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2155U -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 Google Patents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2155U
KR20150002155U KR2020130009828U KR20130009828U KR20150002155U KR 20150002155 U KR20150002155 U KR 20150002155U KR 2020130009828 U KR2020130009828 U KR 2020130009828U KR 20130009828 U KR20130009828 U KR 20130009828U KR 20150002155 U KR20150002155 U KR 2015000215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module
insertion portion
fuse
modu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98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7172Y1 (ko
Inventor
박현상
여진환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유)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유)
Priority to KR20201300098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172Y1/ko
Publication of KR201500021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21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1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1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자 부품 설치에 있어 회로 기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회로 기판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줄여 전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의 제작 및 설치에 필요한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로 기판 자체의 단락 등의 문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 단자의 형상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전자부품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A connecting terminal, a sensing module and a battery module comprising the same}
본 고안은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에 관한 것이다.
한국 공개특허 제10-2013-0018494호에 개시되는 전지모듈은, 다수의 전지셀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전지모듈로서, 전지셀들의 전극단자 연결부와 전기적 접속되어 있는 전압 센싱용 단자들, 및 전압 센싱용 단자들과 연결되어 있고 전압 센싱용 단자들의 검출 전압을 모듈 제어부로 전송하는 도전부를 포함하는 전압 센싱부; 및 도전부의 쇼트 발생시 검출 전압의 전송을 중단시키기 위해, 전압 센싱용 단자들과 도전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신호 차단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신호 차단부는 퓨즈를 내장하고 있는 퓨즈 박스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퓨즈 박스는 솔더링에 의해 퓨즈를 장착하고 있는 회로 기판 및 회로 기판을 보호하기 위해 밀폐하는 커버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전지모듈의 신호 차단부에는, 퓨즈 및 전기적 접속을 위한 연결 단자들이, 회로 기판(printed circuit board)에 장착되어 하나의 회로를 구성한다. 따라서, 회로 기판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 비용, 시간 및 노력이 요구되었다.
본 고안의 목적은 회로 기판 없이, 전자 부품을 직접 설치할 수 있는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경사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 단부는 상기 삽입부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의 돌출 길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삽입부 및 접속부는 통전이 가능한 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은, 퓨즈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모듈 베이스; 상기 모듈 베이스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퓨즈의 일측 단자와 결합되는 제 1 연결 단자; 상기 모듈 베이스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퓨즈의 타측 단자와 결합되는 제 2 연결 단자; 및 상기 모듈 베이스에 결합되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단자 및 제 2 연결 단자는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는, 하측으로 함몰되는 수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의 깊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 단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 방출 홀이 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은 상기 복수 개의 리브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베이스 및 모듈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모듈 커버의 하면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와 밀착되는 절곡 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부, 삽입부 및 접속부는 통전이 가능한 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을 지지하기 위한 셀 프레임; 상기 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셀과 연결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센싱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커넥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퓨즈; 상기 퓨즈의 일측 단자와 결합 가능한 제 1 연결 단자; 및 상기 퓨즈의 타측 단자와 결합 가능한 제 2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단자 및 제 2 연결 단자는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 삽입부 및 접속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자 부품 설치에 있어 회로 기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회로 기판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줄여 전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의 제작 및 설치에 필요한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로 기판 자체의 단락 등의 문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 단자의 형상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전자부품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의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에서 모듈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연결 단자의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연결 단자의 사시도.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의 부분 확대도.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에 제 2 연결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7의 I-I'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이하, 본 고안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의 정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모듈(10)은, 셀 프레임(20)과, 커넥터(30)와, 제 1 센싱 모듈(200)과, 제 2 센싱 모듈(300)과, 상기 커넥터(30) 및 제 1 센싱 모듈(200)을 연결하는 제 1 연결 라인(40)과, 상기 커넥터(3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을 연결하는 제 2 연결 라인(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셀 프레임(20)은, 도시되지 않은 배터리 셀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커넥터(30)는,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을 통하여 전달된 전류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은 상기 배터리 셀의 각각의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은 상기 배터리 셀로부터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전기적 접속을 선택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은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센싱 모듈일 수도 있다. 이하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이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 및 제 2 센싱 모듈(300)은 동일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하,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을 편의상 센싱 모듈(200)이라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상기 제 1 센싱 모듈(200)에 대한 설명은 제 2 센싱 모듈(300)에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에서 모듈 커버를 분리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센싱 모듈(200)은, 모듈 베이스(210)와, 모듈 커버(220)와, 퓨즈(230)와, 제 1 연결 단자(250) 및 제 2 연결 단자(27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210)는, 상기 퓨즈(230)를 비롯하여 각종 전자 부품이 설치되기 위한 설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모듈 베이스(210)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를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부(212)와,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를 지지하기 위한 제 2 지지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212) 및 제 2 지지부(214)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212) 및 제 2 지지부(214)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가 제공하는 설치 공간을 중심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220)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에 결합되어 상기 설치 공간을 커버할 수 있다. 상기 모듈 커버(220)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설치 공간과 오버랩되고, 상기 제 1 지지부(212) 및 제 2 지지부(214)와는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퓨즈(230)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10) 및 제 2 연결 단자(27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퓨즈(230)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10) 및 제 2 연결 단자(270) 사이에 흐르는 전압 또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서, 전기적 접속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퓨즈(230)가 단락되면, 상기 커넥터(30)로 공급되는 전압 또는 전류가 차단됨으로써, 상기 배터리 모듈(10)과 연결된 장치의 고장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의 일측은 상기 퓨즈(230)의 일측 단자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배터리 셀의 일측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의 일측은 상기 퓨즈(230)의 타측 단자와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 1 연결 라인(40)(또는 제 2 연결 라인(50))을 통하여 상기 커넥터(30)에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연결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1 연결 단자(250)는, 연장부(252)와, 상기 연장부(252)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253)와, 상기 삽입부(253)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51)는, 상기 퓨즈(230)의 일측 단자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속부(251)는, 예를 들어 이격된 복수의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의 공간에 상기 퓨즈(230)의 일측 단자가 삽입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에 의해 가압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52)는, 적어도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252a)와,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 단부(25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부(252a)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 및 모듈 커버(220)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모듈 커버(220)의 하면에 의하여 가압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는 상기 설치 공간 내부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절곡 단부(252b)는, 그 형상에 따라서 상기 제 1 지지부(212)와 밀착되어,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가 상기 모듈 베이스(210)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253)는, 예를 들어 상기 연장부(252)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제 1 부분과,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수평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과, 상기 제 2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제 3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251)는 상기 제 3 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253)는, 후술할 수용 홈(216, 도 7 참조)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가, 상기 모듈 베이스(210)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장부(252)가 경사부(252a)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253)는 상기 경사부(252a)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252)가 절곡 단부(252b)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삽입부(253)는 상기 절곡 단부(252b)의 반대편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속부(251), 연장부(252) 및 삽입부(253)는 통전이 가능한 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는 "센싱 부스바"라고 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연결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제 2 연결 단자(270)는, 접속부(271)와, 연장부(272)와, 삽입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의 접속부(250), 연장부(252) 및 삽입부(253)에 대한 설명은,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의 접속부(271), 연장부(272) 및 삽입부(273)에 적용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연장부(272)는, 연결 라인(40)(5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272a)(27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72a)(272b)는, 상기 연장부(272)의 테두리측에서 내측으로 절곡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고정부(272a)(272b)는, 서로 연결되는 고리 형상의 제 1 고정부(272a)와, 서로 이격되는 갈고리 형상의 제 2 고정부(27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72a)(272b)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은 아님을 밝혀둔다. 상기 고정부(272a)(272b)를 이용하여 연결 라인(40)(50)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는, "센싱 터미널"이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삽입부(273)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27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돌기(273a)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결합 돌기(273a)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의 삽입부(253)에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8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에 제 2 연결 단자가 결합된 상태에서, 도 7의 I-I' 절개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베이스(210)는, 리브(215)와, 수용 홈(216)과, 걸림 돌기(217)와, 걸림 홈(218)과, 열 방출 홀(21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브(215)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바닥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리브(215)는, 상기 모듈 베이스(21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216)은, 하측으로 함몰되는 공간일 수 있다. 상기 수용 홈(216)에는, 상기 제 1 연결 단자(250)의 삽입부(253) 또는 상기 제 2 연결 단자(270)의 삽입부(273)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수용 홈(216)은 상기 리브(215)가 서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복수 개 형성됨으로써 규정되는 상기 복수 개의 리브(215) 사이의 공간일 수도 있다.
상기 걸림 돌기(217)는, 상기 삽입부(253)(273)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217)는 상기 수용 홈(216)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217)는 상기 수용 홈(216)에 인접한 리브(215)로부터 돌출되는 돌기일 수 있다.
상기 걸림 돌기(217)의 상면은 상기 수용 홈(216)의 내측으로 갈수록 하향 경사질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 돌기(217)가 형성된 리브(215)는 다른 리브(215)와 이격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림 돌기(217)가 형성된 리브(215)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연결 단자를 설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걸림 홈(218)은, 상기 결합 돌기(273a)와 결합되어 상기 연결 단자(250)(270)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218)은 상기 수용 홈(216)의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 홈(218)은 상기 수용 홈(216)에 인접한 리브(215)로부터 함몰되는 홈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걸림 홈(218)의 깊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 홈(218)에 대응하는 결합 돌기(273a)의 돌출 길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연결 단자를 설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키면서도,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열 방출 홀(219)은, 상기 연결 단자(250)(270)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열 방출 홀(219)은, 상기 수용 홈(216)의 일측에 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열 방출 홀(219)은 상기 걸림 돌기(217)가 형성된 리브(215)의 일측에 천공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걸림 돌기(217)가 형성된 리브(215)의 변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하여, 연결 단자를 설치하기 위해 요구되는 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전자 부품 설치에 있어 회로 기판이 요구되지 않으므로, 회로 기판의 설치에 필요한 공간을 줄여 전체 제품을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회로 기판의 제작 및 설치에 필요한 비용 및 노력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회로 기판 자체의 단락 등의 문제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회로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연결 단자의 형상에 따르면 안정적으로 전자부품이 지지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고안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5)

  1.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연결 단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경사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연결 단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하측으로 절곡되는 절곡 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 단부는 상기 삽입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연결 단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는 연결 단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돌기의 돌출 길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연결 단자.
  6. 퓨즈가 설치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모듈 베이스;
    상기 모듈 베이스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퓨즈의 일측 단자와 결합되는 제 1 연결 단자;
    상기 모듈 베이스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퓨즈의 타측 단자와 결합되는 제 2 연결 단자; 및
    상기 모듈 베이스에 결합되는 모듈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단자 및 제 2 연결 단자는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는 센싱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베이스는,
    하측으로 함몰되는 수용 홈을 포함하고,
    상기 삽입부는, 상기 수용 홈에 삽입되는 센싱 모듈.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삽입부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걸림 돌기가 형성되는 센싱 모듈.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결합 돌기와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걸림 홈이 형성되는 센싱 모듈.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 홈의 깊이는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감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모듈.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홈의 일측에는 상기 연결 단자에서 발생되는 열을 방출하기 위한 열 방출 홀이 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모듈.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베이스는, 복수 개의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 홈은 상기 복수 개의 리브 사이의 공간으로 규정되는 센싱 모듈.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적어도 일부가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 베이스 및 모듈 커버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부는 상기 모듈 커버의 하면에 의하여 가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모듈.
  14.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베이스는, 외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부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는, 하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지지부와 밀착되는 절곡 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싱 모듈.
  15. 배터리 셀을 지지하기 위한 셀 프레임;
    상기 셀 프레임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배터리 셀과 연결되는 센싱 모듈; 및
    상기 센싱 모듈과 연결되어 상기 배터리 셀의 전원을 외부로 전달하기 위한 커넥터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모듈은,
    상기 커넥터로 전달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는 퓨즈;
    상기 퓨즈의 일측 단자와 결합 가능한 제 1 연결 단자; 및
    상기 퓨즈의 타측 단자와 결합 가능한 제 2 연결 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연결 단자 및 제 2 연결 단자는 중 적어도 하나의 연결 단자는,
    연장부;
    상기 연장부로부터 하측으로 절곡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로부터 상측으로 절곡되는 접속부를 포함하며,
    상기 연장부, 삽입부 및 접속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모듈.
KR2020130009828U 2013-11-28 2013-11-28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04871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828U KR200487172Y1 (ko) 2013-11-28 2013-11-28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9828U KR200487172Y1 (ko) 2013-11-28 2013-11-28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2155U true KR20150002155U (ko) 2015-06-05
KR200487172Y1 KR200487172Y1 (ko) 2018-08-16

Family

ID=535131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9828U KR200487172Y1 (ko) 2013-11-28 2013-11-28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172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181A1 (ko) * 2016-10-26 2018-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인쇄 회로 기판용 커넥터 및 인쇄 회로 기판과 커넥터를 포함한 전지 시스템
WO2022260444A1 (ko) * 2021-06-09 2022-12-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절곡된 형태의 센싱 유닛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67485B1 (ko) * 2020-11-03 2023-08-17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배터리용 전기적 연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433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형 커넥팅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이차전지 모듈의제조방법
KR20120120675A (ko) * 2011-04-25 2012-11-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셀의 신호 처리를 위한 센싱 어셈블리를 가지는 배터리
KR101240822B1 (ko) * 2009-10-21 2013-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조립체
KR20130086585A (ko) * 2013-06-20 2013-08-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73433A (ko) * 2004-12-24 2006-06-28 주식회사 엘지화학 분리형 커넥팅 부재 및 그것을 이용한 이차전지 모듈의제조방법
KR101240822B1 (ko) * 2009-10-21 2013-03-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조립체
KR20120120675A (ko) * 2011-04-25 2012-11-02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셀의 신호 처리를 위한 센싱 어셈블리를 가지는 배터리
KR20130086585A (ko) * 2013-06-20 2013-08-02 (주)우주일렉트로닉스 벌브홀더 브라켓의 수평 결합형 단자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0181A1 (ko) * 2016-10-26 2018-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인쇄 회로 기판용 커넥터 및 인쇄 회로 기판과 커넥터를 포함한 전지 시스템
CN109891660A (zh) * 2016-10-26 2019-06-14 三星Sdi株式会社 用于印刷电路板的连接器以及包括印刷电路板和连接器的电池系统
US11336039B2 (en) 2016-10-26 2022-05-17 Samsung Sdi Co., Ltd.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 and battery system comprising printed circuit board and connector
WO2022260444A1 (ko) * 2021-06-09 2022-12-1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절곡된 형태의 센싱 유닛을 포함하는 전지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172Y1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94938B2 (ja) 高電圧用電気接続箱
US7408765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KR100952773B1 (ko)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버스바 터미널
US20100055962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EP2432091B1 (en) Bracket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box
EP2940759A1 (en) Protective circuit module, and battery module comprising same
JP5051465B2 (ja) 電気接続箱
KR200487172Y1 (ko) 연결 단자, 센싱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모듈
KR20130098412A (ko) 전자 부품의 접속 구조
JP2006012842A (ja) リレー及びコネクタ組立体
KR102320036B1 (ko) 배터리 모듈 어셈블리
EP2892309A1 (en) Electric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9972823B2 (en) Fusible link
US6916184B2 (en)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KR20180071155A (ko) 커넥터
KR102138549B1 (ko)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2006115638A (ja) 電気接続箱
KR20070051211A (ko) 정션박스의 커넥터어셈블리
JP2011147265A (ja) 電気接続箱
CN205960262U (zh) 连接端子和电连接器
CN105849978A (zh) 测试电缆和用于测试电缆的插座适配器
US9078356B2 (en) Electrical component device
KR100547277B1 (ko) 정션박스용 기판의 터미널 설치구조
JP2016171721A (ja) 電気接続箱
JP2020022235A (ja) 電力変換装置及びバス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