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549B1 -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549B1
KR102138549B1 KR1020130150017A KR20130150017A KR102138549B1 KR 102138549 B1 KR102138549 B1 KR 102138549B1 KR 1020130150017 A KR1020130150017 A KR 1020130150017A KR 20130150017 A KR20130150017 A KR 20130150017A KR 102138549 B1 KR102138549 B1 KR 102138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ircuit board
leg
support
electronic compon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0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5007A (ko
Inventor
임근택
이창호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0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549B1/ko
Priority to CN201410725940.7A priority patent/CN104701112A/zh
Publication of KR20150065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5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2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associated with components mounted in the printed circuit board, e.g. insert mounted components [IM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16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manufacturing contact members, e.g. by punching and by ben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86Replacement and removal of compon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81Fus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227Other objects, e.g. metallic pieces
    • H05K2201/10393Clamping a component by an element or a set of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은, 복수의 다리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에 제공되어, 회로 기판의 일 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부; 및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지지부보다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회로 기판의 타 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미널에 설치되는 전자 부품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수리 및 교체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길이가 긴 단자를 갖는 전자 부품을 설치함에 있어서, 회로 기판으로부터 전자 부품 상단까지의 높이를 축소시킴으로써, 불필요한 공간(dead space)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체 제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로 기판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전체 높이를 줄여 소형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소형화에 따라 제품의 제조에 필요한 소재를 줄일 수 있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회로 기판의 하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감싸는 형상으로 제공되므로, 날카로운 단자의 단부에 의해 인접한 다른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A terminal, a circuit-board comprising the termianl and manufacture methods thereof}
본 발명은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 평8-315719호에는, 회로 기판(3)과, 상기 회로 기판(3)에 설치되는 퓨즈(1)와, 상기 퓨즈(1)의 단자(1a)(1b)를 상기 회로 기판(3)에 설치하기 위한 클램프(2a)(2b)가 개시된다.
이러한 설치 구조는 관 형상으로 제작되는 전자 부품에만 적용이 가능하며, 블레이드 타입의 퓨즈(blade type fuse) 등 다리 형태의 단자를 포함하고 있는 전자부품에는 적용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일본 공개특허 제2006-318768호에는, 회로기판(21)과, 상기 회로 기판(21)에 설치되는 다리 형태의 단자(34)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1)이 개시된다. 그리고 상기 단자(34)를 상기 회로 기판(21)에 안정적으로 접속되게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결합 부재(25)가 개시된다.
이러한 설치 구조에 의하면, 전자 부품의 교체 필요성이 있는 경우에 먼저 결합 부재를 제거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전자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었다. 또한, 단자의 길이가 짧은 경우 예상치 못한 외력에 의해 전자 부품이 쉽게 이탈되어 전기적 접속이 단락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다. 단자의 길이를 길게 제공함으로써, 이러한 염려를 방지할 수 있으나, 이 경우, 회로 기판 하측으로 날카로운 단자가 노출되어 인접한 부품에 손상을 미칠 염려가 있었으며, 회로 기판으로부터 전자 부품 상단까지의 전체 높이가 증가하게 되어, 전체 회로 기판 모듈의 부피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외형의 대부분이 인쇄 회로 기판의 상면에 위치하여 전체 하우징의 형상을 복잡하게 하고, 상부 공간이 많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 기판에 설치되는 전자 부품의 교체가 용이하고, 안정적으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전체 부피를 소형화할 수 있는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은, 복수의 다리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에 제공되어, 회로 기판의 일 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부; 및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지지부보다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회로 기판의 타 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는, 상기 하나의 다리부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다른 다리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로 기판에 설치되는 전자 부품의 단자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의 단면적은,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에는, 홀(hole)이 천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홀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지지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다리부에 형성되는 돌기이거나, 상기 다리부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다리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길이가 짧아지는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회로 기판 모듈은,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부품; 및 상기 전자 부품의 단자부를 양측에서 가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다리부와, 상기 복수의 다리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회로 기판의 타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터미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의 제조 방법은, 플레이트의 양측을 절곡하여 두 개의 다리부를 형성하는 단계; 플레이트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의 단부를 절곡하여 상측 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플레이트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곡함으로써, 홀(hole)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측 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의 제조 방법은, 플레이트의 양측을 절곡하여 두 개의 다리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두 개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의 상측을 절곡하여 상측 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두 개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곡함으로써, 홀(hole)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측 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은, 본체 및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을 회로 기판에 고정하기 위한 터미널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에 전달되는 전류에 통전되는 회로 기판 지지부; 및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전자 부품의 단자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로 기판을 기준으로 상기 전자부품의 본체의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회로 기판 모듈은, 회로 기판과, 본체 및 단자를 포함하는 전자 부품을 상기 회로 기판에 고정하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은, 상기 터미널에 전달되는 전류에 통전되는 인쇄회로기판 지지부;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전자 부품의 단자를 고정하는 고정부; 및 상기 지지부 및 고정부를 연결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회로 기판을 기준으로 상기 전자 부품의 본체의 반대편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회로 기판에는, 상기 터미널을 삽입 고정하기 위한 터미널 삽입 홀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터미널 삽입 홀과 오버랩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미널에 설치되는 전자 부품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수리 및 교체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길이가 긴 단자를 갖는 전자 부품을 설치함에 있어서, 회로 기판으로부터 전자 부품 상단까지의 높이를 축소시킴으로써, 불필요한 공간(dead space)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체 제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로 기판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전체 높이를 줄여 소형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소형화에 따라 제품의 제조에 필요한 소재를 줄일 수 있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회로 기판의 하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감싸는 형상으로 제공되므로, 날카로운 단자의 단부에 의해 인접한 다른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이 설치된 회로 기판 모듈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이 설치된 회로 기판 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절개선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이 설치된 회로 기판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절개선 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회로 기판 모듈(10)은, 회로 기판(11)과, 하우징(12)과, 전자 부품(13)과, 터미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1)은, 상기 전자 부품(13)과 다른 전자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11)은, 회로 기판 본체(11a)와, 상기 터미널(100)이 삽입될 수 있는 터미널 삽입 홀(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회로 기판(11)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전자 부품(13)을 수용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상기 전자 부품(13)을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12)은, 하우징 본체(12a)와, 상기 전자 부품(13)을 수용하기 위한 부품 수용 홈(1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13)은, 상기 회로 기판(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13)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단자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13)은 예를 들어, 퓨즈일 수 있다. 특히, 다리 형태의 단자를 가지는 블레이트 타입 퓨즈(blade type fuse)일 수 있다. 상기 퓨즈는 과전류 상태에서 전기적 접속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13)은, 상기 부품 수용 홈(12b)에 삽입되는 부품 본체(13a)와, 상기 부품 본체(13a)로부터 돌출되는 단자부(1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자부(13b)는, 상기 하우징(12) 및 터미널 삽입 홀(11b)을 관통하여, 상기 터미널(1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0)은, 상기 회로 기판(11) 및 전자 부품(13) 사이에 개입되어, 상기 전자 부품(13)을 상기 회로 기판(1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0)은, 상기 전자 부품(13)의 단자부(13b)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상기 전자 부품(13)이 상기 회로 기판(11)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100)은, 연결부(110)와, 다리부(120)와, 제 1 지지부(130)와, 제 2 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0)는, 복수의 다리부(12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회로 기판(11)의 하측에서 상기 복수의 다리부(12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110)는, 상기 전자 부품(13)의 단자부(13b)와 상하 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전자 부품(13)의 단자부(13b)가 하측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다리부(120)는, 상기 연결부(110)의 양측에서 일측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다리부(120)는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서 상기 다리부(120)의 개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두 개의 다리부(120)가 서로 대향하는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다리부(120)는, 고정부(122)와, 홀(hole, 124)과, 접촉부(1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2), 홀(124) 및 접촉부(126)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120)에 모두 형성되거나, 어느 하나의 다리부(120)에만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고정부(122)는, 상기 복수의 다리부(120) 중 하나의 다리부에 구비되며, 반대편에 위치하는 다른 다리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13)의 단자부(13b)는 상기 고정부(122) 및 상기 다른 다리부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고정부(122)의 가압력(또는 탄성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122)는, 도 1과 같이 상기 다리부(120)의 일측이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홀(124)은, 상기 다리부(120)에 천공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홀(124)은, 예를 들어 상기 다리부(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천공될 수 있다. 상기 홀(124)은, 상기 다리부(120)의 탄성 변형률을 증가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홀(124)에 의해, 상기 다리부(120)는 상기 연결부(110)보다 더 큰 유연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부품(13)의 단자부(13b)가 상기 고정부(122)에 삽입되는 경우, 상기 다리부(120)가 변형되면서 외력을 흡수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연결부(110)에 지나친 외력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터미널(10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다리부(120) 및 연결부(110)의 모양, 재질, 크기 등을 변형시켜, 상기 다리부(120)의 탄성 변형률을 증가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일 예로, 상기 다리부(120)의 단면적을 상기 연결부(110)의 단면적보다 작게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다리부(120)의 두께를 상기 연결부(110)의 두께보다 작게 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26)는, 상기 회로 기판(11)의 터미널 삽입 홀(11b)의 내벽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접촉부(126)는 상기 터미널 삽입 홀(11b)의 내벽에 지지되어, 상기 터미널(100)이 상기 터미널 삽입 홀(11b)에서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지지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130)는, 상기 다리부(120)에 제공되어, 상기 회로 기판 본체(11a)의 일 면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상기 제 1 지지부(130)는 상기 회로 기판 본체(11a)의 상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130)는, 상기 회로 기판 본체(11a)의 상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 기판 본체(11a)의 상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130)는, 상기 다리부(120)의 상단을 일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140)는, 상기 다리부(120)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지지부(130)보다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회로 기판 본체(11a)의 타 면을 지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3과 같이, 상기 제 2 지지부(140)는 상기 회로 기판 본체(11a)의 하면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140)는, 상기 회로 기판 본체(11a)의 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회로 기판 본체(11a)의 하면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140)는, 상기 홀(124)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140)는, 상기 홀(124)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142)과, 상기 제 1 부분(142)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14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142)은, 예를 들어 상기 홀(124)의 하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상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142)은, "경사부"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부분(142)의 형상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100)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터미널 삽입 홀(11b)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지면서, 동시에 상기 터미널(100)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142)에 의해 상기 터미널(100)은 상기 회로 기판(11)에 스냅(snap)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부분(142)이 외측으로 연장됨에 따라서, 상기 제 2 부분(144)이 상기 회로 기판(11)과 접촉되는 지지점의 간격이 넓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터미널(100)이 상기 회로 기판(11)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144)은, 상기 제 1 지지부(130) 또는 상기 회로 기판(11)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144)은, 상기 제 1 부분(142)으로부터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144)의 단부는 상기 회로 기판 본체(11a)의 하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부분(144)은, "수직부"라고 할 수도 있다. 상기 제 2 부분(144)의 형상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100)이 상기 회로 기판 본체(11a)의 하면에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부(110), 다리부(120), 상측 지지부(130) 및 하측 지지부(140)는, 전도성 물질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 한편, 상기 제 1 지지부(130) 및 제 2 지지부(140)는 그 위치 관계에 따라서, 각각 "상측 지지부" 및 "하측 지지부"라고 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100)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터미널(100)의 제조 방법은, 다리부(120)를 형성하는 단계(S100)와, 상측 지지부(130)를 형성하는 단계(S200)와, 하측 지지부(140)를 형성하는 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100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플레이트(plate)의 양측을 절곡함으로써, 두 개의 다리부(12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계 S200는, 상기 두 개의 다리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의 상측을 절곡하여 상측 지지부(130)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상측 지지부(130)는 각각의 다리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단계 S300은, 상기 두 개의 다리부(120) 중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곡함으로써, 홀(hole)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측 지지부(140)를 형성하는 단계(S120)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하측 지지부(140)는 각각의 다리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단계 S100 내지 단계 S300의 순서는 구속되지 않는다. 일 예로, 플레이트의 양측을 절곡하여 다리부를 먼저 형성하고(S100), 형성된 다리부에 상측 지지부 및/또는 하측 지지부를 형성(S200)(S300)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플레이트의 양측 또는 일측에 상측 지지부 및/또는 하측 지지부를 형성(S200)(S300)한 다음, 상측 지지부 및/또는 하측 지지부를 포함하는 부분을 절곡하여 다리부를 형성(S100)하는 것도 가능하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의 제조 방법은, 플레이트의 양측을 절곡하여 두 개의 다리부를 형성하는 단계; 플레이트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의 단부를 절곡하여 상측 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플레이트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의 일부를 절개하여 절곡함으로써, 홀(hole)을 형성함과 동시에 하측 지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단계의 순서는 구속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터미널이 설치된 회로 기판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절개선 II-II’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3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동일한 명칭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의 설명을 차용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회로 기판 모듈(20)은, 회로 기판(21)과, 하우징(22)과, 전자 부품(23)과, 터미널(2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로 기판(21)은, 회로 기판 본체(21a)와, 터미널 삽입 홀(2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22)은, 하우징 본체(22a)와, 부품 수용 홈(2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자 부품(23)은, 부품 본체(23a)와, 단자부(23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200)은, 연장부(210)와, 다리부(220)와, 제 1 지지부(230)와, 제 2 지지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부(220)는, 고정부(222)와, 홀(224)과, 접촉부(22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222)는, 상기 다리부(220)에 형성되는 돌기일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240)는, 상기 다리부(220)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길이가 짧아질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240)의 형상에 따르면, 상기 터미널(200)을 상방으로부터 하방으로 상기 터미널 삽입 홀(21b)에 삽입하는 것이 용이해지면서, 동시에 상기 터미널(200)이 상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터미널(200)은 상기 회로 기판(21)에 스냅(snap) 체결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터미널에 설치되는 전자 부품의 탈부착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수리 및 교체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길이가 긴 단자를 갖는 전자 부품을 설치함에 있어서, 회로 기판으로부터 전자 부품 상단까지의 높이를 축소시킴으로써, 불필요한 공간(dead space)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전체 제품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회로 기판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길이를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전체 높이를 줄여 소형화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소형화에 따라 제품의 제조에 필요한 소재를 줄일 수 있으므로 비용적인 측면에서도 유리한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회로 기판의 하부로 노출되는 단자를 감싸는 형상으로 제공되므로, 날카로운 단자의 단부에 의해 인접한 다른 부품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복수의 다리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에 제공되어, 회로 기판의 일 면을 지지하기 위한 제 1 지지부; 및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리부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제 1 지지부보다 하측에 제공되어, 상기 회로 기판의 타 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어느 하나의 다리부는, 다른 하나의 다리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로 기판에 설치되는 전자 부품의 단자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고정부의 절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다리부에는 상기 제 2 지지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다리부에 천공 형성되는 홀이 구비되는 터미널.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적어도 하나의 다리부의 단면적은, 상기 연결부의 단면적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홀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홀의 일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 1 부분; 및
    상기 제 1 부분으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제 2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분은, 상기 제 1 지지부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다리부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며, 상측으로부터 하측으로 갈수록 돌출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10. 회로 기판;
    상기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자 부품; 및
    상기 전자 부품의 단자부를 양측에서 가압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복수의 다리부와, 상기 복수의 다리부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와, 상기 회로 기판의 일면을 지지하는 제 1 지지부와, 상기 회로 기판의 타면을 지지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터미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다리부 중 어느 하나의 다리부는, 다른 하나의 다리부가 위치된 방향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회로 기판에 설치되는 전자 부품의 단자부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지지부는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되어 상기 고정부의 절곡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하나의 다리부에는 상기 제 2 지지부가 상기 고정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상기 어느 하나의 다리부에 천공 형성되는 홀이 구비되는 회로 기판 모듈.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KR1020130150017A 2013-12-04 2013-12-04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8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017A KR102138549B1 (ko) 2013-12-04 2013-12-04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201410725940.7A CN104701112A (zh) 2013-12-04 2014-12-04 端子、包括该端子的电路板模块以及制造该端子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0017A KR102138549B1 (ko) 2013-12-04 2013-12-04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007A KR20150065007A (ko) 2015-06-12
KR102138549B1 true KR102138549B1 (ko) 2020-07-28

Family

ID=5334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0017A KR102138549B1 (ko) 2013-12-04 2013-12-04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38549B1 (ko)
CN (1) CN10470111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91660B (zh) * 2016-10-26 2022-04-19 三星Sdi株式会社 用于印刷电路板的连接器以及包括印刷电路板和连接器的电池系统
DE102017103843B4 (de) * 2017-02-24 2018-11-15 Lisa Dräxlmaier GmbH Fixierelement für eine Stromschnittstelle, Stromschnittstelle und damit ausgestatteter Träger
KR102497452B1 (ko) * 2020-05-22 2023-02-08 주식회사 에이치엘클레무브 터미널 단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13149A (zh) * 2006-06-27 2009-08-19 莫列斯公司 焊球插座连接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79634A (en) * 1967-10-25 1969-11-18 Amp Inc Printed circuit board connectors
ES271074Y (es) * 1983-03-14 1984-05-01 Terminal hembra perfeccionado aplicable a circuitos impresos.
US5017159A (en) * 1989-10-02 1991-05-21 Zierick Manufacturing Corporation Solid single leg terminal
JP2007141570A (ja) * 2005-11-16 2007-06-07 Tokai Rika Co Ltd 雌コネクタ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513149A (zh) * 2006-06-27 2009-08-19 莫列斯公司 焊球插座连接器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프랑스 공개특허 FR 2542964 A1(1984.09.21.) 1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5007A (ko) 2015-06-12
CN104701112A (zh) 2015-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2773B1 (ko)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버스바 터미널
JP5016692B2 (ja) ソケットコネクタ
US20140198470A1 (en) Printed circuit board stack
US7112071B2 (en) Structure for attaching a terminal to a circuit board
US741938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8957308B2 (en) Electrical connection box
JP4055662B2 (ja) 電気接続箱
CN101511153B (zh) 带印刷电路板的电子装置外壳和制造电子装置外壳的方法
EP2432091B1 (en) Bracket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box
US9942996B2 (en) Electronic circuit unit
KR20110025589A (ko) 기판 접속 커넥터
KR102138549B1 (ko)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JP2016096021A (ja) 基板端子付プリント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気接続箱
KR20170055008A (ko) 터미널, 터미널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 모듈
US8867220B2 (en) Packaging board with visual recognition windows
KR100955056B1 (ko) 기판조립체
JP5108710B2 (ja) 電気コネクタ
JP4800079B2 (ja) 電気接続箱
US9437992B2 (en) Busbar
JP2011254647A (ja) 電気接続箱
JP2014203716A (ja) 雌コネクタ及び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CN109196744B (zh) 基板单元
JP2006040884A (ja) 端子付きプリント配線基板
KR20180052376A (ko) 포크 단자 및 이를 갖는 정션 박스
JP5618140B2 (ja) 回路構成体および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