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47572Y1 - 소켓 단자 - Google Patents

소켓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7572Y1
KR200447572Y1 KR2020070015396U KR20070015396U KR200447572Y1 KR 200447572 Y1 KR200447572 Y1 KR 200447572Y1 KR 2020070015396 U KR2020070015396 U KR 2020070015396U KR 20070015396 U KR20070015396 U KR 20070015396U KR 200447572 Y1 KR200447572 Y1 KR 20044757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terminal
contact pressing
wire
insertion hole
press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39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2755U (ko
Inventor
임정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보림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보림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보림전자
Priority to KR202007001539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7572Y1/ko
Publication of KR2009000275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75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757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757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2Single-pole devices, e.g. holder for supporting one end of a tubular incandescent or neon lam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소켓 단자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판상으로 구성되는 몸체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면서 직교하게 마련된 제1, 제2수직부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2수직부로부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길이가 다르게 연장되는 접촉가압부 및 삽입공 형성부가 절곡 형성된다. 그 중 상기 접촉가압부가 상기 삽입공 형성부 내측으로 더 꺽어지면서 절곡되며 상기 접촉가압부의 끝단이 상기 제2수직부 내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걸림돌기가 상기 제2수직부 내면에 형성된다. 아울러 전선이 상기 삽입공 형성부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끼워질 때 상기 접촉가압부의 절곡 각도를 제한하도록 절곡되는 방향의 몸체 상면에 스토퍼가 형성된다. 또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후 쉽게 빠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선단 배면에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소켓 단자, 걸림돌기, 스토퍼, 걸림턱

Description

소켓 단자{SOCKET TERMINAL}
본 고안은 소켓 단자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소켓에 삽입되는 소켓 단자에 관한 것이다.
소켓은 형광등, 전구 등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투입구인 동시에 이것들을 지지하기 위한 기구이다.
상기 소켓에는 램프에 전기를 공급하도록 전선이 삽입되는 소켓 단자가 구비된다. 상기 소켓 단자는 끼움 고정된 램프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이 결합해 있어야만 한다. 그래서 소켓 단자는 원하지 않은 상황에서 전선이 빠지지 않도록 하는 구조가 구비된다.
도 1에는 종래기술의 소켓 단자의 구성이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따르면, 대략 판상의 몸체(1)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1)는 소켓 하우징(미도시)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몸체(1)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고 대략 상기 몸체(1)의 양단에 직교하게 위치하는 제1수직부(2)와 제2수직부(3)가 구비된다.
상기 제1, 제2수직부(2)(3)는 일부만이 상기 몸체(1)에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그 길이는 상이하다. 즉 도면에서 상측방향에 위치한 제1수직부(2)가 하측에 위치한 제2수직부(3)보다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부(2)에는 접촉가압부(4)가 더 연장되고 몸체(1) 상면에 위치하도록 연장된 접촉가압부(4)는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제2수직부(3)에는 삽입공(5)이 형성된 삽입공 형성부(6)가 더 연장되고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접촉가압부(4)가 상기 삽입공 형성부(6)보다 더 길기 때문에 내측으로 더 꺽어져서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접촉가압부(4)가 제2수직부(3)에 연장형성되고 삽입공 형성부(6)가 제1수직부(2)에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다만 삽입공 형성부(6)는 대략 수직으로 형성되고 접촉가압부(4)는 상기 삽입공 형성부(6)보다 더 내측으로 절곡되어 형성되어야 한다.
한편, 상기 제1, 제2수직부(2)(3)의 타단 일부는 몸체(1)에서 절개된 상태에서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면서 끝부분은 다시 벌어지도록 램프 접속부(7)가 형성된다. 그 램프 접속부(7)에 램프 단자가 끼움 고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소켓 단자에서 전선이 체결되는 경우, 전선은 외력에 의해 상기 삽입공(5)을 통과하면서 전선 선단이 접촉가압부(4)에 접촉하여 밀게 되고, 접촉가압부(4)는 그 외력에 의해 절곡된 방향으로 더 꺽어지면서 전선이 통과할 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전선은 램프 접속부(7)에 끼움 고정된 램프 단자에 접촉할 때까지 끼우는것이 좋다. 이로서 전선이 완전하게 체결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전선은 접촉가 압부(4)와 접촉되어 쉽게 빠지지 않는다.
한편, 상기 전선을 분리하는 경우, 상기 접촉가압부(4)에 직접 외력을 가하여 그 접촉가압부(4)가 현재 위치에서 더 내측 방향으로 꺽어지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접촉가압부(4) 끝단이 전선과 이격되고, 따라서 전선을 잡아당겨 소켓 단자에서 전선을 뺄수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소켓 단자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접촉가압부(4) 끝단이 마주보고 있는 제2수직부(3)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그러면 전선을 삽입할 때의 힘보다 그 밀착력이 더 크면 전선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지 않아 전선 삽입이 어려워진다. 즉 접촉가압부(4)가 탄성 변형되지 않을 수 있다.
또 삽입공(5)이 형성되어 있어 소켓 단자에 삽입 가능한 전선 두께에 제한이 있지만 전선을 무리하게 삽입하거나, 전선 분리시 접촉가압부(4)에 적정 이상의 외력을 직접 가하는 경우, 접촉가압부(4)가 절곡된 방향으로 심하게 꺽일 수 있어 탄성 복원력에도 불구하고 원래 위치로의 복원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이 경우 전선이 체결된 상태에서는 접촉가압부(4)와 밀착이 되지 않아 전선이 쉽게 빠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 소켓 단자 배면에는 어떠한 돌출 구조도 마련되어 있지 않다. 때문에 소켓 하우징에 소켓 단자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선을 빼는 경우, 실수로 소켓 단자까지도 소켓 하우징으로부터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소켓 단자에서 접촉가압부가 수직부 내면에 완전하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접촉가압부가 탄성 변형될 수 있는 절곡 각도에 제한을 두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소켓 하우징에 소켓 단자가 장착된 상태에서 전선을 분리시킬 때, 그 소켓하우징에서 소켓 단자가 빠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에 따르면, 판상으로 구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양측면에 마련된 제1, 제2수직부; 상기 제1, 제2수직부로부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서로 길이가 다르게 연장되는 접촉가압부 및 삽입공 형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촉가압부가 상기 삽입공 형성부 내측으로 더 꺽어지면서 절곡되는데, 상기 접촉가압부의 끝단이 상기 제2수직부 내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걸림돌기가 상기 제2수직부 내면에 형성되고, 전선이 상기 삽입공 형성부를 통해 끼워질 때 상기 접촉가압부의 절곡 각도를 제한하도록 절곡되는 방향의 몸체 상면에 스토퍼가 형성된다.
상기 소켓 단자의 선단 배면에 형성되고 상대물의 걸이돌기부에 걸어지는 걸림턱이 더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소켓 단자에 의하면, 전선 삽입이 용이하고, 전선이 쉽게 빠지는 것이 방지되고, 전선을 뺄 때 소켓 단자가 소켓하우징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소켓 단자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먼저, 접촉 가압부가 수직부 내면과 완전하게 밀착되는 것이 방지되어 소켓 단자에 전선을 쉽게 체결할 수 있다.
또 접촉 가압부의 절곡 각도가 제한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탄성 한계 이상의 힘을 제공하는 경우가 적어져서 원래 위치로의 복원력이 크고, 따라서 전선과의 밀착력이 극대화되어 원하지 않는 상황에서 전선이 빠지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 걸리기 때문에, 전선을 뺄 때 전선과 함께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서 이탈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소켓 단자 구조를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소켓 단자의 바람직한 실시 예가 사시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3a는 평면도, 도 3b는 배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대략 판상의 몸체(10)가 구비된다. 상기 몸체(10)의 길이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되고 상기 몸체(10)의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면서 직교하게 제1, 제2수직부(20)(30)가 형성된다.
상기 제1, 제2수직부(20)(30)는 일부만이 상기 몸체(10)와 일체로 연결되고, 전체적으로 그 길이는 상이하게 구성된다. 즉 도면에서 상부에 위치한 제1수직부(20)가 하부에 위치한 제2수직부(30)보다 길이가 더 길게 연장 형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제1수직부(20)의 연장된 부분에는 접촉가압부(22)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10) 상면에 위치하도록 접촉가압부(22)는 몸체 방향으로 절곡 형성된다. 상기 제2수직부(30)의 연장된 부분에는 삽입공(34)이 형성된 삽입공 형성부(32)가 형성된다. 상기 접촉 가압부(22)가 상기 삽입공 형성부(32)보다 더 길기 때문에 몸체 내측방향으로 더 꺽어져서 위치한다.
이때 상기 접촉가압부(22)가 제2수직부(30)에 연장형성되고 삽입공 형성부(34)가 제1수직부(20)에 형성되어도 상관없다.
상기 몸체(10)에는 스토퍼(40)가 형성된다. 상기 스토퍼(40)는 상기 몸체(10)의 일부를 잘라 절곡한 것으로, 상기 접촉가압부(22)의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접촉가압부(22)의 끝단과 대응하는 제2수직부(30)의 내면에는 걸림 돌기(36)가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36)도 제2수직부(30)의 일부를 잘라 돌출시킨 것이다. 상기 걸림돌기(30)는 상기 접촉가압부(22)의 끝단면이 제2수직부(30)의 내면에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상기 접촉가압부(22)가 제2수직부(30)와 약간의 간격을 가짐으로써 전선이 삽입될 때 용이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돌기(36) 및 스토퍼(40)는 상기한 형성 부분에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여 형성시킬 수도 있다.
상기 소켓 단자의 배면 선단에는 걸림턱(50)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50)은 소켓 하우징(70: 도5참조)에 형성된 걸이돌기부(72 : 도5참조)에 걸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상태에서, 단지 전선만 뺄 때 전선은 빠지지 않고 대신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1, 제2수직부(20)(30)의 타단 일부는 몸체(10)에서 절개된 상태에서 내측방향으로 경사지게 절곡되면서 끝부분은 다시 벌어지도록 하여 약간의 간격이 제공되는 램프 접속부(60)가 형성된다. 그 램프 접속부(60)에 램프 단자가 끼움 고정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소켓 단자의 작용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은 소켓 단자에 전선이 삽입되어 결합되고, 결합된 상태에서 일정 이상의 외력이 작용하여 소켓 단자에서 전선이 분리되는 것으로 도 4a 내지 도 4c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선을 소켓 단자에 삽입하는 경우이다.
도 4a와 같이 전선(W)을 삽입공(34)을 통해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하면, 전선 (W) 선단은 접촉가압부(22)의 일면과 접촉하고, 계속 외력이 작용하면 상기 접촉가압부(22)는 상기 외력에 의해 스토퍼(40) 방향으로 절곡된다. 이때 최초에 접촉가압부(22)는 제2수직부(30) 내면에 형성된 걸림돌기(36)에 의해 상기 제2수직부(30)에 밀착되지 않고 간격이 있어 전선(W) 삽입이 쉬어진다.
그리고 전선(W)이 계속 삽입되면, 전선(W)은 접촉가압부(22)를 밀어 올리게 되고 결국 접촉가압부(22)의 하단면은 전선(W) 외주면과 밀착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도 4b의 상태이다. 즉 접촉가압부(22)가 최초 점선 위치에서 실선 위치로 변형됨을 알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선(W)이 삽입될 때 전선(W) 선단이 접촉가압부(22)에 접촉되어 계속 힘이 가해진다 하더라도, 상기 접촉가압부(22)는 상기 스토퍼(40)에 의해 멈추게 된다. 즉 접촉가압부(22)가 심하게 탄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4b와 같이 전선(W)이 소켓 단자에 체결된 상태에서, 소켓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면, 상기 소켓 하우징에 결합된 램프가 구동된다.
한편, 상기 소켓 단자에 전선(W)이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소켓 단자의 접촉가압부(22)에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 소켓 단자에서 전선을 분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도 4b와 같은 상태에서, 도 4c와 같이 일정 도구(P)를 이용하여 접촉가압부(22)에 힘을 가한다. 그러면 도 4c와 같이 접촉가압부(22)는 점선 위치에서 일점 쇄선 위치로 올라가게 되고, 따라서 전선(W)으로부터 이격된다.
이 상태에서 전선(W)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게 되면 아무런 방해 없이 용이하게 전선이 빠지게 된다.
그리고 소켓 단자에서 전선(W)이 완전하게 빠지고, 상기 접촉가압부(22)에 가해지는 힘이 제거되면, 상기 접촉가압부(22)는 실선으로 표시된 원래 위치로 복원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 결합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소켓 하우징(70)에 소켓 단자가 장착된 경우, 소켓 하우징(70)의 걸이돌기부(72)에 소켓 단자의 걸림턱(50)이 걸림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소켓 단자에서 전선(W)을 빼고자 할 때, 전선(W)이 빠지지 않는 경우에도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서 빠지는 것이 방지된다.
만약 소켓 단자를 빼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면에서 좌측 방향으로 소켓 단자를 약간 민 다음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걸림턱(50)이 걸이돌기부(72)에서 이탈하기 때문에, 소켓 단자를 뺄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고안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의 소켓 단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소켓 단자의 사시도.
도 3a는 도 2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배면도.
도 4a 내지 도 4c는 도 2의 소켓 단자에서 전선을 삽입하고 분리하는 것을 설명하는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소켓 단자가 소켓 하우징에 장착된 것을 설명하는 종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몸체 20 : 제1수직부
22 : 접촉가압부 30 : 제2수직부
32 : 삽입공 형성부 34 : 삽입공
36 : 걸림돌기 40 : 스토퍼
50 : 걸림턱 60 : 램프 접속부
70 : 소켓 하우징 72 : 걸이돌기부

Claims (2)

  1. 판상으로 구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 양측면에 서로 마주보면서 직교하게 형성되며 일단이 소정 길이만큼 연장되는 제1수직부 및 제2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수직부의 연장된 부분은 상기 몸체 방향으로 절곡되어 접촉 가압부로 형성되고,
    상기 제2수직부의 연장된 부분은 상기 몸체 방향으로 절곡되되 전선이 끼워지도록 삽입공이 구비되는 삽입공 형성부로 형성되며,
    상기 접촉가압부가 상기 삽입공 형성부의 내측으로 더 꺽어지면서 절곡되는데 상기 접촉가압부의 끝단이 상기 제2수직부 내면에 밀착되지 않도록 상기 제2수직부 내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전선이 상기 삽입공을 통해 끼워질 때 상기 접촉 가압부의 절곡 각도를 제한하도록 절곡되는 방향의 몸체 상면에 스토퍼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단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대물의 걸이돌기부에 걸어지도록 상기 소켓 단자의 선단 배면에 걸림턱이 더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소켓 단자.
KR2020070015396U 2007-09-14 2007-09-14 소켓 단자 KR20044757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396U KR200447572Y1 (ko) 2007-09-14 2007-09-14 소켓 단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396U KR200447572Y1 (ko) 2007-09-14 2007-09-14 소켓 단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755U KR20090002755U (ko) 2009-03-18
KR200447572Y1 true KR200447572Y1 (ko) 2010-02-08

Family

ID=41289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396U KR200447572Y1 (ko) 2007-09-14 2007-09-14 소켓 단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4757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398B1 (ko) * 2013-08-22 2014-04-04 주식회사 디에스이 엘이디 등기구용 전선단자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858U (ko) * 1996-07-26 1998-04-30 계승택 형광등용 스타아터 소켓
JP2000268928A (ja) 1999-03-19 2000-09-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ランプソケット
KR200404093Y1 (ko) 2005-09-28 2005-12-19 민광기 등기구용 전선연결구
KR100626184B1 (ko) 2006-05-01 2006-09-20 (주) 그룹원이앤지 형광등 소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8858U (ko) * 1996-07-26 1998-04-30 계승택 형광등용 스타아터 소켓
JP2000268928A (ja) 1999-03-19 2000-09-2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ランプソケット
KR200404093Y1 (ko) 2005-09-28 2005-12-19 민광기 등기구용 전선연결구
KR100626184B1 (ko) 2006-05-01 2006-09-20 (주) 그룹원이앤지 형광등 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755U (ko) 2009-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4304B1 (ko) 커넥터의 로킹 장치
WO2012127541A1 (ja) 電線対基板コネクタ
JP5723133B2 (ja) 雌型端子金具
JP2008305598A (ja) 基板接続コネクタ
EP2605336A1 (en) Connector
JP3724550B2 (ja) 電気コネクタ
JP2004281207A (ja) コネクタ
TW201513476A (zh) 電連接器
KR20080114337A (ko) 레버변형방지용 리어홀더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KR200447572Y1 (ko) 소켓 단자
JP4611849B2 (ja) 端子台
JP4285166B2 (ja)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WO2014119262A1 (ja) コネクタ組立体
JP4937562B2 (ja) 電気コネクタハウジング
KR200294601Y1 (ko) 기판실장용 전원커넥터
KR101578128B1 (ko) 커넥터 조립체
KR100966788B1 (ko) 커넥터 조립체에 사용되는 리어 홀더
JP2005317357A (ja) 基板用コネクタ、及びケース付き基板用コネクタ
JP5393169B2 (ja) 固定解除機構及び端子台及び照明器具
KR20080024629A (ko) 랜스 파손 방지 커넥터
KR20100070892A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한 커넥터 어셈블리
JP2007080685A (ja) 速結端子装置
JP4062852B2 (ja) 電源端子台及び照明器具
JP3928323B2 (ja) 電源端子台
KR20220019482A (ko) 커넥터 및 커넥터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