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42172B1 -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42172B1
KR101142172B1 KR1020100004806A KR20100004806A KR101142172B1 KR 101142172 B1 KR101142172 B1 KR 101142172B1 KR 1020100004806 A KR1020100004806 A KR 1020100004806A KR 20100004806 A KR20100004806 A KR 20100004806A KR 101142172 B1 KR101142172 B1 KR 1011421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bracket
socket
connecto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85173A (ko
Inventor
기길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100004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421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85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5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421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421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8Range selector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셔 스프링을 적용하여 압축 및 원복력으로 소켓 클립을 원터치로 작동하여 브라켓에 착탈함으로써, 차체 내의 좁은 공간에 설치된 브라켓에도 착탈력을 유지하면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Automobile cable connector}
본 발명은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와셔 스프링을 적용하여 압축 및 원복력으로 소켓 클립을 원터치로 작동하여 브라켓에 착탈함으로써, 차체 내의 좁은 공간에 설치된 브라켓에도 착탈력을 유지하면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에 고정된 브래킷의 키홈에 자동차 기어변속케이블의 취부소켓을 손쉽게 착탈하기 위한 구조로 취부소켓 몸체 고정홈의 상부면에 한쌍의 스프링관체를 형성하고 코일스프링의 탄력을 받게 키돌기가 있는 삽입봉을 스프링관체에 설치하고 그들 삽입봉 일측에 스라이드 손잡이부재를 고정하여 스라이드 손잡이부재의 전후진 작용으로 삽입봉 외측의 키돌기를 차체고정의 브래킷 키홈에 삽입 장착되고 또 이탈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구조는 코일스프링 삽입봉 및 손잡이부재의 부품수요가 더 소용되는 복잡한 구조로 취부소켓 착탈구성이 복잡하여 제작조립에 어려움이 있을뿐더러 고가의 생산품이 되고 또 취부 및 탈거작업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와셔 스프링을 적용하여 압축 및 원복력으로 소켓 클립을 원터치로 작동하여 브라켓에 착탈함으로써, 차체 내의 좁은 공간에 설치된 브라켓에도 착탈력을 유지하면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자동차의 케이블을 브라켓에 연결시키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내부를 관통시 내주연과 밀접하게 유지되도록 탄성씰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씰이 이탈되지 않도록 내주연이 다단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캡케이싱과;
상기 캡케이싱의 플레이트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걸림돌기에 결합되도록 일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케이블의 이동 및 흔들림에 따른 진동을 완충시키는 댐퍼와;
상기 캡케이싱의 연결부 일측을 통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끝단부가 구 형태로 형성되어 다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캡케이싱의 내부를 관통한 케이블이 내부에 관통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캡케이싱과 가이드부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도록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연결홈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걸림턱이 다수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걸림턱에 지지되도록 내주연에 걸림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몸체가 브라켓에 연결시 원터치로 상기 브레켓의 일단면에 결착되는 소켓클립과, 상기 소켓클립의 끝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클립을 일측으로 탄성력에 의해 이동시키는 와셔 스프링과, 상기 와셔 스프링을 지지하면서 몸체의 외주연 끝단부에 결합되는 소켓커버로 구성되는 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는 와셔 스프링을 적용하여 압축 및 원복력으로 소켓 클립을 원터치로 작동하여 브라켓에 착탈함으로써, 차체 내의 좁은 공간에 설치된 브라켓에도 착탈력을 유지하면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설치되는 연결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설치되는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케이블을 브라켓에 연결시키는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이 내부를 관통시 내주연과 밀접하게 유지되도록 탄성씰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씰이 이탈되지 않도록 내주연이 다단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연결부가 설치되고, 상기 연결부의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걸림돌기가 형성되는 캡케이싱과;
상기 캡케이싱의 플레이트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걸림돌기에 결합되도록 일측면에 결합홈이 형성되며,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케이블의 이동 및 흔들림에 따른 진동을 완충시키는 댐퍼와;
상기 캡케이싱의 연결부 일측을 통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끝단부가 구 형태로 형성되어 다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캡케이싱의 내부를 관통한 케이블이 내부에 관통되는 가이드부와;
상기 캡케이싱과 가이드부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에 연결되도록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연결홈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걸림턱이 다수개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걸림턱에 지지되도록 내주연에 걸림홈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몸체가 브라켓에 연결시 원터치로 상기 브레켓의 일단면에 결착되는 소켓클립과, 상기 소켓클립의 끝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클립을 일측으로 탄성력에 의해 이동시키는 와셔 스프링과, 상기 와셔 스프링을 지지하면서 몸체의 외주연 끝단부에 결합되는 소켓커버로 구성되는 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설치되는 연결구를 나타낸 개략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브라켓에 설치되는 연결구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100)는 우선, 자동차 내에 구비되는 케이블(1)이 정위치에 고정되도록 브라켓(2)이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2)에 케이블(1)이 착탈되도록 케이블(1)에 연결구(100)가 설치되며, 상기 연결구(100)는 캡케이싱(10)과, 가이드부(20)와, 댐퍼(30)와, 몸체(40)와, 소켓(50,60,70)으로 구성된다.
상기 캡케이싱(10)은 도 1과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1)의 외주연에 원하는 위치에 구비되도록 내부에 케이블(1)이 관통 삽입되고, 상기 캡케이싱(10)이 케이블(1)에 고정되도록 케이블(1)의 외주연과 캡케이싱(10)의 내주연 사이에 탄성씰(11)이 형성되어 상호 케이블(1)과 캡케이싱(10) 사이가 밀접하게 유지된다.
여기서, 상기 캡케이싱(10)의 내주연은 케이블(1)의 외주연과 캡케이싱(10)의 내주연 사이에 형성되는 탄성씰(11)이 캡케이싱(10)의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다단으로 형성되고, 상기 캡케이싱(10)의 일측 즉, 가이드부(20)와 상호 접촉되는 일단부에는 가이드부(20)가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12)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연결부(12)의 외주연에는 댐퍼(30)가 끼워지도록 원주방향으로 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면에는 걸림돌기(13)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부(2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케이싱(10)의 연결부(12) 일측(캡케이싱(10) 반대측)을 통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끝단부가 구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12)의 내주연도 가이드부(20)의 끝단부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20)는 연결부(12)를 중심으로 다방향 다각도(반경 60도 이내)로 회동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0)의 내부에는 캡케이싱(10)의 내부를 관통한 케이블(1)이 길이방향으로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20)의 끝단부 즉 연결부(12)의 반대측에는 다른 장치에 연결될 수 있도록 연결부재(21)가 더 설치된다.
상기 댐퍼(30)는 도 3과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케이싱(10)의 플레이트 양측면에 결합되는데, 상기 플레이트의 걸림돌기(13)에 결합되도록 상호 접촉되는 일측면에 결합홈(31)이 형성되고, 상기 댐퍼(30)는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케이블(1)의 이동 및 흔들림에 따른 진동을 완충시켜 연결구(100) 전체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댐퍼(30)의 외부면에는 케이블(1)의 진동시, 댐퍼(30)가 몸체(40)의 내주연에 직접 접촉되는데, 상기 댐퍼(30)와 몸체(40)의 내주연 사이에 공간(틈새)에 따른 이동으로 충격이 몸체(40)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엠보싱의 돌기(32)가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몸체(40)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캡케이싱(10)과 가이드부(20)의 일단부가 내부에 구비되는데, 상기 연결부(12)와 댐퍼(30)의 외주연에 몸체(40)가 구비되고,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몸체(40)의 양끝단부에 캡케이싱(10)과 가이드부(20)가 각각 돌출 형성되는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부(20)가 돌출 형성된 몸체(40)의 일측 내주연은 가이드부(20)가 다방향으로 회동되도록 내측에서 바깥쪽으로 넓어지게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20)가 돌출 형성된 몸체(40)의 일단부에는 다방향으로 회동되는 가이드부(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몸체(40)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탄성재질의 부트(43)가 더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40)의 외주연에는 브라켓(2)에 연결되도록 연결홈(41)이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소켓(50,60,70)의 소켓클립(50)이 연결되도록 걸림턱(42)이 다수개 형성된다.
상기 소켓(50,60,70)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4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브라켓(2)에 몸체가 연결시, 착탈될 수 있는 잠금장치역할로써, 소켓클립(50)과, 와셔 스프링(60)과 소켓커버(7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소켓클립(50)은 도 2와 도 6을 참고하여, 몸체(40)의 외주연에 형성된 걸림턱(42)에 지지되도록 내주연에 걸림홈(51)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51)의 길이에 맞춰 도면상 좌,우로 이동되어 몸체(40)가 브라켓(2)에 연결시 원터치로 상기 브라켓(2)의 일단면에 결착된다. 이때, 상기 소켓클립(50)의 일단면 즉, 브라켓(2)과 접촉되는 면에는 브라켓(2)의 결착돌기(4)가 걸리도록 결착홈(5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와셔 스프링(60)은 도 2를 참고하여, 원형 판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탄성력을 위해 뒤틀려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소켓클립(50)의 끝단면 즉, 소켓클립(50)과 소켓커버(7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소켓커버(70)에 지지되어 상기 소켓클립(50)을 탄성력에 의해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상기 소켓커버(7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고하여, 와셔 스프링(60)을 지지하면서 몸체(40)의 외주연 끝단부(캡케이싱(10)이 돌출 형성된 부위)에 결합되고, 상기 소켓커버(70)에 의해 와셔 스프링(60)도 지지하지만 몸체(40)와 캡케이싱(10) 사이를 밀폐하여 상기 몸체(40)의 내부에 이물질 등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여기서, 상기 소켓클립(50)이 결착되는 브라켓(2)을 도 4와 도 5를 참고로 간략히 설명하면, 상기 브라켓(2)은 차체 내에 케이블(1)이 구비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몸체(40)의 연결홈(41)이 삽입되도록 상측부에 장착홈(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40)의 연결시, 소켓클립(50)의 결착홈(52)이 결착되도록 일단면에 결착돌기(4)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2)은 차종과 연결구의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설계변경이 가능하다.
이렇듯, 상기 브라켓(2)에 케이블(1)을 연결시, 소켓(50,60,70)의 원터치 방식에 의해 손쉽게 착탈이 가능하다. 도 5를 참고로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와셔 스프링(60)을 적용하여 압축 및 원복력으로 미션 브라켓(2)의 장착홈(3)에 몸체(40)가 삽입되었다가 다시 뺄 때는 와셔 스프링(60)을 한번 더 압축시키면서 장착홈(3)에서 몸체(40)가 제거되고, 상기 몸체(40)가 장착홈(3)을 빠져나오면서 와셔 스프링(60)은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어 소켓클립(50)이 정위치에 구비되는 원터치 방식이다.
10 : 캡케이싱 11 : 탄성씰
12 : 연결부 13 : 걸림돌기
20 : 가이드부 21 : 연결부재
30 : 댐퍼 31 : 결합홈
32 : 돌기 40 : 몸체
41 : 연결홈 42 : 걸림턱
43 : 부트 50 : 소켓클립
51 : 걸림홈 52 : 결착홈
60 : 와셔 스프링 70 : 소켓커버
100 : 연결구

Claims (4)

  1. 자동차의 케이블을 브라켓에 연결시키는 연결구(100)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1)이 내부를 관통시 내주연과 밀접하게 유지되도록 탄성씰(11)이 형성되고, 상기 탄성씰(11)이 이탈되지 않도록 내주연이 다단으로 형성되는 캡케이싱(10)과;
    상기 켑케이싱의 일측에 설치되고,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플레이트가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걸림돌기(13)가 형성되는 연결부(12)와;
    상기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걸림돌기(13)에 결합되도록 일측면에 결합홈(31)이 형성되며, 타측면에 완충용 돌기(32)가 형성되고, 탄성부재로 형성되어 케이블(1)의 이동 및 흔들림에 따른 진동을 완충시키는 댐퍼(30)와;
    상기 연결부(12) 일측을 통해 억지끼움으로 결합되도록 끝단부가 구 형태로 형성되어 다방향으로 회동되고, 상기 캡케이싱(10)의 내부를 관통한 케이블(1)이 내부에 관통되는 가이드부(20)와;
    상기 캡케이싱(10)과 가이드부(20)가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2)에 연결되도록 외주연에 원주방향으로 연결홈(41)이 형성되며, 외주연에 걸림턱(42)이 다수개 형성되는 몸체(40)와;
    상기 몸체(40)의 외주연에 결합되어 걸림턱(42)에 지지되도록 내주연에 걸림홈(51)이 다수개 형성되고 상기 걸림홈(51)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몸체(40)가 브라켓(2)에 연결시 원터치로 상기 브라켓(2)의 일단면에 결착되는 소켓클립(50)과, 상기 소켓클립(50)의 끝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소켓클립(50)을 일측으로 탄성력에 의해 이동시키는 와셔 스프링(60)과, 상기 와셔 스프링(60)을 지지하면서 몸체(40)의 외주연 끝단부에 결합되는 소켓커버(70)로 구성되는 소켓;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2)은 차체 내에 케이블(1)이 구비되는 위치에 고정 설치되되, 상기 몸체(40)의 연결홈(41)이 삽입되도록 상측부에 장착홈(3)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40)의 연결시, 소켓클립(50)이 결착되도록 소켓클립(50)이 접촉되는 일단면에 결착돌기(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클립(50)의 일단면에는 브라켓(2)의 결착돌기(4)가 걸리도록 결착홈(5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20)가 돌출 형성된 몸체(40)의 일단부에는 다방향으로 회동되는 가이드부(20)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몸체(40)의 내부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부트(43)가 더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KR1020100004806A 2010-01-19 2010-01-19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KR1011421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806A KR101142172B1 (ko) 2010-01-19 2010-01-19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806A KR101142172B1 (ko) 2010-01-19 2010-01-19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173A KR20110085173A (ko) 2011-07-27
KR101142172B1 true KR101142172B1 (ko) 2012-05-07

Family

ID=449220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806A KR101142172B1 (ko) 2010-01-19 2010-01-19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421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2924B1 (ko) * 2013-11-15 2014-11-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케이블소켓
KR101643877B1 (ko) * 2014-12-15 2016-07-29 경창산업주식회사 케이블 고정 장치
KR101745240B1 (ko) 2016-01-07 2017-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러버댐퍼를 내장한 tgs 케이블 소켓 및 그 제조방법
KR101976447B1 (ko) * 2017-07-12 2019-05-10 경창산업주식회사 케이블 고정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704A (ko) * 1983-09-07 1985-05-15 리챠드 비. 에머리크 토오치용 회전 케이블 커플링
KR200226031Y1 (ko) 2000-12-20 2001-06-01 삼영케불주식회사 자동차 기어변속케이불의 취부소켓
JP2004278668A (ja) * 2003-03-14 2004-10-07 Nippon Cable Syst Inc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防振端末支持装置
KR200390813Y1 (ko) * 2005-04-25 2005-07-28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 기어변속케이블의 취부소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2704A (ko) * 1983-09-07 1985-05-15 리챠드 비. 에머리크 토오치용 회전 케이블 커플링
KR200226031Y1 (ko) 2000-12-20 2001-06-01 삼영케불주식회사 자동차 기어변속케이불의 취부소켓
JP2004278668A (ja) * 2003-03-14 2004-10-07 Nippon Cable Syst Inc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防振端末支持装置
KR200390813Y1 (ko) * 2005-04-25 2005-07-28 주식회사 인팩 자동차 기어변속케이블의 취부소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5173A (ko) 2011-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48729B2 (ja) 防振クランプ
JP4944104B2 (ja) 自動車用ケーブル/導管の保持器具
KR101142172B1 (ko) 자동차 케이블용 연결구
KR101326079B1 (ko) 파이프 연결장치
CN105397843A (zh) 线条体固定装置
KR20140000690A (ko) 라인용 부착 장치와 라인 부착 방법
JP2016070504A (ja) 長円形物体の振動遮断性取り付けのためのプラスチック製ホルダ
US20220102951A1 (en) Support clip for elongated components
CN109980403A (zh) 电插头连接器
JP2016001041A (ja) クランプ
KR20140009250A (ko) 차량용 윈드스크린 와이퍼 장치
JP4776521B2 (ja) コルゲートチューブを保持する保持具
KR101643877B1 (ko) 케이블 고정 장치
KR20200053739A (ko) 커넥터의 고정장치
JP6722162B2 (ja) 端末支持装置および端末支持装置を用いた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アッセンブリ
JP5703982B2 (ja) コネクタの取付構造
JP2012070569A (ja) ワイヤハーネス用のコルゲートクランプ
JP2014171275A (ja) プロテクタ
JP2017116016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支持装置
CN104271413B (zh) 玻璃刮拭装置
KR101585426B1 (ko) 변속기 케이블 체결구조
JP7324138B2 (ja) 長尺部材の保持具
CN210806228U (zh) 用于固定车辆前照灯线束连接器的连接器支架
KR200438036Y1 (ko) 자동차 하니스케이블용 그로멧
JP2011027247A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端末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