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155U -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50002155U KR20150002155U KR2020130009828U KR20130009828U KR20150002155U KR 20150002155 U KR20150002155 U KR 20150002155U KR 2020130009828 U KR2020130009828 U KR 2020130009828U KR 20130009828 U KR20130009828 U KR 20130009828U KR 20150002155 U KR20150002155 U KR 20150002155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terminal
- module
- insertion portion
- fuse
- module ba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자 부품 설치에 있어 회로 기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회로 기판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줄여 전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의 제작 및 설치에 필요한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로 기판 자체의 단락 등의 문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 단자의 형상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전자부품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자 부품 설치에 있어 회로 기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회로 기판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줄여 전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의 제작 및 설치에 필요한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로 기판 자체의 단락 등의 문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 단자의 형상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전자부품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18494호에 개시되는 전지모듈은, 다수의 전지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모듈로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와 전기적 접속되어 있는 전압 센싱용 단자들, 및 전압 센싱용 단자들과 연결되어 있고 전압 센싱용 단자들의 검출 전압을 모듈 제어부로 전송하는 도전부를 포함하는 전압 센싱부; 및 도전부의 쇼트 발생시 검출 전압의 전송을 중단시키기 위해, 전압 센싱용 단자들과 도전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신호 차단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차단부는 퓨즈를 내장하고 있는 퓨즈 박스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퓨즈 박스는 솔더링에 의해 퓨즈를 장착하고 있는 회로 기판 및 회로 기판을 보호하기 위해 밀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전지모듈의 신호 차단부에는, 퓨즈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연결 단자들이,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에 장착되어 하나의 회로를 구성한다. 따라서, 회로 기판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 비용, 시간 및 노력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회로 기판 없이, 전자 부품을 직접 설치할 수 있는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경사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 단부는 상기 삽입부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의 돌출 길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삽입부 및 접속부는 통전이 가능한 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은, 퓨즈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모듈 베이스; 상기 모듈 베이스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퓨즈의 일측 단자와 결합되는 제 1 연결 단자; 상기 모듈 베이스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퓨즈의 타측 단자와 결합되는 제 2 연결 단자; 및 상기 모듈 베이스에 결합되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단자 및 제 2 연결 단자는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는, 하측으로 함몰되는 수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의 깊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 단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 방출 홀이 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은 상기 복수 개의 리브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베이스 및 모듈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모듈 커버의 하면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와 밀착되는 절곡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삽입부 및 접속부는 통전이 가능한 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을 지지하기 위한 셀 프레임; 상기 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셀과 연결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센싱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커넥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퓨즈; 상기 퓨즈의 일측 단자와 결합 가능한 제 1 연결 단자; 및 상기 퓨즈의 타측 단자와 결합 가능한 제 2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단자 및 제 2 연결 단자는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 삽입부 및 접속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자 부품 설치에 있어 회로 기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회로 기판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줄여 전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의 제작 및 설치에 필요한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로 기판 자체의 단락 등의 문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 단자의 형상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전자부품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에서 모듈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연결 단자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연결 단자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에 제 2 연결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7의 I-I'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에서 모듈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연결 단자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연결 단자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에 제 2 연결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7의 I-I'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셀 프레임(20)과, 커넥터(30)와, 제 1 센싱 모듈(200)과, 제 2 센싱 모듈(300)과, 상기 커넥터(30) 및 제 1 센싱 모듈(200)을 연결하는 제 1 연결 라인(40)과, 상기 커넥터(3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을 연결하는 제 2 연결 라인(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프레임(20)은,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 셀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을 통하여 전달된 전류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은 상기 배터리 셀의 각각의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은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전기적 접속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센싱 모듈일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이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을 편의상 센싱 모듈(200)이라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에 대한 설명은 제 2 센싱 모듈(3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에서 모듈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200)은, 모듈 베이스(210)와, 모듈 커버(220)와, 퓨즈(230)와, 제 1 연결 단자(250) 및 제 2 연결 단자(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210)는, 상기 퓨즈(230)를 비롯하여 각종 전자 부품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210)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부(212)와,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를 지지하기 위한 제 2 지지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212) 및 제 2 지지부(214)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212) 및 제 2 지지부(214)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가 제공하는 설치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220)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220)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설치 공간과 오버랩되고, 상기 제 1 지지부(212) 및 제 2 지지부(214)와는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퓨즈(230)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10) 및 제 2 연결 단자(27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퓨즈(230)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10) 및 제 2 연결 단자(270) 사이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전기적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퓨즈(230)가 단락되면, 상기 커넥터(30)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모듈(10)과 연결된 장치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의 일측은 상기 퓨즈(230)의 일측 단자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의 일측은 상기 퓨즈(230)의 타측 단자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연결 라인(40)(또는 제 2 연결 라인(50))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연결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연결 단자(250)는, 연장부(252)와, 상기 연장부(252)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253)와, 상기 삽입부(253)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51)는, 상기 퓨즈(230)의 일측 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51)는, 예를 들어 이격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의 공간에 상기 퓨즈(230)의 일측 단자가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52)는, 적어도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52a)와,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 단부(2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52a)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 및 모듈 커버(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 커버(220)의 하면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는 상기 설치 공간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절곡 단부(252b)는, 그 형상에 따라서 상기 제 1 지지부(212)와 밀착되어,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가 상기 모듈 베이스(21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53)는, 예를 들어 상기 연장부(252)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251)는 상기 제 3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253)는, 후술할 수용 홈(216, 도 7 참조)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가, 상기 모듈 베이스(210)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부(252)가 경사부(252a)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253)는 상기 경사부(252a)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52)가 절곡 단부(252b)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253)는 상기 절곡 단부(252b)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부(251), 연장부(252) 및 삽입부(253)는 통전이 가능한 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는 "센싱 부스바"라고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연결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연결 단자(270)는, 접속부(271)와, 연장부(272)와, 삽입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의 접속부(250), 연장부(252) 및 삽입부(253)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의 접속부(271), 연장부(272) 및 삽입부(273)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장부(272)는, 연결 라인(40)(5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72a)(27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72a)(272b)는, 상기 연장부(272)의 테두리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272a)(272b)는, 서로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제 1 고정부(272a)와, 서로 이격되는 갈고리 형상의 제 2 고정부(27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72a)(272b)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고정부(272a)(272b)를 이용하여 연결 라인(40)(5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는, "센싱 터미널"이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27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7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273a)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 돌기(273a)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의 삽입부(253)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에 제 2 연결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7의 I-I'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210)는, 리브(215)와, 수용 홈(216)과, 걸림 돌기(217)와, 걸림 홈(218)과, 열 방출 홀(2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215)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리브(215)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216)은, 하측으로 함몰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수용 홈(216)에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의 삽입부(253) 또는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의 삽입부(27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216)은 상기 리브(215)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됨으로써 규정되는 상기 복수 개의 리브(215) 사이의 공간일 수도 있다.
상기 걸림 돌기(217)는, 상기 삽입부(253)(273)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217)는 상기 수용 홈(216)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217)는 상기 수용 홈(216)에 인접한 리브(215)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일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217)의 상면은 상기 수용 홈(216)의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217)가 형성된 리브(215)는 다른 리브(215)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림 돌기(217)가 형성된 리브(215)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연결 단자를 설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 홈(218)은, 상기 결합 돌기(273a)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250)(27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218)은 상기 수용 홈(216)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218)은 상기 수용 홈(216)에 인접한 리브(215)로부터 함몰되는 홈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홈(218)의 깊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 홈(218)에 대응하는 결합 돌기(273a)의 돌출 길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연결 단자를 설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키면서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 방출 홀(219)은, 상기 연결 단자(250)(27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열 방출 홀(219)은, 상기 수용 홈(216)의 일측에 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 방출 홀(219)은 상기 걸림 돌기(217)가 형성된 리브(215)의 일측에 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림 돌기(217)가 형성된 리브(215)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연결 단자를 설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자 부품 설치에 있어 회로 기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회로 기판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줄여 전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의 제작 및 설치에 필요한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로 기판 자체의 단락 등의 문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 단자의 형상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전자부품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연결 단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경사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연결 단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 단부는 상기 삽입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연결 단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연결 단자.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의 돌출 길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연결 단자.
- 퓨즈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모듈 베이스;
상기 모듈 베이스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퓨즈의 일측 단자와 결합되는 제 1 연결 단자;
상기 모듈 베이스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퓨즈의 타측 단자와 결합되는 제 2 연결 단자; 및
상기 모듈 베이스에 결합되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단자 및 제 2 연결 단자는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센싱 모듈.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베이스는,
하측으로 함몰되는 수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는 센싱 모듈.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센싱 모듈.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홈이 형성되는 센싱 모듈.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의 깊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모듈.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 단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 방출 홀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모듈.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베이스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은 상기 복수 개의 리브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되는 센싱 모듈.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베이스 및 모듈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모듈 커버의 하면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모듈.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베이스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와 밀착되는 절곡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모듈.
- 배터리 셀을 지지하기 위한 셀 프레임;
상기 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셀과 연결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센싱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커넥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퓨즈;
상기 퓨즈의 일측 단자와 결합 가능한 제 1 연결 단자; 및
상기 퓨즈의 타측 단자와 결합 가능한 제 2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단자 및 제 2 연결 단자는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 삽입부 및 접속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828U KR200487172Y1 (ko) | 2013-11-28 | 2013-11-28 |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30009828U KR200487172Y1 (ko) | 2013-11-28 | 2013-11-28 |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02155U true KR20150002155U (ko) | 2015-06-05 |
KR200487172Y1 KR200487172Y1 (ko) | 2018-08-16 |
Family
ID=5351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30009828U KR200487172Y1 (ko) | 2013-11-28 | 2013-11-28 |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87172Y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80181A1 (ko) * | 2016-10-26 | 2018-05-0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인쇄 회로 기판용 커넥터 및 인쇄 회로 기판과 커넥터를 포함한 전지 시스템 |
WO2022260444A1 (ko) * | 2021-06-09 | 2022-12-1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절곡된 형태의 센싱 유닛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7485B1 (ko) * | 2020-11-03 | 2023-08-17 |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 배터리용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3433A (ko) * | 2004-12-24 | 2006-06-2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분리형 커넥팅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이차전지 모듈의제조방법 |
KR20120120675A (ko) * | 2011-04-25 | 2012-11-0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셀의 신호 처리를 위한 센싱 어셈블리를 가지는 배터리 |
KR101240822B1 (ko) * | 2009-10-21 | 2013-03-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조립체 |
KR20130086585A (ko) * | 2013-06-20 | 2013-08-02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
-
2013
- 2013-11-28 KR KR2020130009828U patent/KR200487172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60073433A (ko) * | 2004-12-24 | 2006-06-28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분리형 커넥팅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이차전지 모듈의제조방법 |
KR101240822B1 (ko) * | 2009-10-21 | 2013-03-1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배터리 조립체 |
KR20120120675A (ko) * | 2011-04-25 | 2012-11-02 |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 셀의 신호 처리를 위한 센싱 어셈블리를 가지는 배터리 |
KR20130086585A (ko) * | 2013-06-20 | 2013-08-02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8080181A1 (ko) * | 2016-10-26 | 2018-05-03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인쇄 회로 기판용 커넥터 및 인쇄 회로 기판과 커넥터를 포함한 전지 시스템 |
CN109891660A (zh) * | 2016-10-26 | 2019-06-14 | 三星Sdi株式会社 | 用于印刷电路板的连接器以及包括印刷电路板和连接器的电池系统 |
US11336039B2 (en) | 2016-10-26 | 2022-05-17 | Samsung Sdi Co., Ltd. |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battery system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or |
WO2022260444A1 (ko) * | 2021-06-09 | 2022-12-15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절곡된 형태의 센싱 유닛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87172Y1 (ko) | 2018-08-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94938B2 (ja) | 高電圧用電気接続箱 | |
US7408765B2 (en) | Electric connection box | |
KR100952773B1 (ko) |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버스바 터미널 | |
US20100055962A1 (en) | Electric connection box | |
EP2432091B1 (en) | Bracket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box | |
EP2940759A1 (en) |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 |
JP5051465B2 (ja) | 電気接続箱 | |
KR200487172Y1 (ko) |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
KR20130098412A (ko) | 전자 부품의 접속 구조 | |
JP2006012842A (ja) | リレー及びコネクタ組立体 | |
KR102320036B1 (ko) |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 |
EP2892309A1 (en) | Electric device for electric vehicle | |
US9972823B2 (en) | Fusible link | |
US6916184B2 (en) |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 |
KR20180071155A (ko) | 커넥터 | |
KR102138549B1 (ko) |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
JP2006115638A (ja) | 電気接続箱 | |
KR20070051211A (ko) | 정션박스의 커넥터어셈블리 | |
JP2011147265A (ja) | 電気接続箱 | |
CN205960262U (zh) | 连接端子和电连接器 | |
CN105849978A (zh) | 测试电缆和用于测试电缆的插座适配器 | |
US9078356B2 (en) | Electrical component device | |
KR100547277B1 (ko) | 정션박스용 기판의 터미널 설치구조 | |
JP2016171721A (ja) | 電気接続箱 | |
JP2020022235A (ja) | 電力変換装置及びバスバ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