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33447A - 토션바 스프링 - Google Patents

토션바 스프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33447A
KR20180133447A KR1020187031784A KR20187031784A KR20180133447A KR 20180133447 A KR20180133447 A KR 20180133447A KR 1020187031784 A KR1020187031784 A KR 1020187031784A KR 20187031784 A KR20187031784 A KR 20187031784A KR 20180133447 A KR20180133447 A KR 201801334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ment part
torsion bar
bar spring
snap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7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바스티안 슐로터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133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34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1/00Means for preventing relative axial movement of a pin, spigot, shaft or the like and a member surrounding it; Stud-and-socket releasable fastenings
    • F16B21/06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 F16B21/07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 F16B21/071Releasable fastening devices with snap-action in which the socket has a resilient part the socket being integrally formed with a component to be fasted, e.g. a sheet, plate or stri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16B7/0413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for tubes using the innerside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 F16C11/0695Mounting of ball-joints, e.g. fixing them to a connecting ro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4Torsion springs consisting of bars or tubes
    • F16F1/16Attachments or moun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6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made of fibre-reinforced plastics, i.e. characterised by their special construction from such materi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42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 F16F1/4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characterised by the mode of stressing loaded mainly in tor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 B60G2204/4307Bracket or knuckle for torsiona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4Centering or positioning means
    • B60G2204/4404Retainers for holding a fixing element, e.g. bushing, nut, bolt etc., until it is tightly fixed in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1Fiber-reinforced plastics [FRP]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2Joi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90Maintenance
    • B60G2206/91Assembly proced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6/00Manufacturing; Treatments
    • F16F2226/04Assembly or fixing methods; methods to form or fashion parts
    • F16F2226/044Snapp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6/00Mode of stressing of basic spring or damper elements or devices incorporating such elements
    • F16F2236/08Tor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Springs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에 관한 것으로, 상기 토션바 스프링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토션 스프링을 형성하는 만곡된 본체(2); 및 상기 본체(2)를 진자 지지부 상에 연결하기 위해 본체의 단부 측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부착 부품(3);을 포함하며, 상기 토션바 스프링은 부착 부품(3)과 본체(2) 사이의 스냅 연결(4)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토션바 스프링
본 발명은 특허 청구항 제1항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torsion bar spring)에 관한 것이다.
토션바 스프링은 자동차 공학에서, 특히 섀시 구조에서 롤 스태빌라이저(roll stabilizer)로서의 용도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이는, 차량의 롤링 운동을 감소시키는 비틀림 방지 부품이다. DE 10 2010 049 565 A1호에 따른 종래 기술로부터,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토션 스프링을 형성하는 만곡된 본체를 가진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이 공지되어 있다. 본체 상에는 추가 기능 부품들 에 본체를 연결하기 위한 부착 부품들(add-on part)이 고정될 수 있는데, 이는 DE 10 2010 049 565 A1호에 더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연결 기술로서 언급되는 방법은 접착 및 사출 성형이다. 그 외에, 부착 부품들이 본체와 형상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점도 언급되며, 특히 리벳들의 삽입이 제안되고, 상기 리벳들을 통해 나사들 또는 축들이 안내된다. 금속 인서트들의 삽입도 언급되어 있다.
DE 10 2010 049 565 A1호로부터 이미 공지된 토션바 스프링의 경우, 본체는 관형으로 형성되며, 외부 형태와 관련해서는 전반적으로 관형 고강도 스프링 강으로 형성된 보편적인 토션바 스프링에 상응한다. 본체가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는 재료 선택을 기반으로, DE 10 2010 049 565 A1호로부터 이미 공지된 토션바 스프링은, 강재로 제조된 토션바 스프링에 비해 훨씬 더 작은 중량, 탄성과 관련한 높은 유연성, 그리고 부식에 대한 낮은 민감성을 갖는다.
가장 일반적으로, 롤 스태빌라이저의 경우, 각각 단부 측에서 본체와 진자 지지부(pendulum support) 간의 작동력의 전달을 위해 통상 실질적으로 U자형으로 만곡된 본체의 연결이 수행된다. 본체가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경우, 그에 상응하게 단부 측에서 본체 상에 배치되는 부착 부품들이 이용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진자 지지부 상에 본체의 연결을 위해 단부 측에서 본체 상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부착 부품이 동시에 확실하면서도 간단한 방식으로 본체와 연결될 수 있게 하는, 도입부에 기술한 유형의 토션바 스프링을 제시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항 제1항의 특징들에 따른 토션바 스프링을 통해 해결된다. 특허 청구항 제1항에 종속된 특허 청구항들은 상기 토션바 스프링의 또 다른 바람직한 구현예들과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토션 스프링을 형성하는 만곡된 본체; 및 상기 본체를 진자 지지부 상에 연결하기 위해 본체의 단부 측에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부착 부품;을 포함하는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이 제시되며, 상기 토션바 스프링은 부착 부품과 본체 사이의 스냅 연결부(snap connection)를 특징으로 한다.
그에 따라서, 우선, DE 10 2010 094 565 A1호로부터 이미 공지된 토션바 스프링의 경우, 본체 상에 부착 부품들을 조립하는 것이 비교적 복잡하다는 점이 확인되었는데, 그 이유는 접착 공정 또는 사출 성형 공정이 수행되어야 하거나 추가 부품(리벳, 금속 인서트 등)이 요구됨으로써, 취급이 어려워지고 결함 위험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라, 부착 부품과 본체 간 연결부의 간단하면서 확실한 형성을 위해 바람직하게 스냅 연결부가 이용될 수 있는 점이 확인되었다. (일측의 부착 부품과 타측의 본체인) 두 기능 부재는 스냅 연결부에 의해 간단하게 형상 결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냅 연결부의 구조에 따라서, 선택적으로 분리 가능한 또는 분리할 수 없는 연결부가 달성된다. 그에 따라, 분리 가능한 연결부의 경우, 심지어 토션바 스프링의 간단한 해체가 가능하다. 스냅 연결부는 기본적으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어느 경우든 두 기능 부재 중 적어도 일측(부착 부품 또는 본체)에, 두 기능 부재의 결합 공정 이후 타측 기능 부재 상에 분리 가능하거나 분리 불가능한 방식으로 걸려있는 탄성 변형 가능 부재가 제공된다. 걸려있는 상태에서는 부착 부품과 본체 사이에 형상 결합이 형성된다. 결합될 부품이 적음으로써 간단하고 확실한 조립 및 이에 수반되는 비용 절약이 스냅 연결부의 특별한 장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분리 가능한 스냅 연결부가 이용된다면, 토션바 스프링의 간단한 해채의 가능성도 존재한다. 스냅 연결부의 상응하는 구조에서, 조립은 (경우에 따라 해체도) 심지어 공구 없이도 수행될 수 있다.
목적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토션바 스프링의 본체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단부 영역을 가지며, 이들 단부 영역 상에서 진자 지지부 상에 본체의 연결을 위한 각각 하나의 부착 부품이 배치된다. 이 경우, 본체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통상 (특히 토션바 스프링을 롤 스태빌라이저로서 이용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U자형인 본체의 성형이 선호된다. 이런 경우에, 부착 부품들은 각각 단부 측에서 양측 U자 다리부의 각각에 배치된다.
본원의 토션바 스프링의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서, 부착 부품은 진자 지지부용 연결 영역 및 이로부터 돌출되는 본체용 연결 영역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서, 부착 부품은 본체와 진자 지지부 간의 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하며, 다시 말하면 상기 두 부재 간의 힘 전달을 위해 이용된다. 그에 상응하게, 부착 부품 상에 제공된 진자 지지부용 연결 영역은 적합한 연결 가능성을 가지며, 그럼으로써 진자 지지부는 부착 부품과 연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진자 지지부용 연결 영역은 예컨대 납작하게게 돌출된 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 부재에는 진자 지지부의 (포크형) 헤드와 관절식 연결을 위한 관통구가 형성된다. 진자 지지부용 연결 영역 및 본체용 연결 영역을 포함하는 부착 부품은 바람직하게 단일 부재형으로 형성되고,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플라스틱으로 형성하는 것이 선호되는데, 그 이유는 스냅 연결부의 마련을 위해 필요한 것과 같은 복잡한 성형도 충분한 강도에서 간단하게 달성될 수 있기 때문이다.
부착 부품과 본체 간 스냅 연결부의 형성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본체용 연결 영역이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 바람직하게는 2개의 고정 부재를 가진 수용부를 포함한다. 수용부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는데,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르면 수용부는 상기 수용부의 형태를 통해 사전 설정된 축방향으로 본체와 부착 부품이 결합되게 하는 성형부를 갖는다. 이는 바람직하게, 수용부가 중공부를 형성하고 이 중공부 내에 본체의 단부 영역이 (중공부의 형태를 통해 사전 설정된 결합 방향을 따라) 삽입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본체의 각각의 단부 영역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부착 부품 안쪽으로 돌출되며, 그에 따라 부분적으로 부착 부품 내에 삽입 고정된다. 달리 표현하면, 부착 부품은 조립된 상태에서 수용부에 의해 본체의 각각의 단부 영역 상에 끼워진다.
부착 부품과 본체가 서로 끼워진 상태가 해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본체용 연결 영역은 상이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 바람직하게는 2개의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한다.
한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라서, 고정 부재는 연결 영역에 할당된 스냅 설부(snap tongue)의 형태로 형성되며, 이 스냅 설부는, 본체로부터 부착 부품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스냅 연결부를 형성하도록 본체 상에 형성된 홈부 내로 맞물린다. 목적에 부합한 방식으로, 스냅 설부는 탄성 변형될 수 있으며, 그럼으로써 상기 스냅 설부는 결합 공정 중에, 결합 공정의 최종 상태에 도달 시 역변형("스냅-인")을 통해 부착 부품과 본체 간의 형상 결합식 연결부를 형성하기 위해 변형된다. 이는 바람직하게, 스냅 설부가 본체 상에 형성된 홈부에 걸리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스냅 설부의 구조 및 특히 스냅 설부의 외부 접근성에 따라서, 형성된 스냅 연결(형상 결합)을 다시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럼으로써 분리 가능한 연결부가 제공될 수도 있다.
부착 부품의 연결 영역 상에는, 매우 바람직하게 2개의 고정 부재가 스냅 설부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스냅 설부들은 예컨대 주연에서 서로 대향하는 부착 부품의 측들에 배치될 수 있다.
본체용 연결 영역이 일측에 수용부를 포함하고 타측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를 포함함으로써, 계속해서 바람직한 방식으로 기능 분리가 제공된다. 그에 따라서, 수용부는 주로 본체와 부착 부품 간의 힘 전달을 위해 이용된다. 그에 반해 고정 부재에는 실질적으로, 결합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본체로부터 부착 부품의 연결 해제를 방지하는 기능이 할당된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결합 방향이, 부착 부품 상에 힌지 연결될 수 있는 진자 지지부를 통해 주요 힘 전달 방향에 대해 대략 수직을 이루며, 그럼으로써 고정 부재를 통해 야기될 파지력(holding force)은 비교적 작아지고 그에 따라 스냅 연결부의 안전성은 가급적 덜 저하된다.
부착 부품의 사용 목적에 상응하는, 본체에 대한 상대적 배향의 보장을 위해, 바람직하게는 부착 부품 쪽을 향하는 본체의 단부 영역에 수용부와 상호작용하는 회전 방지부가 할당된다. 이런 방식으로, 본체의 횡단면 형태가 실질적으로 원형인 경우에도 단부 측에서 본체 상에 끼워진 부착 부품의 회전이 방지되는 점이 보장될 수 있다. 회전 방지부는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체의 단부 영역에서 적어도 국소적으로, 예컨대 주연 영역에 제공된 편평부를 통해 원형 횡단면과는 상이한 횡단면 형태가 존재할 수도 있다. 이와 형태가 일치하는 수용부의 구조를 통해, 끼워진 상태에서 본체의 단부 영역에 대한 부착 부품의 상대 회전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부착 부품과 본체 사이에서 전달 가능한 힘의 증대를 위해, 본원의 토션바 스프링의 한 바람직한 개선예에 따라서, 본체용 연결 영역에 제공된 수용부는 본체의 단부 영역을 일부 영역에서 에워싸는 링 섹션을 포함하며, 이 링 섹션은 웨브 영역을 통해 진자 지지부용 연결 영역과 연결된다. 그럼으로써, 에워싸는 링 섹션은 웨브 영역을 통해 진자 지지부용 연결 영역으로부터 분명히 이격되어 있으며, 그에 따라 본체와 부착 부품 사이에서 발생하는 횡력은 유리하게 수용부를 경유하여 부착 부품 내로 전달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웨브 영역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부착 부품의 주연에 걸쳐 바람직하게 균일하게 분포 배치된 복수 개, 특히 2개의 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웨브들은 바람직하게, 주로 부착 부품에 작용하는 힘의 상당 부분이 상기 웨브들을 통해 전달될 수 있도록 배치된다.
주연 방향과 관련하여 2개의 웨브 사이에 각각 하나의 스냅 설부가 배치됨으로써, 구조적인 관점에서 유리한 형상이 달성된다. 2개의 웨브 및 2개의 스냅 설부가 제공되는 경우, 그에 따라 2개의 웨브와 2개의 스냅 설부가 각각 직경 방향으로 반대편에 위치한다.
본 발명은, 하기에서 일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되며, 상기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효과들도 도출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토션바 스프링의 본체의 단부 영역 및 이 단부 영역 상에 끼워질 수 있는 부착 부품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토션바 스프링의 일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끼워진 상태에 있는 부착 부품과 함께 도 1에 도시된 토션바 스프링의 단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b는 부착 부품의 조립 전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토션바 스프링의 단부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1)이 도시되어 있다. 이는, 차량의 롤링 운동의 감소를 위해 차량의 섀시 상에서 이용될 수 있는 비틀림 방지 스프링이다. 토션바 스프링(1)은, 대략 U자 형태로 만곡되고 토션 스프링을 형성하는 본체(2); 및 본체의 단부 측에 배치되어 상기 본체(2)를 각각 하나의 (미도시한) 진자 지지부에 연결하기 위해 이용되는 2개의 부착 부품(3);을 주요 구성요소로서 포함한다. 본체(2)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 섬유 재로서는 예컨대 열경화성 플라스틱 또는 열가소성 플라스틱 매트릭스 내에 매립된 연속 유리 섬유 또는 연속 탄소 섬유가 이용된다. 이 경우, 본체(2)는 중공으로(관형으로) 형성되거나, 중실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주응력(principal stress) 또는 필요한 강성에 상응하게, 적합한 층 구조가 고려될 수 있다. 본체(2)를 중실체로서 구현할 경우, 외부 층들 내에 임의의 섬유 배향을 갖는 단방향성 코어를 고려할 수 있으며, 본체(2)가 중공인 경우에는 단방향성 코어가 없는 구성도 고려할 수 있다.
본체(2)는 자신의 기능(차량의 롤링 운동의 감소)의 충족을 위해 토션 스프링을 형성하며, 이때 토션 토크의 유도는, 본체(2)의 만곡된, 특히 U자형인 구조를 통해 서로 대향하는 U자형 레그들의 단부 영역들(5a, 5b)에서 수행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본체(2)의 단부 영역들(5a, 5b) 각각에 (미도시한) 진자 지지부 상에 본체(2)를 연결하기 위해 이용되는 부착 부품(3)이 배치된다. 그에 따라, 부착 부품(3)은 각각 본체(2)와 진자 지지부 간의 힘 전달을 위한 인터페이스로서 이용된다.
도 1에 도시된 토션바 스프링(1)은, 하기에서 우선 도 2를 참조하여 기술되는, 부착 부품(3)과 본체(2) 사이의 스냅 연결부(4)를 특징으로 한다.
작동 하중을 충족하면서도 간단하고 확실하게 조립되는 연결부의 제공을 위해, 부착 부품(3)은 플라스틱으로 단일 부재형으로 제조된 부품이다. 상기 부착 부품은, 진자 지지부용 연결 영역(6)과 이로부터 돌출되는 본체(2)용 연결 영역(7)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부착 부품(3)은, 실질적으로, 도 2의 도면에 따라서 축방향(11)으로 연장되는 2개의 연결 영역으로 나뉜다. 진자 지지부용 연결 영역(6)은 실질적으로 관통구(15)를 가진 아일릿(eyelet)으로 형성된 납작한 부재로 형성된다. 관통구(15)에 진자 지지부가 관절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체(2)용 연결 영역(7)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외부 성형부를 갖는다. 부착 부품(3)상의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리세스가 수용부(8)를 형성한다. 수용부(8) 내로는, 부착 부품(3) 쪽을 향하는 본체(2)의 단부 영역(5a)이 상기 수용부에 의해 수용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본체(2)의 단부 영역(5a)은 실질적으로 원통형 외형을 갖는다. 이와 달리, 단부 영역(5a)의 최외 단부 상에는 편평부 형태의 회전 방지부(10)가 제공된다. 동일한 유형의 편평부가, 단부 영역(5a)의 직경 반대편 측에도 형성된다(도 2에서는 가려져 있음).
또한, 본체(2)의 단부 영역(5a) 상에는, 주연의 일부분에 걸쳐서 연장되고 회전 방지부(10)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된 홈(12)가 형성된다. 동일한 유형의 홈(12)가, 본체(2)의 단부 영역(5a)의 직경 반대편 측에도 형성된다(도 2 에서는 마찬가지로 가려져 있음).
도 2에는, 나머지 도면들(도 3, 도 4a, 도 4b)에서도 마찬가지로, 본체(2) 상에 부착 부품(3)의 조립을 위한 결합 방향을 지시하는 축방향(11)이 화살표로 명시되어 있으며, 이 축방향은 작동 원리의 또 다른 설명 시 기준 방향으로서 이용된다.
도 3, 도 4a, 도 4b에는, 이미 도 2에 도시된 스냅 연결부(4)의 작동 원리가 또 다른 양태들에서 도시되어 있다. 동일한 토션바 스프링(1)의 양태(도 1 참조)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동일한 도면부호들은 동일한 부품들 또는 동일한 상황들과 관련되며, 그에 따라 반복 설명의 회피를 위해 기존의 설명을 참조한다.
도 3에는, 토션바 스프링(1)이 단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는, 부착 부품(3)의 연결 영역(7)이 스냅 설부 형태의 고정 부재(9)를 포함하는 점이 확인된다. 스냅 설부는 본체(2)를 향해 축방향(11)으로 연결 영역(6)으로부터 돌출된다. 스냅 설부(9)는, 도 4a 및 도 4b에서 더 잘 확인되는 것처럼, 자신의 축방향 단부 상에 후크형 돌기를 가지며, 어느 정도 탄성 변형될 수 있다. 스냅 설부(9)는, 하기에서 훨씬 더 상세하게 기술되는 것처럼, 스냅 설부(9)가 본체(2)와 함께 형상 결합부를 형성함으로써, 스냅 연결부(4)의 형성을 위해 이용된다. 또한, 도 3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수용부(8)는 본체(2)의 단부 영역(5a)을 일부 영역에서 에워싸는 링 섹션(13)을 포함한다. 링 섹션(13)은 스냅 설부(9)로부터 축방향으로 이격되고, 그럼으로써 본체(2) 쪽을 향하는 부착 부품(3)의 가장자리 영역을 형성한다. 링 섹션(13)은 웨브 영역(14)을 통해 진자 지지부용 연결 영역(6)과 연결된다.
도 3에서 확인되는 것처럼, 웨브 영역(14)은 도시된 실시예에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웨브를 포함하며, 이들 웨브는 각각 링 섹션(13)과, 부착 부품(3)의 연결 영역(6) 간의 연결부를 형성한다. 두 웨브는 부착 부품(3)의 직경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놓인 영역들에 배치된다. 부착 부품(3)의 연결 영역(6)에, 축방향(11)에 대해 수직으로 진자 지지부를 통해 유도되는 힘이 작용한다면, 상기 힘은 인장력 또는 압축력으로서 웨브들을 통해 링 섹션(13) 상으로 전달될 수 있다. 그러나 발생하는 작동력이 스냅 설부(9)를 통해 형성되는 스냅 연결부(4)의 내구성을 실제로 저하시키지는 않는다.
도 4a 및 도 4b에는, 상이한 결합 상태들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4a에는 스냅 연결부(4)가 형성된 때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는 한편, 도 4b에는 결합 공정 이전의 초기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에 비해 90도만큼 회전된 도 4a 및 도 4b의 도면에서는, 부착 부품(3) 상에 2개의 스냅 설부(9)가 형성되어 있음이 확인되며, 도 3과 함께 볼 때 부착 부품(3) 상에는 주연 방향과 관련하여 각각 2개의 웨브 사이에 하나의 스냅 설부(9)가 배치되어 있는 점이 확인된다.
스냅 연결부의 형성을 위해 실행되는 결합 공정을 하기에 간단히 기술한다.
도 4b의 도면에 따라, 부착 부품은 본체(2)에 상대적으로, 우선 (결합 공정 전에), 자신의 연결 영역(7)이 단부 영역들 중 하나[여기서는 단부 영역(5a)]를 향해 있으면서 이 단부 영역과 함께 가상의 공통 결합축[축방향(11)] 상에 위치하도록, 포지셔닝되고 정렬된다. 이제, 연결부의 형성을 위해, 부착 부품(3)은 축방향(11)으로 단부 영역(5a) 상에 끼워진다. 이때, 단부 영역(5a)이 부착 부품(3) 상의 수용부(8) 내로 밀고 들어가며, 단부 영역(5a) 상에 형성된 회전 방지부(10)가 수용부(8) 내에서 안내됨에 따라, 수용부(8)의 내부에서 상기 안내의 시작과 함께 종축[축방향(11)]을 중심으로 본체(2)에 대한 부착 부품(3)의 상대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 방지가 구현된다.
도 4a에서처럼 도시된 최종 위치에 도달 시, 서로 맞은편에 놓인 스냅 설부들(9)이 결합 공정 중에 그 단부측 사면부들과 단부 영역(5a)의 접촉을 통해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된 후에, 단부 영역(5a)에 형성된 홈들(12)에 맞물린다. 맞물린 상태에서 스냅 설부들(9)은 바브(barb)처럼 작용하며, 홈들(12)에 맞물림으로써 본체(2)로부터 축방향(11)의 반대 방향으로 부착 부품(3)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런 방식으로 부착 부품(3)과 본체(2) 사이에 형성된 형상 결합식 연결부는 작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힘을 전달하기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간단하면서도 확실하게 조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간단한 연결 해제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 오직 홈들(12)의 맞물림 영역으로부터 다시 스냅 설부들(9)을 빼내기만 하면 된다.
1: 토션바 스프링
2: 본체
3: 부착 부품
4: 스냅 연결부
5a: 단부 영역
5b: 단부 영역
6: 진자 지지부용 연결 영역
7: 본체용 연결 영역
8: 수용부
9: 스냅 설부
10: 회전 방지부
11: 축방향
12: 홈
13: 링 섹션
14: 웨브 영역
15: 관통구

Claims (11)

  1.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져 토션 스프링을 형성하는 만곡된 본체(2); 및 상기 본체(2)를 진자 지지부 상에 연결하기 위해 본체의 단부 측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부착 부품(3);을 포함하는,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1)에 있어서,
    부착 부품(3)과 본체(2) 사이의 스냅 연결(4)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2)는 서로 대향하는 2개의 단부 영역(5a, 5b)을 가지며, 상기 단부 영역들 상에는 진자 지지부 상에 상기 본체(2)를 연결하기 위한 각각 하나의 부착 부품(3)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 부품(3)은 진자 지지부용 연결 영역(6) 및 이로부터 돌출되는 본체(2)용 연결 영역(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
  4. 제3항에 있어서, 본체(2)용 연결 영역(7)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부재(9), 바람직하게는 2개의 고정 부재(9)를 가진 수용부(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8)는 부착 부품(3) 상에 형성된 리세스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리세스는 부착 부품(3) 쪽을 향하는 본체(2)의 단부 영역(5a, 5b)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본체(2)와 부착 부품(3)은, 수용부(8)의 형태에 의해 사전 설정된 축방향(11)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
  7. 제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부착 부품(3) 쪽을 향하는 본체(2)의 단부 영역(5a, 5b)에, 수용부(8)와 상호작용하는 회전 방지부(10)가 할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
  8. 제4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부재(9)는 연결 영역(7)에 할당된 스냅 설부(9)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스냅 설부는, 본체(2)로부터 부착 부품(3)의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스냅 연결부(4)를 형성하도록 본체(2) 상에 형성된 홈부(12)에 맞물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
  9. 제4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용부(8)는 본체(2)의 단부 영역(5a, 5b)을 일부 영역에서 에워싸는 링 섹션(13)을 포함하며, 상기 링 섹션은 웨브 영역(14)을 통해 진자 지지부용 연결 영역(6)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
  10. 제9항에 있어서, 웨브 영역(14)은, 축방향으로 연장되면서 부착 부품(3)의 주연에 걸쳐서 바람직하게 균일하게 분포 배치된 복수 개, 특히 2개의 웨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
  11. 제10항에 있어서, 주연 방향과 관련하여 2개의 웨브 사이에 각각 하나의 스냅 설부(9)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토션바 스프링.
KR1020187031784A 2016-04-08 2017-03-06 토션바 스프링 KR201801334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5916.5A DE102016205916A1 (de) 2016-04-08 2016-04-08 Drehstabfeder
DE102016205916.5 2016-04-08
PCT/EP2017/055112 WO2017174270A1 (de) 2016-04-08 2017-03-06 Drehstabfe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3447A true KR20180133447A (ko) 2018-12-14

Family

ID=582316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784A KR20180133447A (ko) 2016-04-08 2017-03-06 토션바 스프링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439902B1 (ko)
JP (1) JP6880064B2 (ko)
KR (1) KR20180133447A (ko)
CN (1) CN108883685B (ko)
DE (1) DE102016205916A1 (ko)
WO (1) WO201717427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210416A1 (de) * 2017-06-21 2018-12-27 Zf Friedrichshafen Ag Stabilisator für ein Fahrwerk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Stabilisators
DE102018200578A1 (de) * 2018-01-15 2019-07-18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Strebeneinrichtung und eine solche Strebeneinrichtung
DE102019206726B3 (de) * 2019-05-09 2020-06-18 Zf Friedrichshafen Ag Stabilisator für ein Fahrwerk eines Fahrzeugs, Pendelstütze für einen solchen Stabilisato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Stabilisators bzw. einer solchen Pendelstütze
FR3127160B1 (fr) * 2021-09-23 2023-09-29 Sogefi Suspensions Embout pour barre stabilisatrice de véhicul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2429A1 (de) * 1977-10-08 1980-05-22 Hahn Fahrzeugbau Gmbh Radfederung bei einem kraftfahrzeuganhaenger mit stabilisator
DE10228370A1 (de) * 2002-06-25 2004-01-22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Pendelstütze aus einem Strangpressprofil
DE10231013A1 (de) * 2002-07-09 2004-02-05 ZF Lemförder Metallwaren AG Stabilisator für Kraftfahrzeuge
DE102004042964A1 (de) * 2004-09-02 2006-03-23 Zf Friedrichshafen Ag Pendelstütze aus einem Strangpressprofil
DE202007017248U1 (de) * 2007-12-10 2009-04-16 Ramsauer, Dieter Adapter zur Anlenkung einer Stange wie Verriegelungsstange eines Stangenverschlusses an einen Hebel wie Betätigungshebel des Stangenverschlusses
CN201694023U (zh) * 2010-05-25 2011-01-05 中国重汽集团济南动力有限公司 一种空心横向稳定杆装置
DE102010049565A1 (de) 2010-10-25 2012-04-26 Daimler Ag Drehstabfeder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0053733A1 (de) * 2010-10-25 2012-04-26 Daimler Ag Lasteinleitelement
DE102011085029A1 (de) * 2011-10-21 2013-04-25 Luhn & Pulvermacher - Dittmann & Neuhaus GmbH Stabilisator in Faserkunststoffverbund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DE102014219605B4 (de) * 2014-09-26 2021-10-07 Volkswagen Ag Stirnverschraubte Anbindung eines Stabilisators an einer Mehrlenkerachse
CN205112916U (zh) * 2015-11-06 2016-03-30 北汽福田汽车股份有限公司 长度可调的稳定杆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83685A (zh) 2018-11-23
JP2019510682A (ja) 2019-04-18
DE102016205916A1 (de) 2017-10-12
JP6880064B2 (ja) 2021-06-02
EP3439902A1 (de) 2019-02-13
CN108883685B (zh) 2021-07-27
EP3439902B1 (de) 2020-06-03
WO2017174270A1 (de) 2017-10-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33447A (ko) 토션바 스프링
KR101363089B1 (ko) 차량의 섀시에 배치된 부품들의 관절형 연결을 위한 연결부
US9243655B2 (en) Elastic attachment assembly and method of reducing positional variation and increasing stiffness
US5799930A (en) Body mount assembly
EP2690309B1 (en) Torque rod
US20140041185A1 (en) Elastic tube alignment and attachment system and method for precisely locating and attaching components
EP1291534A1 (en) Releasable clip
EP3312055B1 (en) Vehicle attachment component
JP6408851B2 (ja) ボールジョイント
US10131291B2 (en) Assembly-type vehicle component
US20060175832A1 (en) Coupler
US10981441B2 (en) Torque rod
WO2012124734A1 (ja) 車両用連結アーム
US8397599B2 (en) Shift pad for a shift element in a gear shift device, and shift element comprising such a shift pad
US6152642A (en) Connection between two components
US20190368535A1 (en) Ball-socket grommet
JP2019510682A5 (ko)
US20200376917A1 (en) Bracket for vehicle stabilizer, vehicle stabiliz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vehicle stabilizer
WO2018037798A1 (ja) トルクロッド
US20080187395A1 (en) Fastening element, in particular for connecting two parts in a chassis
CN102574482A (zh) 带有u形挂钩的汽车
CN110799406B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轴及其制造方法
JP5272413B2 (ja) センサケーブル
JP2008068748A (ja) アシストグリップ
EP1867884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vehicle steer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