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417B1 -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 Google Patents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417B1
KR102226417B1 KR1020167029181A KR20167029181A KR102226417B1 KR 102226417 B1 KR102226417 B1 KR 102226417B1 KR 1020167029181 A KR1020167029181 A KR 1020167029181A KR 20167029181 A KR20167029181 A KR 20167029181A KR 102226417 B1 KR102226417 B1 KR 102226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amping
connector
clamping body
protective cap
electrical plu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8473A (ko
Inventor
폴커 투라우
레네 라이쓰만
다니엘 라이쓰만
Original Assignee
코스탈 콘탁트 치스테메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탈 콘탁트 치스테메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코스탈 콘탁트 치스테메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60138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8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means comprising additional parts captured between housing parts an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37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specially adapted for accommodating various sized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구속될 수 있고 유입구 개구부를 가진 보호 캡을 포함하며, 다수의 연결 라인들을 위해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 몸체를 가지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에 관한 것이며, 적어도 두 개의 클램핑 표면들이 탄성적으로 유연하거나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상기 클램핑 몸체상에 배열되거나 형성되며, 연결 라인들은 클램핑 몸체의 클램핑 표면 및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 벽 섹션사이에서 압력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클램핑 요소는, 특히 탄성 몸체로서 형성되거나 상기 보호 캡위에서 탄성 상태를 가지며 일체 구조로 몰딩된 클램핑 요소 섹션들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MULTIPOLE ELECTRIC PLUG CONNECTOR PART}
본 발명은, 커넥터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구속될 수 있고 유입구 개구부를 가진 보호 캡을 포함하며, 다수의 연결 라인들을 위해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 몸체를 가지는 고정 장치를 포함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에 관한 것이다.
상기 플러그 인 커넥터(plug- in connector)가, 여기서 도시되지 않은 또 다른 플러그 인 커넥터와 전기적 플러그 인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제공된다. 연결 케이블 또는 다수의 개별 연결 라인들에 연결되는 비정치식(non- stationalry)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에 대하여, 신뢰성 있는 작동을 위해 상기 연결 케이블 또는 다수의 개별 연결 라인들을 상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의 하우징에 단단히 연결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공급라인(supply lines)에 작용하는 인장 하중이 연결 라인을 통해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의 전기적 플러그 접촉부(plug contacts)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심지어 상기 플러그 접촉부에 대한 전기적 연결을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는 스트레인 제거 장치(stain relief device)가 제공된다.
거친 환경 조건 예를 들어, 차량의 엔진 격실에서 이용되는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들에 대하여, 상기 플러그 접촉부들의 전기적 연결부를 심한 진동 하중으로부터 보호해야 한다. 이것은, 특히, 일치하는 다수의 연결 라인들을 가지는 다중 극(multipole)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들에 있어서 어렵거나 단지 상대적으로 많은 노력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독일 실용신안 모델 제 DE 298 02 470 U1호에 공개된 케이블용 스트레인 제거장치에 의하면, 케이블은 클램핑 요소를 이용하여 수용 슬롯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요소 및 수용 슬롯은 쐐기 쌍(wedge pair)을 형성하며, 상기 쐐기 쌍은 상기 클램핑 요소에 형성되고 상기 수용 슬롯의 변부 아래에서 가압될 수 있는 경사면으로부터 형성된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수용 슬롯의 변부에서 디텐트(detent) 기구와 함께 작동하는 치형부(toothing)가 상기 경사면상에 제공된다. 서로 다른 케이블 횡단면을 가질 수 있는 다중 케이블들이 상기 스트레인 제거 장치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각각의 케이블은, 각각 개별적으로 상호 연결되어야 하는 수용 슬롯 및 클램핑 요소를 가진다.
공개된 미심사 독일 특허 출원 제 DE 10 2008 055 841 A1호에 설명되는 플러그 인 커넥터는 전기적 플러그 접촉부 요소들을 위한 수용 챔버를 포함한 하우징 몸체를 가지고, 각각의 플러그 접촉부 요소는 전기적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하우징 몸체에 구속될 수 있는 하우징 부분을 가지며, 단부 구속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 부분 및 하우징 몸체는 형상 끼워 맞춤(form fit)에 의해 상기 전기적 라인들의 섹션들을 서로 둘러싼다.
상기 설계는 상대적으로 작은 갯수의 연결 라인들을 가진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들에 대해 매우 적합하다. 따라서 문헌 제 DE 10 2008 055 841 A1호에서 예시적인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은 단지 두 개의 공급 라인들을 가진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많은 갯수의 공급 라인들에 대해 상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의 설계는 훨씬 더 복잡하고 상대적으로 큰 구조를 가질 수 있는 데, 각각의 공급 라인은 하우징 부분들에 의해 개별적으로 둘러싸이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공급 라인의 횡단면은 하우징 부분들의 형상에 적응되어야 하기 때문에 상기 횡단면은 자유롭게 선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진동 저항 특성을 가진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을 제공하여 서로 다른 횡단면을 가질 수 있고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개별 와이어들이 클램핑에 의해 단단히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어도 두 개의 클램핑 표면들이 탄성적으로 유연하거나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상기 클램핑 몸체상에 배열되거나 형성되며, 연결 라인들은 클램핑 몸체의 클램핑 표면 및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 벽 섹션사이에서 압력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된다.
클램핑 몸체위에서 클램핑 표면들이 탄성적으로 유연하거나 탄성적으로 구부러지는 설계에 의해 개별 연결 라인들은 상기 클램핑 몸체위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연결 라인들은 서로 다른 라인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 캡과 커넥터 하우징의 모든 치수 공차가 자동으로 보상된다.
클램핑 표면들이 탄성적으로 구부러지는 설계를 가져서 클램핑 표면들이 구부러지는 동안 단지 상대적으로 작은 복원 하중(restoring forces)을 형성하면, 커넥터 하우징과 클램핑 표면이 더 근접하게 모이게 됨에 따라 연결 라인에 작용하는 클램핑 하중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계적인 구간에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 및 보호 캡을 서로에 대해 위치설정하기 위한 선택(option)을 제공하므로 유리하다.
다른 한편, 탄성적으로 유연한 클램핑 표면들은, 커넥터 하우징 및 보호 캡사이에서 다중 단계 위치설정 선택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이 아니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유리한 제1 설계에서, 클램핑 몸체는 필수적으로 V자 형상의 고무 탄성 몸체로서 설계되고 상기 고무 탄성 몸체는 상기 보호 캡의 고정 섹션에 대해 형상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몸체는, 상기 보호 캡에 대한 연결을 위한 일체 구조로 몰딩된 다수의 디텐트 요소들을 가지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한 선택적 실시예에서, 상기 보호 캡 및 클램핑 몸체는 두 개 부품 인젝션 몰딩 공정에서 한 개 부분 부품으로서 생산될 수도 있다. 상기 클램핑 몸체는,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보호 캡상에 탄성 중합체 부품을 형성한다.
유리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클램핑 몸체는 보호 캡의 고정 섹션위에 일체 구조로 몰딩되는 스트립(strip)과 같은 다수의 클램핑 암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클램핑 암의 외부 표면들은 연결 라인들을 고정하기 위한 클램핑 표면들을 형성한다.
모든 경우들에서, 연결 라인들의 고정은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내에서 형성되지만 보호캡의 입구 영역에서는 형성되지 않는다. 따라서 원주 방향의 리브(ribs)들은 특히 상기 보호 캡의 유입구 개구부에서 일체 구조로 몰딩될 수 있다. 상기 리브들은 상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을, 플라스틱 재질의 주름구조를 가진 파이프 또는 주름구조를 가진 튜브에 고정시킬 수 있어서, 다수의 연결 라인들이 튐 방지(splash- proof) 보호기능을 가지며 다발(bundle)로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따르는 플러그 인 커넥터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 및 개선예들이 종속항에 설명된다. 본 발명을 따르는 플러그 인 커넥터에 관한 세 개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에 도시되고 도면을 참고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을 따르는 플러그 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클램핑 몸체와 함께 개방된 보호 캡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밀폐된 보호 캡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단일 부분으로서 클램핑 몸체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플러그 인 커넥터를 도시한 부분 단면도.
도 6 내지 도 8은 서로 다른 구조를 가진 고정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9는 상기 고정 장치를 도시한 제1 단면도.
도 10은 상기 고정 장치를 도시한 제2 단면도.
도 11은 클램핑 몸체의 제2 실시예와 함께 보호 캡을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클램핑 몸체를 도시한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따르는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14는 개방된 보호 캡을 가지고 도 13에 도시된 플러그 인 커넥터를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의 제1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4의 제2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7은 도 14의 제3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 18은, 도 14의 개방된 보호 캡을 개별 부분으로서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플러그 인 커넥터를 도시한다. 상기 플러그 인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2)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은 플러그 접촉부 슬리브(plug contact sleeve) 및/또는 플러그 핀(plug pin) 및 상기 커넥터 하우징(2)에 구속된 보호 캡(1)과 같은 다수의 플러그 접촉 요소들(여기서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을 내부에 포함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되고 커넥터 하우징을 가지지 않는 보호 캡(1)은 일체로 구성되고 가요성 필름 힌지(film hinge)(12)에 의해 서로 고정되는 두 개의 하우징 부분(1a,1b)들로 형성된다. 상기 하우징 부분(1a,1b)은 상호구속될 수 있는 연결 요소(7,8)들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연결 요소(7,8)에 일체로 몰딩되는 디텐트 개구부(22) 및 멈춤쇠 후크(21)는 각각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하우징 부분(1a,1b)들의 상부 섹션들을 서로에 대해 고정시킨다. 하우징 부분(1b)은 디텐트 돌출부(10)를 가지고 몰딩된 구속 암(locking arm)(9)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 부분(1a,1b)들이 서로 연결될 때 상기 구속 암(9)의 탄성 하중에 의해 상기 디텐트 돌출부는 하우징 부분(1a)내부의 디텐트 요홈(11)속으로 가압된다. 상기 하우징 부분(1a,1b)들을 서로 연결시키면 도 3에 도시된 보호 캡(1)은 밀폐된 횡 방향 표면을 가진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상기 보호 캡(1)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이고 상기 하우징 부분(1a,1b)들은 아직까지 연결되지 않은 상태를 가져서 본 발명을 따르는 플러그 인 커넥터의 추가적인 세부구조를 보여줄 수 있다.
먼지와 습기의 침투로부터 상기 커넥터 하우징(2)을 보호하는 기능 이외에, 상기 보호 캡(1)은 전기적 연결 라인들을 안내하고 기계적으로 고정시키는 추가 기능을 가진다. 보호 캡의 상부 영역에서, 상기 보호 캡(1)은 몰딩된 원주 방향 리브(rib)(23)들을 가지고 상대적으로 넓은 유입구 개구부(4)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도 5 내지 도 8의 연결 라인(6,6a,6b,6c)들을 안내하고 외부의 환경적 영향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주름구조의 파이프 또는 주름구조의 튜브가 상기 유입구 개구부(4)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 라인(6,6a,6b,6c)들을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상기 보호 캡(1)은 고정 섹션(14)을 가지고, 적어도 두 개의 측부 섹션들에 대해 배열되는 고무 재질의 클램핑 몸체(clamping body)(3)가 상기 고정 섹션에 장착된다.
선택적으로(본 명세서에 설명되지 않지만) 도면들에서 단일 부분으로서 도시된 클램핑 몸체(3)가 상기 보호 캡(1)에 직접 인젝션 몰딩되는 탄성 중합체(elastomer) 몸체로서 지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클램핑 몸체와 상기 보호 캡은 두 개의 부품(two- component) 인젝션 몰딩 과정에서 단일 부분으로서 생산될 수 있다.
도 4는 클램핑 몸체(3)의 유리한 특수 설계를 도시한다. 일체 구조의 클램핑 몸체(3)는 가요성을 가지며 유연하고 안정된 탄성중합체 재료로 제조된다. 완전히 주변을 둘러싸지 않는 외측 벽(15)이 서로 각을 이루는 다수의 평평한 면 섹션(face section)들로 형성된다. 개방 측부와 인접한 외측 벽(15)의 두 개의 면 섹션들은 연결 라인들을 클램핑(clamping) 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기 때문에 상기 면 섹션들이 하기 설명에서 간단히 클램핑 표면(16a,16b)들로서 설명된다. 상기 클램핑 표면(16a,16b)들은 서로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가져서, 상기 클램핑 몸체(3)는 평면도에서 대략 V 자 형상의 외부 윤곽을 가진다.
외측 벽(15)은 연결 벽(18)을 둘러싸고 연결벽의 주요 면(13)들은 상기 외측 벽(15)의 면에 대해 직각으로 향한다. 선호적으로 양쪽의 주요 면(13)들에서 상기 연결 벽(18)은 일체로 몰딩된 다수의 디텐트 스터드(detent stud)(19)들을 가진다. 상기 외측 벽(15)이 가지는 두 개의 자유 단부 섹션들은 둥근 형상을 가지고 따라서 두 개의 클립 후크(clip hook)(17)들을 형성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보호 캡(1)의 고정 섹션(14)에 대해 상기 클램핑 몸체(3)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디텐트 스터드(19) 및 클립 후크(17)가 이용된다. 도 9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클램핑 몸체(3)는 특히 연결 벽(18)의 중심을 통해 주요 면(13)과 평행하게 고정 섹션(14)에 고정된다. 상기 도면은, 고무 탄성 재질의 클램핑 몸체(3)의 클립 후크(17)가 상기 고정 섹션(14)을 둘러싸서 상기 고정 섹션(14)에 상기 클램핑 몸체(3)를 고정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도 9의 단면 방향과 수직인 도 10의 또 다른 단면은, 상기 클램핑 몸체(3) 및 고정 섹션(14)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보여준다. 상기 연결 벽(18)이 상기 고정 섹션(14)내에서 수용 슬롯(28) 속으로 삽입되고, 다수의 디텐트 스터드(19)들이 상기 연결 벽(18)에 일체로 몰딩되고 상기 수용 슬롯(28)내에서 디텐트 요홈(27)과 연결된다. 상기 클립 후크(17) 및 디텐트 스터드(19)는 상기 보호 캡(1)의 고정 섹션(14)위에서 상기 클램핑 몸체(3)를 단단히 고정한다. 도 2는 상기 보호 캡(1)에 고정된 클램핑 몸체(3)를 도시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2)의 일부분이 도 10에 도시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2)은 일체 구조로 몰딩된 디텐트 요소(24)들을 가지고, 상기 디텐트 요소들은 짝을 이루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보호 캡(1)상에서 디텐트 요소(25)와 함께 작동한다. 디텐트 요소(24,25)들이 다수의 구속 스텝들내에 배열되고 상기 구속 스텝들에 의해 상기 보호 캡(1) 및 커넥터 하우징(2)은 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디텐트 요소(24,25)들의 비대칭 형상에 의해 상기 보호 캡(1) 및 커넥터 하우징(2)은 상대적으로 작은 노력으로 모이게 되는 반면에, 보호 캡(1) 및 커넥터 하우징(2)사이의 거리를 증가시키는 것은 상당한 노력을 요구하거나 심지어 전용 공구를 이용해야 한다.
도 2 및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상기 클램핑 몸체(3)가 가지는 두 개의 클램핑 표면(16a,16b)들은 서로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가지거나 상기 보호 캡(1)의 종 방향 축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가진다. 상기 보호 캡(1)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2)에 부착될 때, 상기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 벽이 가지는 상기 클램핑 표면(16a,16b)들은 디텐트 기구의 각 라쳇(rachet)에 의해 서로에 대해 근접하게 이동하여, 간격이 더욱더 작아지기 때문에 클램핑 표면들이 충분히 근접하게 모이게 됨에 따라 상기 클램핑 표면(16a,16b)들 및 하우징 섹션(26)사이의 라인(lines)들은 클램핑된다.
라인 고정(line fixing)의 원리가 도 5에 도시된다. 개별 연결 라인(6)이 상기 클램핑 표면(16a) 및 하우징 섹션(26)사이에 클램핑된다. 상기 보호 캡(1) 및 커넥터 하우징(2)사이에서 다수의 구속 스텝들과 디텐트 연결되기 때문에, 상기 하우징 섹션(26)은 상기 클램핑 표면(16a)에 충분히 근접하게 이동하여 상기 연결 라인(6)은 상기 클램핑 몸체(3)의 고무 탄성 재질속으로 깊숙히 가압된다.
클램핑 몸체가 가지는 고무 탄성 특성 때문에, 상기 클램핑 몸체(3)는 또한 서로 나란히 배열된 다수의 연결 라인들과 근접하게 부착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에서 세 개의 예들에 의해 도시된 것처럼, 대체로 상기 연결 라인들이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횡단면을 가지는 지는 상관없다.
상기 도면들은, 동일한 횡단면을 가지거나 서로 다른 횡단면을 가질 수 있는 연결 라인(6a,6b,6c)들을 고정하는 고정 장치(5)의 횡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에서, 서로 다른 라인 직경(line diameter)을 가진 두 개의 연결 라인(6a,6b)들이 클램핑 몸체(3)에 의해 고정된다. 상기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 벽 섹션(20a,20b)들에 대하여, 상기 클램핑 몸체(3)는 좌측에서 상대적으로 큰 횡단면을 가진 연결라인(6a)을 가압하고, 우측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횡단면을 가진 연결 라인(6b)을 가압한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할 때, 한 개이상의 연결 라인(6a, 6b)이 클램핑 표면(16a,16b)들에 의해 고정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연결 라인(6b)들은 동일한 횡단면을 가지고 클램핑 표면(16b)에 의해 내측 벽 섹션(20b)에 고정되며, 동시에 상기 클램핑 몸체(3)는 커넥터 하우징(2)의 마주보게 배열된 내측 벽 섹션(20a)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큰 횡단면을 가진 연결 라인(6a)을 가압한다.
도 8의 실시예에서, 모두 서로 다른 라인 횡단면을 가진 세 개의 연결 라인(6a,6b,6c)들이 심지어 고정되고, 서로 다른 라인 횡단면을 가진 두 개의 연결 라인(6b,6c)들이 클램핑 몸체(3)의 동일한 클램핑 표면(16a)에 의해 관련 내측 벽 섹션(20a)에 고정된다. 고무 또는 일부 다른 고무 탄성 재료로 제조된 클램핑 몸체(3)가 충분히 구부러져서 성공적으로 양쪽 라인 두께들을 클램핑 상태로 고정시킨다.
물론, 상기 설계들은 엄격하게 예로 이해된다. 특히, 각각의 클램핑 표면을 위해 두 개를 초과하는 연결 라인들을 고정할 수도 있다. 클램핑 표면에 의해 고정될 수 있는 연결 라인의 갯수는, 상기 라인의 횡단면, 상기 클램핑 표면의 폭 및 두께 그리고 클램핑 몸체의 재료 특성에 의해 결정되거나 상기 매개변수들의 적절한 선택에 의해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고무 탄성 재질의 클램핑 요소를 가진 고정 섹션이 커넥터 하우징의 일체 부분이고 보호 캡이 부착될 때 보호 캡의 하우징 부분과 함께 작동하기 때문에 상기 클램핑 기구는 운동학적으로 반대로 형성되는 설계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1은 클램핑 몸체(3')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를 가진 보호 캡(1')에 관한 또 다른 설계를 도시하고, 이 경우 상기 클램핑 몸체(3')는 상기 보호 캡(1')과 일체구조로 형성된다. 일체 구조를 가진 보호 캡(1')은 두 개의 연결 웹(31')에 의해 서로 연결되고 서로 구속될 수 있는 하우징 부분(1a',1b')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 웹(31')은 또한 상기 보호 캡(1')의 고정 섹션(14')을 형성하고, 총 네 개의 클램핑 암(29a', 29b', 29c', 29d')들이 상기 연결 웹에 일체 구조로 몰딩되고, 상기 클램핑 암들은 평행하지 않고 쌍을 이루며 마주보게 배열된다.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압축 하중을 가지며 상기 클램핑 암(29a', 29b')들을 서로 가압하여 스프링 탄성 대응 하중을 발생시키는 다층 감김 섹션(multiply wound section)(30')에 의해 상기 클램핑 암들이 연결된다. 상기 클램핑 암(29a', 29b')의 외부 표면들은,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 벽 섹션에 연결 라인들을 고정시킬 수 있는 클램핑 표면(16a',16b')들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도 11에 도시된 클램핑 몸체(3')는 클램핑 암(29a', 29b', 29c', 29d')과 다층 감김 섹션(30')으로 형성되고 도 12에 도시된 W 형상의 배열들 중 두개를 가지며, 상기 두 개의 배열들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연결 웹(31')위에 일체 구조로 몰딩된다. 이 경우, 클램핑 몸체(3')는 총 네 개의 클램핑 암(29a', 29b', 29c', 29d')들을 가지고 상기 클램핑 암들은 이에 따라 동일한 갯수의 클램핑 표면들을 형성한다. 물론, 적용예에 따라 상기 클램핑 몸체(3')는 상대적으로 많거나 작은 짝수의 클램핑 암 및 클램핑 표면을 가지며 설계될 수도 있다.
상기 보호 캡(1')을 커넥터 하우징과 단계적으로 더욱 근접하게 이동시켜서 기본적으로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연결 라인들이 고정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의 내측 하우징 벽의 섹션들은 클램핑 표면(16a',16b')들과 더욱 근접하게 이동한다.
상기 실시예와 대조적으로 클램핑 표면(16a',16b')들은 고무 탄성 재질의 설계를 가지지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연결 라인은 별도의 클램핑 표면(16a',16b')에 고정되고, 특히 클램핑 표면(16a',16b')을 지지하는 클램핑 암(29a', 29b', 29c', 29d')은 부착된 연결 라인의 횡단면에 의존하여 충분히 구부러져서 각각의 연결 라인은 정밀하게 조립(precise fit)되며 개별적으로 고정된다.
각각의 개별 클램핑 표면(16a',16b')이 한 개를 초과하는 연결 라인을 고정하고 이 경우 상기 연결 라인들은 동일한 횡단면을 가져야 한다. 그러므로, 적어도 이용되는 서로 다른 라인 횡단면 갯수 만큼의 클램핑 암(29a', 29b', 29c', 29d')들이 제공되는 것이 선호된다.
도 13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을 따르는 플러그 인 커넥터의 또 다른 유리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설계와 동일하게 여기서도 고정되어야 하는 각각의 연결 라인(6", 6a", 6b")을 위해 별도의 클램핑 암(29a", 29b")이 클램핑 암(3")위에 제공된다.
상기 클램핑 암(29a", 29b")들이 중실 구조의 연결 웹(31")과 일체로 연결되고, 보호 캡(1")의 하우징 부분(1a", 1b")들이 또한 상기 연결 웹(31")과 일체 구조로 몰딩되는 것이 도 18에서 특히 명확하게 도시된다. 상기 중실 구조의 연결 웹(31")은 상기 클램핑 암(29a", 29b")의 기계적 분리(decoupling)를 발생시켜서 한 개의 클램핑 암이 구부러질 때 또 다른 클램핑 암의 이동 또는 휘어짐이 발생할 수 없다. 그 결과,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여 예를 들어, 완전히 점유되지 않은 플러그 인 커넥터 때문에 홀수(uneven number)개의 라인들이 단단히 고정될 수 있어서 유리하다. 상기 예에서 도시된 총 6개의 클램핑 암(29a", 29b")들이 고정되어야 하는 연결 라인(6", 6a", 6b")들의 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상기 클램핑 암들은 클램핑 몸체(3")에 연결된다. 각각의 클램핑 암(29a", 29b") 및 커넥터 하우징(2")의 내측 벽 섹션(20a", 20b") 사이에서 간격의 폭은 라인 직경(line diameter)에 의존하여 변화한다. 상기 기능적 원리에 의해, 서로 다른 횡단면을 가진 연결 라인(6", 6a", 6b")들은 압력 끼워맞춤(force fit)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큰 직경을 가진 연결 라인들은 상대적으로 큰 질량을 가지고 이에 따라 작은 직경을 가진 연결라인보다 더 단단히 고정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성은 상기 클램핑 암(29a", 29b")을 상기 연결 웹(31")에 탄성 연결하여 형성되는 데, 상기 클램핑 암(29a", 29b")의 구부러짐은 라인 횡단면이 증가하여 클램핑 하중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기 때문이다.
상기 두 개의 실시예들과 대조적으로, 상기 클램핑 암(29a", 29b")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상대적으로 큰 탄성 하중 때문에, 상기 보호 캡(1") 및 커넥터 하우징(2")사이에서 다중 단계 디텐트 위치설정(multi step detent positioning)이 불필요하다. 대신에, 보호 캡(1")은 디텐트 후크(32")에 의해 상기 커넥터 하우징(2")에 클립고정(clipped)되어 다중 단계 디텐트 연결을 형성하는 것보다 조립을 단순화한다. 보호 캡(1") 내부에서 상기 보호 캡(1") 및 커넥터 하우징(2")사이에 구속(lock)상태가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구속 상태는 주위로부터 접근으로부터 보호되어 상기 구속 상태가 돌발적으로 해제되는 것이 차단된다.
상기 설계는 또한, 실용신안 모델 제 DE 298 02 470 U1호의 주제보다 유리하다. 개구부들을 통과하는 나사 연결 라인들이 본 발명에서는 필요하지 않다. 상기 연결 라인(6", 6a", 6b")들이 상기 커넥터 하우징(2)의 양쪽 측부들에서 가압될 수 있고 다음에 상기 보호 캡(1)은 구속되며 하우징 부분(1a",1b")들은 서로 결합된다. 또한, 복수 개의 클램핑 요소들이 본 발명에서는 손으로 배열되는 것이 불필요하다.
1, 1', 1".....보호 캡,
1a, 1b, 1a', 1b', 1a", 1b".....하우징 부분,
2, 2".....커넥터 하우징,
3,3',3".....클램핑 몸체,
4.....유입구 개구부,
5.....고정 장치,
6, 6a, 6b, 6c, 6", 6a", 6b".....연결 라인,
7, 8.....연결 요소,
9.....구속 암,
10.....디텐트 돌출부,
11.....디텐트 요홈,
12.....필름 힌지,
13.....주요 면,
14,14'.....고정 섹션,
15.....외측 벽,
16a, 16b, 16a', 16b', 16a", 16b".....클램핑 표면,
17.....클릭 후크,
18.....연결 벽,
19.....디텐트 스터드,
20a, 20b, 20a", 20b".....내측 벽 섹션,
21.....디텐트 후크,
22.....디텐트 개구부,
23.....리브,
24,25.....디텐트 요소,
26.....하우징 섹션,
27.....디텐트 요홈,
28.....수용 슬롯,
29a', 29b', 29c', 29d', 29a", 29b".....클램핑 암,
30.....가요성 섹션,
31', 31".....연결 웹(들),
32".....디텐트 후크.

Claims (13)

  1. 커넥터 하우징(2,2")을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 하우징(2,2")에 구속될 수 있고 유입구 개구부(2,2")를 가진 보호 캡(1,1',1")을 포함하며,
    다수의 연결 라인(6,6a,6b,6c,6",6a",6b")들을 위해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 몸체(3,3',3")를 가지는 고정 장치(5)를 포함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에 있어서,
    적어도 두 개의 클램핑 표면(16a,16b,16a',16b',16a",16b")들이 탄성적으로 유연하거나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게 상기 클램핑 몸체(3,3',3")상에 배열되거나 형성되며,
    연결 라인(6,6a,6b,6c,6",6a",6b")들은 클램핑 몸체(3,3',3")의 클램핑 표면(16a,16b,16a',16b',16a",16b") 및 커넥터 하우징(2,2")의 내측 벽 섹션(20a,20b,20a",20b")사이에서 압력 끼워맞춤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클램핑 몸체(3,3")는 필수적으로 V 자형상의 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몸체(3)는 고무 탄성 재료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몸체(3)는 형상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보호 캡(1)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캡(1) 및 클램핑 몸체(3)는 두 개 부품 인젝션 몰딩 공정에서 한 개 부분 부품으로서 생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몸체(3,3")는 상기 보호 캡(1',1")과 일체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몸체(3,3")는 상기 보호 캡(1',1")상에서 탄성 상태로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의 클램핑 암(29a',29b',29c',29d',29a",29b")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몸체(3,3',3")는 서로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가지는 적어도 두 개의 클램핑 표면(16a,16b,16a',16b',16a",16b")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9. 제8항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지 않은 방향을 가지는 클램핑 표면(16a',16b')들을 포함한 클램핑 암(29a',29b')들이 스프링 탄성의 가요성을 가진 섹션(3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10. 제1항에 있어서, 클램핑 몸체(3')는 서로 평행하게 배열된 클램핑 암(29a,29c,29b,29d)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2)과 보호 캡(1)은 몰딩된 디텐트 요소(24,25)들에 의해 다중 구속 단계들에 따라 서로에 대해 축 방향으로 위치 설정되고, 상기 위치설정에 의존하여 상기 클램핑 몸체(3,3')의 적어도 한 개의 클램핑 표면(16a,16b,16a',16b') 및 커넥터 하우징(2)의 적어도 한 개의 내측 벽 섹션(20a,20b)사이에 서로 다른 간격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12. 제1항에 있어서, 일체 구조로 형성된 두 개의 하우징 부분(1a,1b,1a',1b',1a",1b")들로 형성된 보호 캡(1,1',1")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캡(1,1',1")은 몰딩된 리브(23)들을 가진 관통 개구부(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KR1020167029181A 2014-04-02 2015-04-01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KR102226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004832 2014-04-02
DE102014004832.2 2014-04-02
DE102014015715.6 2014-10-23
DE102014015715.6A DE102014015715A1 (de) 2014-04-02 2014-10-23 Mehrpoliges elektrisches Steckverbinderteil
PCT/EP2015/057248 WO2015150486A1 (de) 2014-04-02 2015-04-01 Mehrpoliges elektrisches steckverbindertei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8473A KR20160138473A (ko) 2016-12-05
KR102226417B1 true KR102226417B1 (ko) 2021-03-11

Family

ID=54146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9181A KR102226417B1 (ko) 2014-04-02 2015-04-01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9647371B2 (ko)
EP (1) EP3127194B1 (ko)
JP (1) JP6482575B2 (ko)
KR (1) KR102226417B1 (ko)
CN (1) CN106104937B (ko)
BR (1) BR112016021190B1 (ko)
DE (1) DE102014015715A1 (ko)
ES (1) ES2883355T3 (ko)
MX (1) MX361110B (ko)
WO (1) WO201515048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4008343A1 (de) * 2014-06-04 2015-12-17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s Gerät
GB2562282B (en) * 2017-05-11 2022-02-09 Jaguar Land Rover Ltd Retention device and method
JP6889840B2 (ja) * 2017-11-08 2021-06-18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コネクタ
JP6916995B2 (ja) * 2018-01-31 2021-08-11 住友電装株式会社 電線カバー及びコネクタ
DE102018203967A1 (de) 2018-03-15 2019-09-1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deanschlusselement eines Fahrzeugs
DE202022105928U1 (de) 2022-10-20 2024-01-29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Steckverbinder, Set und Steckverbinderteil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8316A2 (en) 1986-03-18 1987-09-23 Molex Incorporated Multiconductor connector and method for terminating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s
US20030199192A1 (en) 2002-04-22 2003-10-23 Panduit Corporation Modular cable termination plug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11037A (en) * 1944-01-06 1950-06-13 Bedoiseau Andre Auguste Felix Socket for electric lamps
US3397379A (en) * 1965-10-20 1968-08-13 Puig Juan Coma Lamp socket with insulation piercing contacts
US3550066A (en) * 1968-09-19 1970-12-22 Amp Inc Connector for multiple conductor cable
US4169648A (en) * 1978-06-01 1979-10-02 Amp Incorporated Strain relief and back cover for electrical connector
US4310211A (en) * 1979-12-26 1982-01-12 Amp Incorporated High current contact system for solar modules
DE8901953U1 (ko) * 1989-02-09 1989-05-24 Erich Jaeger Gmbh & Co Kg, 6380 Bad Homburg, De
JP2601493Y2 (ja) * 1993-05-21 1999-11-2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5588870A (en) * 1995-06-07 1996-12-31 Hubbell Incorporated Electrical cord clamp
DE19755530C2 (de) * 1997-06-18 2001-06-28 Harting Kgaa Einrichtung zur Zugentlastung elektrischer oder optischer Kabel
DE29802470U1 (de) 1998-02-13 1998-04-30 Stiebel Eltron Gmbh & Co Kg Zugentlastungsvorrichtung
US6238236B1 (en) 1998-09-28 2001-05-29 Lucent Technologies, Inc. Stress relief apparatus for an electrical conductor
DE10008932A1 (de) * 2000-02-25 2001-09-06 Leoni Bordnetz Sys Gmbh & Co Elektrischer Stecker
JP2004288545A (ja) 2003-03-24 2004-10-14 Yazaki Corp コネクタ用プロテクタ
JP4097589B2 (ja) * 2003-10-30 2008-06-1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ケーブル用コネクタ
DE102008055841A1 (de) 2008-11-04 2010-05-06 Kostal Kontakt Systeme Gmbh Elektrisches Steckverbinderteil
US7641503B1 (en) * 2008-12-15 2010-01-05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Cable strain reliever
EP2363924A1 (de) 2010-03-01 2011-09-07 Marlafin AG Vorrichtung zum Verbinden eines Kabels mit einem in einem Gehäuse angeordneten elektrischen Bauelement
US8968024B2 (en) 2012-01-24 2015-03-03 Panduit Corp. Communication connector with wire containment cap for improved cable retention
DE202013101929U1 (de) 2013-05-03 2013-06-06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Zugentlastungsgehäuse
DE102014104446A1 (de) * 2014-03-28 2015-10-01 Telegärtner Karl Gärtner GmbH Elektrischer Steckverbinder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238316A2 (en) 1986-03-18 1987-09-23 Molex Incorporated Multiconductor connector and method for terminating insulated electrical conductors
US20030199192A1 (en) 2002-04-22 2003-10-23 Panduit Corporation Modular cable termination plu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50486A1 (de) 2015-10-08
DE102014015715A1 (de) 2015-10-08
JP6482575B2 (ja) 2019-03-13
EP3127194A1 (de) 2017-02-08
KR20160138473A (ko) 2016-12-05
BR112016021190A2 (ko) 2017-08-15
US9647371B2 (en) 2017-05-09
EP3127194B1 (de) 2021-05-26
JP2017513197A (ja) 2017-05-25
MX2016012811A (es) 2017-04-27
CN106104937A (zh) 2016-11-09
CN106104937B (zh) 2019-06-28
US20160344130A1 (en) 2016-11-24
MX361110B (es) 2018-11-27
BR112016021190B1 (pt) 2022-04-26
ES2883355T3 (es) 2021-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6417B1 (ko) 다극구조의 전기 플러그 인 커넥터 부분
JP6961390B2 (ja) 2つの電気フラットコンタクトを接続する接続ケージ
KR20160098357A (ko) 플러그 타입 커넥터용 보유 프레임
US10530136B2 (en) Cable cover
JP6860835B2 (ja) コネクタ
US8747145B2 (en) Electrical connector
JP6752256B2 (ja) インナー付きグロメット
US9018527B2 (en) Cable protection and guide device
GB2518076A (en) Electrical-wire-protecting member
CN108631110B (zh) 电缆线束插头
JP2007087874A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10790599B2 (en) Connector
JP6084107B2 (ja) コネクタ
KR20200053739A (ko) 커넥터의 고정장치
JP4918410B2 (ja) プロテクタ付きコネクタ
US11228139B2 (en) Plug connector of an electrical plug connection and set comprising a plug connector and functional element
JP5833456B2 (ja) 電線用固定部材の係止構造
WO2011096590A1 (en) Waterproof connector
JP5030660B2 (ja) プロテクタ付きコネクタ
KR200453852Y1 (ko) 클램프 커버
CN109586099B (zh) 连接器罩和连接器组件
JP5914201B2 (ja) 電線用プロテクタ
JP2013176205A (ja) ワイヤーハーネス
JP5193790B2 (ja) 防水コネクタ
JP2019096455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