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409B1 -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및 램프 홀더 - Google Patents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및 램프 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409B1
KR100988409B1 KR1020070104416A KR20070104416A KR100988409B1 KR 100988409 B1 KR100988409 B1 KR 100988409B1 KR 1020070104416 A KR1020070104416 A KR 1020070104416A KR 20070104416 A KR20070104416 A KR 20070104416A KR 100988409 B1 KR100988409 B1 KR 100988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lamp
fluorescent lamp
disposed
fluores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4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34807A (ko
Inventor
온 파 포
Original Assignee
매스 테크놀러지 (홍콩)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스 테크놀러지 (홍콩)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매스 테크놀러지 (홍콩)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80034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34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5/00Details relating to vessels or to leading-in conductors common to two or more basic types of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5/50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 H01J5/54Means forming part of the tube or lamps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electrical connection to it supported by a separate part, e.g. base
    • H01J5/56Shape of the separate pa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61/00Gas-discharge or vapour-discharge lamps
    • H01J61/02Details
    • H01J61/30Vessels; Containers
    • H01J61/32Special longitudinal shape, e.g. for advertising purposes
    • H01J61/327"Compact"-lamps, i.e. lamps having a folded discharge pat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3/00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apparatus and having one part acting as a holder providing support and electrical connection via a counterpart which i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apparatus, e.g. lamp holders; Separate parts thereof
    • H01R33/05Two-pole devices
    • H01R33/06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 H01R33/08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 H01R33/0809Two-pole devices with two current-carrying pins, blades or analogous contacts, having their axes parallel to each other for supporting tubular fluorescent lamp having contacts on one sid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 Common Detailed Techniques For Electron Tubes Or Discharge Tube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ing Device With Hol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플러그 램프 캡을 갖는 램프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램프 캡이 맞물리는 램프 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에 있어서, 전기 안정기가 상기 플러그 램프 캡내에 매설되며, 함께 조립되는 상기 램프 본체와 램프 베이스의 전체 크기는 G23 또는 G24 형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동하여, 원설계와 전원을 변경시키지 않고 조명기구내에 채용된 종래 기술의 플러그접속 형광램프를 교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및 램프 홀더{PLUG-IN FLUORESCENT LAMP AND LAMP HOLDER USED THEREWITH}
본 발명은 삽입식 형광램프, 특히 매설 전기안정기를 갖는 플러그 램프 캡 및 상기 캡에 사용되는 램프 베이스를 갖는 새로운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에 관한 것이다.
G23 또는 G24 플러그접속 형태 형광램프와 같은 공동으로 이용가능한 스플릿(split) 형광램프는 다양한 조명기구내에 사용되며, 일반적으로 플러그 램프 캡(pluggable lamp cap) 및 상기 플러그 램프 캡과 맞물리고 조명기구내에 장착된 안정기(ballast)와 결합되는 램프 베이스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특성에 있어서, 조명기구내의 안정기는 사용된 램프 튜브의 교체가 그의 수명동안 몇 회 가능하도록 램프 튜브 보다 5-6배 긴 수명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사용된 램프 튜브를 새로운 것으로 교체하는 경우, 원래의 안정기와 완전하게 매치되지 않는 조작 파라미터를 통상적으로 갖기 때문에 새로운 램프 튜브의 수명이 짧아지게 된다. 또한, 조명기구내의 안정기를 교체 또는 수리하는 것은 극히 불편하며, 안정기가 그의 조작 동안 결함이 발견될 때 안정기를 해체하는 것이 더욱 어렵다. 이러한 스플릿 형광램프를 표준의 일체 콤팩트형태의 형광램프로 교체할 수 있지만, 조명기구의 원래의 조명효과는 조명기구의 원설계의 적절한 조정없이 유지될 수 없으며, 상기 조정은 추가적인 비용을 수반할 수 있어 비경제적이다.
본 발명의 플러그접속 형광램프는 종래 기술의 상기 결점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소한다.
이 관점에서, 본 발명은 플러그 램프 캡을 갖는 램프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램프 캡과 맞물리는 램프 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램프 캡내에 전기 안정기가 장착되는 개선된 스플릿 형광램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램프 캡은 케이싱 및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배치된 플러그접속 유닛(plug-in unit)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플러그접속 유닛은 케이싱의 상부의 양 가장자리에 배치된 한쌍의 오목부, 상기 오목부내에 배치된 전기접촉부재 및 상기 플러그접속 유닛의 하나 이상의 측벽상에 배치된 위치지정부재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위치지정부재는 상기 오목부의 측벽상에 형성된 돌출부 또는 오목부일 수 있다.
램프 베이스는 플러그 램프 캡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주본체 및 플러그접속 유닛과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된 수용부재를 포함한다.
수용부재는 오목부내로 플러깅(plugging)하기 위한 프로파일 부재(profile element) 및 위치지정부재와의 플러그접속 결합을 위해 위치지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선택적인 록킹부재를 포함하며, 전도성 부재가 전기접촉부재와의 전기결합을 위해 프로파일 부재내에 배치된다.
따라서, 록킹부재는 위치지정부재와 매치되는 삼각형 구성의 절곡 탄성부재이며, 위치지정부재와의 맞물림시, 록킹부재의 절곡부는 돌출부 아래 또는 오목부내에 위치되어 위치지정부재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위치지정부재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는 선택적으로 반원형 형상일 수 있으며; 록킹부재는 오목 또는 볼록 반원형부가 위치지정부재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와 단단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반원형 구성부분을 갖는 탄성부재로 대응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적소에 위치지정부재를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함께 조립되는 상기 램프 본체와 램프 베이스의 전체 크기는 G23 또는 G24 형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동하다. 이에 대해, 조명기구에 의해 사용된 G23 또는 G24 형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가 파손되었을 때 동등한 조명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교체로써 본 발명의 스플릿 형광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안정기가 본 발명의 플러그접속 형광램프내에 매설되어 있기 때문에, 램프 튜브의 가공 파라미터를 안정기에 대해 최적화할 수 있으며, 램프 튜브의 수명이 표준 보다 대략 1.5 내지 2배인 15,000 시간으로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플러그접속 형광램프는 통상의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모든 이점을 소유하며, 따라서 적용 기술사상은 기존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보다 실질적으로 더 크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함께 조립되는 램프 본체와 램프 베이스의 전체 크기는 G23 또는 G24 형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동하여, 원설계와 전원을 변경시키지 않고 조명기구내에 채용된 종래 기술의 플러그접속 형광램프를 교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이점 및 특성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하여 다수의 예시적 및 비제한적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명확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일체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램프 본체는 상보적인 램프 베이스와 맞물린 플러그 램프 캡을 갖는다.
도 2a, 도 2b 및 도 3은 케이싱(301), 상기 케이싱내에 매설된 전기 안정기(309),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배치된 플러그접속 유닛 및 램프 튜브(308)을 포함하는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개략도 및 단면도이다.
플러그접속 유닛은 케이싱의 상부의 양 가장자리에 대향하여 배치된 2개의 오목부(302)를 포함하며, 오목부의 형상은 삼각형 또는 직사각형, 다각형 또는 타원형 구성과 같은 임의의 다른 구성일 수 있다. 안정기(309)에 결합된 전기접촉부재(303, 304)는 오목부내에 배치되며,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표준 원주형 금속 로드이다. 하나 이상의 위치지정부재(305, 306)는 적절한 위치지정을 위해 플러그접속 유닛의 하나 이상의 측벽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지정부재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는 삼각형 구성이며, 상기 측벽에 통합되거나 또는 교체를 쉽게 하기 위해 볼트 또는 스크류와 같은 접속부재에 의해 측벽에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더 나은 맞물림을 위해 하나의 위치지정부재가 플러그접속 유닛의 좌측 및 우측 벽의 각각에 배치된다. 플러그접속 유닛의 크기는 사용자 조작을 쉽게 하고 다양한 조명기구로의 채용을 위해 기존 G23 또는 G24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크기에 대해 고안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를 들면, 위치지정부재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는 선택적으로 반원형 구성일 수 있고, 전기접촉부재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또한 대응 록킹기구와 결합시키기 위한 금속 로드의 상단부에서의 원형 보스(circular boss)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위치지정부재는 플러그접속 유닛의 측벽상에 요구되지 않는다.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케이싱의 상부에는, 커버 플레이트(도시되지 않음)로 커버된 원형 중앙 개구부(307)가 형광램프의 조립 후의 방열을 위해 상기 개구부를 통해 열 페이스트(thermal paste)가 주입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안정기의 전기장치의 온도를 감소시키며, 그 후 개구부는 커버 플레이트로 커버될 수 있다. 개구부의 크기는 임의이며, 사용자 조작을 쉽게 하기 위해 조정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램프 캡과 매치되는 램프 베이스의 개략도 및 단면도를 각각 도시하며,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램프 베이스의 평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베이스는 플러그 램프 캡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cavity)를 형성하는 주본체(501) 및 플러그접속 유닛과 결합시키기 위해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된 수용부재(reception member)를 포함한다. 주본체의 외측에는 수 나사(509)가 설치되어 있다. 수용부재는 오목부내로 플러깅하기 위한 프로파일 부재(506, 507) 및 위치지정부재와의 플러그접속 결합을 위해 위치지정부재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선택적인 록킹부재(502, 503)를 포함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파일 부재의 단면은 삼각형상일 수 있으며, 또는 오목부와 매치시키기 위한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전도성 부재(504, 505)가 전기접촉부재와의 전기결합을 위해 각 프로파일 부재내에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전도성 부재는 일단부가 전선과 결합되고, 타단부가 램프 본체의 금속 로드와 결합된 금속접촉 플레이트이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선과 결합된 단부는 프로파일 부재(506, 507)내에 장착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파일 부재(506, 507)는 램프 베이스내의 램프 본체의 위치지정을 더욱 용이하게 하도록 삼각형 오목부와 매치되는 원주이다. 또한, 램프 본체의 금속 로드와 결합된 단부는 금속 로드가 삽입되는 동안 적소에 램프 본체를 유지시키기 위한 적절한 클램핑력을 제공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Ω형상일 수 있다. 적절한 재료의 채용 및 클램핑력의 적절한 조정으로, 램프 본체는 전도성 부재(504, 505)의 고유 클램핑력과 함께 프로파일 부재와 오목부 사이의 인접 결합(intimate coupling)의 효력에 의해 임의의 다른 록킹기구의 존재 없이 유지될 수 있다. 위치지정부재와의 매치를 위해 및 램프 베이스내의 적절한 장착을 보장하기 위해, 수용부재는 위치지정부재에 대응하는 절곡 탄성부재일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록킹부재(502, 503)를 포함한다. 록킹부재가 위치지정부재와 맞물릴 때, 록킹부재의 절곡부는 돌출부 아래 또는 오목부내에 위치되어 위치지정부재를 고정시킨다. 탄성부재의 탄성은 사용자가 탄성부재의 단부를 외측으로 변형시키고 변위시키기 위해 특정 인장력을 부여하는 것에 의해 사용된 램프 본체를 램프 베이스로부터 끌어당길 수 있도록 적절하게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록킹부재의 탄성부재는 위치지정부재에 대해 오목 또는 볼록 반원형부를 포함하도록 고안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오목 또는 볼록 반원형부는 위치지정부재와 결합될 때 위치지정부재를 록킹시키기 위한 상기 대응 돌출부 또는 오목부와 인접 접촉(intimate contact)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존 G23 또는 G24 형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를 교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도 7a 및 7b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분리된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램프 본체와 램프 베이스는 그들의 외관 및 크기에 있어서 표준 G23 또는 G24 형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와 유사하거나 또는 동일하다.
도 8a 및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 본체는 대응하는 램프 베이스와 맞물리며, 그들의 전체 크기는 서로 대략 동일 또는 동등하며, "H" 및 "h"는 램프 베이스 상부와 램프 튜브 상부 사이의 간격을 각각 나타내며, "D" 및 "d"는 램프 본체의 폭을 각각 나타낸다. 조명기구내에 채용된 G23, G24 형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가 조명기구의 원설계 및 전원을 변경시키지 않고 본 발명의 플러그접속 형광램프로 직접 교체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와 G23, G24 형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와트량(wattage)은 동일하다.
본 발명의 플러그접속 형광램프는 조명이 변경되지 않거나 또는 더 좋게 잔존할 수 있으면서 G23, G24 형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보다 더 작게 제조될 수 있 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추가적인 요구가 없는 경우, 적용 기술사상에 있어서 비교적 크고 무거운 외부 안정기는 G23, G24 형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보다 더 크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조명기구의 전체 크기 및 중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플러그접속 형광램프내에 매설된 전기 안정기는 사용된 램프의 빈번한 교체를 회피하도록 형광램프의 성능을 최적화하고 수명을 최대화하는 것을 보장한다. 따라서, 기존 G23 또는 G24 형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를 교체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기술의 크기 및 사양의 제한에 의해 사전에 제한되어 기존 플러그접속 형광램프를 채용하는 것이 불가능한 다른 조명기구내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가장 콤팩트한 형태의 전기 안정기 중의 하나를 채용하기 때문에 램프 본체의 크기를 요구에 따라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플러그접속 형광램프로, 조명기구 제조자는 그들의 제품 설계를 더욱 유연하게 할 것이며, 그들 제품의 더 나은 외관을 얻어 소비자에게 더 큰 매력을 창조할 것이다.
전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단지 예시적 실시예를 나타낸 것을 인식하여야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 있어서 다른 조명기구 또는 적용에 대해 다양한 부재가 채용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모든 변형 및, 또는 변경은 전술한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내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체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개략도,
도 2a 및 2b는 도 1에 도시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플러그 램프 캡을 갖는 램프 본체의 개략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플러그 램프 캡을 갖는 램프 본체의 단면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플러그 램프 캡과 매치되는 램프 베이스의 개략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램프 베이스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램프 베이스의 평면도,
도 7a는 분리된 위치에서의 본 발명의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램프 본체와 램프 베이스의 개략도,
도 7b는 분리된 위치에서의 표준 G23 또는 G24 형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램프 본체와 램프 베이스의 개략도 및
도 8a 및 8b는 도 7a 및 7b에 도시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결합된 램프 본체와 램프 베이스를 각각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케이싱 302 : 오목부
303, 304 : 전기접촉부재 305, 306 : 위치지정부재
308 : 램프 튜브 309 : 안정기

Claims (8)

  1. 플러그 램프 캡을 갖는 램프 본체 및 상기 플러그 램프 캡과 맞물리는 램프 베이스를 포함하는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에 있어서,
    케이싱(301) 및 상기 케이싱의 상부에 배치된 플러그접속 유닛을 포함하는 플러그 램프 캡내에 전기 안정기(309)가 매설되며,
    상기 플러그접속 유닛은 상기 케이싱의 상부의 양 가장자리에 배치된 한 쌍의 오목부(302) 및 상기 오목부(302)내에 배치된 전기접촉부재(303, 304)를 포함하고,
    돌출부 또는 오목부의 형상을 갖는 위치지정부재(305, 306)가 상기 플러그접속 유닛의 측벽상에 배치되고,
    상기 램프 베이스는 플러그 램프 캡을 수용하기 위한 캐비티를 형성하는 주본체(501) 및 플러그접속 유닛과 결합시키기 위해 캐비티의 상부에 배치된 수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오목부(302)내로 플러깅하기 위한 프로파일 부재(506, 507)를 포함하고, 프로파일 부재(506, 507)는 전기접촉부재(303, 304)와 전기적 결합을 하는 전도성 부재(504, 505)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재는 위치지정부재와 플러그 접속 결합을 위해 위치지정부재(305, 306)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록킹부재(502, 503)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정부재(305, 306)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는 삼각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지정부재(305, 306)의 돌출부 또는 오목부는 반원형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8. 제 1 항에 있어서,
    함께 조립되는 상기 램프 본체와 램프 베이스의 전체 크기는 G23 또는 G24 형태 플러그접속 형광램프의 크기와 동동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KR1020070104416A 2006-10-17 2007-10-17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및 램프 홀더 KR1009884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0610137395 2006-10-17
CN200610137395.5 2006-10-17
CNB2007101408111A CN100552284C (zh) 2006-10-17 2007-08-03 可插式荧光灯及其灯座
CN200710140811.1 2007-08-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34807A KR20080034807A (ko) 2008-04-22
KR100988409B1 true KR100988409B1 (ko) 2010-10-18

Family

ID=39302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4416A KR100988409B1 (ko) 2006-10-17 2007-10-17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및 램프 홀더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714494B2 (ko)
EP (1) EP1956626A3 (ko)
JP (1) JP2008177153A (ko)
KR (1) KR100988409B1 (ko)
CN (1) CN100552284C (ko)
AU (1) AU2007229336B2 (ko)
CA (1) CA2607019A1 (ko)
SG (1) SG1422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05682A2 (en) * 2008-06-12 2010-01-14 Light Sources, Inc. End cap, socket, and adaptors for use with a lamp
US8435060B2 (en) 2011-01-03 2013-05-07 Cree, Inc. Fixtures,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for providing load bearing connections for lighting devices
CN104078295A (zh) * 2014-07-09 2014-10-01 安徽亮亮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可分离的节能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7565A (ja) * 2000-12-28 2002-12-20 General Electric Co <Ge> ハウジング構造を有するコンパクト蛍光ランプ
JP2002367742A (ja) 2001-06-07 2002-12-20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蛍光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20030005490A (ko) * 2001-07-09 2003-01-23 주식회사 영화전광 안정기 내장형 가로등 램프
JP3401236B2 (ja) * 2000-08-29 2003-04-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球形蛍光ランプ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5443A (en) * 1984-01-27 1985-01-22 Cummings John H Compact fluorescent lamp combination, and method of making it
US5634820A (en) * 1994-03-11 1997-06-03 Lights Of America, Inc. Fluorescent light adaptor module
US5746615A (en) * 1995-07-17 1998-05-0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Lighting device
KR200144548Y1 (ko) * 1996-06-15 1999-06-15 조성호 컴팩트 형광등용 안정기
US6582253B1 (en) * 2000-06-01 2003-06-24 Kenneth Lau Lock-in compact fluorescent lamp (CFL) adaptor
DE20020546U1 (de) * 2000-12-04 2002-04-11 Zumtobel Staff Gmbh Fassung für Kompaktleuchtstofflampen
CN2560130Y (zh) * 2002-08-13 2003-07-09 文大承 六孔式电子节能灯头
WO2005106924A1 (en) * 2004-04-30 2005-11-10 Shenzhen Dahong Electronic Co. Ltd Two part compact fluorescent lamp
CN2724193Y (zh) * 2004-07-23 2005-09-07 项青松 便于更换的分体式节能灯
CN100530857C (zh) * 2004-11-16 2009-08-19 电灯专利信托有限公司 节能灯的带镇流器灯座组件
JP2006173030A (ja) * 2004-12-20 2006-06-2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蛍光ランプ及び照明器具
US7097508B1 (en) * 2005-09-12 2006-08-29 Sun-Lite Sockets Industry Inc. Compact fluorescent lampholde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1236B2 (ja) * 2000-08-29 2003-04-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球形蛍光ランプ
JP2002367565A (ja) * 2000-12-28 2002-12-20 General Electric Co <Ge> ハウジング構造を有するコンパクト蛍光ランプ
JP2002367742A (ja) 2001-06-07 2002-12-20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蛍光ランプ装置および照明装置
KR20030005490A (ko) * 2001-07-09 2003-01-23 주식회사 영화전광 안정기 내장형 가로등 램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7229336B2 (en) 2010-07-15
CN101165394A (zh) 2008-04-23
AU2007229336A1 (en) 2008-05-01
US20080088218A1 (en) 2008-04-17
SG142250A1 (en) 2008-05-28
US7714494B2 (en) 2010-05-11
EP1956626A3 (en) 2008-11-26
CN100552284C (zh) 2009-10-21
JP2008177153A (ja) 2008-07-31
CA2607019A1 (en) 2008-04-17
EP1956626A2 (en) 2008-08-13
KR20080034807A (ko) 2008-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46361B2 (en) Lighting circuit, lighting system method and apparatus, socket assembly, lamp insulator assembly and components thereof
KR101481965B1 (ko) 원터치 탈착형 엘이디 조명장치
US20070167054A1 (en) Car interior led lamp adapter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KR20090078887A (ko) 엘이디 램프
KR100904633B1 (ko) 형광램프장치
WO2017024940A1 (zh) 电连接件
KR100988409B1 (ko) 플러그접속 형광램프 및 램프 홀더
KR101037972B1 (ko) 직관형 led 램프 조립체
KR200480026Y1 (ko) 절연 베리어를 갖는 led램프 어셈블리
JP2005209650A (ja) 車両前照灯ランプ、車両前照灯ランプ用の取付補助具、および車両前照灯ランプと取付補助具を有する照明ユニット
KR20150074568A (ko) 직관형 엘이디 램프 조명장치
KR101652870B1 (ko) 엘이디 램프용 사이드 캡 및 이와 결합되는 소켓
JP2014216215A (ja) 照明器具
KR200468554Y1 (ko) Led 프로젝션 램프의 램프홀더
JP5014180B2 (ja) 照明器具
KR20130073585A (ko) 광반도체 기반 관형 조명장치
WO2021047530A1 (zh) 光源模组、连接结构及灯具
JP2010251261A (ja) 照明装置
KR200429959Y1 (ko) 형광램프용 등기구
KR101135718B1 (ko) 일체형 led 조명기구
KR101635608B1 (ko) 컨버터 캡을 갖는 fpl 소켓용 led램프 어셈블리
KR101394961B1 (ko) Led 램프용 어댑터 및 어댑터를 갖는 led 램프 어셈블리
KR100665477B1 (ko) 직관형 음이온 발생 형광등
KR200388036Y1 (ko) 직관형 음이온 발생 형광등
KR200323079Y1 (ko) 방전램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