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6961Y1 - 터미널 - Google Patents

터미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6961Y1
KR200466961Y1 KR2020080015518U KR20080015518U KR200466961Y1 KR 200466961 Y1 KR200466961 Y1 KR 200466961Y1 KR 2020080015518 U KR2020080015518 U KR 2020080015518U KR 20080015518 U KR20080015518 U KR 20080015518U KR 200466961 Y1 KR200466961 Y1 KR 20046696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terminal
barrel
coupling
coupl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8001551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548U (ko
Inventor
김명훈
Original Assignee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8001551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6961Y1/ko
Publication of KR201000055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69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6961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3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 H01R4/184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 H01R4/185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for cylindrical elongated bodies, e.g. cables having circular cross-section comprising a U-shaped wire-receiving portion combined with a U-shaped insulation-receiving po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1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 H01R4/18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 H01R4/187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effected solely by twisting, wrapping, bending, crimping, or other permanent deformation by crimping combined with soldering or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Landscapes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서 터미널(1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12)의 선단에는 전선(20)의 심선(21)과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와이어바렐(15)이 구비되고, 후단에는 전선(20)의 피복(22)을 둘러싸는 인슐레이션바렐(16)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2)의 연장방향에 대해 양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부(1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8)는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도 결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하면, 결합부(18)는 와이어바렐(15)의 다른 방향으로 형성되므로, 디핑 작업에 의한 와이어바렐(15)의 솔더링시 결합부(18)가 솔더링되는 것이 방지되어, 터미널(10)과 상대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신뢰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터미널, 솔더링, 결합부

Description

터미널{Terminal}
본 고안은 터미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하는 터미널에 관한 것이다.
터미널은 상대 터미널 또는 상대물과 서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을 수행한다.
상기 터미널의 외관 및 골격은 도전성 금속재질의 몸체부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는 상대되는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부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간에는 상기 상대 터미널에 형성되는 결합돌기와 결합되도록 결합공이 형성된다.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는 전선과의 연결을 위한 바렐부가 형성된다. 상기 바렐부는 상기 전선의 심선을 둘러싸 압착되는 것으로 전선과의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와이어바렐과, 상기 전선의 피복을 둘러싸 압착되는 것으로 상기 전선과 터미널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인슐레이션바렐을 포함한다. 상기 몸체부와 결합부 및 바렐부는 명확하게 그 영역을 구분할 수는 없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터미널과 전선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전선의 심선 및 그를 둘러싸 압착되는 와이어바렐에는 납땜을 이용한 솔더링(soldering)이 수행된다. 상기 솔더링은 상기 전선의 심선과 와이어바렐의 부식을 방지하고 전기적 신뢰도, 즉 전도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수행된다. 하지만, 납땜을 이용해 솔더링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터미널과 전선을 하나씩 결합시켜 수작업으로 솔더링이 수행되므로, 작업성이 떨어지고 작업을 수행하는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대량의 터미널을 한꺼번에 솔더링하기 위해 납조에 고온의 열을 가해 디핑을 수행하는 디핑기를 이용하기도 한다. 하지만, 상기 디핑기를 이용해 솔더링을 수행하는 경우, 상기 터미널의 솔더링이 필요한 부분뿐만 아니라, 상기 터미널의 선단에 형성되는 결합부까지 디핑이 수행된다. 이에 따라, 상기 결합부가 디핑에 사용되는 금속물질에 의해 전기적 연결성이 약화되거나, 고온으로 가열되어 산화됨에 따라 상대 터미널과의 전기적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솔더링이 불필요한 부분에 디핑이 수행됨에 따라, 디핑에 사용되는 땜납의 소비량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디핑 작업으로 다량의 터미널에 솔더링을 수행할 때, 필요한 부분에만 솔더링이 가능한 터미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르면, 본 고안은 도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전선의 심선과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와이어바렐과; 상기 와이어바렐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의 피복을 둘러싸는 인슐레이션바렐과; 상기 몸체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양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바렐과 결합부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와이어바렐과 상기 인슐레이션바렐 사이의 상기 몸체부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된다.
본 고안에서는 터미널의 결합부를 몸체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양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함으로써, 결합부가 솔더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의 솔더링에 의해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 사이의 전기적 신뢰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디핑 작업시 필요한 부분에만 솔더링을 수행하여, 디핑 작업에 사용되는 땜납의 소비량을 감소시켜 솔더링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터미널과 전선이 결합된 상태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터미널(10)의 외관 및 골격은 몸체부(12)가 형성한다. 상기 몸체부(12)는 도전성 금속재질의 판으로 만들어진다. 상기 몸체부(12)는 실질적으로 아래에서 설명될 바렐부(14) 및 결합부(18)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명확하게 바렐부(14) 및 결합부(18)와 영역이 분리되는 것은 아니나, 대략 몸체부(12)를 기준으로 선단 및 후단에 바렐부(14)가 구비되고, 중앙에는 결합부(18)가 구비된다.
상기 바렐부(14)는 전선(20)과의 연결을 위한 부분으로서, 크게 와이어바렐(15)과 인슐레이션바렐(16)로 구성된다.
상기 몸체부(12)의 선단에는 와이어바렐(15)이 구비된다. 상기 와이어바렐(15)은 상기 전선(20)의 심선(21)을 감싸도록 압착되어 전기적인 연결을 수행하는 부분이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12)의 후단에는 인슐레이션바렐(16)이 구비된다. 상기 인슐레이션바렐(16)은 상기 전선(20)의 피복(22)을 감싸도록 압착되어 터미널(10)과 전선(20)의 결합이 견고하게 되도록 한다.
상기 바렐부(14)는 반드시 와이어바렐(15)과 인슐레이션바렐(16)로 구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와이어바렐(15)만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몸체부(12)의 연장방향에 대해 양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결합부(18)가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8)는 미도시된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상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18)는 대략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8)의 중앙에는 상대 터미널 또는 상대물에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되도록 결합공(19)이 관통되어 형성된다. 상기 결합공(19)은 반드시 형성되어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겹합부(18)는 상기 와이어바렐(15)과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상기 와이어바렐(15)과 인슐레이션바렐(16) 사이에 형성된다. 즉, 상기 와이어바렐(15)이 상기 전선(20)의 심선(21)과 결합된 상태로 아래에서 설명될 디핑기(30)에 담기더라도 상기 결합부(18)는 상기 디핑기(30)의 땜납에 잠기지 않아 솔더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터미널의 작용을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a 내지 도 3b에는 도 2의 터미널이 디핑기에 의해 솔더링되는 과정을 예시하는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터미널(10)의 바렐부(14)에 전선(20)이 연결된다. 이때, 전선(20)은 그 심 선(21)이 와이어바렐(15)에 연결되고, 그 피복(22)은 인슐레이션바렐(16)에 의해 견고하고 안정되게 압착되어 고정된다.
도 3a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전선(20)이 연결된 터미널(10)의 A부분은 와이어바렐(15)과 심선(21)의 부식을 방지하고 전기적 신뢰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디핑기(30)의 납조(32)에 담겨서 솔더링이 수행된다.
상기 디핑기(30)의 납조(32)에는 고체상태의 땜납이 채워지고, 납조(32)가 상기 땜납의 용융점까지 가열됨에 따라 상기 땜납은 액체 상태로 변화하게 된다. 그래서, 전선(20)이 연결된 터미널(10)의 와이어바렐(15)은 금속의 산화를 막아 납땜을 돕는 약품, 예컨대 플럭스(FLUX)가 발라진 상태로 상기 납조(32)의 땜납에 수 초간 담겨져 상기 솔더링이 수행된다. 솔더링이 수행된 터미널(10)의 A부분, 즉 와이어바렐(15)과 심선(21)은 도 3b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때, 솔더링이 필요없는 결합부(18)는 와이어바렐(15)로부터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므로, 솔더링이 수행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터미널은 솔더링이 필요없는 결합부가 디핑기의 납조에 담기지 않도록 형성되므로, 상대 터미널과의 전기적 신뢰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터미널(110)의 결합부(118)가 몸체부(112)의 연장 후방에 대해 양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즉, 상기 실시 예에서는 결합부(18)가 몸체부(12)의 선단에 형성된 와이어바렐(15)과 후단에 형성된 인슐레이션 바렐(16) 사이의 몸체부(12) 중앙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디핑기(30)의 납조(32)에 담긴 액체상태의 땜납의 양이 과다하더라도 상기 터미널(110)의 결합부(118)는 인슐레이션바렐(116)보다도 후방에 형성되므로, 상기 땜납에 의해 결합부(118)가 솔더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솔더링이 필요없는 터미널의 결합부가 솔더링 되는 것을 방지하여, 터미널과 상대 터미널의 전기적 신뢰도가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즉, 결합부가 형성되는 위치는 결합부가 디핑기의 납조에 담겨 솔더링이 수행되지 않도록 다양하게 변형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해 터미널과 전선이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2의 터미널이 디핑기에 의해 솔더링되는 과정을 보인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터미널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터미널 12: 몸체부
14: 바렐부 15: 와이어바렐
16: 인슐레이션바렐 18: 결합부
19: 결합공 20: 전선
21: 심선 22: 피복
30: 디핑기 32: 납조

Claims (3)

  1. 도전성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구비되어 전선의 심선과 전기적 연결을 수행하는 와이어바렐과;
    상기 와이어바렐의 후방에 구비되어 상기 전선의 피복을 둘러싸는 인슐레이션바렐과;
    상기 몸체부의 연장방향에 대해 양측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대 터미널과 결합되는 결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와이어바렐과 결합부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와이어바렐과 상기 인슐레이션바렐 사이의 상기 몸체부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인슐레이션바렐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된 상기 몸체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미널.
KR2020080015518U 2008-11-21 2008-11-21 터미널 KR2004669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18U KR200466961Y1 (ko) 2008-11-21 2008-11-21 터미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80015518U KR200466961Y1 (ko) 2008-11-21 2008-11-21 터미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48U KR20100005548U (ko) 2010-05-31
KR200466961Y1 true KR200466961Y1 (ko) 2013-05-16

Family

ID=44451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80015518U KR200466961Y1 (ko) 2008-11-21 2008-11-21 터미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6961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90Y1 (ko) * 2006-05-30 2006-08-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홀더용 터미널
KR200428028Y1 (ko) 2006-07-14 2006-10-04 경신공업 주식회사 접지용 링 터미널 구조
KR100739017B1 (ko) * 2006-06-29 2007-07-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 터미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3590Y1 (ko) * 2006-05-30 2006-08-0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램프홀더용 터미널
KR100739017B1 (ko) * 2006-06-29 2007-07-1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전기 터미널
KR200428028Y1 (ko) 2006-07-14 2006-10-04 경신공업 주식회사 접지용 링 터미널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48U (ko) 2010-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8610B2 (en) Connector for use with light-weight metal conductors
JP5228116B2 (ja) 接続構造体
JP5391700B2 (ja) 端子付き電線
JP2004111058A (ja) アルミ電線用端子及びコネクタ
KR20060129364A (ko) 알루미늄 전도체에 대한 단자의 연결방법과 이러한 방법에 의하여 구성된 전도체
JP2011210593A (ja) 端子金具付き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586402B1 (ko) 전선접속용 단자 및 전선접속용 단자와 전선의 접합방법
US20170169919A1 (en) Wire harne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JP6034029B2 (ja) 接続構造体
JP5469141B2 (ja) 圧着端子、接続構造体及びコネクタ
US7663469B2 (en) Thermis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6074285B2 (ja) 端子と電線の接合方法および電線接続用の端子
WO2016017013A1 (ja) 端子と電線の接合方法および電線接続用の端子
JP5219913B2 (ja) ターミナル、モータ及び電気機器
JP6422213B2 (ja) 接続端子、及び当該接続端子を備えた接続構造
KR200466961Y1 (ko) 터미널
JP2011187284A (ja) 電子部品内蔵コネクタ
US11351629B2 (en) Method for forming a laser-welded connection and composite component
JP6114440B2 (ja) 接続端子の製造方法
CN105309042A (zh) 感应加热体及感应加热烹调器
CN109449613B (zh) 数据连接头及其焊接方法、数据连接器
JP2018190617A (ja) 端子付き電線
JP2017157718A (ja) 電気回路用部品
JP2016051663A (ja) 端子付電線及び端子付電線の製造方法
JP2016024923A (ja) 半田接合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