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5370Y1 - 형광등용 소켓 - Google Patents

형광등용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5370Y1
KR200285370Y1 KR2020020016027U KR20020016027U KR200285370Y1 KR 200285370 Y1 KR200285370 Y1 KR 200285370Y1 KR 2020020016027 U KR2020020016027 U KR 2020020016027U KR 20020016027 U KR20020016027 U KR 20020016027U KR 200285370 Y1 KR200285370 Y1 KR 20028537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fluorescent lamp
terminal
elastic pie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60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성
Original Assignee
이창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성 filed Critical 이창성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537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5370Y1/ko

Links

Landscapes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글로우스타터와 형광등을 하나의 소켓에 설치함은 물론 그 소켓을 별도의 전선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2개 이상의 형광등을 병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형광등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는 것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제1,2,3단자가 설치되며 글로우스타터와 형광등을 하나의 소켓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형광등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그 소켓의 하단 내부에는 격벽을 설치하여 격벽의 일측으로는 하나의 전선을 제1단자에 연결되도록 고정 설치하고, 격벽의 다른측으로는 2개 이상의 형광등을 병렬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들을 제2단자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와 탄성편 및 누름구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형광등용 소켓{omitted}
본 고안은 형광등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형광등 소켓에 글로우스타터(glow starter)를 결합할 수 있는 장치를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하나의 소켓에 글로우스타터와 형광등을 모두 설치할 수 있게 하는 한편, 2개 이상의 형광등을 병렬로 연결시 그에 필요한 전선을 간편하게 연결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형광등에 사용되는 소켓은 형광등의 양측 외부로 돌출된 단자를 고정하고, 그 단자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소켓 외에 형광등에는 글로우스타터가 고정되는 별도의 홀더를 구성하여 형광등의 일측에 홀더를 설치하고 글로우스타터를 결합하여 형광등을 점등시켰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형광등 소켓은 단순히 형광등만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로 구성되기 때문에 글로우스타터를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홀더가 구비되어야만 하고, 소켓과 홀더에 모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각각 별도의 전기 배선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작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글로우스타터와 형광등이 하나의 소켓에 설치된 것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것은 단순히 글로우스타터와 형광등을 하나의 소켓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전부이고, 이는 형광등을 2개 이상 병렬로 연결 설치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2개 이상의 형광등을 병렬로 연결시에는 인접한 소켓끼리 별도의 전선을 연결하여 전원이 연결되도록 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전선의 연결작업이 매우 복잡하고 이로 인한 단가의 상승요인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형광등용 소켓은 몸체와 뚜껑의 결합시 별도의 나사를 이용하여야 함으로서, 그 결합이 복잡하고, 또 별도의 나사가 추가되는 등 부품이 많아지는 등의 단점도 있었다.
또한, 종래의 형광등용 소켓은, 그 내부에 설치되는 단자가 일자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소켓에 글로우스타더를 결합시 불량이 발생함으로써, 반드시 탄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하여야만 하였고 이는 가격 상승의 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단자는 상기 글로우스타터를 결합한 상태로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단자의 탄성이 약화되어 단자가 영구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단자와 글로우스타터의 접속 상태가 나빠지는 것에 의해 불량이 발생될 뿐만 아니라, 글로우스타터가 소켓(단자)에서 쉽게 빠질 수 있다. 따라서, 글로우스타터는 힘을 가하여야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다.
본 고안의 목적은 글로우스타터와 형광등을 하나의 소켓에 설치함은 물론 그 소켓을 별도의 전선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서 2개 이상의 형광등을 병렬로 연결할 수 있도록 한 형광등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형광등용 소켓의 몸체와 뚜껑의 결합을 훅크에 의한 원터치 식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서 부품수를 줄이고 또 결합 및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형광등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형광등용 소켓에 설치되는 단자는 글로우스타터의 소켓 단자가 결합 접촉되는 위치에 반원형상으로 구성함으로서 접촉면적을 많게 하여 고정되세 하고 또 글로우스타터의 결합 및 분리를 쉽게 할 수 있도록 한 형광등용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전선 고정수단을 나타낸 정단면도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의 몸체와 뚜껑의 분리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에 설치되는 제1,3단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소켓 12 - 몸체
14 - 뚜껑 16 - 격벽
20 - 고정수단 22 - 구획벽
26 - 고정구 28 - 탄성편
30 - 누름구 34 - 전선고정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내부에 제1,2,3단자가 설치되며 글로우스타터와 형광등을 하나의 소켓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형광등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그 소켓의 하단 내부에는 격벽을 설치하여 격벽의 일측으로는 하나의 전선을 제1단자에 연결되도록 고정 설치하고, 격벽의 다른측으로는 2개 이상의 형광등을 병렬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들을 제2단 자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와 탄성편 및 누름구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수단은 통공이 형성된 구획벽에 의해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로 구분하여, 상기 제1공간부에는 측벽을 갖는 고정구를 설치하고, 그 고정구의 내부에 제2단자 및 상기 제2단자에 접촉되는 선단이 절곡된 탄성편을 설치하며, 상기 제2 공간부에는 탄성편의 선단을 눌러 주는 누름구를 설치하되, 그 누름구를 누를 수 있는 누름공을 소켓의 외측벽에 형성하고, 상기 소켓의 최하단에는 고정된 전선을직각으로 절곡하여 좌우측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전선고정홀을 형성하며, 그 전선고정홀만을 개폐하도록 뚜껑에는 절곡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선고정홀의 하단벽에 관통홈을 형성하며 그 관통홈을 막도록 하는 마감편을 뚜껑에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편이 결합되는 몸체에는 탄성편의 선단이 절곡된 앞쪽과 뒤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지지돌기들을 더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전선고정홀의 내벽에는 전선들을 고정하는 돌기들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뚜껑의 일측단에는 걸림돌기를, 그리고 양측단에는 훅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훅크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단자와 제3단자는 탄성력을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글로우스타터의 소켓 단자가 결합 접촉되는 위치에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에 의하면, 2개 이상의 형광등을 간편하게 병결로 설치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에는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10)이 도시되어 있다. 이 소켓(10)은 몸체(12)와 뚜껑(14)으로 이루어져 서로 결합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소켓(10)의 양측면에 각각 글로우스타터(2)와 형광등(1)을 결합할 수 있도록 한 쌍의 결합공들(11a, 11b)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한 쌍의 결합공들(11a, 11b)은 글로우스타터(2)가 삽입되는 결합공(11b)은 타원형의 홀로 구성되어 글로우스타터(2)를 삽입 후 회전시켜서 고정하는 형태이고, 형광등(1)이 삽입되는 결합공(11a)은 바로 형광등(1) 단자를 삽입시키는 원통형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소켓(10)은 글로우스타터(2)를 소켓(10)의 일측면에 형성된 결합공(11b)에 삽입 결합시키고, 형광등(1)을 소켓(10)의 타측면에 형성된 결합공(11a)에 삽입 결합시킨 후 전원은 온 시키면 글로우스타터(2)의 방전에 의해 형광등(1)이 점등된다. 따라서 하나의 소켓에 글로우스타터와 형광등을 결합시킬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의 요부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전선 고정구를 나타낸 정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소켓(10)의 내부에는 전기적으로글로우스타터(2)와 형광등(1)을 상호 결합하고, 소켓(10) 하단부에는 글로우스타터(2)와 형광등(1)으로 전원을 인가시키는 전선들이 소켓(1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전선설치홀들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설치홀들은 격벽(16)에 의해 전선중 +선과 -선을 분리하도록 한다. 상기 격벽(16)의 일측으로는 하나의 전선이 제1단자(18a)에 미리 고정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격벽(16)의 다른측으로는 별도의 전선들(2개 이상의 형광등을 병렬로 설치시 그 병렬로 설치된 것끼리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을 제2단자(18b)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수단(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20)은 고정구(26)와 탄성편(28) 및 누름구(30)로 이루어져 별도의 전선들을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고정수단(20)에 의해 별도의 전선들을 쉽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본 고안의 특징을 이루는 부분이다.
상기 고정수단(20)은 제2단자(18b)가 설치되는 측에 통공(22a)이 형성되어 있는 구획벽(22)을 설치하여 제1공간부(24a)와 제2공간부(24b)로 구분한다. 그리고, 상기 제1공간부(24a)에는 측벽을 갖는 고정구(26)를 설치하고, 그 고정구(26)의 내부에 상기 제2단자(18b)가 내측벽에 접촉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제2단자(18b)와 접촉되도록 하는 탄성편(28)을 설치한다. 이 탄성편(28)은 선단부가 절곡되어 그 절곡된 부분에서 전선을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26)와 탄성편(28)은 전기적으로 연결 가능한 금속으로 이루어짐은 당연하다.
또한, 상기 탄성편(28)의 선단에 절곡된 부분을 눌러 주도록 하는누름구(30)를 제2공간부(24b)에 설치하여 상기 구획벽(22)에 형성된 통공(22a)을 통해 작동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누름구(30)를 누를 수 있도록 하는 누름공(32)을 소켓(10)의 외측벽에 형성한다.
이와 같이 설치된 고정수단(20)은 별도의 전선들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켓(10)의 외측벽에 형성된 누름공(32)을 통해 끝이 뾰족한 도구(T)(도 6참조)를 이용하여 누름구(30)를 눌러주면, 그 누름구(30)는 구획벽(22)에 형성된 통공(22a)을 통해 탄성편(28)의 선단에 절곡된 부분을 눌러준다.
이와 같이 작동하는 탄성편(28)의 선단에 절곡된 부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상기 탄성편(28)의 선단 절곡된 부분이 위치되는 몸체(12)에는 상기 탄성편(28)의 선단이 절곡된 앞쪽과 뒤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지지돌기들(12a,12b)을 더 형성하는 것이 좋다.
상기 지지돌기들(12a,12b)은 탄성편(28)을 고정시킨다. 특히, 탄성편(28)의 안쪽에 위치되는 지지돌기(12a)는 탄성편(2B)의 절곡된 부분에 위치하여 즉, 내측에 위치하여 스프링 탄성의 범위를 제한하여 줌으로서 탄성편(28)의 스프링 탄성을 장기간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돌기(12a)에 의해 탄성편(28)의 탄성 작동하는 범위를 필요한 만큼 제한하여 줌으로서 그 탄성편(28)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이 지지돌기들(12a,12b)에 의해 탄성편(28)에 반복하중이 작용하여도 이를 용이하게 해결할 수 있다. 즉 상기 지지돌기들(12a,12b)이 탄성편(28)의 절곡된 부위에 앞쪽과 뒤쪽에 각각 접촉됨으로 해서 탄성편으로 반복하중이 적게 작용되어그 탄성편(28)의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탄성편(28)을 눌러 주는 것에 의해 별도의 전선들을 삽입하고, 상기 도구(T)를 빼내게 되면, 상기 탄성편(28)의 선단에 절곡된 부분에 의해 별도의 전선들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전선들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은 상기 전선을 고정하는 탄성편(28)과 제2단자(18b)와 고정구(26)가 서로 접촉되어 있음으로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상태에서는 상기 별도의 전선들이 쉽게 빠질 수 있음으로서, 본 고안에서는 상기 소켓(10)의 최하단에 좌우측으로 관통하는 전선고정홀(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전선고정홀(34)은 전선들을 고정수단(20)에 고정한 상태에서 그 빠짐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고정수단(20)에 전선을 고정한 후에는 그 고정된 전선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전선고정홀(34)을 통해 소켓의 양측으로 위치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전선고정홀(34)의 내벽에는 돌기들(34a)을 형성하여 상기 전선고정홀(34)에 위치되는 전선들을 보다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전선고정홀(34)이 형성된 상태에서는 상기 고정수단(20)에 전선들을 삽입 설치하기가 힘들기 때문에 상기 전선고정홀(34)이 형성되는 하단벽에 관통홈(36)을 형성하여 전선들을 쉽게 끼울 수 있도록 하고, 또 상기 관통홈(36)을 통해 삽입한 전선들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전선고정홀(34)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뚜껑(14)에는 절곡홈(14a)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홈(36)을 막기 위한 마감편(38)을 뚜껑(14)에 형성하며, 상기 관통홈(36)과 마감편(38)에는 고정돌기(38a)와 고정홈(36a)을 각각 형성하여 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소켓에 전선들을 고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뚜껑(14)의 하단부를 절곡홈(14a)을 기준으로 하여 들어 올린 후에 관통홈(36)을 통해 전선을 고정구(26)에 끼운다. 이때, 탄성편(28)의 선단을 놀러 주기 위해 도구(T)를 이용하여 상기 누름구(30)를 눌러주어야 함은 당연하다.
이와 같이 하여 전선을 고정한 후, 그 고정된 전선은 직각으로 절곡하여 전선고정홀(34)에 고정하게 되면 상기 고정수단(20)에 고정된 전선들은 빠짐이 방지된다. 즉, 전선이 직각으로 절곡되어 고정됨으로서 전선을 잡아 당겨도 그 직각으로 절곡된 부분에 의해 전선을 잡아당기는 힘이 전선의 선단까지 직접적인 영향을미지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하여 전선을 고정한 후에는 뚜껑(14)의 하단부를 닫아 마감 처리하는 것으로, 상기 뚜껑(14)에 형성된 마감편(38)을 관통홈(36)에 끼워 고정함으로서 외관이 미려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소켓에 연결되는 전선들은 소켓의 양측벽으로 위치된다.
도 8은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의 몸체와 뚜껑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몸체(12)와 뚜껑(14)을 결합하기 위한 구조는 상기 뚜껑(14)의 일측단에는 걸림돌기(141)를, 그리고 양측단에는 훅크(142)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몸체(12)에는 상기 걸림돌기(141)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121)과 상기 훅크(142)가 결합되는 결합홈(122)을 각각 형성하여서 서로 결합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형광등용 소켓의 몸체(12)와 뚜껑(14)의 결합시별도의 나사를 이용하지 않고, 결합돌기(141)와 훅크(142)를 안착혹(121)과 결합홈(122)에 삽입 결합하는 것에 의해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9는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에 설치되는 제1,3단자의 구조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제1,3단자(18a,18c)는 탄상력을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그 판상에는 글로우스타터(2)의 소켓단자가 결합 접촉되는 위치에 반원형상(18')을 갖도록 함으로서, 접촉면적을 넓혀 글로우스타터(2)의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3단자(18a,18c)에 반원형상(18')을 형성함으로서, 글로우스타터(2)의 소켓단자를 끼워 결합할 때와 빼내어 분리할 때 쉽게 빠지지 않으며, 또 글로우스타터(2)의 소켓단자가 원형이므로 글로우스타터(2)를 결합하였을 경우 그 접촉면적이 넓어져 결합 상태가 매우 안정적이다.
따라서, 그로우스타터(2)를 결합한 상태로 장기간 유지하여도 상기 반원형상(18')에 의해 제1,3단자(18a,18c)는 탄성력을 그대로 유지함으로서 수명을 연장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형광등용 소켓에 의하면, 형광등을 병렬로 연결하기 위한 별도의 전선들을 쉽게 고정할 수 있고, 또 그 고정된 전선들은 쉽게 빠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내부에 제1,2,3단자가 설치되며 글로우스타터와 형광등을 하나의 소켓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형광등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소켓은 몸체와 뚜껑으로 이루어지며, 그 소켓의 하단 내부에는 격벽을 설치하여 격벽의 일측으로는 하나의 전선을 제1단자에 연결되도록 고정 설치하고, 격벽의 다른측으로는 2개 이상의 형광등을 병렬로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전선들을 제2단자에 고정할 수 있도록 고정구와 탄성편 및 누름구로 이루어진 고정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용 소켓.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통공이 형성된 구획벽에 의해 제1공간부와 제2공간부로 구분하여,
    상기 제1공간부에는 측벽을 갖는 고정구를 설치하고, 그 고정구의 내부에 제2단자 및 상기 제2단자에 접촉되는 선단이 절곡된 탄성편을 설치하며,
    상기 제2공간부에는 탄성편의 절곡된 선단의 측면을 눌러 주는 누름구를 설치하되, 그 누름구를 누를 수 있는 누름공을 소켓의 외측벽에 형성하고,
    상기 소켓의 최하단에는 고정된 전선을 직각으로 절곡하여 좌우측으로 배치되도록 하는 전선고정홀을 형성하며, 그 전선고정홀만을 개폐하도록 뚜껑에는 절곡홈을 형성하고, 상기 전선고정홀의 하단벽에 관통홈을 형성하며 그 관통홈을 막도록 하는 마감편을 뚜껑에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용 소켓.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에는 탄성편의 선단이 절곡된 앞쪽과 뒤쪽에 각각 위치하도록 지지돌기들을 더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용 소켓.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고정홀의 내벽에는 전선들을 고정하는 돌기들을 형성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용 소켓.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의 일측단에는 걸림돌기를, 그리고 양측단에는 훅크를 각각 형성하고, 상기 몸체에는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 안착되는 안착홈과 상기 훅크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각각 형성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용 소켓.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자와 제3단자는 탄성력을 갖는 판상으로 이루어지며 글로우스타터의 소켓단자가 결합 접촉되는 위치에는 반원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광등용 소켓.
KR2020020016027U 2002-04-16 2002-05-24 형광등용 소켓 KR200285370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20011523 2002-04-16
KR2020020011523 2002-04-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5370Y1 true KR200285370Y1 (ko) 2002-08-13

Family

ID=73123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6027U KR200285370Y1 (ko) 2002-04-16 2002-05-24 형광등용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537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129A (ko) * 2002-11-13 2004-05-20 김영경 형광등기구용 소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2129A (ko) * 2002-11-13 2004-05-20 김영경 형광등기구용 소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1998005055A1 (fr) Dispositif emetteur de lumiere, dispositif de douille et dispositif d'eclairage
JPH10283808A (ja) 蛍光ランプ
CN203703849U (zh) 一种条形灯
KR200444408Y1 (ko) 형광등용 컨넥터 단자
KR200285370Y1 (ko) 형광등용 소켓
KR200397420Y1 (ko) 조명등 램프용 커넥터
CN104879715A (zh) 一种条形灯
KR200388774Y1 (ko) 분리형 삼파장램프의 접속구조
JP5455951B2 (ja) ランプ及びランプを用いた照明装置
JP2009176501A (ja) 照明器具
KR200272061Y1 (ko) 작업등
KR20080034807A (ko)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및 램프 홀더
KR20020022754A (ko) 조명등
KR200302416Y1 (ko) 형광등 소켓과 스타트램프 소켓 결합구조
KR200298563Y1 (ko) 형광램프의 소켓구조
CN211289977U (zh) 一种组装式灯具
JP6279333B2 (ja) 照明用ユニット
KR200323079Y1 (ko) 방전램프 장치
CN109088218B (zh) 无边框配线器具
KR200388773Y1 (ko) 분리형 삼파장램프의 착탈구조
KR200421970Y1 (ko) 형광등기구용 램프의 멀티소켓
KR200420772Y1 (ko) 전등용 콘센트의 전원공급 표시장치
CN109149227B (zh) 无边框配线器具
KR200367140Y1 (ko) 전자식 형광등
KR200282574Y1 (ko) 형광등기구의 소켓커버 조립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