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933B1 -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 Google Patents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933B1
KR100985933B1 KR1020080039713A KR20080039713A KR100985933B1 KR 100985933 B1 KR100985933 B1 KR 100985933B1 KR 1020080039713 A KR1020080039713 A KR 1020080039713A KR 20080039713 A KR20080039713 A KR 20080039713A KR 100985933 B1 KR100985933 B1 KR 1009859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ner cover
cover
sensor assembly
vehicl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39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3980A (ko
Inventor
김근희
Original Assignee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성전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39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93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3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39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9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9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48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 B60R19/483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combined with, or convertible into, other devices or objects, e.g. bumpers combined with road brushes, bumpers convertible into beds with obstacle sensors of electric or electronic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52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5/00
    • G01S7/521Constructional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asurement Of Velocity Or Position Using Acoustic Or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대칭되게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지지리브가 축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고 축방향으로 일단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내측커버와; 상기 내측커버의 개구된 일단부에 수용 지지되는 센서와; 상기 내측커버의 타단부에 수용 지지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내측커버의 개구된 일단부로부터 결합하여 상기 내측커버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내측커버와의 결합 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리브 중 어느 한 쌍에 걸림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한 쌍의 탄성후크 갖는 외측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부품수가 감소되고 조립성이 용이할 뿐 아니라 설치 대상인 범퍼의 두께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Figure R1020080039713
차량, 후방감지센서, 범퍼 두께, 탄성후크

Description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REAR SIDE SENSING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후방 범퍼에 설치되는 감지센서의 조립체로서 비교적 적은 부품수를 가지고 조립성 및 생산성이 향상된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는 차량의 뒷 범퍼의 내외측에서 각각 범퍼 표면을 관통하여 상호 결합되는 구성을 가지는바, 종래에는 많은 부품수를 가짐으로 인해 범퍼에의 조립 시 불량 발생률이 높았으며 재료비, 제조공정 측면에서도 개선의 필요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체를 이용하여 그 결합 상태를 유지하는 방식을 취하였는바, 센서 조립체는 상기 탄성체에 의한 반력으로 범퍼 표면에서 비로소 고정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센서 조립체 부착 방식에 의할 경우 스프링을 이용하여야 함에 따라 재료비 및 조립성 측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에 의할 때에는 그 부착 대상인 범퍼의 두께가 달라지는 경우 센서 조립체 자체에 대하여도 설계 및 금형 상의 수정 이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하나의 센서 조립체로 다양한 차종에 적용하기가 곤란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수가 감소되고 조립성이 용이할 뿐 아니라 설치 대상인 범퍼의 두께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대칭되게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지지리브가 축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고 축방향으로 일단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내측커버와; 상기 내측커버의 개구된 일단부에 수용 지지되는 센서와; 상기 내측커버의 타단부에 수용 지지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내측커버의 개구된 일단부로부터 결합하여 상기 내측커버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내측커버와의 결합 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리브 중 어느 한 쌍에 걸림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한 쌍의 탄성후크 갖는 외측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는 상기 내측커버의 개구된 일단부에 삽입되어 내측에 상기 센서를 수용 지지하는 환형의 탄성지지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내측커버는 상기 개구된 일단부의 외주연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쿠션홀더부를 구비하고, 각 쿠션홀더부는 상기 외측커버를 향해 오목하게 형 성된 요홈부를 가지며, 각 요홈부에는 쿠션부재가 수용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측커버는 외주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커버는 상기 내측커버와의 결합 시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축방향 이동이 구속되는 홀가이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외측커버는 상기 내측커버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체결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가이드와 상기 탄성후크는 각각 상기 체결곡면부의 일부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이때, 상기 내측커버는 일측 외주연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커버와 상기 내측커버 간 결합 시 상기 홀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슬롯에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에 의하면, 센서, 회로기판이 모두 내측커버에 수용 지지되고, 이에 따라 범퍼에의 조립은 외측커버와 내측커버 간 결합만으로 간단히 달성될 수 있으므로 전체적으로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는 내측커버의 지지리브와 외측커버의 탄성후크 간 축방향의 탄성 결합에 의해 범퍼 상에 고정되는 구조를 취함에 따라 별도의 스프링이 불필요하므로 부품수의 감소 및 조립성의 향상에 동시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지지리브는 내측커버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어 이에 결합하는 탄성후크가 복수의 내측커버 중 어느 하나에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인해, 범퍼의 두께가 달라지는 경우에도 상기 범퍼를 사이에 두고 서로 결합하는 내측커버와 외측커버 간 결합 상태를 유효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내측커버와 외측커버는 서로 축방향으로 어느 정도의 여유 간격을 가진 상태에서도 상호 결합을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는 서로 다른 두께의 범퍼를 가질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에 공통적으로 또한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는, 외측커버에 체결곡면부를 구비하여 이를 통해 상기 탄성후크, 홀가이드 등을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전체 부품수 감소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개구된 내측커버(110), 이 내측커버(110)에 수용되는 센서(120), 센서(120)를 보호하기 위한 탄성지지체(130), 센서(120)와 함께 내측커버(110)에 수용되는 회로기판(140), 그리고 내측커버(110)의 외주면을 수용하는 형태로 상기 내측커버(110)에 결합되는 외측커버(150)를 포함한다.
내측커버(110)는 상하측 외주면에 각각 지지리브(111, 112)가 돌출 형성된다.
지지리브(111)는 원주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된 형태로 한 쌍으로 존재하며, 다시 축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 다른 한 쌍의 지지리브(112)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한 쌍의 지지리브(111)와 서로 다른 조를 이룬다.
각 쌍의 지지리브(111, 112)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측커버(150)의 탄성후크(152)와 맞물리는 경우 축방향의 탄성력이 작용할 수 있도록 축방향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도 5 참조).
내측커버(1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단부가 개구되어 있으며, 반대로 우측 단부는 폐쇄되어 여기에 전선(10)이 삽입되는 관통홀(도 4의 110h)이 형성된다.
또한, 내측커버(110)의 우측 단부의 상하면으로는 각각 가이드슬롯(113)이 돌출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외측커버(150)의 홀가이드(153)를 수용하게 된다.
또한, 내측커버(110)의 좌측 단부의 외주연으로는 한 쌍의 쿠션홀더부(114)가 돌출 형성되고, 각 쿠션홀더부(114)는 요홈부(114h)가 오목하게 형성되어 쿠션부재(160)를 수용 지지한다. 요홈부(114h)와 쿠션부재(160) 사이에는 양면테이프 등에 의해 상호 부착 고정된다.
센서(120)는 환형의 탄성지지체(130)에 밀착하여 수용 지지되며, 상기 탄성지지체(130)는 다시 내측커버(110)의 개구된 일측 단부에 삽입 지지된다(도 3 참조).
따라서, 센서(120)는 탄성지지체(130)에 의해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뿐 아니라 내측커버(110)의 내측에 밀착되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회로기판(140)은 상기한 센서(120)와 탄성지지체(130)에 앞서 내측커버(110) 에 삽입되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커버(110) 내에 형성된 가이드홈(115) 및 지지돌출부(116)에 의해 일정한 상태로 지지 및 고정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회로기판(140)과 센서(120) 및 탄성지지체(130)가 내측커버(110)에 수용된 후에는 외측커버(150)가 상기 내측커버(110)와 결합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외측커버(150)는 원호 형상으로서 축방향으로 상하 대칭되게 연장 형성된 체결곡면부(151)를 구비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커버(110)와의 결합 시 체결곡면부(151)가 내측커버(110)의 상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된다.
또한, 체결곡면부(151)는 내측에 공간부(151a)를 두어 그 내부에 축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탄성후크(152)를 가지고, 공간부(151a)의 외측으로는 상기 탄성후크(152)의 축방향으로 전방에 홀가이드(153)를 갖는다.
탄성후크(152)는 원주 방향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마련되며, 각각 축방향으로부터 소정 각도 경사지게 돌출된다.
따라서, 외측커버(150)가 내측커버(110)와 결합할 때, 상기 탄성후크(152)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커버(110)의 복수 개의 지지리브(111, 112) 중 어느 하나(도면에서는 112)에 걸리어 결합된다. 이에 의해, 외측커버(150)는 내측커버(110)로부터 분리가 방지되며, 아울러 탄성후크(152)와 이에 걸린 지지리브(112) 간에는 서로 축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함에 따라 외측커버(150)와 내측커버(110)가 서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100)가 범퍼에 밀착 결합되도록 하는데 기여하게 된다.
한편, 외측커버(150)가 내측커버(110)와 결합할 때, 탄성후크(152)의 전방에 위치한 홀가이드(153)는 내측커버(110)의 외주면에 면접한 상태로 진행하다가 일단부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117)와 결합한다. 즉, 홀가이드(153)의 내측에 마련된 홀(153h)에 걸림돌기(117)가 삽입 결합된다.
이에 따라, 홀가이드(153)는 걸림돌기(117)에 의해 원주방향의 이동이 차단되고 축방향의 이동 또한 어느 정도 제한된다.
또한, 걸림돌기(117)에 결합된 홀가이드(153)의 전단부는 다시 내측커버(110)의 외주연 단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슬롯(113)에 삽입된다.
상기 홀가이드(153)와 걸림돌기(117)의 결합 그리고 상기 홀가이드(153)와 가이드슬롯(113)의 결합에 의해 외측커버(150)와 내측커버(110) 간 결합이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내측커버(110) 외주연의 좌우측으로는 이와 결합하게 되는 외측커버(150)의 체결곡면부(151)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돌기(118)가 돌출 형성된다.
도 1에서, 외측커버(150)의 좌측 단부는 개구되어 관통홀(150h)을 형성하며, 이 관통홀(150h)에 센서(120)가 삽입되어 외부에 노출된다.
관통홀(150h)의 둘레로는 플랜지부(154)가 반경방향으로 소정 폭으로 연장 형성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범퍼 표면에 안착되어 지지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외측커버(150)와 내측커버(110)가 서로 결합한 상태에서, 외측커버(150)의 플랜지부(154)와 내측커버(110)의 쿠션홀더부(114) 사이에는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간격으로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범퍼가 자리하게 된다.
따라서, 범퍼는 쿠션홀더부(114)에 수용된 쿠션부재(160)에 의해 플랜지부(154) 방향으로 가압되며, 아울러 상부의 탄성후크(152)와 지지리브(112) 사이의 축방향의 탄성 가압에 의해 양측의 쿠션부재(160)와 플랜지부(154)에 더욱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서 미설명 부호 20은 전선(10)의 일단부에 연결된 커넥터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100)가 차량의 범퍼(1, 2)에 각각 부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100)의 조립은, 먼저 외측커버(150)를 범퍼(1)의 외측(도면에서는 좌측)으로부터 홀(H)에 삽입시킨 후 범퍼(1)의 내측(도면에서는 우측)에서 내측커버(110)를 삽입 결합시키는 과정을 통해 달성된다.
이때, 도 5에서와 같이 범퍼(1)의 두께가 얇은 경우, 외측커버(150)는 탄성후크(152)가 안쪽의 지지리브(112)와 결합할 때까지 내측커버(110)에 깊숙히 결합될 수 있다.
반대로, 도 6에서와 같이 범퍼(2)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외측커버(150)는 탄성후크(152)가 바깥쪽의 지지리브(111)와 결합한 상태에서 멈춘다.
도 5 및 도 6의 각각의 경우, 범퍼(1 또는 2)는 탄성후크(152)와 이에 결합된 지지리브(112 또는 111) 간 축방향의 탄성력의 작용에 의해 플랜지부(154)와 쿠 션부재(160) 사이에서 밀착 지지된다.
이때, 쿠션부재(160) 및 이를 수용 지지하는 쿠션홀더부(114)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2개, 3개, 4개 등으로 내측커버(110)의 일측단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한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100)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시한 실시예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내지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하여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도 2의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의 종방향 단면도,
도 4는 도 2의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의 횡방향 단면도,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의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의 서로 다른 조립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110: 내측커버
111, 112: 지지리브 113: 가이드슬롯
114: 쿠션홀더부 115: 가이드홈
116: 지지돌출부 117: 걸림돌기
118: 가이드돌기 120: 센서
130: 탄성지지체 140: 회로기판
150: 외측커버 151: 체결곡면부
152: 탄성후크 153: 홀가이드
154: 플랜지부 160: 쿠션부재

Claims (6)

  1.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에 있어서,
    외주면에 원주방향으로 대칭되게 이격 형성된 한 쌍의 지지리브가 축방향으로 복수 개 구비되고 축방향으로 일단부가 개구된 원통 형상의 내측커버와;
    상기 내측커버의 개구된 일단부에 수용 지지되는 센서와;
    상기 내측커버의 타단부에 수용 지지되는 회로기판; 및
    상기 내측커버의 개구된 일단부로부터 결합하여 상기 내측커버의 외주면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고, 상기 내측커버와의 결합 시 상기 복수 개의 지지리브 중 어느 한 쌍에 걸림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탄성력을 가하는 한 쌍의 탄성후크 갖는 외측커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측커버는 상기 개구된 일단부의 외주연으로 돌출 형성된 복수의 쿠션홀더부를 구비하고, 각 쿠션홀더부는 상기 외측커버를 향해 오목하게 형성된 요홈부를 가지며, 각 요홈부에는 쿠션부재가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커버의 개구된 일단부에 삽입되어 내측에 상기 센서를 수용 지지하는 환형의 탄성지지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커버는 외주면 일측에 돌출 형성된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외측커버는 상기 내측커버와의 결합 시 상기 걸림돌기가 삽입되어 축방향 이동이 구속되는 홀가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커버는 상기 내측커버의 외주면에 밀착 결합되는 체결곡면부를 구비하고, 상기 홀가이드와 상기 탄성후크는 각각 상기 체결곡면부의 일부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커버는 일측 외주연부에 돌출 형성된 가이드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외측커버와 상기 내측커버 간 결합 시 상기 홀가이드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가이드슬롯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KR1020080039713A 2008-04-29 2008-04-29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KR1009859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713A KR100985933B1 (ko) 2008-04-29 2008-04-29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39713A KR100985933B1 (ko) 2008-04-29 2008-04-29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980A KR20090113980A (ko) 2009-11-03
KR100985933B1 true KR100985933B1 (ko) 2010-10-06

Family

ID=41555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39713A KR100985933B1 (ko) 2008-04-29 2008-04-29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93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002760A1 (de) 2012-02-11 2013-08-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Anordnung an einem Bauteil eines Kraftfahrzeuge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2548A (ko) * 2002-09-09 2004-03-16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방감지센서용 조립구조
US20040183660A1 (en) * 2002-02-22 2004-09-23 Shih-Hsiung Li Safety back-up sensor for a vehicle
KR20070047082A (ko) * 2005-11-01 2007-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비돌출형 후방 경보센서 유닛의 장착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183660A1 (en) * 2002-02-22 2004-09-23 Shih-Hsiung Li Safety back-up sensor for a vehicle
KR20040022548A (ko) * 2002-09-09 2004-03-16 씨멘스브이디오한라 주식회사 자동차의 후방감지센서용 조립구조
KR20070047082A (ko) * 2005-11-01 2007-05-0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비돌출형 후방 경보센서 유닛의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3980A (ko) 200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7830A (en) Connector
US20140050548A1 (en) Fastening clip
JP4299319B2 (ja) コネクタ接続器のためのロック装置
WO2016088695A1 (ja) 保持装置
US10974632B2 (en) Headrest moving device
JP2016077048A (ja) バンドクリップ
KR102226417B1 (ko)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US20150218853A1 (en) Lock release apparatus
JP6899812B2 (ja) 連結具、及び、ワイヤハーネス
JP6213837B2 (ja) 収容部、及びこれ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5175385B2 (ja) 90°の角度をなす2つのアームを有するケーシングにより形成される電気接続部品
JP2009228714A (ja) 固定部材
JP2014514719A (ja) 第2の接点固定手段を有するコネクタ要素
KR100985933B1 (ko) 차량용 후방감지센서 조립체
WO2014002606A1 (ja) コネクタカバー
WO2017199842A1 (ja) クリップ
JP6620938B2 (ja) コネクタ
US11577563B2 (en) Installation unit with latching elements for carrier unit mounted on a motor vehicle
CN111757212B (zh) 耳机盒和音频组件
KR20060110040A (ko) 차량의 후방감지센서유닛 조립구조
JP2009273250A (ja) ケーブルガイド
JP5239692B2 (ja) 固定部材
JP6270034B2 (ja) 外装部材
JP6566436B2 (ja) サンバイザ用サポート部材及びサンバイザ
JP4996543B2 (ja) 蓋部材係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