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2007Y1 - 벌브용 터미널 - Google Patents

벌브용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2007Y1
KR200492007Y1 KR2020150006921U KR20150006921U KR200492007Y1 KR 200492007 Y1 KR200492007 Y1 KR 200492007Y1 KR 2020150006921 U KR2020150006921 U KR 2020150006921U KR 20150006921 U KR20150006921 U KR 20150006921U KR 200492007 Y1 KR200492007 Y1 KR 2004920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terminal
coupling slot
housing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5000692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548U (ko
Inventor
남기태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5000692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2007Y1/ko
Publication of KR201700015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20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20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baseless lamp bulb

Landscapes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벌브용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터미널(10)에는 박스부(12)와 바렐부(24)가 있다. 상기 박스부(12)의 일측 외면에는 결합슬롯(16)이 형성되어 벌브홀더 하우징(30)의 안내채널(34)와 연통된다. 상기 결합슬롯(16)의 상대적으로 후단쪽에는 상기 안내채널(34)과의 연통을 위한 입구(17)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롯(16)에서 상기 박스부(12)의 선단쪽에는 벌브의 돌기(37)가 걸어져 전기적 물리적 연결을 수행하도록 걸이구간(18)이 형성되고, 상기 걸이구간(18)은 상기 돌기(37) 외면을 곡률반경과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률부(1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벌브가 하우징(30)에 걸어져 고정되는 것과 터미널(10)이 벌브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 작업자가 벌브가 벌브홀더 하우징(30)에 정확하게 장착되는 것을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다.

Description

벌브용 터미널{Terminal for bulb}
본 고안은 벌브용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벌브홀더에서 벌브와 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벌브용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미널은 와이어의 선단에 연결되어 커넥터 하우징 내에 설치되어 상대 터미널과 결합함에 의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터미널의 일종으로 벌브홀더에서 사용되는 것이 있다. 즉, 벌브용 터미널인데, 벌브의 일측에 돌출된 돌기와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도 1에는 종래 기술에 의한 벌브용 터미널이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터미널(1)은 금속재질의 판을 절곡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선단에는 박스부(3)가 있다. 상기 박스부(3)는 대략 육면체 형상인데, 터미널(1)의 선단 방향과 후단 방향으로 개방되고, 나머지 일측면이 개방되어 형성된다.
상기 박스부(3)의 선단에서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1)의 후단 방향으로 상향 경사지게 접촉스프링(5)이 구비된다. 상기 접촉스프링(5)은 벌브의 몸체부 측면에 돌출된 돌기와 접촉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접촉스프링(5)은 탄성변형이 가능하게 만들어진다.
상기 박스부(3)에서 상기 접촉스프링(5)이 있는 반대쪽 외면으로는 랜스(7)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랜스(7)는 터미널(1)에 벌브홀더의 하우징 내부에 걸어지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랜스(7)는 외팔보 형상이고, 약간의 탄성변형이 가능하다.
상기 박스부(3)와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1)의 후단에는 바렐부(9)가 있다. 상기 바렐부(9)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부분이다. 상기 바렐부(9)는 상기 와이어의 외면을 둘러감싸는 인슐레이션바렐과 와이어의 심선을 둘러감싸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와이어바렐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벌브용 터미널(1)은 벌브홀더의 하우징 내에 삽입되어 상기 랜스(7)가 걸어짐에 의해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접촉스프링(5)이 벌브의 몸체부 측면에 돌출된 돌기와 접촉된다.
하지만, 종래의 벌브용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조립과정에서 상기 접촉스프링(5)에 과도한 외력이 주어지면 소성변형이 발생한다. 상기 접촉스프링(5)이 과도한 외력에 의해 소성변형되면 벌브의 돌기와 접촉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그리고, 종래의 터미널(1)은 벌브와의 관계에서 상기 접촉스프링(5)이 전기적인 연결만을 수행하게 된다. 즉, 벌브가 벌브홀더의 하우징 내에 고정되는 것은 상기 벌브의 돌기가 하우징의 내면 일측에 형성되는 걸이홈에 걸어짐에 의해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 돌기가 상기 걸이홈에 걸어지지 않은 상태가 되더라도 상기 벌브는 상기 접촉스프링(5)에 접촉되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벌브의 돌기가 하우징의 걸이홈에 걸어지지 않은 상태이더라도, 상기 벌브가 광을 발생시키면, 벌브가 벌브홀더의 하우징에 결합된 것으로 판단한다. 이와 같은 벌브홀더가 자동차에 장착되면, 자동차의 사용중에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상기 벌브가 벌브홀더의 하우징에서 빠져서 벌브가 제 기능을 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8-0084086호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벌브용 터미널이 벌브와의 전기적 연결뿐만 아니라 벌브홀더의 고정까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벌브의 돌기가 벌브용 터미널의 결합슬롯에서 보다 전기적 연결을 위한 면적을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벌브홀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벌브와 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벌브용 터미널에 있어서, 일측 외면에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면에 형성된 안내채널과 연통되는 결합슬롯이 형성된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와이어와의 전기적,물리적 결합을 수행하는 바렐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슬롯에서 상기 박스부의 선단쪽에는 벌브의 돌기가 걸어지는 걸이구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구간에는 상기 돌기의 외면의 곡률반경과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률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박스부의 내부에는 박스부의 전후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결합슬롯을 통해서도 외부와 연통된다.
상기 결합슬롯이 형성된 박스부의 일측 외면에 인접한 다른 외면에는 상기 결합슬롯으로 벌브의 돌기가 진입하도록 입구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롯의 입구는 상기 결합슬롯에서 상기 바렐부쪽으로 치우친 후단에 형성된다.
삭제
본 고안에 의한 벌브용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의 벌브용 터미널에는 박스부에 벌브의 몸체부 외면에 돌출된 돌기가 삽입되어 걸어지는 결합슬롯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결합슬롯에 상기 벌브의 돌기가 삽입되어 걸어짐에 의해 벌브와 터미널의 전기적 결합을 함과 동시에 벌브를 터미널에 걸어 하우징 내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된다. 다시 말해, 벌브용 터미널이 벌브의 전기적 연결과 물리적 고정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벌브용 터미널과 관련된 벌브홀더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벌브용 터미널에서 상기 결합슬롯의 내측에 벌브의 돌기의 외면과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률부를 두었으므로, 벌브의 돌기가 곡률부에 안착됨에 의해 벌브의 돌기와 벌브용 터미널 사이의 전기접촉면적을 넓게 설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벌브용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벌브용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실시례를 다른 방향에서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 실시례의 터미널이 벌브홀더의 하우징에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실시례의 터미널에 벌브가 걸어지는 것을 보인 동작상태도.
도 7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례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례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례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고안 실시례의 벌브용 터미널(10)은 금속재질의 판을 프로그레시브 금형에서 가공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10)은 길이방향으로 크게 박스부(12)와 바렐부(24)로 나누어진다.
상기 박스부(12)는 상기 터미널(10)의 선단쪽에 구비되는 것으로 긴 육면체 박스형상이다. 상기 박스부(12)의 내부에는 내부공간(14)이 형성되는데, 상기 내부공간(14)는 터미널(10)의 선단 방향과 후단 방향으로 개방되어 있다.
상기 박스부(12)의 외측면중 일측에는 결합슬롯(16)이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롯(16)은 상기 박스부(12)의 일측면을 형성하는 부분을 관통하여 만들어진다. 상기 결합슬롯(16)이 형성된 일측면에 인접한 타측면의 일부가 제거되어 상기 결합슬롯(16)의 입구(17)가 만들어진다. 상기 결합슬롯(16)의 입구는 결합슬롯(16)의 후단쪽 일부구간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슬롯(16)에서 상기 박스부(12)의 선단쪽은 걸이구간(18)이 된다. 상기 걸이구간(18)에는 아래에서 설명될 벌브의 돌기(37)가 걸어진다. 상기 걸이구간(18)은 본 실시례에서는 직선으로 되어 있다. 하지만, 도 7에 도시된 다른 실시례에서는 상기 결합슬롯(16)의 선단에 형성되는 걸이구간(16)에 곡률부(19)가 있다. 상기 곡률부(19)는 벌브의 돌기(37)의 외경과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가져서 벌브의 돌기(37)와 터미널(10)의 접촉하는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한다.
상기 박스부(12)의 선단 일측에는 스테빌라이저(20)가 있다. 상기 스테빌라이저(20)는 터미널(10)이 벌브홀더 하우징(30)의 내부에 삽입되는 방향을 안내하게 된다. 즉, 상기 스테빌라이저(20)가 하우징(30)의 내부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하우징(30)에 구비된 구조물에 의해 걸어지면 삽입방향이 잘못된 것을 작업자가 쉽게 알 수 있다.
상기 박스부(12)에서 상기 결합슬롯(16)이 형성된 반대쪽 면에는 터미널랜스(22)가 있다. 상기 터미널랜스(22)는 상기 박스부(12)의 일부가 절개되어 외팔보 형상으로 만들어진 것이다. 상기 터미널랜스(22)는 박스부(12)의 외부로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 상기 터미널랜스(22)는 벌브홀더 하우징(30)의 내부 일측에 걸어져 터미널(10)이 하우징(30)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터미널(10)의 후단에는 바렐부(24)가 있다. 상기 바렐부(24)는 와이어와의 전기적, 물리적 연결을 위한 부분이다. 와이어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바렐(26)이 상대적으로 앞쪽에 있고, 그 뒤에 와이어와 물리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인슐레이션바렐(28)이 있다. 상기 와이어바렐(26)는 와이어의 심선을 둘러감싸고, 상기 인슐레이션바렐(28)은 와이어의 외면을 둘러감싸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벌브용 터미널(10)은 벌브홀더 하우징(30)에 설치되어 사용된다. 상기 벌브홀더 하우징(30)은 도 5에 잘 도시되어 있다. 도 5에는 하우징(30)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간(32)이 보이도록 보인 단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삽입공간(32)에는 벌브의 몸체부가 삽입된다. 상기 삽입공간(32)의 내면에는 안내채널(34)이 형성된다. 상기 안내채널(34)은 상기 삽입공간(32)의 입구에서부터 형성되고 상기 터미널(10)의 결합슬롯(16)이 삽입공간(32)의 내부에서 보이도록 구성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벌브용 터미널이 사용되는 것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터미널(10)은 상기 박스부(12)가 상기 하우징(30)의 후단에서부터 내부로 삽입된다. 상기 터미널(10)이 하우징(30)에 삽입되는 부분은 상기 하우징(30)에서 상기 삽입공간(32)의 내면을 형성하는 부분 내측이다. 상기 터미널(10)의 결합슬롯(16)이 위치되는 부분은 상기 삽입공간(32)의 내부와 노출되도록 하우징(30)이 구성된다.
상기 터미널(10)이 상기 하우징(30)의 내부에 삽입되면, 상기 안내채널(34)이 상기 결합슬롯(16)의 입구(17)와 연통된다. 상기 결합슬롯(16)의 걸이구간(18)은 상기 결합슬롯(16)중 삽입공간(32)의 내측으로 연장된 끝부분보다는 삽입공간(32)의 입구쪽에 가깝다. 이는 벌브의 돌기(37)가 상기 안내채널(34)을 따라 이동하면서 삽입공간(32)의 내측으로 이동하다가, 상기 결합슬롯(16)으로 진입하면, 상기 벌브의 몸체부에 전기적으로 접촉되는 다른 터미널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밀려서 상기 걸이구간(18)에 밀착되어 있게 된다. 물론, 상기 터미널(10)의 바렐부(24)에는 와이어가 이미 연결되어 있는 상태이다.
상기 터미널(10)이 하우징(30)에 정확하게 설치되어, 상기 터미널(10)의 결합슬롯(16)의 입구(17)가 상기 안내채널(34)의 끝부분과 일치하게 되면, 상기 터미널(10)의 설치가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벌브를 상기 하우징(30)의 삽입공간(32) 내부로 삽입하면, 벌브의 돌기(37)가 상기 결합채널(34)을 따라 이동하면서 벌브의 몸체부가 삽입공간(32)으로 들어가고, 상기 결합채널(34) 끝부분에서 상기 터미널(10)의 결합슬롯(16)의 입구(17)로 들어가도록 살짝 벌브의 몸체부가 회전되면 상기 돌기(37)가 상기 터미널(10)의 결합슬롯(16)에 삽입된다.
상기 결합슬롯(16)에 상기 돌기(37)가 삽입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벌브를 잡고 있던 힘을 제거하면 상기 하우징(30)에 설치되는 다른 터미널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벌브의 몸체부가 삽입공간(32)에서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약간 이동하여 상기 돌기(37)가 상기 결합슬롯(16)의 걸이구간(18)에 걸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돌기(37)가 상기 걸이구간(18)에 걸어짐에 의해 벌브가 터미널(10)에 물리적으로 걸어져 결합되고, 상기 돌기(37)가 상기 걸이구간(18)에 접촉하여 돌기(37) 즉 벌브가 터미널(10)과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물론, 상기 돌기(37)가 상기 안내채널(34)을 통과하는 과정에서는 상기 돌기(37)와 상기 터미널(10)이 전기적으로 접촉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37)가 상기 터미널(10)의 결합슬롯(16)에 걸어지지 않으면, 벌브가 빛을 내지 않게 되므로, 벌브가 벌브홀더 하우징(30)에 물리적으로 전기적으로 정확하게 결합되었는지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벌브를 하우징(30)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벌브를 삽입공간(32)의 내측으로 약간 밀어서 다른 터미널을 탄성변형시키고, 그 상태에서 일정 각도 회전시켜 상기 결합슬롯(16)의 입구(17)를 통해 돌기(37)가 상기 안내채널(34)로 들어가도록 한다. 상기 안내채널(34)에 돌기(37)가 안내되기 시작하면 벌브를 상기 삽입공간(32)에서 빠지는 방향으로 당겨주면 벌브가 하우징(30)에서 분리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례들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례에 의하여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참고로, 도시된 실시례에서 제시된 스테빌라이저(20)는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다른 부품이나 구조로 터미널(10)의 오삽입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터미널랜스(22) 역시 다른 부품이나 구조로 터미널(10)이 하우징(3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면, 반드시 있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1: 터미널 3: 박스부
5: 접촉스프링 7: 랜스
9: 바렐부 10: 터미널
12: 박스부 14: 내부공간
16: 결합슬롯 17: 입구
18: 걸이구간 19: 곡률부
20: 스테빌라이저 22: 터미널랜스
24: 바렐부 26: 와이어바렐
28: 인슐레이션바렐 30: 하우징
32: 삽입공간 34: 안내채널
37: 돌기

Claims (5)

  1. 벌브홀더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벌브와 전원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벌브용 터미널에 있어서,
    일측 외면에 상기 하우징의 삽입공간 내면에 형성된 안내채널과 연통되는 결합슬롯이 형성된 박스부와,
    상기 박스부의 일단부에 연결되고 와이어와의 전기적,물리적 결합을 수행하는 바렐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슬롯에서 상기 박스부의 선단쪽에는 벌브의 돌기가 걸어지는 걸이구간이 형성되는데, 상기 걸이구간에는 상기 돌기의 외면의 곡률반경과 대응되는 곡률반경을 가지는 곡률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결합슬롯이 형성된 박스부의 일측 외면에 인접한 다른 외면에는 상기 결합슬롯으로 벌브의 돌기가 진입하도록 입구가 형성되는 벌브용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박스부의 내부에는 박스부의 전후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은 상기 결합슬롯을 통해서도 외부와 연통되는 벌브용 터미널.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슬롯의 입구는 상기 결합슬롯에서 상기 바렐부쪽으로 치우친 후단에 형성되는 벌브용 터미널.
  5. 삭제
KR2020150006921U 2015-10-26 2015-10-26 벌브용 터미널 KR2004920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21U KR200492007Y1 (ko) 2015-10-26 2015-10-26 벌브용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50006921U KR200492007Y1 (ko) 2015-10-26 2015-10-26 벌브용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48U KR20170001548U (ko) 2017-05-08
KR200492007Y1 true KR200492007Y1 (ko) 2020-07-16

Family

ID=5871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50006921U KR200492007Y1 (ko) 2015-10-26 2015-10-26 벌브용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2007Y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559Y1 (ko) * 2005-04-12 2005-07-14 한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차량용 벌브홀더
KR200423590Y1 (ko) 2006-05-30 2006-08-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홀더용 터미널
KR200449223Y1 (ko) 2007-12-31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JP2011040215A (ja) * 2009-08-07 2011-02-24 Yazaki Corp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84086A (ko) 2007-03-14 2008-09-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KR20090006701U (ko) * 2007-12-28 2009-07-02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수직형 터미널조립체
KR20090132362A (ko) * 2008-06-20 2009-12-3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559Y1 (ko) * 2005-04-12 2005-07-14 한국유니온머시너리 주식회사 차량용 벌브홀더
KR200423590Y1 (ko) 2006-05-30 2006-08-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홀더용 터미널
KR200449223Y1 (ko) 2007-12-31 2010-06-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JP2011040215A (ja) * 2009-08-07 2011-02-24 Yazaki Corp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48U (ko) 2017-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53873B1 (ko) 전원 커넥터 및 전원 커넥터 장치
JP2016001579A (ja) 導電端子
KR102461375B1 (ko) 커넥터의 록킹 구조 및 커넥터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KR101041383B1 (ko) 커넥터하우징
KR200492007Y1 (ko) 벌브용 터미널
WO2018070196A1 (ja) コネクタ
JP2012164520A (ja) 中継コネクタ
KR102094394B1 (ko) 벌브홀더
WO2017217208A1 (ja) コネクタ
KR101769583B1 (ko) 터미널 및 이를 포함하는 벌브 홀더
KR200440518Y1 (ko) 커넥터
KR100814934B1 (ko) 랜스 및 이를 사용한 커넥터용 하우징
JP2019021460A (ja) コネクタ
KR200467964Y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2567021B1 (ko) 커넥터
US20180366859A1 (en) Electrical connector
JP6278863B2 (ja) コネクタ
KR20130086585A (ko)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JP2019023961A (ja) 接触片を有する端子、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KR20090006798U (ko) 커넥터하우징
KR20220078028A (ko) 터미널용 리어홀더
JP6650111B2 (ja) コネクタ
KR101348156B1 (ko) 차폐커넥터
KR20100121925A (ko) 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