
상기 제1전극부(56)가 상기 걸이구간(26)에 위치되면 상기 제1터미널(30)의 제1벌브접촉부(36)와 접촉하게 된다. 물론, 제2전극부(56)에는 상기 제2터미널(40)의 제2벌브접촉부(46)가 접촉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6에 도시되어 있고, 상기 벌브홀더를 상기 장착브라켓(60)에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시키면, 상기 제1터미널(30)과 제2터미널(40)에 각각 상기 장착브라켓(60)에 있는 제1연결터미널과 제2연결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외부로부터 전원공급이 상기 벌브(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에서 전원공급이 이루어지면 상기 벌브(50)가 광을 발생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벌브(50)를 상기 하우징(10)에서 분리하는 것은 상기 벌브(50)를 삽입공간(12)쪽으로 밀어서 상기 제1전극부(56)가 상기 걸이구간(26)의 내측 끝부분에 위치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벌브(50)를 소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제1전극부(56)가 상기 연결구간(24)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진입구간(22)에 위치하게 한다. 상기 진입구간(22)에 상기 제1전극부(56)가 위치한 상태에서 작업자가 벌브(5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제2벌브접촉부(46)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어느 정도 외측으로 밀리게 된다. 물론,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벌브(50)를 상기 하우징(10)의 삽입공간(12)에서 빼내면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하우징 12: 삽입공간
14: 걸이턱 16: 플랜지
16': 시일 17: 손잡이
18: 안내채널 20: 걸이슬롯
22: 진입구간 24: 연결구간
26: 걸이구간 28: 제1삽입슬롯
29: 제2삽입슬롯 30: 제1터미널
32: 제1몸체 33: 제1압입걸이부
34: 제1연장편 36: 제1벌브접촉부
38: 제1외부접촉부 39: 제1반구형접점
40: 제2터미널 42: 제2몸체
43: 제2압입걸이부 44: 제2연장편
46: 제2벌브접촉부 47: 지지구간
47': 탄성변형구간 48: 제2외부접촉부
49: 제2반구형접점 50: 벌브
52: 몸체부 54: 유리구
56: 제1전극부 58: 제2전극부
60: 장착브라켓 62: 장착하우징

Claims (9)

  1. 제1전극부와 제2전극부가 구비된 벌브가 장착되어 전원을 공급받도록 하는 벌브홀더에 있어서,
    선단으로 개방되게 내부에 상기 벌브의 몸체부가 삽입되는 삽입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부가 걸어지는 걸이슬롯이 형성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1삽입슬롯에 압입되어 걸어지고 상기 제1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1터미널과,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제2삽입슬롯에 압입되어 걸어지고 상기 제2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제2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터미널에서 상기 제1전극부와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 상기 걸이슬롯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터미널은 제1몸체의 양측에 제1압입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몸체를 중심으로 양단에 제1벌브접촉부와 제1외부접촉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1벌브접촉부는 상기 걸이슬롯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1외부접촉부는 하우징의 외면에 위치되며, 상기 제1벌브접촉부는 상기 제1몸체에 제1연장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1벌브접촉부는 제1연장편에서 절곡되어 곡면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벌브홀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슬롯은 상기 삽입공간의 내면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선단까지 연장되는 안내채널과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채널과 연결된 진입구간과 상기 진입구간의 일부와 나란히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전극부가 걸어지는 걸이구간과 상기 진입구간과 걸이구간을 연결하는 연결구간을 포함하는 벌브홀더.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걸이슬롯은 적어도 상기 걸이구간이 하우징의 외면으로 개방되어 상기 삽입공간과 외부 사이를 연통시키는 벌브홀더.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터미널은 제2몸체의 양측에 제2압입걸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몸체를 중심으로 양단에 제2벌브접촉부와 제2외부접촉부가 형성되어 상기 제2벌브접촉부는 상기 삽입공간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외부접촉부는 상기 하우징의 외면에 위치되는 벌브홀더.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벌브접촉부는 상기 제2몸체에 제2연장편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벌브의 제2전극에 접촉되는 탄성변형가능한 탄성변형구간과 상기 탄성변형구간과 마주보게 형성된 지지구간으로 형성되는 벌브홀더.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변형구간은 아치형상으로 만들어지는 벌브홀더.
  9.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외면을 둘러서는 시일이 안착되는 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후단에는 손잡이가 구비되는 벌브홀더.
KR1020140021599A 2014-02-24 2014-02-24 벌브홀더 KR102094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599A KR102094394B1 (ko) 2014-02-24 2014-02-24 벌브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1599A KR102094394B1 (ko) 2014-02-24 2014-02-24 벌브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163A KR20150100163A (ko) 2015-09-02
KR102094394B1 true KR102094394B1 (ko) 2020-03-27

Family

ID=54241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1599A KR102094394B1 (ko) 2014-02-24 2014-02-24 벌브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4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33071B1 (ko) * 2016-12-27 2024-02-05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 오조립 방지용 벌브 홀더
US11396988B2 (en) * 2020-11-16 2022-07-26 Morimoto Lighting, LLC Vehicle LED lamp having a bulb base tensioning spr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086A (ko) 2007-03-14 2008-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KR20080004166U (ko) * 2007-03-23 2008-09-2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KR20090016312A (ko) * 2007-08-10 2009-02-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KR20130002722U (ko) * 2011-10-27 2013-05-0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용 터미널
KR101387978B1 (ko) * 2013-06-20 2014-04-2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단일형 벌브홀더용 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00163A (ko) 2015-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4394B1 (ko) 벌브홀더
US10461442B2 (en) Pressure contact terminal for connecting electronic component and wire
US10553979B2 (en) Connector
JP2012164520A (ja) 中継コネクタ
US20180375242A1 (en) Terminal fitting, and connector
KR20080004166U (ko) 벌브홀더
KR20100070742A (ko) 통전용 탄성편 및 이를 구비한 차폐 커넥터 세트
KR101643877B1 (ko) 케이블 고정 장치
JP6414772B2 (ja) コネクタおよびコネクタ装置
KR101890616B1 (ko) 차량용 센서 장착 구조체
US20180352671A1 (en) Substrate holding structure for holding substrate arranged in housing
KR101769583B1 (ko)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벌브 홀더
KR100955051B1 (ko) 벌브홀더
KR200492007Y1 (ko) 벌브용 터미널
KR200463649Y1 (ko) 벌브홀더조립체
US2222252A (en) Electrical connector
KR200465413Y1 (ko) 방수용 커넥터
KR100922205B1 (ko) 벌브커넥터
KR20130002722U (ko) 벌브홀더용 터미널
KR200436975Y1 (ko) 벌브홀더조립체
KR20100007604U (ko) 벌브홀더
KR200415898Y1 (ko) 차량용 램프에 사용되는 벌브홀더와 커넥터 조립구조
US3951499A (en) Electric lamp mounting assembly
KR200487656Y1 (ko) 벌브홀더
KR101407733B1 (ko) 커넥터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