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05445A -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05445A
KR20150005445A KR20140075794A KR20140075794A KR20150005445A KR 20150005445 A KR20150005445 A KR 20150005445A KR 20140075794 A KR20140075794 A KR 20140075794A KR 20140075794 A KR20140075794 A KR 20140075794A KR 20150005445 A KR20150005445 A KR 20150005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conductive
conductive body
housing
regulated
eng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40075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27363B1 (ko
Inventor
하루히코 무라카미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05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05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273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273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2Strain reliev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82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 H01R12/85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88Coupling devices connected with low or zero insertion force contact pressure producing means, contacts activated after insertion of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acting manually by rotating or pivoting connector housing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 H01R13/6581Shield structure
    • H01R13/6582Shield structure with resilient means for engaging mating connector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평형 도체에 부주의한 발출력이 크게 작용해도 용이하게는 빠지지 않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해결 수단
가동 부재 (40) 는, 평형 도체의 양측 끝의 피걸림부 (C2A) 에 대해 걸릴 수 있는 걸림 아암부 (44) 를 갖고, 걸림 아암부 (44) 는, 후방을 향하여 연장된 탄성 아암부와, 탄성 아암부의 후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 (C2A) 에 대해 걸릴 수 있는 걸림부 (44A) 와, 걸림부의 측면에서 배열 방향으로 돌출되는 피규제부 (47) 를 갖고, 하우징은 피규제부 (47) 보다도 후방 위치에 피규제부에 대해 발출 방향에서 맞닿을 수 있는 규제부 (17C) 를 갖고 있고, 평형 도체의 삽입 완료 상태에서, 걸림부 (44A) 가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 (C2A) 의 후방 위치에서 피걸림부에 대해 발출 방향에서 걸릴 수 있게 위치하고, 평형 도체의 삽입 완료 상태에서 평형 도체에 대해 후방으로의 발출력이 작용했을 때,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 (C2A) 가 걸림부 (44A) 에 걸림과 함께, 피규제부 (47) 가 규제부 (17C) 에 맞닿는다.

Description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FOR FLAT CONDUCTOR}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고, 평형 (平型) 도체가 접속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커넥터로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에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일 방향인 전후 방향에서 평형 도체의 전단부 (前端部) 가 삽입 발출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상기 전후 방향에 대해 직각인 일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하우징과, 그 길이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하우징의 상면, 양 측면 및 전면 (前面) 을 덮도록 그 하우징에 장착된 금속판제의 쉘을 가지고 있다.
상기 하우징은, 평형 도체의 상기 전단부를 받아들이기 위한 받아들임부가,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공간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쉘은, 단자 배열 범위를 양 외측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의 상면을 덮는 상판부의 후단 (後端) 으로부터 연장되는 띠상편 부분을 그 상판부보다 하측에서 전방을 향하여 되접어 꺾어 형성한 탄성편을 가지고 있다. 그 탄성편은, 전단측에서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된 걸림부에서, 후술하는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에 대해 평형 도체의 발출 방향 (후방) 으로 걸릴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걸림부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경사부와, 그 경사부의 전단에서 상방을 향하여 직각으로 굴곡되어 연장되는 수직부를 가지고 있어, 그 수직부가 평형 도체에 대해 걸리도록 되어 있다.
평형 도체는, 그 전부 (前部) 의 측가장자리부에 절결부가 형성되어 있어, 그 절결부의 전방에서 측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부분이 피걸림부로서 기능한다. 상기 평형 도체가, 전방을 향하여 하우징의 받아들임부 내로 삽입되면, 먼저, 상기 피걸림부의 전측 가장자리가 상기 탄성편의 걸림부의 경사부에 맞닿아, 전방으로의 이동 과정에서 그 경사부에 대한 맞닿음력의 상방향 성분력에 의해 그 걸림부를 들어올리도록 하여 탄성편을 상방으로 탄성 변위시킨다. 또한, 평형 도체가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어, 상기 피걸림부가 상기 걸림부보다 전방 위치에 이르러 소정 위치까지의 삽입이 완료되면, 탄성편이 탄성 변위 상태로부터 해방되어 상기 걸림부가 평형 도체의 절결부 내로 상방으로부터 돌입한다. 이 결과, 그 걸림부의 전면, 즉 상기 수직부가 상기 피걸림부의 후측 가장자리에 대향하여 위치함으로써, 그 피걸림부에 대해 상기 발출 방향에서 걸릴 수 있는 상태가 되어, 후방을 향한 평형 도체의 부주의한 발출이 방지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08500호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특허문헌 1 의 커넥터는, 그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와 걸릴 수 있는 걸림부는, 쉘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띠상편 부분을 그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시킴으로써 형성된,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되는 탄성편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평형 도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평형 도체에 대해 후방을 향한 강한 발출력이 작용했을 때, 그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가 상기 걸림부에 대해 전방으로부터 강하게 맞닿은 충격력에 의해 상기 탄성편이 상방으로 탄성 변위됨으로써,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걸림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평형 도체가 부주의하게 빠질 우려가 있다. 또, 상기 탄성편이 탄성 변위되지 않는 경우라 하더라도, 상기 걸림부 또는 피걸림부가 상기 서술한 충격력에 의해 손상되어, 평형 도체가 부주의하게 빠질 우려도 있다.
그래서, 예를 들어, 상기 탄성편의 판두께 치수를 크게 하여 그 탄성편을 탄성 변위되기 어렵게 함으로써, 상기 걸림 상태를 유지하기 쉽게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지만, 탄성편이 탄성 변형되기 어려우면, 평형 도체의 삽입시에 과대한 삽입력이 필요해지고, 용이하게 평형 도체를 삽입하는 것이 곤란해진다는 상반된 새로운 문제를 발생시킨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평형 도체를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음과 함께, 그 평형 도체가 빠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형 도체가 접속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평형 도체가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공간으로서 받아들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일 방향이고 전후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그 단자의 상방에서 상기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자세로 상기 하우징으로의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을 허용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실장면에 대해 각도를 가진 자세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상기 평형 도체의 발출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 부재를 구비한다.
이와 같은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배열 범위의 외측 위치에, 상기 평형 도체의 양측 끝에 형성된 피걸림부에 대해 그 평형 도체의 발출 방향에서 걸릴 수 있는 걸림 아암부를 갖고, 그 걸림 아암부는,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상기 폐쇄 위치에서 적어도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될 수 있는 탄성 아암부와, 그 탄성 아암부의 후부 (後部) 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에 대해 걸릴 수 있는 걸림부와, 걸림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상기 배열 방향으로 돌출되는 피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 그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 또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피규제부보다 후방 위치에 그 피규제부에 대해 상기 발출 방향에서 맞닿을 수 있는 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의 후방 위치에서 그 피걸림부에 대해 상기 발출 방향에서 걸릴 수 있게 위치하고,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평형 도체에 대해 후방으로의 발출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상기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과 함께, 상기 피규제부가 상기 규제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평형 도체를 접속할 때, 가동 부재를 폐쇄 위치로 가져온 상태에서, 평형 도체가 하우징의 받아들임부에 삽입되면, 삽입 당초에 상기 평형 도체의 전단이 가동 부재의 걸림 아암부의 걸림부에 맞닿고, 그 맞닿음력에 의해 그 걸림 아암부의 탄성 아암부를 상방을 향하여 탄성 변위시키면서 상기 평형 도체의 소정 위치까지의 삽입의 진행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평형 도체의 소정 위치까지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탄성 아암부가 탄성 변위량을 줄이도록 하방을 향하여 변위되고, 상기 걸림부가 상기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의 후방 위치에서 그 피걸림부에 대해 상기 발출 방향에서 걸릴 수 있게 위치하고 있어, 평형 도체가 발출 방향으로 당겨지면,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에 걸려 발출을 저지한다.
또, 본 발명에서는, 가동 부재의 걸림 아암부에 상기 배열 방향으로 돌출되는 피규제부를 형성하여, 상기 하우징, 그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 또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가동 부재에 형성된 규제부에 대해 평형 도체의 발출 방향에서 상기 피규제부가 맞닿을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평형 도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평형 도체에 대해 후방으로의 발출력이 작용했을 때, 그 발출력을, 상기 걸림부뿐만 아니라 상기 규제부에 의해서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상기 걸림부의 부담이 경감된다. 이 결과, 탄성 아암부가 상방으로 탄성 변위되기 어려워져,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걸림부의 걸림 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유지되어, 평형 도체가 부주의하게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상기 걸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탄성 아암부를 두껍게 하거나 하여 탄성 변위되기 어렵게 할 필요는 없어지기 때문에, 평형 도체를 삽입하기 어려워지는 경우도 없다. 평형 도체를 발출할 때에는, 발출에 앞서, 상기 가동 부재를 개방 위치로 가져온다. 이 결과, 상기 피걸림부에 대한 상기 걸림부의 걸림 상태 및 상기 걸림 아암부의 피규제부에 대한 상기 규제부의 맞닿음 상태가 해제되어, 상기 평형 도체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허용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 아암부의 피규제부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탄성 아암부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걸림부의 전측 가장자리가 교차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걸림부는 탄성 아암부의 후부에서 그 탄성 아암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고, 피규제부는 단자 배열 방향, 즉 측방으로 돌출되어 있다. 상기 후부에서 2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은 그 주변, 특히 굴곡부에 발출력에 의한 응력 집중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피규제부를 상기 영역에서, 걸림부 및 탄성 아암부의 양방과 직결되어 있게 하면, 그 규제부는, 평형 도체에 상기 발출력이 작용했을 때, 상기 걸림부 자체의 후방을 향한 변형, 즉 상기 굴곡부의 굴곡 각도가 넓어지는 변형을 방지하는 보강부로서 기능한다. 즉, 굴곡부에서의 응력 집중을 회피할 수 있다. 이 결과, 평형 도체가 부주의하게 빠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제부는,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 걸림 아암부의 피규제부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혹은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 아암부의 탄성 아암부는, 전후로 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하 방향에 더하여,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도 탄성 변위될 수 있으므로,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의 후부 및 걸림 아암부의 걸림부의 전부 중 적어도 일방이, 전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배열 방향에서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규제부는, 평형 도체가 하우징의 받아들임부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배열 방향에서 상기 걸림 아암부의 피규제부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평형 도체에 대해 후방으로의 발출력이 작용하여, 그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의 후부가 상기 걸림부의 전부에 걸렸을 때, 상기 탄성 아암부가, 이 전부의 경사 부분에서 평형 도체로부터 발출력을 받으면, 그 발출력의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분력을 받아 상기 배열 방향에서 외측으로 탄성 변위됨으로써, 상기 피규제부가 상기 배열 방향에서 상기 규제부와 동일한 위치로 와서 그 규제부에 전방으로부터 맞닿도록 되어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은, 평형 도체에 대해 후방으로의 발출력이 작용했을 때의 단자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피규제부와 동일한 위치에, 그 피규제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고, 그 구멍부를 형성하는 내벽부 중 상기 피규제부보다 후방 위치에서 그 피규제부에 대해 평형 도체의 발출 방향에서 맞닿을 수 있게 위치하는 면을 갖는 부분이 규제부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상하 방향에서 관통하는 구멍부를 형성하는 내벽면을 갖는 부분을 규제부로 했을 때, 그 규제부에 맞춰 상기 피규제부를 상하 방향에서 크게 형성함으로써, 규제부와 피규제부의 맞닿음 면적을 크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평형 도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금구가 장착되어 있고, 그 금구에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해도 된다. 이와 같이 규제부를 금구에 형성함으로써, 규제부 자체의 강도를 크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확실하게 평형 도체가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평형 도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평형 도체에 대해 후방으로의 발출력이 작용했을 때에, 그 발출력을, 상기 걸림부뿐만 아니라 상기 규제부에 의해서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상기 걸림부의 부담이 경감된다. 따라서, 탄성 아암부가 상방으로 탄성 변위되기 어려워져, 상기 걸림부와 상기 피걸림부의 걸림 상태가 보다 확실하게 유지되어, 평형 도체가 부주의하게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또, 상기 걸림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탄성 아암부를 두껍게 하거나 하여 탄성 변위되기 어렵게 할 필요는 없어지기 때문에, 평형 도체를 삽입하기 어려워지는 경우도 없다.
도 1 은 삽입 전의 평형 도체와 함께 나타내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커넥터 (가동 부재 : 폐쇄 위치) 의 사시도이다.
도 2(A) 는 도 1 의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2(B) 는 가동 부재에 대해서만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A) 는 도 1 의 커넥터를, 가동 부재를 상방으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B) 는 도 3(A) 의 커넥터의 도 2 에 있어서의 IIIB-IIIB 단면 위치에서의, 삽입 전의 평형 도체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 (축부 (46) 를 생략) 이다.
도 4 는 도 3(A), 도 3(B) 의 가동 부재를 하면 그리고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5 는 도 1 의 커넥터가 평형 도체의 발출에 대비하여, 가동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6 은 평형 도체 삽입 전의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며, 도 6(A) 는 제 1 단자의 위치, 도 6(B) 는 가동 부재의 걸림 아암부의 위치, 도 6(C) 는 피규제부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 은 평형 도체 삽입 후의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며, 도 7(A) 는 제 1 단자의 위치, 도 7(B) 는 가동 부재의 걸림 아암부의 위치, 도 7(C) 는 피규제부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평형 도체 삽입 후에 후방으로 당겨졌을 때의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며, 도 8(A) 는 제 1 단자의 위치, 도 8(B) 는 가동 부재의 걸림 아암부의 위치, 도 8(C) 는 피규제부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9 는 평형 도체 발출 직전 (가동 부재 : 개방 위치) 의 커넥터의 단면을 나타내며, 도 9(A) 는 제 1 단자의 위치, 도 9(B) 는 가동 부재의 걸림 아암부의 위치, 도 9(C) 는 피규제부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로서의 가동 부재의 하면측을 나타내는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1 은 도 10 의 가동 부재 (폐쇄 위치) 에 있어서의, 피규제부의 높이 위치에서 나타내는 횡단면도로서, 도 11(A) 는 삽입 후의 평형 도체를 후방으로 당기기 전의 상태를, 도 11(B) 는 후방으로 강하게 당겼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의 커넥터의 피규제부의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도 1 은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1) (이하,「커넥터 (1)」라고 한다) 를 평형 도체 (C) 와 함께 나타낸 사시도로, 그 평형 도체 (C) 의 삽입 전의 상태를, 도면 중에서 전방을 삽입 방향 P 로 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1 의 커넥터 (1) 는,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2 종의 단자를 혼재시켜 유지하는 하우징 (10) 이,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동 (回動) 할 수 있는 가동 부재 (40) 를 지지하고 있고, 도 1 은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의 평형 도체 삽입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사시도이고, 도 2(A) 는 도 1 의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2(B) 는 도 2(A) 의 커넥터의 가동 부재만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1 의 커넥터에 대하여 하우징 (10) 으로부터 가동 부재 (40) 를 떼어낸 상태에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 는 도 3 의 커넥터에 대하여, 하우징 그리고 가동 부재의 일단부 (우측 단부) 를 제거하고, 삽입 전의 평형 도체와 함께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또, 도 5 는 삽입된 평형 도체를 발출에 대비하여,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의 커넥터의 사시도이다. 도 1 의 커넥터 (1) 는, 회로 기판 (도시 생략) 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고, 평형 도체 (C) 가 접속됨으로써, 상기 회로 기판과 평형 도체 (C) 를 전기적으로 도통시킨다. 여기에서,「회로 기판」이란, 커넥터의 단자에 접속되는 회로부가 형성된 기판을 의미하고, 이「기판」에는, 강성이 높은 판상의 부재뿐만 아니라, 강성이 낮은 유연한 시트상의 부재도 포함된다.
평형 도체 (C) 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띠상을 이루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회로부 (도시 생략) 가 폭 방향 (전후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 으로 배열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회로부는, 평형 도체 (C) 의 절연층 내에서 매설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평형 도체 (C) 의 전단 위치까지 도달해 있다. 또, 상기 회로부는, 그 전단측 부분만이 평형 도체 (C) 의 상면에 노출되어 있어, 후술하는 커넥터 (1) 의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와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평형 도체 (C) 는, 상기 전단측 부분의 양측 가장자리에 절결부 (C1) 가 형성되어 있고, 그 절결부 (C1) 의 전방에 위치하는 귀부 (C2) 의 후단 가장자리는, 후술하는 커넥터 (1) 의 걸림부 (44A) 와 걸리는 피걸림부 (C2A) 로서 기능한다.
커넥터 (1) 는 전기 절연재제 하우징 (10) 과, 그 하우징 (10) 에 배열 유지되는 금속제의 복수의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도 3(A), 도 3(B) 도 참조) 와, 후술하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회동할 수 있게 하우징 (10) 에 의해 지지되는 전기 절연재제의 가동 부재 (40) 와,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금속제 고정 금구 (50) 를 구비하고 있고, 도 1 에서 평형 도체 (C) 가 후방으로부터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 (1) 의 상세한 구성의 설명에 앞서, 먼저, 커넥터 (1) 에 대한 평형 도체 (C) 의 삽입 및 발출 동작의 개요에 대하여 설명해 둔다. 커넥터 (1) 로의 평형 도체 (C) 의 삽입 전에 있어서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1) 의 가동 부재 (40) 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 (도시 생략) 에 대해 평행한 자세를 이루는 폐쇄 위치에서, 평형 도체 (C) 의 삽입을 허용한다. 평형 도체는, 그 전단 가장자리에서 제 1 단자 (20) 와 맞닿아 그 제 1 단자 (20) 의 맞닿음 부분을 탄성 변위하게 하여 소정 위치까지의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또, 평형 도체 (C) 가 삽입 접속된 후에 있어서도, 커넥터 (1) 의 사용 상태에서는, 가동 부재 (40) 는 폐쇄 위치에 유지되어 있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의 걸림부 (44A) 와 평형 도체 (C) 의 피걸림부 (C2A) 가 걸릴 수 있게 위치함으로써, 나아가서는, 가동 부재의 피규제부가 하우징의 규제부와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있어, 평형 도체에 과대한 발출력이 작용해 버려, 평형 도체가 가동 부재까지도 후방으로 이동시켰을 때에는, 가동 부재의 피규제부가 하우징의 규제부에 맞닿아 이동이 저지된다. 또, 커넥터 (1) 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평형 도체 (C) 의 발출시에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기립 방향으로 회동하여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해 각도를 가진 자세를 이루는 개방 위치로 오게 되어, 평형 도체 (C) 의 피걸림부 (C2A) 에 대한 가동 부재 (40) 의 걸림부 (44A) 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고, 또 가동 부재 (40) 의 피규제부가 하우징의 규제부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어, 평형 도체 (C) 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허용된다.
커넥터 (1) 의 구성의 설명으로 되돌아온다. 도 2(A) 는 도 1 의 커넥터의 평면도이고, 도 2(B) 는 가동 부재만의 평면도로, 그들의 평면 구성을 나타냄과 함께, 이후의 도면에 있어서의 단면 위치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다. 도 3(A), 도 3(B) 는, 하우징 (10) 으로부터 가동 부재 (40) 를 분리한 상태의 커넥터 (1) 를 후방측에서 나타낸 사시도인데, 도 3(A) 는 커넥터의 폭 방향에서 전역에 걸쳐 생략 없이 나타내고, 도 3(B) 는 도 2 에 있어서의 IIIB-IIIB 단면에서 일부를 제거하여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4 는 도 3 의 커넥터 (1) 의 가동 부재 (40) 를 전방 또한 하면측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 4 와 같이, 하우징 (10) 은, 상방에서 볼 때,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배열 방향 (「단자 배열 방향」이라고 한다) 을 길이 방향으로 하는 사각 프레임상을 이루고 있고, 서로 평행을 이루어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방 프레임부 (10A) 및 후방 프레임부 (10B) 와, 단자 배열 방향에서 대칭으로 위치하고 전방 프레임부 (10A) 및 후방 프레임부 (10B)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1 쌍의 측방 프레임부 (10C) 를 가지고 있다.
전방 프레임부 (10A) 는, 도 3(A) 그리고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부를 이루는 전방 단자 유지부 (11) 와, 그 전방 단자 유지부 (11) 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됨과 함께 상기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는 전벽 (前壁) (12) 을 가지고 있다. 전방 단자 유지부 (11) 는, 후술하는 제 2 단자 (30) 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유지하고 있다. 전벽 (12) 의 상단면은, 폐쇄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40) 의 하면이 맞닿을 수 있게 대향하고 있어 (예를 들어, 도 6(A), 도 7(A), 도 8(A) 참조), 가동 부재 (40) 의 하방으로의 과잉의 변위를 규제하도록 되어 있다.
후방 프레임부 (10B)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연장되고, 후술하는 제 1 단자 (20) 를 배열 유지하는 후방 단자 유지부 (13) 로서 기능한다. 그 후방 단자 유지부 (13) 는, 제 1 단자 (20) 를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유지하고 있다.
측방 프레임부 (10C) 는, 전방 단자 유지부 (11) 및 후방 단자 유지부 (13) 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판상의 측방 기부 (14) 와,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그 측방 기부 (14) 의 외측 단부에 위치하고 그 측방 기부 (14) 로부터 기립하고 있는 측벽 (15) 과, 그 측벽 (15) 보다 단자 배열 방향에서 내방 (단자 배열 범위측) 에 위치하고 측방 기부 (14) 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후술하는 측방 안내부 (16), 측방 규제부 (17) 및 전방 규제부 (18) 를 가지고 있다.
또, 측방 기부 (14) 는, 도 3(A),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후단쪽 가까운 위치에, 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안내면 (14B) 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되는 평형 도체 (C) 의 하면을 지지하면서 하우징 (10) 내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다.
측벽 (15) 은, 후단쪽 가까운 위치에,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축부 (46) 의 외측 피지지부 (46A) 를 받아들여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구멍부 (15A) 가, 상부가 반원상을 이루고 하부가 개방되도록 하여 단자 배열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측벽 (15) 은, 전단쪽 가까운 위치에, 후술하는 가동 부재 (40) 의 피로크부 (45) 와 걸리는 로크부 (15B) 가, 상기 측벽 (15) 의 전단쪽 가까운 위치에서 그 측벽 (15) 의 내측면 (단자 배열 범위측의 면) 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로크부 (15B) 는, 피로크부 (45) 의 걸림 위치로의 안내를 용이하게 하도록 상면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도 3 에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측방 안내부 (16) 는, 측방 기부 (14) 의 후단쪽 가까운 위치에서, 측벽 (15) 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 측방 안내부 (16) 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단자 배열 방향에서 내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안내면 (16A) 을 가지고 있어, 그 안내면 (16A) 에 의해, 삽입되는 평형 도체 (C) 를 단자 배열 방향에서 하우징 (10) 내를 향하여 안내한다.
도 3, 도 4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서로 대향하는 1 쌍의 측방 규제부 (17)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측벽 (15) 보다 내방 위치 또한 상기 지지 구멍부 (15A) 보다 전방 위치에서, 단자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판면을 갖는 벽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측벽 (15) 과 근접하여 대향하고 있다. 측방 규제부 (17) 는, 그 내측면 (단자 배열 범위측의 판면) 이, 하우징 (10) 에 삽입된 평형 도체 (C) 의 폭 방향, 즉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한 측방 규제면 (17A)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측방 규제부 (17) 는, 전후 방향에서 측벽 (15) 의 지지 구멍부 (15A) 와 동일한 위치에,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축부 (46) 의 내측 피지지부 (46B) 를 받아들여 회동할 수 있게 지지하기 위한 지지 오목부 (17B) 가 형성되어 있다. 그 지지 오목부 (17B) 는, 상방으로 개방됨과 함께, 하부가 반원상을 이루고 있다. 또한, 상기 지지 오목부 (17B) 보다 전방 위치에 수립 (垂立) 전후 가장자리를 갖는 오목 형상의 규제부 (17C)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도 4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방 규제부 (18)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측방 규제부 (17) 보다 내방 위치 또한 측방 기부 (14) 의 전단쪽 가까운 위치에서, 측방 규제부 (17) 및 전벽 (12) 에 연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전방 규제부 (18) 는, 도 3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에 대해 직각인 후면이, 하우징 (10) 에 삽입된 평형 도체 (C) 의 전단부에 맞닿아, 그 평형 도체 (C) 의 그 이상의 삽입을 규제하여 위치 결정으로서 기능하는 전방 규제면 (18A) 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3 및 도 6(A), 도 6(B) 에 잘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우징 (10) 에는, 다음의 받아들임부 (19A), 수용부 (19B) 및 탄성 변위 허용부 (19C) 를 갖는 공간 (19) 이 형성되어 있다. 즉, 도 6(A), 도 6(B) 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공간 (19) 은, 평형 도체 (C) 를 후방으로부터 받아들이기 위한 받아들임부 (19A) 와, 그 받아들임부 (19A) 의 상방에 위치하고 폐쇄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40) 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 (19B) 와, 받아들임부 (19A) 의 하방에 위치하고 제 1 단자 (20) 의 하측 아암부 (22) 의 하방으로의 탄성 변위를 허용하는 탄성 변위 허용부 (19C) 를 가지고 있다.
받아들임부 (19A) 는, 상하 방향에서는, 후방 단자 유지부 (13) 보다 상방 또한 폐쇄 위치의 가동 부재 (40) 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2 개의 측방 규제부 (17) 끼리 사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그 받아들임부 (19A) 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어, 평형 도체 (C) 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되어 있다.
수용부 (19B) 는, 받아들임부 (19A) 의 상방에 위치하고 그 받아들임부 (19A) 와 연통되고, 상기 배열 방향에서 2 개의 측벽 (15) 끼리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19B) 는, 상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어, 폐쇄 위치에 온 가동 부재 (40) 를 수용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3(A), 도 3(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수용부 (19B)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측방 규제부 (17) 에 대해 내외의 양측에 이르고 있어, 그 측방 규제부 (17) 끼리 사이에 위치하는 내측의 공간은,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본체부 (41) 및 걸림 아암부 (44) 를 수용하기 위한 본체 수용부 (19B-1) 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수용부 (19B) 중, 단자 배열 방향에서 측벽 (15) 과 측방 규제부 (17) 사이에 위치하는 외측의 공간은, 가동 부재 (40) 의 후술하는 끝 아암부 (42) 를 수용하기 위한 끝 아암 수용부 (19B-2) 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수용부 (19B) 는, 전후 방향에서는, 후술하는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상측 아암부 (21, 31) 의 후단부의 위치에서부터 하우징 (10) 의 전단부까지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수용부 (19B) 가 받아들임부 (19A) 의 상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상방에 위치한다」란, 수용부 (19B) 가 받아들임부 (19A) 와 상하 방향에서 일부 중복되어 형성되어 있는 상태까지도 포함한다.
또, 탄성 변위 허용부 (19C) 는, 하우징 (10) 의 사각 프레임상 부분 (전방 프레임부 (10A), 후방 프레임부 (10B) 및 측방 프레임부 (10C) 로 이루어지는 부분) 으로 둘러싸임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관통된 공간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 탄성 변위 허용부 (19C) 는, 후술하는 제 1 단자 (20) 의 하측 아암부 (22) 를 수용함과 함께, 그 하측 아암부 (22) 의 하방으로의 탄성 변위를 허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는 서로 형상이 상이한 2 종의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로 이루어져 있다. 그 제 1 단자 (20) 및 제 2 단자 (30) 는, 도 6 ∼ 도 9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은 단면 형상을 가지고 있고, 교대로 배열되어 있다.
제 1 단자 (20) 는, 단자 배열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는 띠상의 금속판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전후 방향 (도 6 ∼ 도 9 에서의 좌우 방향) 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될 수 있는 상측 아암부 (21) 및 하측 아암부 (22) 와, 상측 아암부 (21) 와 하측 아암부 (22) 의 전단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 (23) 와, 하측 아암부 (22)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속부 (24) 를 가지고 있다. 제 1 단자 (20) 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상측 아암부 (21), 하측 아암부 (22) 및 연결부 (23) 를 가짐으로써 후방을 향하여 개구된 가로 U 자 형상 부분을 형성하고 있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가로 U 자 형상 부분이 좌방으로부터 평형 도체 (C) 를 받아들일 수 있게 하고 있음과 함께, 받아들임시에 탄성 변위됨으로써 상측 아암부 (21) 와 하측 아암부 (22) 와 평형 도체 (C) 를 협압할 수 있게 하고 있다. 상기 하측 아암부 (22) 의 후단쪽 가까운 부분은, 하우징 (10) 의 후방 단자 유지부 (13)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유지되는 피유지부 (22B) 로서 형성되어 있다.
제 1 단자 (20) 의 접속부 (24) 는, 제 1 단자 (20) 가 하우징 (10) 의 후방 단자 유지부 (13) 에 의해 유지된 상태에서, 그 후방 단자 유지부 (13) 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크랭크상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그 접속부 (24) 는, 그 하면이 상기 후방 단자 유지부 (13) 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 회로 기판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게 되어 있다.
제 2 단자 (30) 는, 상기 단자 배열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는 띠상의 금속판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전체적으로 대략 크랭크상을 이루고 있다. 제 2 단자 (30) 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될 수 있는 상측 아암부 (31) 와, 그 상측 아암부 (31) 보다 전방으로 연장되는 하측 아암부 (32) 와, 상측 아암부 (31) 의 전단과 하측 아암부 (32) 의 후단을 연결하는 연결부 (33) 와, 하측 아암부 (32) 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속부 (34) 를 갖고, 상기 대략 크랭크상을 이루고 있다.
제 2 단자 (30) 의 상측 아암부 (31) 는, 하측 아암부 (32) 보다 폭이 좁게 되어 있고, 그 폭 방향 치수는 제 1 단자 (20) 의 상측 아암부 (21) 의 후반부 (자유단측) 의 폭 방향 치수와 거의 동일하다. 상측 아암부 (31) 는, 전후 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도록 굴곡되어 형성된 접촉 돌출부 (31A) 를 가지고 있어, 평형 도체 (C) 가 삽입되었을 때에는, 탄성 변위에 기초하여, 그 접촉 돌출부 (31A) 에 의해 평형 도체 (C) 의 회로부와 접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제 2 단자 (30) 의 하측 아암부 (32) 의 전단쪽 근처 부분은, 하우징 (10) 의 전방 단자 유지부 (11) 에 의해 일체 몰드 성형으로 유지되는 피유지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단자 (30) 의 연결부 (33) 는, 하측 아암부 (32) 와 동일한 폭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 1 단자 (20) 의 연결부 (23)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단자 (30) 의 접속부 (34) 는, 제 2 단자 (30) 가 하우징 (10) 의 전방 단자 유지부 (11) 에 유지된 상태에서, 그 전방 단자 유지부 (11) 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크랭크상으로 연장되어 나와 있다. 그 접속부 (24) 는, 그 하면이 하우징 (10) 의 전방 단자 유지부 (11) 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 회로 기판의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게 되어 있다.
상기 서술한 제 1 단자 (20) 와 제 2 단자 (30) 의 2 종의 단자 자체는, 본 발명이 주안으로 하는 바는 아니기 때문에,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가동 부재 (40) 는, 도 2, 도 4,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된 대략 판상을 이루는 본체부 (41) 와, 도 2, 도 5 에서 그 본체부 (41) 의 양측 외방 위치에서 하방 (폐쇄 위치에서의 후방) 을 향하여 연장되는 끝 아암부 (42) 와, 본체부 (41) 와 끝 아암부 (42) 의 상단끼리를 결합하는 결합부 (43) 와, 그 결합부 (43) 로부터 연장되고, U 자 형상을 이루며 단자 배열 방향 (커넥터 폭 방향) 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 피로크 아암 (45) 과, 본체부 (41) 와 끝 아암부 (42) 사이에서 결합부 (43) 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캔틸레버상으로 연장되는 걸림 아암부 (44) 와, 본체부 (41) 의 양측 단면의 하부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 외방으로 연장되어 나옴과 함께 끝 아암부 (42) 의 하단으로 연결되는 축부 (46) 를 가지고 있다. 상기 탄성 피로크 아암 (45) 은 단자 배열 방향에서 외방을 향하여 피로크 돌출부 (45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체부 (41) 는,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단자 배열 방향에서는, 단자 배열 범위 전역에 걸쳐, 전후 방향에서는,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상측 아암부 (21, 31) 의 후단부에서부터 접속부 (24, 34) 의 중간 위치에까지 걸치는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도 6 도 참조).
본체부 (41) 는, 도 4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하단측 부분 (도 6(A) 에 보여지는 폐쇄 위치에서의 후단측 부분) 이 전방 (폐쇄 위치에서의 하방) 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음과 함께, 단자 배열 방향에서 각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에 대응하는 위치에, 그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상측 아암부 (21, 31) 의 자유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홈부 (41A) 가 형성되어 있다 (도 6(A)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상측 아암부 (21, 31) 의 자유단부 (21B, 31B) 가 수용홈부 (41A) 내에 수용됨으로써, 수용홈부 (41A) 의 대향 내벽면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 에 의해,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상측 아암부 (21, 31) 의 자유단부 (21B, 31B), 나아가서는 상측 아암부 (21, 31) 의 부주의한 변위가 규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수용홈부 (41A) 가 후술하는 축부 (46) 의 영역 내의 근방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서부터 개방 위치에 걸치는 이동 범위에서의 어느 위치에 있어서도, 상기 상측 아암부 (21, 31) 의 자유단부 (21B, 31B) 중 적어도 일부가 수용홈부 (41A) 에 수용되게 되어 있어, 상기 영역이 축부 (46) (회전 중심) 근방으로서, 가동 부재 (40) 의 개폐 동작에 의해서도 그다지 이동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 상기 자유단부를 포함하는 위치에 있어, 상기 자유단부 (21B, 31B) 의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변위를 항상 규제할 수 있다. 또, 수용홈부 (41A) 는, 가동 부재 (40)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규제를 위해 가동 부재 이외의 별도의 부재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커넥터 (1) 가 상하 방향에서 대형화되는 경우는 없다.
도 4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체부 (41) 는, 상단측 부분 (도 6(A) 에 보여지는 폐쇄 위치에서의 전단측 부분) 에, 전방 (폐쇄 위치에서의 하방) 을 향하여 돌출됨과 함께, 단자 배열 방향에서 단자 배열 범위에 걸쳐 연장되는 벽부 (41B) 를 가지고 있다. 그 벽부 (41B) 는, 그 상면의 전반부 (폐쇄 위치에서의 전면의 하반부) 가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거의 전역에 걸쳐 몰입부 (41B-1) 가 형성되어 있게 되어, 후반부, 즉 가라앉지 않은 부분이 조작부 (41B-2) 로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 조작부 (41B-2) 에 손가락을 걺으로써,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를 향하여 회동되게 되어 있다.
끝 아암부 (42) 는, 도 3, 도 4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본체부 (41) 의 양측 외방 위치에서, 하방 (도 1 에서 후방) 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음과 함께, 그 하단에 축부 (46) 가 연결되어 있다. 또, 끝 아암부 (42)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볼 때, 크랭크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폐쇄 위치에서의 가동 부재를 나타내는 도 3 에서, 전반부가 후반부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있다.
걸림 아암부 (44) 는, 도 4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자유단인 하단부에, 전방 (폐쇄 위치에서의 하방) 을 향하여 돌출되는 걸림부 (44A) 가 형성되어 있다. 그 걸림부 (44A) 는, 도 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10) 의 받아들임부 (19A) 내에 상방으로부터 돌입되어 있음과 함께, 측방 기부 (14) 의 상면에 맞닿거나 근접하고 있다. 또, 도 6(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걸림부 (44A) 의 후단면에는, 전방을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경사면 (44A-1) 이 형성되어 있어, 삽입 과정의 평형 도체 (C) 의 귀부 (C2) 의 전단부가 상기 경사면 (44A-1) 에 맞닿으면, 그 맞닿음력을 받아 걸림 아암부 (44) 가 상방을 향하여 용이하게 탄성 변위되는 탄성 아암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걸림부 (44A) 의 전단면은, 전후 방향에 대해 직각인 걸림면 (44A-2) 으로서 형성되어 있어, 그 걸림면 (44A-2) 이 평형 도체 (C) 의 피걸림부 (C2A) 에 대해 확실하게 걸려, 그 평형 도체 (C) 의 부주의한 발출을 방지하게 되어 있다.
상기 걸림 아암부 (44) 에는, 자유단인 하단부에, 단자 배열 방향에서 걸림부 (44A) 의 측면으로부터 외방으로 돌출되는 피규제부 (47) 도 형성되어 있다. 그 피규제부 (47)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 보았을 때, 상기 걸림부 (44A) 의 범위의 일부와 중복되는 범위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도시하는 예에서는, 피규제부 (47) 는, 도 4 에서 탄성 아암부의 하면 (도 4 에서 하면) 과 상기 걸림부 (44A) 의 상면 (전측 가장자리) 이 교차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걸림부 (44A) 가 걸림 아암부 (44) 로부터 돌출되는 기점이 되는 상기 굴곡부와, 상기 피규제부 (47) 가 걸림 아암부 (44) 그리고 걸림부 (44A) 의 경계가 되는 단차 모서리부에 의해, 걸림 아암부 (44), 걸림부 (44A) 그리고 피규제부 (47) 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서로 보강하여 강도가 향상된다. 그 피규제부 (47) 는,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의 측방 규제부 (17) 에 형성된 오목상의 규제부 (17C) 내에 진입하고 있어, 규제부 (17C) 의 수립측 가장자리 (17C-1) 와 전후 방향에서 대면하여, 이 방향에서 규제부 (17C) 로부터 규제를 받는 위치 관계에 있다.
상기 피규제부 (47) 는, 그 피규제부 (47) 보다 커넥터 폭 방향 일단측에서 외측 부분을 제거하여 나타내는 단면 사시도인 도 3(B) 그리고 도 6(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오목부 형상을 이루는 상기 규제부 (17C) 내에 들어가는 크기 그리고 위치에 형성되어 있어, 전후 가장자리에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서로 평행을 이루고, 전후 방향에서 규제부 (17C) 의 수립측 가장자리 (17C-1) 와 간극을 가지고 대면하여 규제를 받을 수 있는 위치에 있는 2 개의 피규제 가장자리 (47A, 47B) 를 갖는 다각형 단면 형상을 이루고 있다. 피규제 가장자리 (47A, 47B) 에 인접하는 경사 가장자리 (47C, 47D) 는, 규제부 (17C) 에 대한 출입을 원활하게 실시하기 위해 경사 가장자리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 부재 (40) 는, 결합부 (43) 로부터 연장되는 앞서 서술한 탄성 피로크 아암부 (45) 가 형성되어 있는데, 그 탄성 피로크 아암부 (45) 는, 개방 위치의 가동 부재 (40) 를 나타내는 도 5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도 5 에서 전방에 U 자 바닥부를 그리고 후방에 U 자 개방부를 갖는 U 자 형상을 이루고 있어, 커넥터 폭 방향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고, 후단측에는 피로크 돌출부 (45A)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성 피로크 아암부 (45) 의 상면은, 결합부 (43) 의 상면과 동일 레벨면에 있다. 피로크 돌출부 (45A) 는,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하우징 (10) 의 로크부 (15B) 의 하방에서 그 로크부 (15B) 에 대해 걸릴 수 있게 위치함으로써, 가동 부재 (40) 가 부주의하게 개방 위치로 회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피로크 돌출부 (45A) 는, 가동 부재 (40) 의 커넥터 폭 방향에서의 양측 끝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피로크 돌기부의 위치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 (10) 의 로크부 (15B) 와 함께 대응하고 있으면 어디에 있어도 된다.
축부 (46) 는,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1 개의 축선 상에 위치하고, 끝 아암부 (42) 로부터 외방 그리고 내방으로 연장되는 원주체 형상으로, 외측 피지지부 (46A) 그리고 내측 피지지부 (46B) 로서 각각 형성되어 있다. 외측 피지지부 (46A) 는, 기부로부터 선단을 향해 일부가 경사면 (46A-1) 이 되도록 잘라내어져 있고, 선단면은 반원으로 되어 있다. 내측 피지지부 (46B) 는 원주체 형상인 채이다.
이미 서술한 바와 같이, 상기 끝 아암부 (42) 는, 측벽 (15) 과 측방 규제부 (17) 사이에 위치하는 공간으로서 형성된 끝 아암 수용부 (19B-2) 에 들어가기 때문에, 외측 피지지부 (46A) 는 측벽 (15) 의 지지 구멍부 (15A) 에 들어가, 그 지지 구멍부 (15A) 에 의해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한편, 내측 피지지부 (46B) 는 측방 규제부 (17) 의 지지 오목부 (17B) 에 들어가, 그 지지 오목부 (17B) 에 의해 회동할 수 있게 지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가동 부재 (40) 는, 이하의 요령으로 장착된다. 먼저, 하우징 (10) 의 2 개의 측벽 (15) 끼리 사이에 가동 부재 (40) 를 상방으로부터 진입시킨다. 이 때, 도 5 와 같은 자세로, 가동 부재 (40) 의 축부 (46) 의 외측 피지지부 (46A) 에 형성되어 경사면 (46A-1) 이 하측에 위치하고 있고, 이 경사면 (46A-1) 에서 하우징 (10) 의 2 개의 측벽 (15) 끼리를 축선 방향으로 밀어 넓힌다. 그리고, 지지점부 (10C-1) 를 지지점으로 하여, 하우징 (10) 의 측방 프레임부 (10C) 의 외측 부분을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외방을 향하여 탄성 변위시키면서, 축부 (46) 의 외측 피지지부 (46A) 를 하우징 (10) 의 측벽 (15) 의 지지 구멍부 (15A) 로 내측으로부터 진입시킴과 함께, 축부 (46) 의 내측 피지지부 (46B) 를 하우징 (10) 의 측방 규제부 (17) 의 지지 오목부 (17B) 로 상방으로부터 진입시킨다. 그리고, 상기 외측 부분이 자유 상태로 되돌아감으로써, 가동 부재 (40) 가 하우징 (10) 에 장착된다.
도 1 그리고 도 2(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 가동 부재 (40) 의 본체부 (41) 및 걸림 아암부 (44) 가 하우징 (10) 의 본체 수용부 (19B) (도 3(A), 도 3(B) 참조) 내에 수용됨과 함께, 가동 부재 (40) 의 끝 아암부 (42) 가 하우징 (10) 의 끝 아암 수용부 (19B-2) (도 3(A), 도 3(B) 참조) 내에 수용된다. 도 1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상하 방향에서의 거의 전체가 상기 수용부 (19B) 에 수용되어 있어, 그만큼 커넥터 (1) 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도 6(A), 도 7(A), 도 8(A) 도 참조). 또, 폐쇄 위치에서는, 가동 부재 (40) 가 단자 배열 범위를 덮기 때문에, 이로써,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에 먼지나 티끌이 부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동 부재 (40) 의 상하 방향에서의 거의 전체가 수용부 (19B) 에 수용되는 것으로 하였지만, 이 대신에 가동 부재의 상하 방향에서의 일부가 수용부에 수용되는 것으로 해도, 수용되어 있는 치수분만큼 커넥터 (1) 의 상하 방향의 치수를 작게 할 수 있다.
고정 금구 (50) 는,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하우징 (10) 의 양단쪽 가까운 위치 또한 전후 방향에서의 후단측에서 그 하우징 (10) 의 측방 기부 (14) 에 의해 유지된다. 고정 금구 (50) 는, 단자 배열 방향을 폭 방향으로 하는 띠상의 금속판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으며, 하우징 (10) 에 유지되는 피유지부 (도시 생략) 와,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땜납 접속되는 고정부 (51) 를 가지고 있다. 상기 피유지부는, 하우징 (10) 의 측방 기부 (14) 와 일체 몰드 성형되어, 그 측방 기부 (14) 에 유지된다. 고정 금구 (50) 는,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나와 있고, 그 하면이 상기 측방 기부 (14) 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있어, 회로 기판의 대응부와 땜납 접속되게 되어 있다. 이 땜납 접속이 회로 기판에 대한 커넥터 (1) 의 고정에 기여한다.
다음으로, 커넥터 (1) 와 평형 도체 (C) 의 접속 동작을 도 6 ∼ 도 9 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또, 도 6 ∼ 도 9 는,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해 직각인 면에서의 커넥터 (1) 의 단면도로, 각각 평형 도체 (C) 의 삽입 전의 상태, 평형 도체 (C) 의 삽입 후의 상태, 삽입 후에 평형 도체가 발출 방향으로 당겨진 상태, 평형 도체 (C) 의 발출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6 ∼ 도 9 의 각 도면에 있어서, (A) 는 제 1 단자 (20) 의 위치, (B) 는 가동 부재의 걸림 아암부 (44) 의 위치, (C) 는 가동 부재 (40) 의 걸림 아암부 (44) 로부터 연장되어 나오는 피규제부 (47) 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먼저, 커넥터 (1) 의 제 1 단자 (20) 그리고 제 2 단자 (30) 의 접속부 (24, 34) 를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함과 함께, 고정 금구의 고정부 (51) 를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땜납 접속시킨다. 이 고정부 (51) 의 땜납 접속에 의해, 하우징 (10) 의 측방 프레임부 (10C) 의 외측 부분이 회로 기판에 고정되기 때문에, 지지점부 (10C-1) 를 지지점으로 하는 상기 외측 부분의 탄성 변위가 규제된다. 이 결과, 하우징 (10) 으로부터 가동 부재 (40) 가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다음으로, 도 6(A) ∼ 도 6(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를 폐쇄 위치에 가져옴과 함께, 커넥터 (1) 의 후방에 평형 도체 (C) 를 회로 기판의 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위치시킨다. 다음으로, 평형 도체 (C) 를 전방을 향하여 커넥터 (1) 의 받아들임부 (19A) 에 삽입한다. 이 삽입시에는, 평형 도체 (C) 는, 하우징 (10) 에 형성된 안내면 (14B) 그리고 안내면 (16A) 에 의해 받아들임부 (19A) 를 향하여 안내된다. 또, 받아들임부 (19A) 에 삽입된 평형 도체 (C) 는, 하우징 (10) 의 측방 규제부 (17) 의 측방 규제면 (17A) (도 3(A), 도 3(B) 참조) 에 의해 폭 방향에서 위치 결정된다. 또, 평형 도체 (C) 는, 하우징 (10) 의 전방 규제부 (18) 의 전방 규제면 (18A) 에 의해 전후 방향에서 위치 결정된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받아들임부 (19A) 에 평형 도체 (C) 를 삽입하는 것만으로 그 평형 도체 (C) 를 소정의 정규 위치에 용이하게 가져올 수 있다.
받아들임부 (19A) 로의 평형 도체 (C) 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평형 도체 (C) 는, 제 1 단자 (20) 의 가로 U 자 형상 부분 내에 진입하여, 그 가로 U 자 형상 부분을 탄성 변위시킨다. 구체적으로는, 평형 도체 (C) 의 전단은, 제 1 단자 (20) 의 상측 아암부 (21) 의 접촉 돌출부 (21A) 에 맞닿아, 그 맞닿음력의 상하 방향의 분력에 의해 그 접촉 돌출부 (21A) 를 밀어올림과 함께, 제 1 단자 (20) 의 하측 아암부 (22) 의 지지 돌기부 (22A) 에 맞닿아 그 지지 돌기부 (22A) 를 밀어내림으로써, 상측 아암부 (21) 을 상방을 향하여 그리고 하측 아암부 (22) 를 하방을 향하여 탄성 변위시켜, 상측 아암부 (21) 와 하측 아암부 (22) 사이를 밀어 넓히도록 하여 전진한다. 이 결과, 도 7(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C) 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평형 도체 (C) 는, 상측 아암부 (21) 의 접촉 돌출부 (21A) 와 하측 아암부 (22) 의 지지 돌기부 (22A) 에 의해 상하 방향에서 협압되어, 평형 도체 (C) 의 상면에 노출된 회로부 (도시 생략) 와 상측 아암부 (21) 의 접촉 돌출부 (21A) 가 접압을 가지고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측 아암부 (21) 의 접촉 돌출부 (21A) 가 하측 아암부 (22) 의 지지 돌기부 (22A)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상측 아암부 (21) 의 기부 (연결부 (23) 에 연결되어 있는 부분) 에서부터 접촉 돌출부 (21A) 까지의 길이가, 하측 아암부의 기부에서부터 지지 돌기부 (22A) 까지의 길이보다 크게 되어 있어 탄성 휨을 일으키기 쉽다. 따라서, 평형 도체 (C) 가 상측 아암부 (21) 와 하측 아암부 (22)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 있어서, 상측 아암부 (21) 는 하측 아암부보다 탄성 변위량이 커진다.
또, 받아들임부 (19A) 로의 평형 도체 (C) 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평형 도체 (C) 의 전단은, 제 2 단자 (30) 의 상측 아암부 (31) 의 접촉 돌출부 (31A) 에 맞닿아, 그 맞닿음력의 상하 방향의 분력에 의해 그 접촉 돌출부 (31A) 를 밀어올림으로써, 상측 아암부 (31) 를 상방을 향하여 탄성 변위시킨다. 이 결과, 도 7(A)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C) 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평형 도체 (C) 의 상면에 노출된 회로부 (도시 생략) 와 상측 아암부 (31) 의 접촉 돌출부 (31A) 가 접압을 가지고 접촉한다.
또, 받아들임부 (19A) 로의 평형 도체 (C) 의 삽입 과정에 있어서, 평형 도체 (C) 의 양측 끝쪽 근처에 위치하는 귀부 (C2) 가 가동 부재 (40) 의 걸림 아암부 (44) 의 후단에 형성된 걸림부 (44A) 의 경사면 (44A-1) 에 맞닿아, 그 맞닿음력의 상하 방향의 분력에 의해 걸림 아암부 (44) 를 상방을 향하여 탄성 변위시켜 평형 도체 (C) 의 삽입을 허용하는 위치에 가져온다. 또한, 평형 도체 (C) 가 삽입되어, 귀부 (C2) 가 걸림부 (44A) 의 위치를 통과하면, 걸림 아암부 (44) 는 탄성 변위량을 줄이도록 하방을 향하여 변위되어 자유 상태로 되돌아가, 평형 도체 (C) 의 절결부 (C1) 내에 돌입한다. 이 결과, 도 7(B)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평형 도체 (C) 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평형 도체 (C) 의 피걸림부 (C2A) 가 걸림부 (44A) 의 걸림면 (44A-2) 에 대해 걸릴 수 있게 위치하기 때문에, 평형 도체 (C) 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저지된다. 또한, 걸림 아암부 (44) 가 완전히 자유 상태로 되돌아가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어, 걸림 아암부 (44) 가 약간의 탄성 변위량을 남긴 상태에서, 걸림부 (44A) 가 평형 도체 (C) 의 절결부 (C1) 내에 돌입하여 피걸림부 (C2A) 와 걸릴 수 있게 위치함과 함께, 상기 걸림 아암부 (44) 와 측방 기부 (14) 에 의해 평형 도체 (C) 의 귀부 (C2) 를 상하 방향에서 사이에 두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7(A) ∼ 도 7(C) 의 상태의 평형 도체 (C) 를, 의도하는 발출 전에, 그 평형 도체가 부주의한 후방으로의 과대한 힘을 받았을 때에는, 그 평형 도체 (C) 가 상기 가동 부재 (40) 의 걸림 아암부 (44) 에 형성된 걸림부 (44A) 를 강하게 후방으로 당기기 때문에, 도 8(A) ∼ 도 8(C) 와 같이, 가동 부재 (40) 자체가 후방으로 어긋나려고 한다. 그러나, 가동 부재 (40) 에는, 상기 걸림 아암부 (44) 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된 피규제부 (47) 가 하우징의 오목상의 규제부 (17C) 내에 있어, 후방으로 어긋나도 도 8(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상기 피규제부 (47) 의 후측의 피규제 가장자리 (47B) 가 상기 규제부 (17C) 의 후측의 수립측 가장자리 (17C-1) 와 맞닿아, 그 이상의 이동은 저지된다. 따라서, 가동 부재 (40) 의 빠짐이나 걸림부 (44A) 의 파손이라는 사태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어긋남은, 가동 부재와 하우징 사이의 덜거덕거림의 크기가 최대값이 된다.
도 7(A) ∼ 도 7(C) 에 나타나는 상태, 즉 커넥터 (1) 와의 접속 상태에 있는 평형 도체 (C) 를 커넥터 (1) 로부터 의도적으로 발출할 때에는, 폐쇄 위치에 있는 가동 부재 (40) 를 회동시켜, 도 9(A) ∼ 도 9(C) 에 나타내는 개방 위치로 가져온다. 도 9(C) 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가동 부재 (40) 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에는, 회동한 걸림 아암부 (44) 의 걸림부 (44A) 는 평형 도체 (C) 의 절결부 (C1) 로부터 상방으로 빠져 위치하고, 피규제부 (47) 는 규제부 (17C) 보다 상방으로 빠져 위치한다. 요컨대, 평형 도체 (C) 의 피걸림부 (C2A) 에 대한 걸림부 (44A) 의 걸림 상태 그리고 피규제부 (47) 에 대한 규제부 (17C) 의 규제 상태가 해제되어, 평형 도체 (C) 의 후방으로의 발출이 허용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평형 도체 (C) 를 후방으로 당기면, 그 평형 도체 (C) 를 용이하게 발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걸림 아암부 (44) 에 형성되는 피규제부 (47) 는, 가동 부재 (40) 가 폐쇄 위치에 왔을 때, 하우징의 오목상의 규제부 (17C) 에 하방을 향하여 진입하는 형식에 머무르지 않고, 하방과 측방으로의 움직임을 가지고 진입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도 10 과 같이, 걸림 아암부 (44) 의 걸림부 (44A) 를 측내방으로부터 전방을 향하여 경사면으로서 형성하고, 그 걸림부 (44A) 의 전단을 피규제부 (47) 의 전단과 일치시키는 형상으로 하고, 평형 도체 (C) 가 정규의 삽입 위치에 있을 때에, 상기 피규제부 (47) 를 하우징의 규제부 (17) 의 측방에 위치하게 한다 (도 11(A) 참조). 평형 도체 (C) 의 절결부 (C1) 로 형성되는 귀부 (C2) 의 후단 가장자리가 되는 피걸림부 (C2A) 를 상기 걸림부 (44A) 에 적합한 경사 가장자리로 해 두면, 평형 도체 (C) 가 정규 위치에서는, 도 11(A) 와 같은 피걸림부 (C2A) 와 걸림부 (44A) 의 위치 관계를 가져, 평형 도체 (C) 가 강하게 후방으로 당겨지면, 피규제부 (47) 가 평형 도체 (C) 의 걸림부 (44A) 가 평형 도체 (C) 의 피걸림부 (C2) 로부터 후방으로 힘을 받고, 그 측방 성분의 힘에 의해 걸림 아암부 (44) 가 측방으로 휘어 피규제부 (47) 가 동일 방향으로 변위되는 캠 기능을 가지고, 도 11(B) 와 같이 규제부 (17C) 에 진입한다. 그 후의 피규제부 (47) 의 규제부 (17C) 에 의한 후방으로의 규제는 상기 예와 동일하다. 상기 걸림부 (44A) 와 피걸림부 (C2A) 의 관계는, 양방이 경사면이 아니더라도, 적어도 일방이 타방에 대해 상대적으로 경사면에서 캠 기능을 가지고 있으면 된다.
또한, 상기 규제부 (17C) 와 피규제부 (47) 에 의한 규제력을 삽입성을 저해하지 않고 높이기 위해서는, 걸림부 (44A) 에 비해 피규제부 (47) 의 걸림량을 크게 하면 되고, 도 11 과 같이 규제부 (17C) 를 오목부로 하지 않고 하우징 바닥부에까지 관통하는 구멍부 혹은 홈부로서 형성하고, 걸림부 (44A) 의 높이 치수를 바꾸지 않고 피규제부 (47) 의 높이 치수를 그만큼 크게 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규제 맞닿음면 높이가 커지고, 그만큼 규제력이 높아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 규제부는 실시형태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 예를 들어, 고정 금구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가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에 피규제부에 맞닿을 수 있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으로 해도 된다. 또, 피규제부가 규제부에 대한 피규제 위치로의 변위 방향은 하측 방향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가동 부재에 형성되어 있는 걸림 아암부는, 도시한 실시형태와 같이, 후방으로 연장되어 있는 것에 한정하지 않더라도, 커넥터의 폭 방향이 되는 측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면 된다. 요점은, 걸림 아암부가 탄성 아암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가동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을 때, 그 걸림 아암부의 선단에 형성된 걸림부가,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와 걸리는 위치에 오도록 되어 있으면 된다.
나아가서는, 가동 부재는 하우징의 받아들임부를 덮는 판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도시한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에는, 도 3(A) 와 같이, 단자 배열역 (전후 그리고 폭 방향 범위) 을 덮는 상벽이 형성되어 있지 않고, 받아들임부가 상방에 전면적으로 개방되어 있었지만, 하우징에 이 단자 배열역을 덮는 상벽부를 형성하기로 하면, 가동 부재는 이미 받아들임부를 덮는 기능이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가동 부재를 상기 상벽부의 양측 가장자리 그리고 전단 가장자리가 그 상벽부를 3 면에서 둘러싸는 U 자 형상 프레임체로서 형성할 수도 있다.
10 : 하우징
44 : 걸림 아암부
17C : 규제부
44A : 걸림부
19A : 받아들임부
47 : 피규제부
20 : (제 1) 단자
C : 평형 도체
30 : (제 2) 단자
C2A : 피걸림부
40 : 가동 부재

Claims (6)

  1.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고,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형 도체가 접속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평형 도체가 전방을 향하여 삽입되도록 적어도 후방을 향하여 개방된 공간으로서 받아들임부가 형성된 하우징과,
    상기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일 방향이고 전후 방향에 대해 직각인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상기 하우징에 배열 유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상기 받아들임부의 상방에서 상기 실장면에 대해 평행한 자세로 상기 하우징으로의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을 허용하는 폐쇄 위치와, 상기 실장면에 대해 각도를 가진 자세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상기 평형 도체의 발출을 허용하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게 상기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는 가동 부재를 구비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 상기 단자의 배열 범위의 외측 위치에, 상기 평형 도체의 양측 끝에 형성된 피걸림부에 대해 그 평형 도체의 발출 방향에서 걸릴 수 있는 걸림 아암부를 갖고,
    그 걸림 아암부는, 상기 폐쇄 위치에서 적어도 상하 방향으로 탄성 변위될 수 있는 탄성 아암부와, 그 탄성 아암부의 후부의 하측 가장자리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에 대해 걸릴 수 있는 걸림부와, 걸림부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영역에서 상기 배열 방향으로 돌출되는 피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하우징, 그 하우징에 장착된 부재 또는 상기 폐쇄 위치에 있는 상기 가동 부재는, 상기 피규제부보다 후방 위치에 그 피규제부에 대해 상기 발출 방향에서 맞닿을 수 있는 규제부를 갖고 있고,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는, 상기 걸림부가 상기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의 후방 위치에서 그 피걸림부에 대해 상기 발출 방향에서 걸릴 수 있게 위치하고,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평형 도체에 대해 후방으로의 발출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상기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림과 함께, 상기 피규제부가 상기 규제부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걸림 아암부의 피규제부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 볼 때 상기 탄성 아암부의 하측 가장자리와 상기 걸림부의 전측 가장자리가 교차하는 굴곡부를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규제부는,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 걸림 아암부의 피규제부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걸림 아암부의 탄성 아암부는, 상하 방향에 더하여,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도 탄성 변위될 수 있게 되어 있고,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의 후부 및 걸림 아암부의 걸림부의 전부 중 적어도 일방이, 전방을 향함에 따라 상기 배열 방향에서 외측으로 경사져 있고,
    규제부는, 평형 도체가 하우징의 받아들임부에 삽입되기 전의 상태에서, 상기 배열 방향에서 상기 걸림 아암부의 피규제부보다 외측에 형성되어 있어,
    상기 평형 도체의 삽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그 평형 도체에 대해 후방으로의 발출력이 작용하여, 그 평형 도체의 피걸림부의 후부가 상기 걸림부의 전부에 걸렸을 때, 상기 탄성 아암부가, 상기 배열 방향에서 외측으로 탄성 변위됨으로써, 상기 피규제부가 상기 배열 방향에서 상기 규제부와 동일한 위치로 와서 그 규제부에 전방으로부터 맞닿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피규제부는 상기 걸림부보다 하방에 돌출되어 있고,
    하우징에는, 평형 도체에 대해 후방으로의 발출력이 작용했을 때의 단자의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피규제부와 동일한 위치에, 그 피규제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구멍부 또는 관통 구멍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멍부 또는 관통 구멍부를 형성하는 내벽면 중 상기 피규제부보다도 후방 위치에서 그 피규제부에 대해 평형 도체의 발출 방향에서 맞닿을 수 있게 위치하는 면을 갖는 부분이 규제부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우징에는 금구가 장착되어 있고, 그 금구에 규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20140075794A 2013-07-04 2014-06-20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1017273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140522A JP5809203B2 (ja) 2013-07-04 2013-07-04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JP-P-2013-140522 2013-07-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05445A true KR20150005445A (ko) 2015-01-14
KR101727363B1 KR101727363B1 (ko) 2017-04-14

Family

ID=52257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794A KR101727363B1 (ko) 2013-07-04 2014-06-20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5809203B2 (ko)
KR (1) KR101727363B1 (ko)
CN (1) CN104283028B (ko)
TW (1) TWI521804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814A (ko) * 2019-03-07 2020-09-16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20210002848U (ko) * 2020-06-11 2021-12-21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23875B2 (ja) * 2016-08-26 2020-07-1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EP3560407A4 (en) * 2016-12-20 2020-09-16 Olympus Corporation SUBSTRATE FIXING STRUCTURE
JP6391746B1 (ja) * 2017-03-27 2018-09-19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平型導体用コネクタ
JP7164374B2 (ja) * 2018-09-25 2022-11-0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及び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TWI669857B (zh) * 2018-11-15 2019-08-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連接器
JP7183972B2 (ja) * 2019-06-19 2022-12-06 住友電装株式会社 可動支持構造体
JP7152380B2 (ja) * 2019-10-10 2022-10-12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TWI753537B (zh) * 2020-08-17 2022-01-21 禾昌興業股份有限公司 具有自動鎖扣結構的高頻連接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0524A (ja) * 2006-03-15 2007-09-2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電気コネクタ
KR20090086026A (ko) * 2008-02-05 2009-08-10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JP2010003616A (ja) * 2008-06-23 2010-01-07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JP2011108500A (ja) 2009-11-18 2011-06-02 Smk Corp 基板接続用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572Y2 (ja) * 1979-06-30 1985-04-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離脱防止機構付電気コネクタ
JP2000208188A (ja) * 1998-11-09 2000-07-28 Omron Corp コネクタ
JP2005116495A (ja) * 2003-09-19 2005-04-28 Sony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およびコネクタならびに電子機器
JP2007329048A (ja) * 2006-06-08 2007-12-20 Jst Mfg Co Ltd コネクタ
US20100190373A1 (en) * 2008-01-22 2010-07-29 Shih-Kun Yeh Flat cable connector
JP2009231069A (ja) * 2008-03-24 2009-10-08 Honda Tsushin Kogyo Co Ltd ロック付きfpc用コネクタ
JP5121569B2 (ja) * 2008-05-22 2013-01-1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410306B1 (ja) * 2009-06-03 2010-02-03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5057592B2 (ja) * 2010-02-03 2012-10-24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5121884B2 (ja) * 2010-05-31 2013-01-16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227379B2 (ja) * 2010-08-27 2013-07-03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50524A (ja) * 2006-03-15 2007-09-27 Hon Hai Precision Industry Co Ltd 電気コネクタ
KR20090086026A (ko) * 2008-02-05 2009-08-10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도체용 전기커넥터
JP2010003616A (ja) * 2008-06-23 2010-01-07 Kyocera Elco Corp コネクタ
JP2011108500A (ja) 2009-11-18 2011-06-02 Smk Corp 基板接続用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7814A (ko) * 2019-03-07 2020-09-16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KR20210002848U (ko) * 2020-06-11 2021-12-21 피-투 인더스트리즈 인코포레이티드 자동 잠금 구조가 마련된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1511417A (zh) 2015-03-16
JP5809203B2 (ja) 2015-11-10
CN104283028A (zh) 2015-01-14
TWI521804B (zh) 2016-02-11
KR101727363B1 (ko) 2017-04-14
JP2015015126A (ja) 2015-01-22
CN104283028B (zh)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27363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JP4207952B2 (ja) コネクタ
JP5651652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TWI408853B (zh) 基板對基板連接器
JP5972855B2 (ja) 電気コネクタ
KR101383455B1 (ko) 전기 커넥터
US20190296495A1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JP2009206059A (ja) 電気コネクタ
CN112652902B (zh) 扁平型导体用电连接器
KR101547853B1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US11031718B2 (en)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US8784133B2 (en) Connector
KR102128123B1 (ko) 플러그 커넥터
JP2013145659A (ja) コネクタ
JP6723875B2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5708106B2 (ja) コネクタ
JP7470289B2 (ja) コネクタ
JP3997483B2 (ja) コネクタ
JP7389407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JP5330956B2 (ja) 電気コネクタ
KR102431886B1 (ko) 평형 도체용 전기 커넥터
WO2022255060A1 (ja) ジョイント端子
JP5034791B2 (ja) コネクタ
JP2024066099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JP2024066097A (ja) 平型導体用電気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