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86585A -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 Google Patents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86585A
KR20130086585A KR1020130070987A KR20130070987A KR20130086585A KR 20130086585 A KR20130086585 A KR 20130086585A KR 1020130070987 A KR1020130070987 A KR 1020130070987A KR 20130070987 A KR20130070987 A KR 20130070987A KR 20130086585 A KR20130086585 A KR 201300865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bracket
horizontal
main body
bulb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0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05026B1 (ko
Inventor
최규룡
박광현
Original Assignee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주일렉트로닉스 filed Critical (주)우주일렉트로닉스
Priority to KR1020130070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05026B1/ko
Publication of KR201300865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65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050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050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6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point-like light sources, e.g. incandescent or halogen lamps, with screw-threaded or bayonet b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1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1/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1/192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1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lan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브홀더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벌브홀더 브라켓에 단자가 측방으로 수평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개선된 형상을 갖는 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중계단자를 브라켓의 내주면이 아닌 저면 측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한 번의 동작만으로 단자가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단자가 브라켓에 수평으로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중계단자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TERMINAL FOR BULB HOLDER BRACKET}
본 발명은 벌브홀더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벌브홀더 브라켓에 단자가 측방으로 수평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개선된 형상을 갖는 단자 구조에 관한 것이다.
벌브홀더는 빛을 발하는 벌브, 램프가 설치되기 위한 부분으로서, 벌브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을 구비하고 벌브를 구비한 벌브홀더가 램프하우징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벌브홀더와 맞물려 결합되는 브라켓을 필요로 한다.
다양한 종류의 램프들은 전원을 인가하는 '+'단자와 '-'단자가 각각 설치되는 벌브홀더와, 차량의 램프하우징에 장착되는 브라켓 등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단자'와 '-'단자에는 중계단자가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상기 중계단자는 각종 램프들을 차량에 장착할 때 작업성을 좋게하고 불필요한 전선을 없애기 위하여 직접 각 단자(+,-)에 접속되어 전원을 인가하는 접속단자이다.
이와 같은 종래의 중계단자는 차량의 램프 하우징에 조립되는 브라켓과 일체로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브라켓은, 브라켓의 플랜지 내부에 단자들을 인서트 사출 성형하여 일체로 조립하는 형태로써 중계단자를 조립하기 위한 부품수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상기 중계단자를 조립한 후 외부의 충격이나 지속적인 진동에 의해 중계단자가 이탈하거나 접촉불량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었다. 또한 '+'단자와 '-'단자의 구조 및 삽입방식에 있어서도, 종래에는 '-'단자는 구조가 간단하고 홀더에 쉽게 삽입되는 구조이지만 '+'단자는 구조가 복잡하고 홀더에 삽입되는 구조가 아니라 소켓에 삽입하는 구조이므로 작업성이 좋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여, 조립방식으로 중계단자를 브라켓에 결합하는 방식이 제안된 바 있다.
도 1은 종래의 벌브홀더와 브라켓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종래의 브라켓의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단자 조립구조는 벌브(10), 중계단자(18)가 조립되는 브라켓(12), 램프 하우징(22), 전극단자 및 접지단자가 조립되는 벌브홀더(34)로 구성된다.
벌브(10)는 브라켓(12)의 중앙을 관통한 다음 벌브홀더(34)에 조립되어 램프 하우징(22)에 장착된다. 상기 브라켓(12)은 고리모양으로 형성되고, 브라켓(12)의 내주면에는 각각의 중계단자(18)가 조립되기 위한 삽입구(16)가 형성되며, 삽입구(16)의 양측으로는 가이드홈(16a)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삽입구(16)에는 전선이 연결된 중계단자(18)가 끼워지게 되는데, 중계단자(18)의 양측면에 절곡 형성된 고정날개부(18a)가 가이드홈(16a)을 따라 삽입됨으로써 상기 중계단자(18)는 삽입구(16)에 견고하게 조립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서, 브라켓(12)의 내주면에 2개의 삽입구(16)를 형성하고 이 삽입구(16)에 중계단자(18)를 끼우기만 하면 간단하게 조립되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개선 구조에 의하더라도, 중계단자(18)가 브라켓(12)의 내주면에서 결합되도록 구성하였기 때문에, 중계단자(18)를 브라켓(12)의 저면으로 이동시키는 제1동작 후에, 다시 중계단자(18)를 브라켓(12)의 내주면 삽입구(16)로 밀어줘야 하는 제2동작을 수행하여야 한다. 즉 수평 제1동작 후에, 다시 수직 제2동작을 중계단자(18)에 가하여야 결합이 완료되는데, 이러한 결합동작은 L자형의 2번의 동작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작 공정이 다소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중계단자를 ㄱ자 형으로 절곡 형성함으로써, 정교한 삽입이 되지 않는 경우 삽입구(16)와 충돌되며 절곡 부분이 변형될 수 있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중계단자를 브라켓의 내주면이 아닌 저면 측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한 번의 동작만으로 단자가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도록 하는 브라켓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단자가 브라켓에 수평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쉽게 변형되지 않는 중계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외측을 대면하는 외주면; 하우징 측에 대면하여 접촉되는 저면; 및 상기 외주면과 상기 저면에 걸쳐 형성되는 수평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벌브홀더 브라켓에 삽입되는 단자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일측으로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 측방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고정날개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며, 상기 고정날개부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날개부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저면을 따라 상기 수평삽입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고정날개부가 연장된 방향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결합시에, 상기 수평삽입부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수평가이드홈 사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걸림돌부;를 넘어서 상기 걸림돌부의 내측으로 내입된 형상의 내입홈부; 측에 안착되면서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날개부는 제1고정날개부 및 제2고정날개부이고, 상기 제1고정날개부 및 상기 제2고정날개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된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접촉부의 일측에 비스듬하게 꺾인 경사접촉부가 더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보다 상기 수평연장부의 위치가 상측에 있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절곡 형성된 부분이 상기 브라켓의 내측 걸림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는, 링형으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벌브홀더가 관통되는 브라켓에 있어서, 외측을 대면하는 외주면; 하우징 측에 대면하여 접촉되는 저면; 및 상기 외주면과 상기 저면에 걸쳐 형성되는 수평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단자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저면을 따라 상기 수평삽입부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 결합형 단자를 구비하는 벌브홀더 브라켓에 결합된다.
상기 수평삽입부는: 상기 외주면에 한 쌍으로 내입되고 상기 저면 측은 개방된 수평가이드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단자는 양측에 형성된 고정날개부가 상기 수평가이드홈에 수평방향으로 인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삽입부는: 상기 한 쌍의 수평가이드홈 사이에 형성되어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걸림돌부; 및 상기 걸림돌부의 내측으로 내입된 형상의 내입홈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단자가 인입될 때 상기 단자의 저면에 형성된 걸림부가 상기 걸림돌부를 넘어 상기 내입홈부에 안착되면서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수평가이드홈은 제1수평가이드홈 및 제2수평가이드홈이고, 상기 제1수평가이드홈 및 상기 제2수평가이드홈은, 상기 저면으로부터 내입된 깊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는: 상기 고정날개부가 양측에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 및 상기 수평 연장부의 단부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수직접촉부의 연장 방향은, 상기 고정날개부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자는: 상기 수직접촉부의 일측에 비스듬하게 꺾인 경사접촉부가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고정날개부는 제1고정날개부 및 제2고정날개부이고, 상기 제1고정날개부 및 상기 제2고정날개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중계단자를 브라켓의 내주면이 아닌 저면 측에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한 번의 동작만으로 단자가 브라켓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여,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중계단자가 브라켓에 수평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중계단자가 쉽게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의 벌브홀더와 브라켓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종래의 브라켓의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벌브홀더와 브라켓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브라켓에 단자가 수평으로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브라켓에 단자가 수평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브라켓에 단자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수평삽입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 구성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벌브홀더와 브라켓을 분해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측부터 벌브홀더(100), 실링부재(200), 단자(300) 및 브라켓(400)으로 어셈블리가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브라켓에 단자가 수평으로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브라켓에 단자가 수평으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브라켓(400)을 뒤집어 놓은 상태이며, 브라켓(400)의 저면(420)이 상방을 향하고 있고, 내주면(405)에는 아무런 단자(300) 결합 요소가 없는 상태이다.
브라켓(400)의 외주면(410)과 저면(420)에 걸쳐서 수평삽입부(430)가 형성되며, 이 수평삽입부(430)로는 단자(300)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단 한 번의 동작으로 삽입, 체결되어 안착된다. 이 때 단자(300)는 내주면(405) 측으로는 아무 부분도 내입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브라켓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다른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수평삽입부(430)는 외주면(410)과 저면(420)에 걸쳐 형성되며, 제1, 2수평가이드홈(431, 432)이 형성되고, 그 사이 공간에는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부(433)가 배치된다.
걸림돌부(433)의 내측으로는 다시 오목한 형태의 내입홈부(434)가 구비되며, 내입홈부(434)의 내측으로는 안착부(435)가 구비된다. 안착부(435)의 내측으로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걸림부(436)가 구비되어, 단자(300)가 내측으로 더 이상 인입되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이에 삽입되는 단자(300)는 일측은 와이어와 결합되는 부분이 구비되는 본체(310), 상기 본체(310)로부터 절곡되어 양측 하방으로 연장되는 제1, 2고정날개부(331, 332)를 구비하고, 본체(310)의 중심에서 단차 절곡되어 연장되는 수평연장부(340), 그리고 수평연장부(340)의 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수직 연장되는 수직접촉부(350)를 구비한다. 수직접촉부(350)의 일 측방으로는 다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경사접촉부(352)가 연장 형성된다.
또한 본체(310)의 저면으로는 일부가 절개되어 돌출되는 걸림부(320)가 한 쌍 구비된다.
이 때 수직접촉부(350)는 브라켓(400)의 특정 부위에 삽입되지 않고 외측으로 자유롭게 노출되어 있게 된다. 종래 기술에서는 이러한 수직접촉부 대응 구성이 브라켓의 내주면 측에 삽입되어야 하므로, 삽입시의 충돌이나 마찰로 변형을 유발할 수 있었는데, 본 발명의 경우 수직접촉부(350)가 삽입, 결합 기능을 담당하지 않으므로, 조립 삽입 문제로 인한 변형의 우려가 감소하게 된다.
수직접촉부(350) 측방의 경사접촉부(352)는 벌브홀더(100)의 결합 및 회전에 따라 측방으로부터 회동되는 돌출형 단자가 먼저 맞닿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경사접촉부(352)를 통해 충격을 최소화하며 부드럽게 접촉되어, 최종적으로는 수직접촉부(350)와 마주볼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브라켓에 단자가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수평삽입부(430)를 측방에서 바라본 것으로서, 최 외측에는 걸림돌부(433)가 구비되고, 그 내측으로는 내입홈부(434)가 형성되며, 다시 그 내측으로는 안착부(435) 및 걸림부(436)가 순차적으로 형성된다.
단자(300)는 (b)와 같이 좌측에서 우측 방향으로 내입되면서, 제1, 2고정날개부(331, 332)가 제1, 2수평가이드홈(431, 432)으로 삽입되고, 이 때 본체(310)가 안착부(435)로 근접하게 되면서, 그 하부의 걸림부(320)가 걸림돌부(433)를 넘어 서면서, 내입홈부(434)에 위치된다. 걸림부(320)는 외측이 걸림돌부(433)에 의해 차단되고, 또한 내측으로는 걸림부(436)가 본체(310)를 지지하게 된다.
수평가이드홈(431, 432)이 외주면(410)과 저면(420)에 걸쳐 형성됨에 따라, 단자(300) 역시 외주면(410)을 지나 저면(420)을 향하도록 수평으로 밀어주는 한 번의 동작으로 결합이 완료될 수 있게 된다.
도 10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수평삽입부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브라켓(400)에는 +, - 연결 단자가 결합되고, 또한 접지단자가 결합될 수 있는데, 결합시에 단자의 결합 위치가 혼동되어 오삽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2수평가이드홈(431, 432) 및 제1, 2고정날개부(331, 332)의 형상 및 길이를 다양하게 조합할 수 있다.
도 10과 같이, 제2수평가이드홈(432)의 깊이를 제1수평가이드홈(431)의 깊이보다 더 깊게 형성하거나, 도 11과 같이 제1수평가이드홈(431)의 깊이를 제2수평가이드홈(432)의 깊이보다 더 깊게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2와 같이 제1, 2수평가이드홈(431, 432)의 깊이를 동일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이와 대응되도록 제1, 2고정날개부(331, 332)의 형상 및 길이를 형성하여야 한다.
이러한 브라켓 및 단자의 개선 구조에 따라 단자는 한 방향의 한 번의 동작만으로 브라켓 결합이 완료되고, 그 형상도 단순화 되고 절곡된 부분의 외부 충격이 최소화됨으로써 변형이 감소하고, 조립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벌브홀더 200 : 실링부재
300 : 단자 400 : 브라켓

Claims (5)

  1. 외측을 대면하는 외주면; 하우징 측에 대면하여 접촉되는 저면; 및 상기 외주면과 상기 저면에 걸쳐 형성되는 수평삽입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벌브홀더 브라켓에 삽입되는 단자에 있어서,
    상기 단자는:
    일측으로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양 측방에서 일측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고정날개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는 수평연장부; 및
    상기 수평연장부의 단부에 절곡 형성되며, 상기 고정날개부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직접촉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날개부는 수평방향으로 상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저면을 따라 상기 수평삽입부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고정날개부가 연장된 방향 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부가 더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는 결합시에,
    상기 수평삽입부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수평가이드홈 사이에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걸림돌부를 넘어서 상기 걸림돌부의 내측으로 내입된 형상의 내입홈부 측에 안착되면서 상호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고정날개부는 제1고정날개부 및 제2고정날개부이고,
    상기 제1고정날개부 및 상기 제2고정날개부는,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된 길이가 서로 다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접촉부의 일측에 비스듬하게 꺾인 경사접촉부가 더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보다 상기 수평연장부의 위치가 상측에 있도록 절곡 형성되며, 상기 절곡 형성된 부분이 상기 브라켓의 내측 걸림부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KR1020130070987A 2013-06-20 2013-06-20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KR1015050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987A KR101505026B1 (ko) 2013-06-20 2013-06-20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70987A KR101505026B1 (ko) 2013-06-20 2013-06-20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6585A true KR20130086585A (ko) 2013-08-02
KR101505026B1 KR101505026B1 (ko) 2015-03-23

Family

ID=49213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0987A KR101505026B1 (ko) 2013-06-20 2013-06-20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0502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155U (ko) * 2013-11-28 2015-06-05 타이코에이엠피(유)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20143443A (ko) * 2021-04-16 2022-10-25 정가희 전기적 연결이 용이한 항해등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2211B1 (ko) 2005-02-14 2007-04-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홀더의 터미널 장착구조
KR200412155Y1 (ko) 2005-12-30 2006-03-23 케이유엠 주식회사 와이어레스 타입 포지션 램프
KR20080079099A (ko) * 2007-02-26 2008-08-2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홀더
KR20090126818A (ko) * 2008-06-05 2009-12-09 장국환 알에프 커넥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2155U (ko) * 2013-11-28 2015-06-05 타이코에이엠피(유)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220143443A (ko) * 2021-04-16 2022-10-25 정가희 전기적 연결이 용이한 항해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05026B1 (ko) 2015-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63788A1 (ja)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JP6559885B2 (ja) 電気コネクタ
US10833444B2 (en) Terminal unit and connector
JP3138297U (ja) 電気コネクタ
JP2014093222A (ja) コネクタ
US9505313B2 (en) Vehicle-side connector with a relay-circuit unit
EP2942842B1 (en) Vehicle-side connector
JP4992659B2 (ja) コネクタ
WO2018163787A1 (ja) シールド端子及びシールドコネクタ
JP2015109786A (ja) 電気自動車の充電器
JP2017045572A (ja) コネクタ
JP2012129149A (ja) 防水コネクタ、防水コネクタの組み立て方法
KR200456665Y1 (ko) 엘이디등의 엔드 캡
KR20130086585A (ko)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US20080293286A1 (en) Cable connector and circuit board connector to be connected to the same
JP2019175628A (ja) コネクタ及び防水コネクタ
KR20130086584A (ko) 수평 결합형 단자를 구비하는 벌브홀더 브라켓
US8651899B2 (en) Lamp socket assembly and method
KR101387978B1 (ko) 단일형 벌브홀더용 단자
JP2019114350A (ja) シールド端子
US20150162694A1 (en) Locking structure of terminal fitting and bulb socket
JP2013016399A (ja) コネクタ
KR20100007604U (ko) 벌브홀더
JP2018014166A (ja) コネクタ
KR101505024B1 (ko) 단일형 벌브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