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3590Y1 - 램프홀더용 터미널 - Google Patents

램프홀더용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3590Y1
KR200423590Y1 KR2020060014576U KR20060014576U KR200423590Y1 KR 200423590 Y1 KR200423590 Y1 KR 200423590Y1 KR 2020060014576 U KR2020060014576 U KR 2020060014576U KR 20060014576 U KR20060014576 U KR 20060014576U KR 200423590 Y1 KR200423590 Y1 KR 2004235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terminal
pressing portion
base
rear e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45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준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600145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359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35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359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1/00One pole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램프홀더용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적어도 선단이 판상으로 구성되고 랜스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단을 따라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고 그 후단이 연결목부를 통해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램프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램프누름부의 후단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해당되는 램프누름부의 폭(w)이 상기 연결목부의 폭(w)보다 크지 않게 된다. 상기 램프누름부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상대 램프누름부와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되어 램프의 삽입을 안내하는 램프삽입가이드부와, 상기 램프삽입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램프의 베이스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램프와 실질적으로 전기적 연결되는 베이스접압부와, 상기 베이스접압부와 상기 연결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램프의 베이스에 밀착되는 램프누름부 사이의 간격이 오랜동안 유지될 수 있고, 램프누름부 사이에 램프의 베이스를 삽입할 때 발생하는 탄성탄성변형의 위치가 램프누름부의 선단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일어나므로 램프홀더에 의한 스토핑이 쉽게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소성변형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터미널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램프홀더, 터미널, 탄성변형

Description

램프홀더용 터미널{Terminal for lamp holder}
도 1은 일반적인 램프와 종래 기술에 의한 램프홀더용 터미널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램프홀더용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램프홀더용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실시예의 터미널의 요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터미널이 탄성변형되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터미널의 요부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7a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설명도.
도 7b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설명도.
도 7c는 종래 기술의 터미널에서 탄성변형이 이루어지는 것을 보인 설명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 램프 13: 베이스
15: 베이스홈 17: 리드와이어
20: 터미널 22: 몸체
24: 랜스 26: 램프삽입가이드편
28: 조립가이드경사부 30: 램프누름부
32: 연결목부 34: 램프삽입가이드부
36: 베이스접압부 38: 연결부
40: 절결부 42: 스토퍼
44: 와이어바렐 46: 인슐레이션바렐
본 고안은 램프홀더용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는 램프홀더용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램프홀더란 광을 발생시키는 램프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부분으로, 상기 램프홀더의 내부에 터미널이 설치되어 상기 램프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는 일반적인 램프와 상기 램프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터미널의 구성이 분해사시도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터미널(1)은 도전성의 금속재질로 만들어진 것으로, 대략 판상의 몸체(3)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3)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판형상으로 된다. 상기 몸체(3)의 중간 양단에서 연장된 연결목부(5)에는 램프누름부(7)가 각각 구비된다. 상기 램프누름부(7)는 상기 몸체(3)의 연장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대적으로 폭이 좁고 길이가 긴 판형상이다. 상기 램프누름부(7)는 상기 몸체(3)의 양단에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상기 램프누름부(7)의 선단은 몸체(3)의 양측 방향으로 절곡되어 두개의 램프누름부(7)사이의 간격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고, 중간부분은 아래에서 설명될 램프(11)의 베이스(13)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대적으로 폭이 좁게 형성된다.
상기 몸체(3)의 후단에는 와이어바렐(9)과 인슐레이션바렐(10)이 차례로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바렐(9)은 전선의 와이어를 감싸 압착하여 터미널(1)과 전선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0)은 전선의 표피를 잡아 전선과 터미널(1)을 서로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도면 부호 8은 아래에서 설명될 베이스(15)가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스토퍼이다.
램프(11)는 내부에 필라멘트(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전원을 받아 광을 발광하는 것이다. 상기 램프(11)의 후단에는 상기 터미널(1)이 결합되는 베이스(13)가 구비된다. 상기 베이스(13)는 대략 납작한 형상을 가지는데, 횡방향으로 베이스홈(15)이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홈(15)은 상기 베이스(13)의 양면에 각각 2개씩 총 4개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13)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베이스홈(15)을 가로지르도록 리드와이어(15)가 구비된다. 상기 리드와이어(15)는 상기 필라멘트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또한 상기 터미널(1)과도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터미널(1)과 램프(11)에서 상기 터미널(1)은 2개가 상기 몸체(3)와 램프누름부(7)가 서로 마주보게 램프홀더의 내부에 설치되어 각각의 램 프누름부(7)가 상기 베이스(13)의 양단에서 각각 양면에 밀착되어 각각의 상기 리드와이어(15)와 전기적으로 접촉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터미널(1)의 램프누름부(7)사이에 상기 램프(11)의 베이스(13)가 여러번 삽입되었다 빠지기를 반복하면 상기 터미널(1)에 소성변형이 발생하여 램프누름부(7) 사이의 간격이 달라지게 되어 램프(11)와 터미널(1) 사이의 전기적 연결 특성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때,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램프누름부(7) 사이의 간격이 더 넓어지도록 터미널(1)에 소성변형이 발생한다. 이와 같은 형태로 램프누름부(7)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는 것은 소성변형이 상기 연결목부(5)에서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실제로 상기 램프누름부(7)의 탄성변형은 양단의 램프누름부(7)의 서로 마주보는 면 사이 모든 거리가 각각의 폭방향에서 일정하게 이루어져야 하나, 종래 기술에서는 도 2를 기준으로 램프누름부(7)의 상단부 사이가 상대적으로 더 멀어지도록 탄성변형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연결목부(5)에 상대적으로 큰 모멘트가 작용하면서 소성변형이 연결목부(5)에서 발생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램프홀더용 터미널에서 램프의 베이스에 밀착되는 램프누름부 사이의 간격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램프홀더용 터미널에서 대응되는 램프누름부의 탄성변형이 서로 마주보는 대응되는 폭방향의 위치에서 전체적으로 같은 거리만큼 멀어지도록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본 고안은 적어도 선단이 판상으로 구성되고 랜스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단을 따라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고 그 후단이 연결목부를 통해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램프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램프누름부의 후단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해당되는 램프누름부의 폭(w)이 상기 연결목부의 폭(w)보다 크지 않게 된다.
상기 램프누름부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상대 램프누름부와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되어 램프의 삽입을 안내하는 램프삽입가이드부와, 상기 램프삽입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램프의 베이스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램프와 실질적으로 전기적 연결되는 베이스접압부와, 상기 베이스접압부와 상기 연결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램프삽입가이드부에는 상기 몸체와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좁게 만드는 변형방지부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절결부는 원형 또는 사각형상으로 된다.
상기 몸체의 후단에는 전원측과의 연결을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되는데,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가 연결되는 바렐이나 별도의 커넥터와 결합되는 전원접속 부가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램프의 베이스에 밀착되는 램프누름부 사이의 간격이 오랜동안 유지될 수 있고, 서로 마주보는 램프누름부의 탄성변형이 서로 마주보는 면이 폭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멀어지도록 이루어져 램프측과의 접촉이 항상 일정하게 이루어지며, 램프누름부 사이에 램프의 베이스를 삽입할 때 발생하는 탄성탄성변형의 위치가 램프누름부의 선단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일어나므로 램프홀더에 의한 스토핑이 쉽게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소성변형의 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어 터미널의 내구성이 높아지는 이점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램프홀더용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의한 램프홀더용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본 고안 실시예의 터미널의 요부 구성이 측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터미널(20)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터미널(20)은 소정의 폭을 가지는 띠모양의 모재를 프로그레시브 금형을 통과시키면서 연속적으로 프레스 가공을 하여 만들어낸다.
상기 터미널(20)의 골격을 몸체(22)가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 몸체(22)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판상으로 된다. 상기 몸체(22)에는 랜스(24)가 형성된다. 상기 랜스(24)는 상기 몸체(22)의 일부를 잘라 절곡한 것으로 램프홀더(도시되지 않음)에 터미널(20)이 설치되었을 때, 램프(11)의 삽입력 등에 의해 터미널(20)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22)의 선단에는 램프삽입가이드편(26)이 절곡되어 형성된다. 상기 램프삽입가이드편(26)은 상기 몸체(22)의 폭보다 좁은 폭을 가지고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램프삽입가이드편(26)은 램프(11)의 베이스(13)가 터미널(20)로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램프삽입가이드편(26)의 양단에서 몸체(22)의 후단을 향해서는 몸체(22)의 폭이 점점 넓어지도록 조립가이드경사부(28)가 형성된다. 상기 조립가이드경사부(28)는 상기 터미널(20)을 램프홀더에 삽입할 때, 삽입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몸체(22)의 양단에는 램프누름부(30)가 구비된다. 상기 램프누름부(30)는 상기 몸체(22)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는데, 대략 상기 몸체(22)의 양단에 직교하게 위치된다. 따라서, 상기 램프누름부(30) 끼리는 서로 대응되는 면이 마주보게 된다.
상기 램프누름부(30)는 상기 몸체(22)에 그 후단부에서 연결목부(3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목부(32)는 상기 램프누름부(30)의 후단과 몸체(22)의 후단 양측을 각각 연결하게 된다.
상기 램프누름부(30)의 구성을 설명한다. 상기 램프누름부(30)의 선단에는 램프삽입가이드부(34)가 형성된다. 상기 램프삽입가이드부(34)는 선단으로 갈수록 서로 마주보는 램프누름부(3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된다. 대략 상기 램프삽입가이드부(34)는 터미널(20)을 평면도로 볼 때, 아치형 곡선의 일부를 형성하 도록 된다. 상기 램프삽입가이드부(34)는 상기 몸체(22)의 램프삽입가이드편(26)과 협력하여 램프(11)의 삽입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램프삽입가이드부(34)에는 상기 몸체(22)와 마주보는 위치에 변형방지부(35)가 구비된다. 상기 변형방지부(35)가 있음으로 해서, 상기 램프삽입가이드부(34)와 몸체(22) 사이의 거리는 램프누름부(30)의 다른 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가까와진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터미널(20)을 램프홀더에 조립할 때, 상기 몸체(22)의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램프누름부(30)의 중간부분에는 베이스접압부(36)가 형성된다. 상기 베이스접압부(36)는 실제로 베이스(13)에 밀착되는 부분으로, 베이스(13)의 베이스홈(15)과 대응되고, 상기 베이스홈(15)을 가로지르는 리드와이어(17)와 접촉된다. 물론, 상기 램프누름부(30)중 하나는 리드와이어(17)와 접촉되고 다른 하나는 베이스홈(15)에 안착되는 것이어서, 베이스접압부(36)중 하나는 평면으로 하고 다른 하나는 도시된 바와 같이 곡면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하여튼 상기 베이스접압부(36)는 실제로 베이스(13)에 밀착되어 실제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상기 램프누름부(30)의 후단에는 연결부(38)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부(38)는 램프누름부(30)를 상기 연결목부(32)와 연결하는 부분이다. 상기 연결부(38)와 상기 베이스접압부(36)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절결부(40)가 형성된다. 상기 절결부(40)는 상기 램프누름부(30)의 탄성변형이 일어나는 위치를 결정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절결부(40)를 상기 베이스접압부(36)와 연결부(38)의 사이에 형성하고, 상기 절결부(40)가 형성된 부분에서 램프누름부(30)의 폭(w)이 상기 연결목부(32)의 폭(w')보다 크지 않게 한다.
다시 말해, 상기 절결부(40)를 형성함에 의해 해당되는 램프누름부(30)의 폭(w)이 연결목부(32)의 폭(w')보다 크지 않게 됨에 의해 램프누름부(30)의 탄성변형이 주로 상기 절결부(40)가 형성된 램프누름부(30)의 위치에서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램프누름부(30)의 탄성변형이 램프누름부(30)의 선단에서는 상대적으로 커지고 후단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아지되, 상기 램프누름부(30)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폭방향의 각각의 위치에서 서로 대응되는 램프누름부(30)사이의 변형거리가 각각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누름부(30)의 탄성변형이 발생하는 것이다.
상기 연결부(38)의 후단에는 스토퍼(42)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42)는 상기 램프(11)의 베이스(13)가 터미널(20)에 삽입되는 정도를 규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토퍼(42)는 상기 연결부(38) 후단의 일부 폭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몸체(22)의 후단에는 와이어바렐(44)과 인슐레이션바렐(46)이 차례로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바렐(44)은 터미널(20)과 전선의 와이어를 연결하여 이들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것이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46)은 전선의 피복을 감싸 압착되어 터미널(20)과 와이어가 서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본 실시예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와 비교할 때, 절결부(40')의 형상이 달리된다. 즉,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서는 절결부(40)의 형상이 원형인데, 본 실시예에서는 대략 사각형상이다. 이와 같이 절결부(40,40')의 형상을 달리하는 것은, 절결부(40,40')의 형상에 따라 외부에서 힘이 가해졌을 때, 응력의 분포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램프홀더용 터미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상기 터미널(20)은 램프홀더 내에 상기 램프누름부(30)가 상대방 터미널(20)을 향하도록 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즉, 상기 램프홀더의 후단에서 내부로 터미널(20)이 삽입되어 설치되는데,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조립가이드경사부(28)가 터미널(20)의 삽입이 원활하게 되도록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일단, 터미널(2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랜스(24)가 램프홀더 내의 돌기에 걸어져 터미널(20)이 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터미널(20)이 램프홀더의 전방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별도의 랜스를 더 사용하거나 상기 몸체(22)의 선단이 램프홀더에 걸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램프홀더에 터미널(20)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램프(11)의 베이스(13) 양단 양면에 각각 상기 램프누름부(30)가 밀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램프누름부(30)중에서 실제로 램프(11)의 리드와이어(17)와 실제로 접촉되는 부분은 베이스접압부(36)이다.
상기 터미널(20)에 램프(11)가 삽입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내부에 터미널(20)이 설치된 램프홀더의 전방에서 램프(11)를 램프홀더의 내부로 삽입한다. 상기 램프(11)의 베이스(13)는 상기 램프삽입가이드편(26)이 가지는 경사와 상기 램프삽입가이드부(34)의 선단이 각각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있어 쉽게 서 로 마주보는 터미널(20)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3)는 상기 램프누름부(30) 사이가 벌어지도록 하면서 삽입된다. 물론, 베이스(13)가 삽입되는 과정에서는 서로 마주보는 상기 램프누름부(30)사이가 상대적으로 벌어지지만, 일단 삽입되고 나면 상기 램프누름부(30)는 그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베이스(13)에 밀착된다.
이와 같이 상기 램프(11)의 베이스(13)가 삽입되는 과정과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램프누름부(30)에 탄성변형이 발생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램프누름부(30)가 베이스(13)의 삽입과정에서 상대적으로 거리가 멀어졌다가 복원될 때, 주로 탄성변형이 발생하는 부분은 상기 연결부(38)이다. 물론 상기 연결목부(32)에서도 탄성변형은 발생된다.
도 7a에는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 탄성변형과 관련된 데이터를 보이고 있다. 여기서 우상에서 좌하로 45로 경사진 단일 빗금이 상대적으로 많은 변형이 발생하는 부분이다. 참고로 탄성변형의 정도는, 우상에서 좌하로 단일빗금 > 좌상에서 우하로 단일빗금> 점> 우상에서 좌하로 이중빗금> 좌상에서 우하로 이중빗금의 순서이다.
그리고, 도 7b에는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데이터이고, 도 7c는 종래 기술의 데이터이다. 여기에서 알 수 있듯이, 탄성변형이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는 상대적으로 연결부(38)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상기 절결부(44)를 형성하여 램프누름부(30)의 폭(w)이 연결목부(32)의 폭(w')보다 크지 않도록 하여 램프누름부(30)의 탄성변형이 주로 발생하는 부분을 연결부(38)로 이동시킨 것이다.
이와 같이 함에 의해 상기 램프누름부(30)의 탄성변형이 도 5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램프누름부(30)가 서로 대응되는 폭방향위치에서 일정하게 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램프누름부(30)가 종래와 같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된다. 실제로, 본 고안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램프누름부(30)가 탄성변형되면 상대적으로 쉽게 탄성변형 정도를 규제할 수 있다. 즉, 상기 램프누름부(30)의 연결부(38)에서 램프삽입가이드부(34)까지의 길이는 상기 연결목부(32)에 해당되는 램프누름부(30)의 폭보다 상대적으로 길다.
따라서, 상기 램프누름부(3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될 때, 상대적으로 많이 탄성변형되지 않아도 램프홀더의 내면에 의해 더 이상 탄성변형이 일어나지 않도록 규제된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변형이 일어나면 연결목부가 상대적으로 많이 탄성변형될 수 있어 결국 소성변형의 가능성이 커지는 것이다. 이는 램프홀더의 내면과 터미널 각부분 사이의 틈새가 일정하다는 조건하에서 비교한 것이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예를 들면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몸체(22)의 후단에 전원측과의 연결을 위해 와이어바렐과 인슐레이션바렐이 구비된 터미널(20)을 예로 들었으나, 반드시 그러할 필요는 없고 바렐 대신에 직접 다른 커넥터의 터미널과 결합되는 전원접속부가 구비될 수도 있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램프홀더의 터미널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본 고안에서는 몸체의 양단에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고 후단에서 몸체와 연결목부를 통해 연결되는 램프누름부에 절결부를 형성하여 연결목부에 비해 절결부가 형성된 부분의 램프누름부의 폭이 크지 않도록 하였다.
따라서, 상기 절결부가 형성된 부분에 인접한 연결부에 탄성변형이 발생하면서 램프누름부의 후단에 대해 선단이 상대적으로 더 많이 벌어지도록 탄성변형된다. 이때, 상기 램프누름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기 때문에 램프누름부의 선단이 램프홀더의 내면에 의해 규제되어 탄성변형량이 일정 이상을 넘지 못하도록 된다. 따라서, 램프누름부 사이의 간격변화가 최소화되면서 터미널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고안에서는 램프누름부의 연결부에서 주로 탄성변형이 발생하므로, 서로 마주보는 램프누름부의 대응되는 폭방향의 위치에서 전체적으로 같은 거리만큼 멀어지도록 탄성변형이 발생하도록 된다. 따라서, 램프의 베이스와 램프누름부 사이의 접촉이 항상 일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어 램프홀더의 동작특성이 좋아지게 된다.

Claims (5)

  1. 적어도 선단이 판상으로 구성되고 랜스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으로 양단을 따라 서로 마주보게 구비되고 그 후단이 연결목부를 통해 상기 몸체와 연결되는 램프누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램프누름부의 후단에는 절결부가 형성되어 해당되는 램프누름부의 폭(w)이 상기 연결목부의 폭(w)보다 크지 않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용 터미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누름부는 그 선단으로 갈수록 상대 램프누름부와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되어 램프의 삽입을 안내하는 램프삽입가이드부와,
    상기 램프삽입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램프의 베이스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램프와 실질적으로 전기적 연결되는 베이스접압부와,
    상기 베이스접압부와 상기 연결목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용 터미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삽입가이드부에는 상기 몸체와의 간격을 상대적으로 좁게 만드는 변형방지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용 터미널.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원형 또는 사 각형상으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용 터미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후단에는 전원측과의 연결을 위한 구성이 더 구비되는데, 전원과의 연결을 위한 와이어가 연결되는 바렐이나 별도의 커넥터와 결합되는 전원접속부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램프홀더용 터미널.
KR2020060014576U 2006-05-30 2006-05-30 램프홀더용 터미널 KR2004235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576U KR200423590Y1 (ko) 2006-05-30 2006-05-30 램프홀더용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4576U KR200423590Y1 (ko) 2006-05-30 2006-05-30 램프홀더용 터미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3590Y1 true KR200423590Y1 (ko) 2006-08-08

Family

ID=417722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4576U KR200423590Y1 (ko) 2006-05-30 2006-05-30 램프홀더용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3590Y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759B1 (ko) 2006-07-14 2009-11-20 엔이씨 라이팅 가부시키가이샤 방전 램프용 접속 구조체
KR200466961Y1 (ko) * 2008-11-21 2013-05-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KR200467486Y1 (ko) 2008-12-18 2013-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KR20170001548U (ko) * 2015-10-26 2017-05-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용 터미널
KR102197127B1 (ko) * 2019-07-10 2020-12-30 캠아이티(주) 반도체 테스트 보드용 4접점 커넥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759B1 (ko) 2006-07-14 2009-11-20 엔이씨 라이팅 가부시키가이샤 방전 램프용 접속 구조체
KR200466961Y1 (ko) * 2008-11-21 2013-05-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KR200467486Y1 (ko) 2008-12-18 2013-06-19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리셉터클 터미널
KR20170001548U (ko) * 2015-10-26 2017-05-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용 터미널
KR200492007Y1 (ko) 2015-10-26 2020-07-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벌브용 터미널
KR102197127B1 (ko) * 2019-07-10 2020-12-30 캠아이티(주) 반도체 테스트 보드용 4접점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011219B (zh) 平坦触头插座
US7591695B2 (en) Electric connector for interconnecting at least one fluorescent lamp and a circuit board and connection structure for same
CN109524802B (zh) 导体接线夹
US8454397B2 (en) Anti-wicking terminal and connector
KR200423590Y1 (ko) 램프홀더용 터미널
US20200251846A1 (en) Electrical connector
US8043113B2 (en) Relay connector for flexible cables
JP2007165194A (ja) コネクタ
JP2007165195A (ja) コネクタ
CN106981754B (zh) 连接器
KR20130100367A (ko) 커넥터
KR20010053402A (ko) 스마트 카드 접속용 전기 커넥터
US11024987B2 (en) Clamping spring and conductor connection terminal
US9515407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press-fitted rectangular wire terminal
KR20150005445A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960001306Y1 (ko) 저삽입력 접속기 및 그 접속기용 전기접점
US7503813B1 (en) Electrical terminal with contoured contact element
US10686271B2 (en) Contact element for producing an electric connection with a counterpart element, the electric connection, and windscreen wiper motor
KR200432451Y1 (ko) 리셉터클 터미널
US3601782A (en) Printed circuit edge connector
JP2013229221A (ja) 端子金具
KR100747612B1 (ko) 커넥터 단자 피팅 및 그 제조 방법
KR20040110949A (ko) 벌브용 커넥터
US7226294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07104303B (zh) 电联接端子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