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76447B1 - 케이블 고정 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고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76447B1
KR101976447B1 KR1020170088291A KR20170088291A KR101976447B1 KR 101976447 B1 KR101976447 B1 KR 101976447B1 KR 1020170088291 A KR1020170088291 A KR 1020170088291A KR 20170088291 A KR20170088291 A KR 20170088291A KR 101976447 B1 KR101976447 B1 KR 1019764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collar
collar portion
groove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2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7201A (ko
Inventor
김규정
김태형
Original Assignee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경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경창산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82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6447B1/ko
Priority to DE102018115308.2A priority patent/DE102018115308A1/de
Priority to US16/030,968 priority patent/US20190017631A1/en
Priority to CN201810765686.1A priority patent/CN109256729A/zh
Publication of KR20190007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72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64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64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 F16L3/08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 F16L3/1222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comprising a member substantially surrounding the pipe, cable or protective tubing the member having the form of a closed ring, e.g. used for the function of two adjacent pipe sec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30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on walls, floors or ceil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exible Shafts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걸림부(610, 630)를 포함하는 브라켓(600, 600')에 결합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10)에 있어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칼라부(320)를 포함하는 고정 캡(300); 상기 칼라부(320)가 관통하는 홈(235) 및 상기 브라켓(600, 600')이 고정되는 브라켓 고정홈(234)이 형성된 고정부(230)를 포함하는 몸체부(200); 상기 몸체부(200)에 결합되는 보호부재(500); 및 상기 고정 캡(300)과 상기 보호부재(500)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600, 600')에 상기 몸체부(200)가 삽입되면 상기 가압부재(400)에 의해서 상기 고정 캡(300)이 이동하여 상기 칼라부(320)가 상기 걸림부(610, 630)의 제1 면(611, 631)과 제2 면(612, 632)에 접하여 상기 브라켓(600, 600')에 상기 케이블 고정 장치(10)가 고정된다.

Description

케이블 고정 장치{CABLE ANCHORING DEVICE}
본 발명은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브라켓과 결합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케이블 고정 장치는 차량 등의 내부에 각종 제어 케이블들을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등의 기계장치에는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이 다수 장착된다. 이때, 자동차 등의 기계장치에는 장착된 케이블이 꺾이거나 마찰로 인한 마모의 발생을 막기 위해 상기 케이블을 가이드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가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은 상기 케이블 고정 장치를 이용하여 차체에 고정된 브라켓과 결합된다. 특히, U자형 브라켓에 체결되기 위한 케이블 고정 장치는 고정 돌기부 형상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는 상기 케이블이 상기 브라켓과 결합할 때, 상기 케이블이 상기 브라켓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클립과 같은 상기 브라켓에 삽입되는 부재와 분리되는 별도의 부재가 이용되었다. 이러한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면 케이블 고정 장치의 부품수가 많아지게 되어 제조 단가가 높아지고, 결합/분리 과정에서 상기 별도의 부재를 분실할 수 있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케이블 고정 장치는 케이블 고정 장치의 일부 부재의 고정 돌기부가 브라켓과 접하여 고정되었다. 이때, 케이블 고정 장치에 외력이 발생하는 경우 케이블 고정 장치의 일부 부재의 고정 돌기부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원인은 케이블 고정 장치의 일부 부재의 고정 돌기부의 강성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종래에는 케이블 고정 장치의 일부 부재의 고정 돌기부의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또 다른 부재를 추가하여 이를 해결하였지만 이는 부품수의 증가와 제조비의 상승 등의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
따라서,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으면서 케이블 고정 장치의 일부 부재의 고정 돌기부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의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음에도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케이블 고정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는, 걸림부(610, 630)를 포함하는 브라켓(600, 600')에 결합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10)에 있어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칼라부(320)를 포함하는 고정 캡(300); 상기 칼라부(320)가 관통하는 홈(235) 및 상기 브라켓(600, 600')이 고정되는 브라켓 고정홈(234)이 형성된 고정부(230)를 포함하는 몸체부(200); 상기 몸체부(200)에 결합되는 보호부재(500); 및 상기 고정 캡(300)과 상기 보호부재(500)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부재(400);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600, 600')에 상기 몸체부(200)가 삽입되면 상기 가압부재(400)에 의해서 상기 고정 캡(300)이 이동하여 상기 칼라부(320)가 상기 걸림부(610, 630)의 제1 면(611, 631)과 제2 면(612, 632)에 접하여 상기 브라켓(600, 600')에 상기 케이블 고정 장치(10)가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케이블 소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칼라부(320)는 상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 칼라부(321) 및 상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내측 칼라부(321)의 외측에 상기 내측 칼라부(321)와 이격되어 형성된 외측 칼라부(323)를 포함하고, 상기 홈(235)은 상기 내측 칼라부(321)가 관통하는 내측홈부(236) 및 상기 외측 칼라부(323)가 관통하는 외측홈부(23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610)는 브라켓(600)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고, 상기 외측 칼라부(323)의 내측면(324)은 상기 걸림부(610)의 제1 면(611)과 접하고, 상기 외측 칼라부(323)의 외측면(325)은 상기 걸림부(610)의 제2 면(612)과 접하여 상기 브라켓(600)에 상기 케이블 고정 장치(10)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걸림부(630)는 브라켓(600')의 일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돌기이고, 상기 내측 칼라부(321)의 외측면(322)은 상기 걸림부(630)의 제1 면(631)과 접하고, 상기 외측 칼라부(323)의 내측면(324)은 상기 걸림부(630)의 제2 면(632)과 접하여 상기 브라켓(600')에 상기 케이블 고정 장치(10)가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 칼라부(321)는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내측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내측 칼라는 인접한 상기 내측 칼라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외측 칼라부(323)는, 상기 복수의 내측 칼라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고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외측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측 칼라는 상기 갭을 커버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내측홈부(236)는 상기 복수의 내측 칼라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측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홈부(237)는 상기 복수의 외측 칼라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측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내측홈 각각의 위치는 상기 복수의 내측 칼라의 위치에 대응되고, 상기 복수의 외측홈 각각의 위치는 상기 복수의 외측 칼라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200)는 외주면 상에 돌출된 체결 돌기(225)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500)는 상기 체결 돌기(225)가 체결될 수 있는 돌기홈(525)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캡(300)의 내주면에는 고정 캡(300)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볼록부(315)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부재(500)의 외주면에는 상기 볼록부(315)가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51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블 고정 장치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별도의 부재를 이용하지 않아도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3은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몸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고정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보호부재(5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몸체부와 고정 캡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몸체부와 캡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6은 고정 캡과 캡의 결합된 상태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는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에 이용되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 내지 도 26은 케이블 고정 장치와 제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29는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에 이용되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6은 케이블 고정 장치와 제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요소 중 종래기술에 의하여 당업자가 명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용이하게 재현할 수 있는 것에 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하여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실시 형태>
이하에서는, 먼저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의 분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몸체부(body, 200), 고정 캡(lock cap, 300), 가압부재(400) 및 보호부재(cap, 500)을 포함한다. 또한,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가이드 파이프(guide pipe, 110), 고정용 파이프(120) 및 댐퍼(Damper, 130)을 포함하는 케이블 소켓(cable socket)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부(200)>
도 3은 내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몸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몸체부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몸체부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5는 몸체부의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몸체부(200)는 원통형의 관형(管形)으로 형성되고, 몸체부(200) 내에 후술하게 될 케이블 소켓이 삽통(揷通)된다.
몸체부(200)는 일단부(210), 타단부(220) 및 고정부(230)를 포함한다.
타단부(220)는 체결 돌기(225)를 포함한다. 체결 돌기(225)는 타단부(220)의 외주면 상에 돌출되어 형성된다. 체결 돌기(225)는 도면에서는 4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부재(500)가 몸체부(200)와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면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체결 돌기(225)는 타단부(220)의 단부로 갈수록 그 두께가 증가하도록 경사부를 가진다. 따라서, 보호부재(500)가 타단부(220)에 결합되면, 체결 돌기(225)는 결합된 보호부재(500)가 몸체부(200)의 일단부(210)에서 타단부(220) 방향으로 쉽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부(230)는 제1 몸체부(210)와 제2 몸체부(220) 사이에 형성된다. 고정부(230)에는 후술하게 될 브라켓(600, 600')이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브라켓 고정홈(234)이 형성된다. 또한, 고정부(230)는 브라켓 고정홈(234)에 의해 구분되는 제1 고정돌기(231) 및 제2 고정돌기(232)와, 제2 고정돌기(232) 상에 형성된 제3 고정돌기(233)를 포함한다.
제1 고정돌기(231)는 브라켓 고정홈(234)을 기준으로 일단부(210) 가까이 위치한다. 제1 고정돌기(231)의 외경은 일단부(210)의 외경보다 클 수 있다.
제2 고정돌기(232)는 브라켓 고정홈(234)를 기준으로 타단부(220) 가까이 위치한다. 제2 고정돌기(232)의 외경은 타단부(220)의 외경과 같다.
제3 고정돌기(233)에는 후술하게 될 고정 캡(300)의 칼라부(320)가 관통하는 홈(235)이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홈(235)은 칼라부(320)의 내측 칼라부(321)가 관통하는 내측홈부(236)와, 칼라부(320)의 외측 칼라부(323)가 관통하는 외측홈부(237)를 포함한다.
여기서, 도면에서는 내측홈부(236)가 4개, 외측홈부(237)가 5개인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이는 반드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내측홈부(236)의 개수와 외측홈부(237)의 개수는 각각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내측홈부(236)의 개수와 외측홈부(237)의 개수는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그리고 내측홈부(236)의 개수는 고정 캡(300)의 내측 칼라부(321)의 개수와 같거나 고정 캡(300)의 내측 칼라부(321)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고, 외측홈부(237)의 개수는 고정 캡(300)의 외측 칼라부(323)의 개수와 같거나 고정 캡(300)의 외측 칼라부(323)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고정 캡(300)>
도 6 내지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고정 캡을 도시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6은 고정 캡의 좌측 사시도이고, 도 7은 고정 캡의 우측 사시도이고, 도 8은 고정 캡을 좌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9는 고정 캡을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0은 고정 캡의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 캡(300)은 도넛 모양의 환형(環形)으로 형성된다. 고정 캡(3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00)의 타단부가 고정 캡(300)의 일단부 방향에서 고정 캡(300)의 타단부 방향으로 삽통된다.
구체적으로, 고정 캡(300)은 몸체(310) 및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칼라부(32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칼라부(320)는 내측 칼라부(321) 및 외측 칼라부(323)를 포함한다.
몸체(310)의 외주면은 도면에서와 같이 평평할 수 있고, 몸체(310)의 외주면에는 사용자의 손 등과 몸체(310) 사이의 마찰력이 증가하도록 일정 간격으로 홈 또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칼라부(321)는 몸체(310)에서 고정 캡(30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외측 칼라부(323)는 몸체(310)에서 고정 캡(300)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내측 칼라부(321)의 외측에 내측 칼라부(321)와 이격되어 형성된다.
내측 칼라부(321)는 제3 고정돌기(233)의 내측홈부(236)에 삽통되도록 형성되고, 외측 칼라부(323)는 제3 고정돌기(233)의 외측홈부(237)에 삽통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캡(30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외측 칼라부(323)의 내측면의 거리(D1')는 몸체부(20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외측홈부(237)의 내측면까지의 거리(D1)와 같거나 클 수 있고, 고정 캡(30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외측 칼라부(323)의 외측면의 거리(D2')는 몸체부(20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외측홈부(237)의 외측면까지의 거리(D2)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고정 캡(30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내측 칼라부(321)의 내측면의 거리(D3')는 몸체부(20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내측홈부(236)의 내측면까지의 거리(D3)와 같거나 클 수 있고, 고정 캡(30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내측 칼라부(321)의 외측면의 거리(D4')는 몸체부(20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내측홈부(236)의 외측면까지의 거리(D4)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장착홈(62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장착홈(620)의 내측면까지의 거리에 대응된다. 따라서, 내측 칼라부(321)는 제3 고정돌기(233)의 내측홈부(236)에 삽통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외측 칼라부(323)는 제3 고정돌기(233)의 외측홈부(237)에 삽통될 수 있는 형상을 갖는다.
내측 칼라부(321)는 후술하게 될 브라켓(600, 600')의 형상에 따라 몸체부(200)의 일단부(210)에서 타단부(220)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도록 외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고, 외측 칼라부(323)도 마찬가지로 브라켓(600, 600')의 형상에 따라 몸체부(200)의 일단부(210)에서 타단부(220) 방향으로 두께가 증가하도록 외측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내측 칼라부(321)는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내측 칼라를 포함하고, 복수의 내측 칼라는 인접한 내측 칼라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외측 칼라부(323)는, 복수의 내측 칼라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고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외측 칼라를 포함하고, 복수의 외측 칼라는 인접한 내측 칼라 사이에 갭을 커버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고정 캡(300)의 외부에서 고정 캡(300)을 바라 보았을 때 복수의 내측 칼라와 복수의 외측 칼라에 의해 내측 칼라부(321)의 내측면과 외측 칼라부(323)의 내측면이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도면에서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내측 칼라부(321)가 4개의 내측 칼라를 포함하는 경우, 4개의 내측 칼라 사이의 4개의 갭 각각을 4개의 외측 칼라가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내측홈부(236)는 복수의 내측 칼라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측홈을 포함하고, 복수의 내측홈 각각의 위치는 복수의 내측 칼라의 위치에 대응되고, 외측홈부(237)는 복수의 외측 칼라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측홈을 포함하고, 복수의 외측홈 각각의 위치는 복수의 외측 칼라의 위치에 대응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 캡(300)의 내측 칼라부(321)와 외측 칼라부(323)는 360°의 원주방향으로 중첩되어 형성되기 때문에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 600')을 결합하는 경우,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조립 방향성이 없어 아무런 규제 없이 쉽고 빠르게 결합할 수 있다.
몸체(310)의 내주면에는 몸체(310)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볼록부(315)가 형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볼록부(315)는 후술하게 될 보호부재(500)의 오목부(515)와 대응되는 형상을 가진다. 볼록부(315)에 대한 설명은 아래 보호부재(500)를 설명할 때 함께 하도록 한다.
<가압부재(400)>
도 2를 참조하면, 가압부재(400)는 고정 캡(300)과 보호부재(50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400)는 단면이 원형이나 각형의 선재(線材)를 코일 상태로 감아 만든 스프링(spring)일 수 있다. 여기서, 가압부재(400)는 스프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고정 캡(300)을 몸체부(200)의 타단부(220)에서 일단부(210)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모든 부재를 포함한다. 가압부재(400)가 스프링일 경우, 몸체부(200)의 타단부(220)의 외주연 상에 감긴다.
<보호부재(500)>
도 11 내지 도 13은 보호부재(5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은 보호부재(500)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캡의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3은 보호부재(500)의 측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보호부재(500)는 몸체부(200)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보호부재(500)는 고정 캡(300)의 타단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고, 보호부재(5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캡(300)의 타단부에서 고정 캡(300)의 일단부 방향으로 삽입된다. 보호부재(500)가 고정 캡(300)의 타단부에서 고정 캡(300)의 일단부 방향으로 삽입되면, 고정 캡(300)은 몸체(310)의 볼록부(315)의 길이 방향으로 보호부재(500)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길이는 내측 칼라부(321) 및 외측 칼라부(323)의 길이에 대응된다. 소정 길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보호부재(500)는 베이스(510) 및 돌출부(520)를 포함한다.
베이스(510)는 소정 두께의 원형이고, 베이스(510)의 외주면에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515)가 형성된다. 오목부(515)는 고정 캡(300)의 몸체(310)의 내주면에 형성된 볼록부(31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도 9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보호부재(50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오목부(515)의 거리(D5')는 고정 캡(30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볼록부(315)까지의 거리(D5)와 같거나 작을 수 있고, 보호부재(50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베이스(510)의 외측면까지의 거리(D6')는 고정 캡(30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몸체(310)의 내측면까지의 거리(D6)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오목부(515)의 개수는 볼록부(315)의 개수와 같거나 볼록부(315)의 개수보다 많을 수 있다. 베이스(510)의 오목부(515)에는 몸체(310)의 볼록부(315)가 끼워진다.
돌출부(520)는 베이스(510)에서 몸체부(200)의 일단부(210)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520)는 몸체부(200)의 타단부(220)의 외주면과 맞닿도록 위치한다. 돌출부(520)는 하나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몸체부(200)의 타단부(220)의 체결 돌기(225)의 개수와 같을 수 있다. 돌출부(520) 각각에는 체결 돌기(225)가 체결되 수 있는 충분한 크기의 체결 돌기홈(525)이 형성된다. 즉, 보호부재(500)가 몸체부(200)의 타단부(220)에 삽입되는 경우, 보호부재(500)의 돌출부(520)는 몸체부(200)의 타단부(220)의 체결 돌기(225)의 경사면을 따라 외측으로 탄성 변형되다가 체결 돌기(225)가 돌출부(520)의 돌기홈(525)을 만나면 보호부재(500)의 돌출부(520)는 원래 형상으로 복원된다. 따라서, 몸체부(200)의 체결 돌기(225)는 돌출부(520)의 돌기홈(525)에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체결로 인해, 보호부재(500)는 몸체부(200)로부터 쉽게 분리되지 않는다.
<케이블 소켓>
도 2를 참조하면, 케이블 소켓은 몸체부(200)의 길이방향으로 몸체부(200)를 관통한다. 케이블 소켓은 가이드 파이프(guide pipe, 110), 고정용 파이프(120) 및 댐퍼(Damper, 13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파이프(110)는 원통형의 관형(管形)으로 형성되고, 가이드 파이프(110) 내에 제어 케이블(control cable, 미도시)의 코어(core, 미도시)가 삽통(揷通)된다. 가이드 파이프(110)의 직경은 몸체부(200)의 내부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가이드 파이프(110)는 몸체부(200)에 삽입된다. 여기서, 상기 삽통(揷通)된 제어 케이블의 코어는 가이드 파이프(110) 내에서 가이드 파이프(11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slide)될 수 있다.
고정용 파이프(120)는 원통형의 관형(管形)으로 형성되고, 고정용 파이프(120) 내에 제어 케이블의 아우터(outer)가 삽통(揷通)된다. 고정용 파이프(120)의 직경은 몸체부(200)의 내부 직경보다 작다. 따라서, 고정용 파이프(120)는 몸체부(200)에 삽입된다.
댐퍼(130)는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가이드 파이프(110)의 일단부 및 고정용 파이프(120)의 일단부가 배치된다.
여기서,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가이드 파이프(110)의 일단부와 고정용 파이프(120)의 일단부는 서로 이격된 상태로 댐퍼(130)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4는 몸체부와 고정 캡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고정 캡(300)은 몸체부(200)의 타단부(220)에 결합된다. 이때, 몸체부(200)의 고정부(230)의 제3 고정돌기(233)의 내측홈부(236)에는 고정 캡(300)의 내측 칼라부(321)가 관통됨과 동시에 몸체부(200)의 고정부(230)의 제3 고정돌기(233)의 외측홈부(237)에는 고정 캡(300)의 내측 칼라부(321)가 관통된다. 내측홈부(236)에 내측 칼라부(321)가 관통되어 나온 길이는 고정 캡(30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지고, 외측홈부(237)에 외측 칼라부(323)가 관통되어 나온 길이는 내측 칼라부(321)와 마찬가지로 고정 캡(300)의 위치에 따라 달라진다.
이와 같이, 실시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고정 캡(300)의 내측 칼라부(321) 및 외측 칼라부(323)가 내측홈부(236) 및 외측홈부(237)에 각각 관통하기 때문에, 케이블 고정 장치(10)를 브라켓(600, 600')에 체결한 경우, 엔진 롤링 시 고정 캡(300)의 내측 칼라부(321) 및 외측 칼라부(323)가 내측홈부(236) 및 외측홈부(237)에 접한 상태이기 때문에 내측 칼라부(321) 및 외측 칼라부(323)의 강성이 확보되는 이점이 있다.
또한,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몸체부(200) 및 고정 캡(300)만의 적은 부품수로 내측 칼라부(321) 및 외측 칼라부(323)의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5는 몸체부와 캡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여기서, 몸체부(200)와 보호부재(500)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해 고정 캡(300)과 가압부재(400)는 생략하여 도시하였다.
도 15를 참조하면, 보호부재(500)는 몸체부(200)의 타단부(220)에 결합된다. 이때, 몸체(200)의 타단부(220)의 체결 돌기(225)는 보호부재(500)의 돌출부(520)의 돌기홈(525)에 체결된다. 따라서, 보호부재(500)의 몸체부(200)의 타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체결 돌기(225)의 일면이 돌기홈(525)에 내측 일면과 맞닿아 제한되고, 보호부재(500)의 몸체부(200)의 일측 방향으로의 이동은 보호부재(500)의 베이스(510)의 단부와 몸체부(200)의 타단부(220)의 단부가 맞닿는 것에 의해 제한된다.
도 16은 고정 캡과 캡의 결합된 상태를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고정 캡(300)의 타단부에 보호부재(500)가 삽입될 때, 고정 캡(300)의 타단부가 완전히 막히도록 오목부(515)의 개수와 볼록부(315)의 개수가 같고 오목부(515)의 형상과 볼록부(315)의 형상이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보호부재(500)에 의해 고정 캡(300)의 타단부가 완전히 막힐 수 있기 때문에, 고정 캡(300)의 타단부로 들어올 수 있는 먼지 또는 외부 오염 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600)>
도 17 내지 도 19는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에 이용되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7은 브라켓(600)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브라켓(600)을 좌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9는 브라켓(600)을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7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제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600)에는 걸림부(610)와 장착홈(620)이 형성된다.
걸림부(610)는 브라켓(600)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다. 걸림부(610)는 원형일 수 있다. 걸림부(610)의 위치는 고정 캡(300)의 외측 칼라부(323)에 대응된다. 즉, 도 8 및 도 19를 참조하면, 브라켓(600)에 배치된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걸림부(610)의 내측면까지의 거리(D1'')는 고정 캡(30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외측 칼라부(323)의 내측면까지의 거리(D1)와 같거나 작을 수 있고, 브라켓(600)에 배치된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걸림부(610)의 외측면까지의 거리(D2”)는 고정 캡(300)의 중심축에서 외측 칼라부(323)의 외측면까지의 거리(D2)와 같거나 클 수 있다.
따라서, 고정 캡(300)의 외측 칼라부(323)는 브라켓(600)의 걸림부(610)에 삽입될 수 있다.
장착홈(620)은 브라켓(60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장착홈(620)의 오목한 정도는 몸체부(200)의 고정부(230)의 브라켓 고정홈(234)에 대응된다. 즉, 몸체부(200)의 브라켓 고정홈(234)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브라켓 고정홈(234)의 내측까지의 거리는 브라켓(600)에 배치된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장착홈(620)의 내측면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에 삽입되고, 브라켓(600)은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브라켓 고정홈(234)에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0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0 내지 도 26은 케이블 고정 장치와 제1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0은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1은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300)에 외력이 가해져서 케이블 고정 장치(10)가 브라켓의 장착홈(620)에 삽입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2는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300)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케이블 고정 장치가 브라켓의 장착홈(62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3은 도 22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24는 도 23에서의 고정부 및 외측 칼라부의 확대도이고, 도 25는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6은 도 25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300)에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 고정 캡(300)의 내측 칼라부(321) 및 외측 칼라부(323)는 몸체부(200)의 일단부(210)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300)에 몸체부(200)의 타단부(220)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고정 캡(300)과 몸체부(200)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이러한 틈만큼 내측 칼라부(321)는 내측홈부(236)로 더 삽입되고, 외측 칼라부(323)는 외측홈부(237)로 더 삽입된다.
이때, 가압부재(400)가 스프링인 경우, 고정 캡(300)의 몸체(310)가 보호부재(500)의 베이스(510)와 가까워지면, 고정 캡(300)의 몸체(310)와 보호부재(500)의 베이스(510) 사이의 가압부재(400)는 압축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압부재(400)는 몸체(310)와 베이스(510)을 멀어지게 하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생긴다.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에 삽입됨과 동시에 브라켓(600)은 몸체부(200)의 브라켓 고정홈(233)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내측 칼라부(321)는 내측홈부(236)로 더 삽입되고, 외측 칼라부(323)는 외측홈부(237)로 더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내측 칼라부(321) 및 외측 칼라부(323)는 브라켓(600)과 접하지 않아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도 25 및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을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400)에 의해서 고정 캡(300)이 이동하여 외측 칼라부(323)가 브라켓(600)의 걸림부(610)와 접하여 브라켓(600)을 고정한다.
일 예로, 가압부재(400)가 스프링일 경우, 케이블 고정 장치(10)가 브라켓(600)의 장착홈(620) 삽입되면, 고정 캡(300)에 가해진 상기 외력을 제거한다. 상기 외력이 제거된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가압부재(400)의 상기 탄성력으로 인해 고정 캡(300)의 몸체(310)가 보호부재(500)의 베이스(510)와 멀어지게 되어 브라켓(600)의 걸림부(610)에는 고정 캡(300)의 외측 칼라부(323)가 삽입된다.
반면, 가압부재(400)가 스프링이 아닐 경우, 별도의 외력을 가하여 고정 캡(400)의 몸체(310)가 보호부재(500)의 베이스(510)와 멀어지게 하여 브라켓(600)의 걸림부(610)에는 고정 캡(300)의 외측 칼라부(323)가 삽입된다.
또한, 도 23, 도 24 및 도 26을 참조하면, 외측 칼라부(323)의 내측면(324)은 걸림부(610)의 제1 면(611)과 접하고, 외측 칼라부(323)의 외측면(325)은 걸림부(610)의 제2 면(612)과 접하여 브라켓(600)에 케이블 고정 장치(10)가 고정된다. 따라서, 브라켓(600)에 몸체부(200)가 삽입되면 가압부재(400)에 의해서 고정 캡(300)이 이동하여 칼라부(320)가 걸림부(610)의 제1 면(611)과 제2 면(612)에 접하기 때문에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상방 및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은 몸체부(200)의 제1 고정돌기(231) 및 제2 고정돌기(232)에 의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상방,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이 모두 제한되기 때문에,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은 완전히 결합된다.
케이블 고정 장치(10)를 브라켓(60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300)에 몸체부(200)의 타단부(220)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브라켓(600)의 걸림부(610)에 삽입된 고정 캡(300)의 외측 칼라부(323)가 빠져 나온 다음, 케이블 고정 장치(10)를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시킨다.
<제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600')>
도 27 내지 도 29는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에 이용되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7은 브라켓(600')의 좌측 사시도이고, 도 28은 브라켓(600')의 우측 사시도이고, 도 29는 브라켓(600')을 우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제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600')에는 걸림부(630)와 장착홈(620)이 형성된다.
걸림부(630)는 브라켓(600')의 일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돌기이다. 걸림부(630)는 내측 칼라부(321)와 외측 칼라부(323) 사이에 걸림될 수 있는 형상을 갖고, 걸림부(630)의 위치는 고정 캡(300)의 내측 칼라부(321) 및 외측 칼라부(323)에 대응된다. 즉, 도 8 및 도 29를 참조하면, 브라켓(600')에 배치된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걸림부(630)의 외측면까지의 거리(D1''')는 고정 캡(30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외측 칼라부(323)의 내측면까지의 거리(D1)와 같거나 작을 수 있고, 브라켓(600')에 배치된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걸림부(630)의 내측면까지의 거리(D4''')는 고정 캡(300)의 중심축에서 내측 칼라부(321)의 외측면까지의 거리(D4)와 같거나 클 수 있다.
따라서, 브라켓(600')의 걸림부(630)의 내측은 고정 캡(300)의 내측 칼라부(321)의 외측과 접하고, 걸림부(630)의 외측은 외측 칼라부(323)의 내측과 접한다.
장착홈(620)은 브라켓(600')의 상면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장착홈(620)의 오목한 정도는 몸체부(200)의 고정부(230)의 브라켓 고정홈(234)에 대응된다. 즉, 몸체부(200)의 브라켓 고정홈(234)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브라켓 고정홈(234)의 내측까지의 거리는 브라켓(600')에 배치된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폭 방향 중심축에서 장착홈(620)의 내측면까지의 거리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따라서,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에 삽입되고, 브라켓(600')은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브라켓 고정홈(234)에 삽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0 내지 도 36을 참조하여 실시 형태에 따른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의 결합과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30 내지 도 36은 케이블 고정 장치와 제2 실시 예에 따른 브라켓의 결합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30은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1은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300)에 외력이 가해져서 케이블 고정 장치(10)가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에 삽입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2는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300)에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케이블 고정 장치가 브라켓의 장착홈(620)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3은 도 32를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고, 도 34는 도 33에서의 고정부, 내측 칼라부(321) 및 외측 칼라부(323)의 확대도이고, 도 35는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6은 도 35을 측면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300)에 아무런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 고정 캡(300)의 내측 칼라부(321) 및 외측 칼라부(323)는 몸체부(200)의 일단부(210) 방향으로 돌출된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300)에 몸체부(200)의 타단부(220)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지면, 고정 캡(300)과 몸체부(200) 사이에 틈이 형성된다. 이러한 틈만큼 내측 칼라부(321)는 내측홈부(236)로 더 삽입되고, 외측 칼라부(323)는 외측홈부(237)로 더 삽입된다.
이때, 가압부재(400)가 스프링인 경우, 고정 캡(300)의 몸체(310)가 보호부재(500)의 베이스(510)와 가까워지면, 고정 캡(300)의 몸체(310)와 보호부재(500)의 베이스(510) 사이의 가압부재(400)는 압축된 상태이기 때문에 가압부재(400)는 몸체(310)와 베이스(510)을 멀어지게 하려는 방향으로 탄성력이 생긴다.
도 32 및 도 3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에 삽입됨과 동시에 브라켓(600')은 몸체부(200)의 브라켓 고정홈(233)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내측 칼라부(321)는 내측홈부(236)로 더 삽입되고, 외측 칼라부(323)는 외측홈부(237)로 더 삽입된 상태이기 때문에 내측 칼라부(321) 및 외측 칼라부(323)는 브라켓(600')과 접하지 않아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에 용이하게 삽입된다.
도 35 및 도 3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을 결합시킨다. 구체적으로, 가압부재(400)에 의해서 고정 캡(300)이 이동하여 외측 칼라부(323)가 브라켓(600')의 걸림부(630)와 접하여 브라켓(600')을 고정한다.
일 예로, 가압부재(400)가 스프링일 경우, 케이블 고정 장치(10)가 브라켓(600')의 장착홈(620) 삽입되면, 고정 캡(300)에 가해진 상기 외력을 제거한다. 상기 외력이 제거된 케이블 고정 장치(10)는 가압부재(400)의 상기 탄성력으로 인해 고정 캡(300)의 몸체(310)가 보호부재(500)의 베이스(510)와 멀어지게 되어 브라켓(600')의 걸림부(630)는 고정 캡(300)의 내측 칼라부(321)와 외측 칼라부(323) 사이에 배치된다.
반면, 가압부재(400)가 스프링이 아닐 경우, 별도의 외력을 가하여 고정 캡(300)의 몸체(310)가 보호부재(500)의 베이스(510)와 멀어지게 하여 브라켓(600')의 걸림부(630)는 고정 캡(300)의 내측 칼라부(321)와 외측 칼라부(323)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도 33, 도 34 및 도 36을 참조하면, 내측 칼라부(321)의 외측면(322)은 걸림부(630)의 제1 면(631)과 접하고, 외측 칼라부(323)의 내측면(324)은 걸림부(630)의 제2 면(632)과 접하여 브라켓(600')에 케이블 고정 장치(10)가 고정된다. 따라서, 브라켓(600')에 몸체부(200)가 삽입되면 가압부재(400)에 의해서 고정 캡(300)이 이동하여 칼라부(320)가 걸림부(630)의 제1 면(631)과 제2 면(632)에 동시에 접하기 때문에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상방 및 하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한,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은 몸체부(200)의 제1 고정돌기(231) 및 제2 고정돌기(232)에 의해 제한된다.
이와 같이,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상방, 전방 및 후방으로의 이동이 모두 제한되기 때문에, 케이블 고정 장치(10)와 브라켓(600')은 완전히 결합된다.
케이블 고정 장치(10)를 브라켓(600')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케이블 고정 장치(10)의 고정 캡(300)에 몸체부(200)의 타단부(220) 방향으로 외력을 가하여, 브라켓(600')의 걸림부(630)와 접한 고정 캡(300)의 내측 칼라부(321)와 외측 칼라부(323)가 빠져 나온 다음, 케이블 고정 장치(10)를 브라켓(600')의 장착홈(620)으로부터 상방으로 분리시킨다.
이상에서 실시 형태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 형태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 형태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 형태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 형태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 형태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형태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실시 형태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케이블 고정 장치
200: 몸체부 300: 가압부재
400: 고정 캡 500: 보호부재

Claims (9)

  1. 걸림부를 포함하는 브라켓에 결합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에 있어서,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칼라부를 포함하는 고정 캡;
    상기 칼라부가 관통하는 홈 및 상기 브라켓이 고정되는 브라켓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부를 포함하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에 결합되는 보호부재; 및
    상기 고정 캡과 상기 보호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에 상기 몸체부가 삽입되면 상기 가압부재에 의해서 상기 고정 캡이 이동하여 상기 칼라부가 상기 걸림부의 제1 면과 제2 면에 접하여 상기 브라켓에 상기 케이블 고정 장치가 고정되고,
    상기 칼라부는 상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된 내측 칼라부 및, 상기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되 상기 내측 칼라부의 외측에 상기 내측 칼라부와 이격되어 형성된 외측 칼라부를 포함하고,
    상기 홈은 상기 내측 칼라부가 관통하는 내측홈부 및 상기 외측 칼라부가 관통하는 외측홈부를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몸체부를 관통하는 케이블 소켓;을 더 포함하는,
    케이블 고정 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브라켓의 일면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이고,
    상기 외측 칼라부의 내측면은 상기 걸림부의 제1 면과 접하고, 상기 외측 칼라부의 외측면은 상기 걸림부의 제2 면과 접하여 상기 브라켓에 상기 케이블 고정 장치가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브라켓의 일면에 볼록하게 형성된 돌기이고,
    상기 내측 칼라부의 외측면은 상기 걸림부의 제1 면과 접하고, 상기 외측 칼라부의 내측면은 상기 걸림부의 제2 면과 접하여 상기 브라켓에 상기 케이블 고정 장치가 고정되는,
    케이블 고정 장치.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칼라부는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내측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내측 칼라는 인접한 상기 내측 칼라 사이에 갭이 형성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외측 칼라부는, 상기 복수의 내측 칼라의 중심축과 동일한 중심축을 갖고 원형으로 배치된 복수의 외측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외측 칼라는 상기 갭을 커버하도록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케이블 고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홈부는 상기 복수의 내측 칼라에 대응하는 복수의 내측홈을 포함하고,
    상기 외측홈부는 상기 복수의 외측 칼라에 대응하는 복수의 외측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내측홈 각각의 위치는 상기 복수의 내측 칼라의 위치에 대응되고,
    상기 복수의 외측홈 각각의 위치는 상기 복수의 외측 칼라의 위치에 대응되는,
    케이블 고정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는 외주면 상에 돌출된 체결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체결 돌기가 체결될 수 있는 돌기홈이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캡의 내주면에는 고정 캡의 길이 방향으로 하나 이상의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보호부재의 외주면에는 상기 볼록부가 끼워지는 하나 이상의 오목부가 형성되는,
    케이블 고정 장치.
KR1020170088291A 2017-07-12 2017-07-12 케이블 고정 장치 KR1019764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291A KR101976447B1 (ko) 2017-07-12 2017-07-12 케이블 고정 장치
DE102018115308.2A DE102018115308A1 (de) 2017-07-12 2018-06-26 Kabelfangvorrichtung
US16/030,968 US20190017631A1 (en) 2017-07-12 2018-07-10 Cable anchoring device
CN201810765686.1A CN109256729A (zh) 2017-07-12 2018-07-12 电缆锚定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291A KR101976447B1 (ko) 2017-07-12 2017-07-12 케이블 고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7201A KR20190007201A (ko) 2019-01-22
KR101976447B1 true KR101976447B1 (ko) 2019-05-10

Family

ID=647451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291A KR101976447B1 (ko) 2017-07-12 2017-07-12 케이블 고정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017631A1 (ko)
KR (1) KR101976447B1 (ko)
CN (1) CN109256729A (ko)
DE (1) DE102018115308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876B1 (ko) * 2014-02-04 2015-05-26 경창산업주식회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101643877B1 (ko) * 2014-12-15 2016-07-29 경창산업주식회사 케이블 고정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351310A (en) * 1970-08-29 1974-04-24 Itw Ateco Gmbh Cable clamps
US3866870A (en) * 1972-02-03 1975-02-18 Heyman Mfg Co Cord anchorage securing device and secure cord anchorage
US8418580B2 (en) * 2007-11-12 2013-04-16 Dura Operating, Llc Cable assembly
DE202009011986U1 (de) * 2009-08-28 2009-12-10 Illinois Tool Works Inc., Glenview Vorrichtung zur Verbindung zweier Bauteile
KR101142172B1 (ko) * 2010-01-19 2012-05-07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JP6128723B2 (ja) * 2011-03-18 2017-05-17 矢崎総業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用固定具および当該ワイヤハーネス用固定具を備えたワイヤハーネス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2876B1 (ko) * 2014-02-04 2015-05-26 경창산업주식회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101643877B1 (ko) * 2014-12-15 2016-07-29 경창산업주식회사 케이블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8115308A1 (de) 2019-01-17
CN109256729A (zh) 2019-01-22
US20190017631A1 (en) 2019-01-17
KR20190007201A (ko) 2019-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2876B1 (ko) 케이블 고정 장치
CN105422988B (zh) 防振夹
WO2019088109A1 (ja) 固定構造
WO2017135339A1 (ja) クリップ、クランプ組立体及び取付構造
KR20070069147A (ko) 커플링
JP7127929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KR101436273B1 (ko) 광 커넥터
KR20150110325A (ko) 플러그인 커플링 부재
JP6052131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へのバンドクリップ取付構造
JP6083344B2 (ja) ノイズ吸収具
KR101976447B1 (ko) 케이블 고정 장치
KR101643877B1 (ko) 케이블 고정 장치
CN109075489B (zh) 连接器
KR20200057725A (ko) 회전 커넥터 장치 및 회전 커넥터 장치의 조립 방법
JP6297840B2 (ja) 管継手
KR20130136889A (ko) 파이프 부재용 락킹장치
KR101778791B1 (ko) 압박 구조를 이용한 이탈방지 와셔
JP2009187696A (ja) バッテリ端子
KR101568359B1 (ko) 광 루프백 커넥터
KR100985933B1 (ko)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US2802920A (en) Fuse holder
JP2016082119A (ja) フィルタケース及びノイズフィルタ
JP5786486B2 (ja) レンズキャップ、レンズ鏡筒
JP5096976B2 (ja) ケーブル保護管
JP6738595B2 (ja) ケーブル配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