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110949A - 벌브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벌브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110949A
KR20040110949A KR1020030040515A KR20030040515A KR20040110949A KR 20040110949 A KR20040110949 A KR 20040110949A KR 1020030040515 A KR1020030040515 A KR 1020030040515A KR 20030040515 A KR20030040515 A KR 20030040515A KR 20040110949 A KR20040110949 A KR 200401109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b
terminal
connector
piece
recepta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0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2626B1 (ko
Inventor
이철섭
배해성
장병문
강병욱
조병희
Original Assignee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타이코에이엠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0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42626B1/ko
Priority to DE102004029238A priority patent/DE102004029238A1/de
Priority to CNA2004100694038A priority patent/CN1574509A/zh
Priority to JP2004183057A priority patent/JP2005011818A/ja
Publication of KR200401109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109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2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26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baseless lamp bul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94Holders formed as 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a counter-part to a coupling part

Landscapes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벌브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직형 커넥터의 벌브소켓에 금속단자를 일체로 인서트사출함에 있어서, 사출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에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벌브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일측으로 벌브가 삽입되는 벌브소켓과, 상기 벌브소켓의 내측에 구비되는 금속단자를 포함하는 벌브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벌브소켓은 내부에 단자수용부가 형성된 벌브홀더와, 상기 벌브홀더의 하부에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플러그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금속단자는 상측으로 상기 벌브의 하부가 고정되는 리셉터클단자부와, 상기 벌브소켓의 내측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연결부와 대응되게 직각으로 절곡된 탭단자부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리셉터클단자부의 하부에는 상기 탭단자부의 상부와 결합 및 분리되는 체결부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벌브용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종래에 비해 사출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작업에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상승되고 제조단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벌브용 커넥터{A bulb connector}
본 발명은 벌브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형 커넥터의 벌브소켓에 금속단자를 일체로 인서트사출함에 있어서, 사출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에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벌브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램프에는 다양한 종류의 벌브가 사용되는데, 상기 벌브를 차체에 고정하고 전기를 공급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 벌브용 커넥터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벌브의 고정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때, 상기 커넥터는 차체에 고정되며 벌브가 삽입되는 벌브소켓과, 상기 벌브소켓에 구비되어 벌브를 고정함과 동시에 전기를 공급하는 금속단자로 구성되며, 종래에는 상기 벌브소켓과 금속단자의 외형이 일자형으로 구성된 커넥터가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일자형 커넥터는 후방으로 플러그 등의 부품이 결합되는 관계로 차체에 조립시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없었으며 조립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도 수직형 커넥터가 출시되어 있으며, 도 5는 종래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벌브소켓(40)은 그 외형이 엘자형으로 형성되어 상부에는 벌브(10)가 삽입되는 벌브홀더(41)와, 그 하부에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플러그연결부(42)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벌브소켓(40)의 내측에는 역시 엘자형으로 형성되고 상부에는 벌브(10)를 고정함과 동시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벌브고정부(51)가 구비되고, 그 하부에는 엘자형으로 절곡된 탭단자부(52)가 일체로 형성된 금속단자(5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벌브소켓(40)의 플러그연결부(42)에는 플러그(60)가 결합되어금속단자(50)로 전기를 공급하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엘자형 커넥터는 금속단자(50)의 탭단자부(52)가 엘자형으로 절곡되어 있는 관계로 벌브소켓(40)에 조립할 수 없었으며, 이에 따라 벌브소켓의 사출시 탭단자부를 삽입하여 일체로 사출성형하는 인서트사출공법을 이용하여 제조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상기 금속단자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하여 인서트사출시 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어려울 뿐만 아니라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됨으로써, 커넥터의 생산성 저하와 제조단가의 상승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수직형 커넥터의 벌브소켓에 금속단자를 일체로 인서트사출함에 있어서, 사출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작업에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한 벌브용 커넥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벌브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하여, 사용중 상기 벌브의 이탈을 방지하고, 안정적인 통전접속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수용부내에 장착되는 리셉터클단자부의 불필요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컨텍편과 그립편의 탄성력을 증가시킴과 동시에 벌브로부터의 전도열에 의한 열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벌브 삽입시, 컨텍편의 탭단자부가 변형되는 것을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록킹부를 구비하여 리셉터클단자부를 벌브홀더에 원터치방식으로 고정 및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단자록킹부가 구비된 벌브소켓에 있어서, 리셉터클단자부를 보다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본 발명은 일측으로 벌브가 삽입되는 벌브소켓과, 상기 벌브소켓의 내측에 구비되는 금속단자를 포함하는 벌브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벌브소켓은 내부에 단자수용부가 형성된 벌브홀더와, 상기 벌브홀더의 하부에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플러그연결부로 구성되며; 상기 금속단자는 상측으로 상기 벌브의 하부가 고정되는 리셉터클단자부와, 상기 벌브소켓의 내측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연결부와 대응되게 직각으로 절곡된 탭단자부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리셉터클단자부의 하부에는 상기 탭단자부의 상부와 결합 및 분리되는 체결부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단자부는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탭단자부가 형성된 컨텍편과, 상기 탭단자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부가 형성되되 그 절곡각(A)이 상기 탭단자부의 절곡각(B) 보다 적게 형성된 그립편과, 베이스플레이트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에는 상기 단자수용부의 측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돌출된 다수의 간격유지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컨텍편과 그립편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된 보강부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것을 한다.
또한, 상기 리셉터클단자부에는 상기 컨텍편의 후방을 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상기 컨텍편의 끝단과 대응되는 저지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벌브소켓의 단자수용부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접촉되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홈과,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구비되며 하단이 고정되는 탄성지지편과, 상기 탄성지지편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단을 고정하는 걸림턱부를 포함하는 단자록킹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걸림턱부에는 상단의 내측 모서리부로 상기 리셉터클단자부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안내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a,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a는 분해 사시도.
도 1b는 단면도.
도 2a,b는 도 1a에 따른 금속단자를 보인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
도 2b는 요부도.
도 3은 도 2a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도 1a에 따른 일부절개 사시도.
도 5는 종래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웨지 베이스 벌브
11 : 발광부 12 : 베이스부
12a : 고정홈 13 : 리드선
20 : 벌브소켓
21 : 벌브홀더 210 : 단자수용부
220 : 단자록킹부
221 : 수용홈 222 : 탄성지지편
223 : 걸림턱부 223a : 안내면
22 : 플러그연결부
30 : 금속단자
31 : 리셉터클단자부
310 : 컨텍편 310a : 탭단자부
311 : 그립편 311a : 고정부
312 : 베이스플레이트 312a : 간격유지부
313 : 보강부
314 : 서포트플레이트 314a : 저지턱
32 : 탭단자부
33 : 체결부
330 : 고정편 330a : 만곡부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를 보인 것으로 도 1a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1b는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벌브용 커넥터는 일측으로 벌브(10)가 삽입되는 벌브소켓(20)과, 상기 벌브소켓의 내측에 구비되는 금속단자(30)를 포함하는 벌브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벌브소켓은 내부에 단자수용부(210)가 형성된 벌브홀더(21)와, 상기 벌브홀더의 하부에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플러그연결부(22)로구성되며, 상기 금속단자는 상측으로 상기 벌브의 하부가 고정되는 리셉터클단자부(31)와, 상기 벌브소켓의 내측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연결부와 대응되게 직각으로 절곡된 탭단자부(32)로 분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셉터클단자부(31)의 하부에는 탭단자부(32)의 상부와 결합 및 분리되는 체결부(33)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벌브(10)는 웨지 베이스 벌브로 발광부(11)와, 그 하단부에 형성된 베이스부(12)로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부(12)의 양측에는 고정홈(12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발광부(11)로부터 인출된 리드선(13)이 상기 고정홈(12a)까지 연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금속단자(30)를 복잡한 구조의 리셉터클단자부(31)와 간단한 구조의 탭단자부(33)로 분리구성함으로써, 벌브소켓(20)을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상기 탭단자부를 상기 벌브소켓의 내측에 신속하고 간편하게 인서트사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탭단자부(32)는 일측이 플러그연결부(22)의 내측으로 돌출되고, 타측은 벌브홀더(21)의 내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며, 리셉터클단자부(31)는 상기 벌브홀더의 단자수용부(210)로 삽입되어 체결부(32)에 의해 상기 탭단자부에 결합된다.
이때, 상기 체결부(33)는 리셉터클단자부(31)의 하측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편(330)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편의 중간부분에는 상호 대칭되게 만곡부(33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기타 산업에서 이용되고 있는 다양한결합수단이 적용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a,b는 도 1a에 따른 금속단자를 보인 것으로 도 2a는 사시도이고, 도 2b는 요부도이며, 도 3은 도 2a에 따른 작동상태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단자부(31)는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탭단자부(310a)가 형성된 컨텍편(310)과, 상기 탭단자부(310a)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부(311a)가 형성되되 그 절곡각(A)이 상기 탭단자부(310a)의 절곡각(B) 보다 적게 형성된 그립편(311)과, 후방을 지지하는 베이스플레이트(312)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벌브(10)는 하측의 베이스부(12)가 상기 리셉터클단자부(31)의 컨텍편(310)과 그립편(311)의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벌브홀더에 장착되는데, 상기 컨텍편의 접속부(310a)와 그립편의 고정부(311a)가 상기 베이스부의 고정홈(12a)에 결합됨으로써 고정이 이루어지며, 상기 접속부가 리드선(13)과 접촉함으로써 통전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311a)는 그 절곡각(A)이 거의 제로에 가깝게 내측으로 돌출됨으로써, 벌브(1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베이스플레이트(312)의 배면에는 돌출된 다수의 간격유지부(312a)가 구비되는데, 상기 간격유지부(312a)는 도 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자수용부(21)의 측면을 지지함으로써, 장착된 리셉터클단자부(31)가 불필요하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준다.
또한, 상기 컨텍편(310)과 그립편(311)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된 보강부(313)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313)는 컨텍편(310)과 그립편(311)의 탄성력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확장된 표면적에 의해 벌브(10)로부터의 전도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산할 수 있으므로 열변형을 최소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컨텍편(310)의 후방을 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314)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의 상단에는 상기 컨텍편의 끝단과 대응되는 저지턱(314a)이 형성된다. 이는 벌브(10) 삽입시 베이스부(12)가 컨텍편(310)과 그립편(311)의 사이로 압입됨에 따라, 상기 컨텍편(310)의 끝단이 단자수용부(미도시)의 측면에 접촉하면서 접속부(310a)의 만곡부위에 조금씩 변형이 발생되는데, 저지턱(314a)은 상기 컨텍편(310)의 끝단이 상기 단자수용부의 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접속부(310a)의 만곡부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는 도 1a에 따른 일부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벌브소켓(20)의 단자수용부(210)에는 리셉터클단자부(31)의 베이스플레이트(312)와 접촉되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홈(221)과, 상기 수용홈의 내측에 구비되며 하단이 고정되는 탄성지지편(222)과, 상기 탄성지지편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단을 고정하는 걸림턱부(223)를 포함하는 단자록킹부(22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리셉터클단자부(31)를 단자수용부(210)에 삽입하면 걸림턱부(223)가 베이스플레이트(312)의 상단에 걸림으로써 견고하게 고정되며,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송곳 등을 이용하여 상기 걸림턱부를 밀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단으로부터 이탈되도록 함으로써 손쉽게 분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부(223)에는 상단의 내측 모서리부로 안내면(223a)을 형성하여, 리셉터클단자부(31)의 삽입시 그 하측 모서리부가 상기 걸림턱부의 모서리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신속하고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형 커넥터의 벌브소켓에 금속단자를 인서트사출함에 있어서, 상기 금속단자를 리셉터클단자부와 탭단자부로 분할하여, 종래에 비해 사출작업을 신속하고 간편하게 수행함과 동시에 작업에 소모되는 비용과 시간을 절약할 수 있으므로, 커넥터의 생산성이 현저하게 상승되고 제조단가가 절감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그립편에 형성된 고정부의 절곡각(A)을 컨텍편에 형성된 탭단자부의 절곡각(B)보다 적게 형성하여 벌브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므로, 사용중 벌브의 이탈 및 접속불량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리셉터클단자부의 베이스플레이트에 다수의 간격유지부를 형성하여, 상기 리셉터클단자부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단자수용부의 측면을 지지하여 리셉터클단자부가 불필요하게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벌브를 흔들림 없이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리셉터클단자부의 컨텍편과 그립편에는 보강부를 하나 이상으로 구비하여, 상기 컨텍편과 그립편의 탄성력을 증대시킴으로써 벌브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으며, 확장된 표면적에 의해 벌브로부터의 전도열을 보다 효과적으로 발산할 수 있으므로 열변형을 최소화시켜 리셉터클단자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효과를 가진다.
또한, 서포트 플레이트와 저지턱을 구비하여 벌브삽입시 컨텍편의 끝단이 단자수용부의 측면에 접촉되는 것을 저지하여 탭단자부의 만곡부위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인 통전 접속을 유지함과 동시에 리셉터클단자부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벌브소켓의 단자수용부에 원터치방식으로 작동되는 단자록킹부를 구비하여, 리셉터클단자부가 벌브소켓으로부터 간편하게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리셉터클단자부가 파손되거나 노후하여 제기능을 상실한 경우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단자록킹부의 걸림턱부에 안내면을 형성하여, 리셉터클단자부 삽입시 상기 리셉터클단자부의 하측 모서리부가 상기 걸림턱부의 모서리부와 간섭을 일으키지 않도록 함으로써, 리셉터클단자부를 손쉽게 결합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9)

  1. 일측으로 벌브(10)가 삽입되는 벌브소켓(20)과, 상기 벌브소켓(20)의 내측에 구비되는 금속단자(30)를 포함하는 벌브용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벌브소켓(20)은 내부에 단자수용부(210)가 형성된 벌브홀더(21)와, 상기 벌브홀더(21)의 하부에 직각방향으로 절곡된 플러그연결부(22)로 구성되며;
    상기 금속단자(30)는 상측으로 상기 벌브(10)의 하부가 고정되는 리셉터클단자부(31)와, 상기 벌브소켓(20)의 내측에 인서트사출을 통해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연결부(22)와 대응되게 직각으로 절곡된 탭단자부(32)로 분리 구성되고;
    상기 리셉터클단자부(31)의 하부에는 상기 탭단자부(32)의 상부와 결합 및 분리되는 체결부(33)가 일체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용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10)는 웨지 베이스 벌브임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용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33)는 상기 리셉터클단자부(31)의 하측 단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편(330)으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편(330)의 중간부분에는 상호 대칭되게 만곡부(330a)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용 커넥터.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단자부(31)는 상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탭단자부(310a)가 형성된 컨텍편(310)과, 상기 탭단자부(310a)와 대응되는 위치에 고정부(311a)가 형성되되 그 절곡각(A)이 상기 탭단자부(310a)의 절곡각(B) 보다 적게 형성된 그립편(311)과, 베이스플레이트(3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용 케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2)에는,
    상기 단자수용부(210)의 측면과 접촉되는 부위에 돌출된 다수의 간격유지부(312a)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용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컨텍편(310)과 그립편(311)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돌출된 보강부(313)가 하나 이상으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용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단자부(31)에는,
    상기 컨텍편(310)의 후방을 지지하는 서포트 플레이트(314)가 일체로 구비되며,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314)의 상단에는 상기 컨텍편(310)의 끝단과 대응되는 저지턱(314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용 커넥터.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벌브소켓(20)의 단자수용부(210)에는,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2)와 접촉되는 일측면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용홈(221)과;
    상기 수용홈(221)의 내측에 구비되며 하단이 고정되는 탄성지지편(222)과;
    상기 탄성지지편(222)의 상측에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플레이트(312)의 상단을 고정하는 걸림턱부(223);를 포함하는 단자록킹부(22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용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턱부(223)에는,
    상단의 내측 모서리부로 상기 리셉터클단자부(31)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안내면(223a)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벌브용 커넥터.
KR1020030040515A 2003-06-21 2003-06-21 벌브용 커넥터 KR1005426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515A KR100542626B1 (ko) 2003-06-21 2003-06-21 벌브용 커넥터
DE102004029238A DE102004029238A1 (de) 2003-06-21 2004-06-17 Lampenverbinder
CNA2004100694038A CN1574509A (zh) 2003-06-21 2004-06-21 一种灯泡连接器
JP2004183057A JP2005011818A (ja) 2003-06-21 2004-06-21 バルブソケッ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0515A KR100542626B1 (ko) 2003-06-21 2003-06-21 벌브용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10949A true KR20040110949A (ko) 2004-12-31
KR100542626B1 KR100542626B1 (ko) 2006-01-11

Family

ID=33509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0515A KR100542626B1 (ko) 2003-06-21 2003-06-21 벌브용 커넥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5011818A (ko)
KR (1) KR100542626B1 (ko)
CN (1) CN1574509A (ko)
DE (1) DE10200402923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312B1 (ko) * 2005-02-14 2006-11-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램프터미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2868B1 (ko) * 2007-03-30 2009-02-10 한국몰렉스 주식회사 전구 소켓
US7479044B1 (en) 2007-12-07 2009-01-20 St. Clair Technologies, Inc. Lamp socket
US8226440B2 (en) 2008-02-19 2012-07-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ing system and cap for such lighting system
JP5843640B2 (ja) * 2012-02-03 2016-01-13 矢崎総業株式会社 バルブソケット及び照明装置
KR101610799B1 (ko) * 2015-08-25 2016-04-08 에코캡 주식회사 벌브 소켓 어셈블리
CN108826079A (zh) * 2018-09-13 2018-11-16 湖南华特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台灯
JP7194565B2 (ja) * 2018-11-13 2022-12-2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CN110657369B (zh) * 2019-09-18 2022-03-18 广州自然光智能照明电器有限公司 一种可快速拆装的植物灯具
KR102246802B1 (ko) * 2020-11-12 2021-04-29 장영환 차량용 조명 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2312B1 (ko) * 2005-02-14 2006-11-03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용 램프터미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574509A (zh) 2005-02-02
KR100542626B1 (ko) 2006-01-11
JP2005011818A (ja) 2005-01-13
DE102004029238A1 (de) 2005-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51903B2 (en) Connector assemblies for connector systems
JP5190584B2 (ja) ランプソケット及びこれを有する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
KR100542626B1 (ko) 벌브용 커넥터
US6971922B2 (en) Electric connector
EP3260774B1 (en) Electrical connection member
US8632364B2 (en) Socket for wedge bulb
JP4639596B2 (ja) 発光素子ユニット
TW200929745A (en) Power supply member for lamp, discharge lamp, discharge lamp unit and luminescent device
JP2008262723A (ja) 蛍光灯用差込式ソケット
KR20080045399A (ko) 전원인가모듈 및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US11631946B2 (en) Plug-in structure and a lamp using the plug-in structure
KR200281760Y1 (ko) 웨지 베이스 벌브용 커넥터
JP5356151B2 (ja) 照明器具
KR100849026B1 (ko) 백라이트 램프 고정 소켓
JP6735876B2 (ja) 照明器具
JPH0346472Y2 (ko)
KR101684103B1 (ko) 엘이디 형광등의 전원 접속구 및 그 제조방법
JP6793790B2 (ja) 光源ユニット及び照明器具
KR20090016312A (ko) 벌브홀더
KR200447572Y1 (ko) 소켓 단자
KR20010007366A (ko) 벌브 소켓
JP2543445Y2 (ja) ランプ装置
KR200323079Y1 (ko) 방전램프 장치
JP4783492B2 (ja) ランプソケットおよび照明器具
US20090015127A1 (en) LED lamp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2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9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