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23079Y1 - 방전램프 장치 - Google Patents

방전램프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23079Y1
KR200323079Y1 KR20-2003-0014550U KR20030014550U KR200323079Y1 KR 200323079 Y1 KR200323079 Y1 KR 200323079Y1 KR 20030014550 U KR20030014550 U KR 20030014550U KR 200323079 Y1 KR200323079 Y1 KR 20032307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discharge lamp
socket
lamp
mai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145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철
Original Assignee
김경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철 filed Critical 김경철
Priority to KR20-2003-00145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2307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230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230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7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 F21V19/008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 F21V19/0085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of tubular light sources, e.g. ring-shaped fluorescent light sources of straight tubular light sources, e.g. straight fluorescent tubes, soffit lamps at least one conductive element acting as a support means, e.g. resilient contact blades, piston-like cont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01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electrical wires or cables
    • F21V23/002Arrangements of cables or conductors inside a lighting device, e.g. means for guiding along parts of the housing or in a pivoting 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3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characterised by the lamp hold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방전램프와, 상기 방전램프를 천정에 고정하기 위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방전램프로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을 갖는 방전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소켓은, 상기 방전램프의 각 단자핀이 탄성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각 단자핀의 적어도 일부구간에 밀착되며 외부로부터의 전원에 연결되는 복수의 소켓단자와; 상기 소켓단자가 수용되며 상기 단자핀의 통과를 위한 램프단자공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연부로부터 상기 방전램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방전램프 단부의 일정 구간을 파지하는 통상의 결합부를 갖는 소켓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하여, 소켓단자가 단자핀과 점접촉이 아닌 면접촉하게 되어 결속력이 증대되므로, 점접촉으로 인한 과열 및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켓에 방전램프를 일정 구간만큼 수용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소켓의 고정클립에 의해 방전램프가 결합부내에 탄성적으로 삽입됨에 됨으로써, 방전램프를 소켓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램프홀더가 제거되고 메인프레임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제작원가가 절감된다. 한편, 소켓단자에 결합되는 단자핀과 안정기로부터의 단자 또는 전선이 상호 직교하도록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를 평행하게 형성하여 안정기와 연결되는 단자 또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선의 노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방전램프 장치{DISCHARGE LAMP APPARATUS}
본 고안은, 방전램프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전램프와 소켓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켓 및 소켓단자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구조를 간편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방전램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램프로 통칭되는 방전램프는 방전효과에 의해 형광물질을 자극하여 빛을 발생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조명기구의 일종으로서, 근래에는 단순한 조명의 차원을 넘어 일반가정이나 업소 등에서 인테리어의 목적으로 설치되어 시각적 효과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방전램프 자체만으로도 실내 장식적 효과를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방전램프 장치를 슬림(SLIM)파 및 소형화와 다양한 디자인으로 만들어져 보급되는 추세에 있다. 이에 따라, 방전램프 중에서도 크기가 작고 오래 쓸 수 있도록 개발된 3파장 램프의사용이 점차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3파장 램프는 양쪽에 2개씩의 단자핀을 구비하고 있는 일반적인 방전램프와는 달리 한쪽에만 4개의 단자가 집중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이 중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두 개의 단자핀은 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것이고, 가운데 두 개의 단자핀은 방전램프의 초기 점등을 위한 스타트램프를 연결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방전램프를 갖는 방전램프 장치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정 등에 부착되어 방전램프(160)를 고정하는 판상의 메인프레임(110)과, 일측으로 길게 형성된 방전램프(160)와,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방전램프(160)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시않은 안정기를 포함한다.
메인프레임(110)은 장착되는 방전램프(160)의 수나 모양 및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태와 크기로 형성된다. 메인프레임(110)에는 방전램프(1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소켓(130)과, 소켓(130)에 결합된 각 방전램프(160)를 파지하여 메인프레임(110)에 지지하도록 하는 램프홀더(115)가 방전램프(160)의 수나 모양에 따라 적정한 위치에 적정한 수로 부착되어 있다.
소켓(130)은 방전램프(160)의 단자핀(165)에 결합되며 방전램프(160)에 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소켓단자(150)와, 소켓단자(150)가 수용되는 타원통상의 수용부(139)를 가진다. 수용부(139)의 일측에는 방전램프(160)의 단자핀(165)의 삽입을 위해 복수의 램프단자공(133)이 형성되어 있고, 램프단자공(133)이 형성된 판면의 연부에는 둘레방향을 따라 소정 폭만큼 돌출된 결합리브(131)가 형성되어 방전램프(160)의 결합시 단자핀(165)이 램프단자공(133)에 삽입되는 것을 가이드하게 된다. 결합리브(131)의 일측에는 결합리브(131)의 돌출방향을 따라 소정 폭만큼 더 돌출된 브라켓(136)이 형성되어 있고, 브라켓(136)에는 판면을 관통하여 복수의 나사공(137)이 형성되어 소켓(130)이 메인프레임(110)에 나사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소켓(130)의 램프단자공(133)이 형성된 면과 이웃하는 면에는 외부전원과 스타트램프로부터의 전선 또는 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전원단자공(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소켓단자(150)는 램프단자공(133)을 통해 소켓(130)의 내부로 삽입된 방전램프(160)의 단자핀(165)과, 전원단자공(132)을 통해 소켓(130)의 내부로 삽입된 외부전원과 스타트램프로부터의 전선 또는 단자를 상호 전기적으로 연결하게 된다. 이 때, 소켓(130)이 안정기의 PCB 기판에 직접 장착될 경우에는 PCB 기판에 직접 단자를 형성하게 되므로, 소켓(130)의 전원단자공(132)을 통해 단자가 삽입되며, 안정기가 소켓(130)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경우에는 전선에 의해 소켓(130)과 안정기가 연결되므로 소켓(130)의 전원단자공(132)을 통해 전선이 삽입된다.
이러한 소켓단자(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며 방전램프(160)의 단자핀(165)을 파지하는 클립형상의 제1단자부(151)와, 소정 각도를 갖도록 절곡된 한 쌍의 판으로 형성되며 제1단자부(151)와 평행하게 형성된 제2단자부(153)를 갖는다. 제2단자부(153)에서 제1단자부(151)와 멀리 배치된 판에는 외부전원과 스타트램프로부터의 전선 또는 단자가 삽입되는 복수의 삽입공(도 3(b)의 도면부호 54와 동일한 형태)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방전램프 장치의 조립시, 메인프레임(110)은 천정에 결합되며, 메인프레임(110)과 천정 사이, 또는 메인프레임(110)의 일측에 안정기가 장착된다. 여기서, 메인프레임(110)에는 장착되는 방전램프(160)의 수에 따라 대응되는 수의 소켓(130)이 장착되며, 이와 마찬가지로, 방전램프(160)를 파지하기 위한 램프홀더(115)가 방전램프(160)의 수에 따라 마련되어 소켓(130)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장착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방전램프(160) 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먼저, 방전램프(160)를 소켓(130)에 결합시키면, 방전램프(160)의 단자핀(165)이 램프단자공(133)을 통과하여 소켓단자(150)의 제1단자부(151)에 접속하게 되는데, 이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램프(160)의 단자핀(165)과 제1단자부(151)가 점접촉을 하게 된다. 이렇게 방전램프(160)의 단자핀(165)과 제1단자부(151)가 점접촉 함에 따라, 점접촉한 영역에 과부하가 발생하여 과열될 우려가 크므로, 전기적 안정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렇게 방전램프(160)의 단자핀(165)과 소켓단자(150)가 점접촉 함에 따라, 방전램프(160) 단자핀(165)과 소켓단자(150)가 충분한 결속력을 가지지 못하기 때문에, 별도의 램프홀더(115)가 필요하게 된다. 만약, 이러한 램프홀더(115)를 천정에 직접 장착시킬 경우에는 설비작업이 번거로워지며, 램프홀더(115)를 별도의 부속품으로 마련함에 따른 분실위험이 따르기 때문에, 램프홀더(115)를 메인프레임(110)에 장착한 상태로 제작되고 있다. 이렇게 램프홀더(115)를메인프레임(110)에 장착함에 따라 메인프레임(110)의 크기가 커지게 되며, 이에 따라, 램프홀더(115)를 마련함에 따라 발생하는 부속품 증가와, 메인프레임(110)의 크기가 확대됨에 따른 원자재의 낭비와 원가 상승이 유발된다.
한편, 천정 매입램프의 경우에는 매입램프와 안정기(120)간의 기밀한 결속력이 요구되므로, 종래에 사용하는 소켓단자(150)를 이용해서는 매입램프를 고정시켜 줄 수 없다. 따라서, 천정 매입램프에는 결속력이 강한 다른 형태의 단자를 갖는 소켓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일반램프를 위한 부품과 매입램프를 위한 부품을 별도로 제작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비용적, 시간적, 인적 낭비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방전램프의 단자핀과 소켓단자의 접촉면적을 증대시키는 동시에 결속력을 증가시킴으로써, 과부하 및 과열을 방지하여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킴과 동시에 천정 매입램프에도 적용할 수 있는 방전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방전램프와 소켓의 결속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소켓 및 소켓단자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램프홀더 없이도 방전램프의 장착이 가능하도록 구조를 간편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전램프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방전램프 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소켓과 방전램프 및 메인프레임이 결합된 상태의 부분단면도,
도 3의 (a)와 (b)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단자의 측면도 및 배면도,
도 3의 (c)는 본 고안에 따른 소켓단자에 단자핀이 삽입된 상태의 정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켓단자의 측면도,
도 5는 종래의 방전램프 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5의 소켓 영역의 측단면도,
도 7은 도 5의 소켓단자 영역의 정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메인프레임 11 : 나사결합공
13 : 전선인출공 30 : 소켓
30a : 소켓케이싱 30b : 차단판
31 : 결합부 32 : 전원단자공
33 : 램프단자공 34 : 클립홈
35 : 고정클립 36 : 브라켓
37 : 나사공 38 : 큐브
39 : 수용부 41 : 단자판
50 : 소켓단자 51 : 제1단자부
53 : 제2단자부 60 : 방전램프
61 : 램프관 63 : 결합홈
65 : 단자핀 67 : 램프캡
70 : 전선
상기 목적은, 본 고안에 따라, 방전램프와, 상기 방전램프를 천정에 고정하기 위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방전램프로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을 갖는 방전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방전램프의 각 단자핀이 탄성적으로 삽입되며 상기 각 단자핀의 적어도 일부구간에 밀착되며 외부로부터의 전원에 연결되는 복수의 소켓단자와; 상기 소켓단자가 수용되며 상기 단자핀의 통과를 위한 램프단자공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연부로부터 상기 방전램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방전램프 단부의 일정 구간을 파지하는 통상의 결합부를 갖는 소켓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켓단자는, 상기 방전램프의 단자핀이 삽입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롯이 형성된 원통상의 제1단자부와, 상기 제1단자부로부터 연장되어 소정 각도를 가지고 상호 이격되며 일단이 연결된 두 겹의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단자부로부터 멀리 배치된 판에는 안정기로부터의 단자 또는 전선이 삽입되는 단자삽입공이 형성된 제2단자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단자부에 결합되는 단자핀과 상기 제2단자부에 결합되는 안정기로부터의 단자 또는 전선이 상호 직교하도록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제2단자부가 평행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소켓단자로부터의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방전램프 장치는, 소켓단자가 방전램프 단자핀의 둘레방향을 따라 전영역에 걸쳐 접촉하도록 함으로써, 과부하를 방지하여 전기적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소켓이 방전램프의 단부를 일정 폭 이상 파지하도록 소켓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별도의 램프홀더가 필요치 않도록 하여 부속품의 수를 감소시키고 메인프레임의 크기를 감소시켜 원가를 절감하고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하, 본 방전램프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방전램프를 평행하게 배치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는 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방전램프의 장착형태나 수에 따라 얼마든지 구성형태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방전램프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긴 판상의 메인프레임(10)과, 메인프레임(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평행하게 배치된 복수의 방전램프(60)와, 메인프레임(10)의 일측에 결합되어 방전램프(60)에 안정적인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시않은 안정기를 포함한다.
방전램프(60)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된 램프관(61)과, 램프관(61)의 개구에 결합되어 램프관(61)을 차단하는 램프캡(67)을 포함한다. 램프캡(67)은 타원통상으로 형성되며, 램프캡(67)의 평평하게 형성된 양측 면에는 판면으로부터 함몰된 결합홈(63)이 각각 형성되어 후술할 소켓의 고정클립이 걸림결합된다. 이러한 램프캡(67)에는 램프관(61)내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복수의 단자핀(65)이 일체로 결합되어 있다. 단자핀(65)은 통상 4개가 장착되며, 중앙에 배치된 2개는 스타트램프와 연결되고 양측에 배치된 2개는 외부로부터의 전선(70)에 연결된다.
한편, 메인프레임(10)에는 각각의 방전램프(6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복수의 소켓(30)이 장착되어 있으며, 각 소켓(30)은 메인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이를 위해, 메인프레임(10)에는 소켓(30)과의 나사결합을 위해 다수의 나사결합공(11)이 형성되어 있고, 외부전원의 공급을 위해 소켓(30)에 결합되는 전선(70)의 인출을 위한 전선인출공(13)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0)에는, 종래와는 달리, 소켓(30)만이 장착되며, 램프홀더는 더 이상 장착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메인프레임(10)이 램프홀더의 장착을 위해 크게 형성될 필요가 없으므로, 메인프레임(10)의 크기가 종래에 비해 아주 작아지게 된다.
이러한 메인프레임(10)에 장착되는 소켓(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의 일단이 차단된 타원통상으로 형성된 소켓케이싱(30a)과, 소켓케이싱(30a)내에 수용되며 방전램프(60)의 단자핀(65)과 외부전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소켓단자(50)를 포함한다.
소켓케이싱(30a)은, 일단을 차단하는 차단판(30b)과, 차단판(30b)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평행하게 결합되는 단자판(41)에 의해 수용부(39)가 형성되며, 수용부(39)내에는 4개의 소켓단자(50)가 수용되고, 이를 위해, 수용부(39)내에는 각 소켓단자(50)가 수용되는 4개의 큐브(38)가 일측 방향을 따라 일렬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단자판(41)에는 방전램프(60)의 단자핀(65)의 통과를 위한 램프단자공(33)이 형성되어 있고, 수용부(39)의 하부에는 안정기로부터의 단자 또는 전선(70)이 삽입되는 전원단자공(32)이 형성되어 있다.
소켓케이싱(30a)은 단자판(41)에 의해 그 길이방향을 따라 두개의 영역으로 나뉘며, 그 중 하나는 상술한 수용부(39)이고, 다른 하나는 방전램프(60)의 일단부가 수용되는 타원통상의 결합부(31)이다. 결합부(31)는, 방전램프(60)를 소켓(30)에 결합시 적어도 방전램프(60)의 램프캡(67)이 결합부(31)내에 수용될 수 있는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방전램프(60)의 램프캡(67)이 결합부(31)내에 수용될 정도의 길이로 결합부(31)를 형성하였으나, 방전램프(60)의 장착이 얼마나 안정한지에 따라, 그 길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결합부(31)내의 단자판(41)에 인접한 영역에는 평평한 면을 이루는 결합부(31)의 양측면에 외면으로 돌출된 클립홈(34)이 형성되어 있고, 클립홈(34)에는 방전램프(60)의 결합부(31)를 파지하는 고정클립(35)이 장착되어 있다. 고정클립(35)은 그 단부가 방전램프(60)를 향해 돌출된 'V'자 형상의 탄성력을 가진 스틸로 형성되며, 방전램프(60)의 장착시 결합홈(63)에 탄성적으로 수용되어 방전램프(60)의 이탈을 방지하고 방전램프(60)가 하향 경사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결합부(31)의 개구 영역에는 전원단자공(32)이 형성된 면에 결합부(31)의 면과 소정의 단차를 두고 브라켓(36)이 형성되어 있으며, 브라켓(36)에는 소켓(30)을 메인프레임(10)에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가 결합되는 복수의 나사공(37)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소켓케이싱(30a)내에 수용되는 소켓단자(50)는, 도 3의 (a) 내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램프(60)의 단자핀(65)이 삽입되는 원통상의 제1단자부(51)와, 제1단자부(51)로부터 연장되어 제1단자부(51)로부터 두 번 절곡되어 제1단자부(51)와 평행하게 배치되며 안정기로부터의 단자 또는 전선(70)이 연결되는 제2단자부(53)를 포함한다. 제1단자부(51)의 개구는 단자판(41)에 형성된램프단자공(33)과 연통되며, 제1단자부(51)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롯(52)이 형성되어 있다. 제2단자부(53)는 소정 각도를 가지고 상호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절곡된 두 겹의 판으로 형성되고, 제2단자부(53) 중 제1단자부(51)로부터 멀리 배치된 판에는 안정기로부터의 전선(70) 또는 단자가 삽입되는 단자삽입공(54)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2단자부(53)의 단자삽입공(54)은 안정기로부터의 전선(70) 또는 단자가 삽입되는 전원단자공(32)과 대응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단자삽입공(54)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이에 따라, 복수의 전선(70) 또는 단자를 단일의 소켓단자(5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한 방전램프 장치를 조립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메인프레임(10)의 일측에 안정기를 장착시키고, 각 소켓(30)의 브라켓(36)에 형성된 나사공(37)과 메인프레임(10)에 형성된 나사결합공(11)을 나사체결하여 각 소켓(30)이 메인프레임(10)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도록 장착시킨다. 이 때, 소켓(30)의 결합부(31)와 수용부(39)가 메인프레임(10)의 길이방향에 대해 가로로 배치되도록 장착한다. 그런 다음, 안정기와 복수의 소켓(30)이 장착된 메인프레임(10)을 천정에 고정하게 되며, 이 때, 소켓(30)으로부터 연장된 전선(70)을 메인프레임(10)의 전선인출공(13)을 통해 인출하여 안정기에 연결한다.
이렇게 메인프레임(10)과 안정기 및 소켓(30)의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각 소켓(30)에 방전램프(60)를 장착시키는 장착작업을 시행한다. 먼저, 방전램프(60)의 램프캡(67)을 소켓(30)의 결합부(31)내에 수용시키며, 이 때, 방전램프(60)의 각단자핀(65)이 소켓(30)의 램프단자공(33)을 통과하여 소켓단자(50)의 제1단자부(51)에 삽입되도록 방전램프(60)를 가압한다. 그러면, 방전램프(60)의 단자핀(6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자부(51)에 의해 전 영역이 둘러싸이게 되므로, 방전램프(60)의 단자핀(65)과 제1단자부(51) 간의 결합력이 향상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방전램프(60)의 램프캡(67)이 결합부(31)에 거의 다 수용되면, 램프캡(67)에 형성된 결합홈(63)으로 결합부(31)의 고정클립(35)이 탄성적으로 수용되면서 방전램프(60)의 위치가 고정되며, 고정클립(35)이 방전램프(60)의 상부와 하부에서 각각 탄성적으로 램프캡(67)을 지지함에 따라, 방전램프(60)의 처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방전램프 장치에서 소켓(30)의 구조는 종래와 비교하여 다음의 세 가지 점이 개선된다.
먼저, 소켓단자(50)의 제1단자부(51)가 방전램프(60)의 단자핀(65)의 전영역을 둘러싸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함에 따라,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단자(50)가 단자핀(65)과 점접촉이 아닌 면접촉하게 되어 결속력을 증대된다. 이에 따라, 점접촉으로 인한 과열 및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켓(30)의 결합부(31)가 종래보다 길어져 램프캡(67)의 전영역을 둘러싸게 되므로 결합부(31)가 방전램프(60)를 지지하게 되며, 방전램프(60)의 램프캡(67)에는 결합홈(63)이 형성되고 소켓(30)의 결합부(31)에는 고정클립(35)이 설치되어 방전램프(60)의 소켓(30)결합시 결합홈(63)에 고정클립(35)이 탄성적으로 삽입됨에 따라 방전램프(60)가 결합부(31)내에서의 위치가 유지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종래와 같은 램프홀더를 사용하지 아니하고 소켓(30)만으로도 방전램프(60)를 메인프레임(10)에 안정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와 같이, 램프홀더가 필요치 않게 되고, 램프홀더가 장착되지 아니함에 따라, 램프홀더의 장착을 위해 크게 형성되었던 메인프레임(10)을 소켓(30)이 장착될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작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램프홀더가 제거됨에 따른 부속품 수의 감소와, 메인프레임(10)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제작원가가 절감된다. 뿐만 아니라, 부속품 수의 감소에 따라 메인프레임(10)의 설치작업 및 방전램프(60)의 장착작업이 간편해 졌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렇게 소켓단자(50)와 방전램프(60)의 단자핀(65) 간의 결속력 향상으로 인해, 소켓단자(50)가 직립되도록 소켓(130)을 설치한 경우에도 램프단자(61)가 소켓단자(25)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다. 따라서 천정 매입램프의 단자핀도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되므로, 일반램프장치와 매입램프장치간 장치적 호환성을 갖게 되며, 천정 매입램프의 설치를 위해 별도의 부속품을 별도로 개발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 개발비를 포함한 원가가 절감된다.
한편, 소켓단자(50)의 제2단자부(53)를 제1단자부(51)와 평행하게 배치함으로써, 제2단자부(53)에 연결되는 단자 또는 전선(70)이 메인프레임(10)에 형성된 전선인출공(13)을 통해 안정기로 안내되기 때문에, 전선(70)이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한다. 이에 따라, 외부 노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선(7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방전램프(60)를 장착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단일의 방전램프(60)를 설치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소켓(30)을 안정기에 직접 장착하고, 소켓(30)에 방전램프(60)를 결합시킴으로써, 별도의 메인프레임(10)을 제작하지 아니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서 얻을 수 있는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소켓단자(50)를 제1단자부(51)와 제2단자부(53)가 상호 평행하도록 제작함으로써, 제1단자부(51)에 결합되는 방전램프(60)의 단자핀(65)과, 제2단자부(53)에 결합되는 전선(70) 또는 단자가 상호 직교하도록 하였으나,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자부(51)와 제2단자부(53)가 직교하도록 제작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1단자부(51)에 결합되는 방전램프(60)의 단자핀(65)과 제2단자부(53)에 결합되는 전선(70) 또는 단자는, 제1단자부(51) 및 제2단자부(53)의 연장방향을 따라 거의 동일 선상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형태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하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형태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실용신안 등록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실용신안등록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소켓단자가 단자핀과 점접촉이 아닌 면접촉하게 되어 결속력을 증대되므로, 점접촉으로 인한 과열 및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소켓에 방전램프를 일정 구간만큼 수용하는 결합부가 형성되어 있고, 소켓의 고정클립에 의해 방전램프가 결합부내에 탄성적으로 삽입됨에 됨으로써, 방전램프를 소켓에 안정적으로 장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종래의 램프홀더가 제거되고 메인프레임의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제작원가가 절감된다.
한편, 소켓단자에 결합되는 단자핀과 안정기로부터의 단자 또는 전선이 상호 직교하도록 제1단자부와 제2단자부를 평행하게 형성하여 안정기와 연결되는 단자 또는 전선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전선의 노출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선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방전램프와, 상기 방전램프를 천정에 고정하기 위한 메인프레임과,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장착되며 상기 방전램프로 외부로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는 소켓을 갖는 방전램프 장치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상기 방전램프의 각 단자핀이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상기 각 단자핀의 적어도 일부구간에 밀착되며 외부로부터의 전원에 연결되는 복수의 소켓단자와;
    상기 소켓단자가 수용되며 상기 단자핀의 통과를 위한 램프단자공이 형성된 수용부와, 상기 수용부의 연부로부터 상기 방전램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형성되며 상기 방전램프의 단부를 일정 구간만큼 파지하는 통상의 결합부를 갖는 소켓케이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단자는,
    상기 방전램프의 단자핀이 삽입되며 원주방향을 따라 일측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절개된 슬롯이 형성된 원통상의 제1단자부와,
    상기 제1단자부로부터 연장되어 소정 각도를 가지고 상호 이격되도록 일단이 연결된 두 겹의 판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단자부로부터 멀리 배치된 판에는 안정기로부터의 단자 또는 전선이 삽입되는 단자삽입공이 형성된 제2단자부를 포함하는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부와 상기 제2단자부는, 상기 제1단자부에 결합되는 단자핀과 상기 제2단자부에 결합되는 안정기로부터의 단자 또는 전선이 상호 직교하도록 평행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전램프 장치.
KR20-2003-0014550U 2003-05-12 2003-05-12 방전램프 장치 KR2003230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550U KR200323079Y1 (ko) 2003-05-12 2003-05-12 방전램프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14550U KR200323079Y1 (ko) 2003-05-12 2003-05-12 방전램프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23079Y1 true KR200323079Y1 (ko) 2003-08-14

Family

ID=4941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4550U KR200323079Y1 (ko) 2003-05-12 2003-05-12 방전램프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23079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358B1 (ko) 라인 타입 조명장치
TW200814470A (en) Lamp socket, backlight assembly ha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WO2022121757A1 (zh) 一种灯具级联装置及级联灯具
JP2007080627A (ja) 照明装置
US6893282B2 (en) Bayonet base for lamp mount
KR200323079Y1 (ko) 방전램프 장치
KR100517051B1 (ko) 조명등용 전원 공급장치
JP5030294B2 (ja) 照明器具
KR100512073B1 (ko) 일체화된 소켓을 갖는 전자식 안정기
KR100988409B1 (ko)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및 램프 홀더
KR200404093Y1 (ko) 등기구용 전선연결구
KR102118890B1 (ko) 착탈형 led 조명장치
JP5669656B2 (ja) ソケット及び照明器具
KR200285370Y1 (ko) 형광등용 소켓
JP4227947B2 (ja) ケーブル支持構造体、照明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0367140Y1 (ko) 전자식 형광등
JP2004031155A (ja) バックライト装置
US5836778A (en) Lamp connector
KR200388774Y1 (ko) 분리형 삼파장램프의 접속구조
KR200282574Y1 (ko) 형광등기구의 소켓커버 조립구조
KR200272061Y1 (ko) 작업등
KR200423509Y1 (ko) 형광등 소켓 및 소켓용 커넥터 단자
KR200302416Y1 (ko) 형광등 소켓과 스타트램프 소켓 결합구조
KR200416710Y1 (ko) 형광등용 접속구
KR20100088475A (ko) 접지편을 구비한 점등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72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