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07070U -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 Google Patents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007070U KR20120007070U KR2020110002852U KR20110002852U KR20120007070U KR 20120007070 U KR20120007070 U KR 20120007070U KR 2020110002852 U KR2020110002852 U KR 2020110002852U KR 20110002852 U KR20110002852 U KR 20110002852U KR 20120007070 U KR20120007070 U KR 20120007070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ocket
- cable
- outer diameter
- bush
- socket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은, 자동차 부품들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한 쌍의 케이블(제1케이블, 제2케이블)을 한 쌍의 인너(제1인너, 제2인너)를 이용하여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제1인너와 제2인너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결속 및 폐쇄시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인너의 제1인너와 마주하는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부시;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인너의 제1인너와 마주하는 단부는, 상기 부시의 수용공간에 그 부시를 변형시키면서 삽입되되, 그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선단측이 최소외경, 선단측에서 외경이 일정한 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커지는 제1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품 간의 조립 및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으며, 간소한 구성에 의해서도 부품 간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구조가 개선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은, 변속레버와 변속기와 같은 자동차 부품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것이다.
이러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의 일례가 도 1에 잘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 도시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은, 미국특허 제5664462호에 개시된 것으로, 한 쌍의 케이블을 서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제1소켓부재(18)와 제2소켓부재(24)와 연결클램프(50)와 스토퍼(68)를 구비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은, 상기 제1소켓부재(18)의 내부에 상기 제2소켓부재(24)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클램프(50)의 결합부(56)가 상기 제2소켓부재(24)의 톱니부(58)에 맞물리도록 상기 연결클램프(50)가 상기 제1소켓부재(18)에 결합되고, 상기 스토퍼(68)가 상기 제1소켓부재(18)의 슬릿(66)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2소켓부재(24)의 제1소켓부재(18)에 대한 위치이탈이 방지되게 한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은, 상기 제1소켓부재(18)와 제2소켓부재(24) 간의 결합을 위해 상기 연결클램프(50)와 스토퍼(68)가 구비되어야 하고, 상기 연결클램프(50)와 상기 제1소켓부재(18) 간의 결합을 위하여 그 연결클램프(50)에 걸림리브(50c)와 홈(G)을 가지는 한 쌍의 삽입리브(50a)(50b)가 형성되고 제1소켓부재(18)에 삽입플랜지(54a)와 걸림턱(54b)이 형성되어야만 하기 때문에, 구성의 간소화를 이룰 수 없고 제품 성형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을 초래하였다.
그리고, 종래기술에 의하면, 장시간 사용에 의해 상기 연결클램프(50)의 한 쌍의 삽입리브(50a)(50b)가 상기 제1소켓부재(18)의 외경방향 측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됨으로써, 상기 연결클램프(50)가 상기 제1소켓부재(18)로부터 탈거되어 한 쌍의 케이블의 연결상태가 해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에 의하면, 상기 제1소켓부재(18)와 제2소켓부재(24) 간의 결합이 이루어진 후 분리가 요구되는 경우에, 분리도구를 이용하여 상기 연결클램프(50)를 상기 제1소켓부재(18)로부터 분리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분리작업의 효율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분리시 상기 연결클팸프(50)의 손상 또는 파손을 초래하는 단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부품 간의 결합 및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성이 간소한 부품을 이용하여 부품 간 결합시킴으로써 제품 성형이 용이함은 물론 부품 간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은, 자동차 부품들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한 쌍의 케이블(제1케이블, 제2케이블)을 한 쌍의 인너(제1인너, 제2인너)를 이용하여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제1인너와 제2인너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결속 및 폐쇄시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인너의 제1인너와 마주하는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부시;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인너의 제1인너와 마주하는 단부는, 상기 부시의 수용공간에 그 부시를 변형시키면서 삽입되되, 그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선단측이 최소외경, 선단측에서 외경이 일정한 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커지는 제1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인너는, 상기 제1테이터부와 외경이 일정한 부분 사이에, 제1테이퍼부의 최대외경 측에서 외경이 일정한 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작아지는 제2테이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시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인너의 제1테이퍼부의 최대외경측에 걸리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부시는, 탄성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분할슬릿을 구비하고, 그 분할슬릿과 함께 방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터짐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은, 부시의 수용공간에 결합되는 제2인너의 결합부위의 외경이, 선단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구성(제1테이퍼부)됨으로써, 부시와 제2인너 간의 결합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제품의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과, 한 쌍의 케이블들을 연결시키기 위한 부품들이 동축선 상에서 이동하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각 부품이 성형되고 배열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간소한 구성을 가지는 부품 간의 결합에 의해 한 쌍의 케이블들의 연결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간소한 부품에 의해서도 부품 간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그리고, 부시에 결합되는 제2인너의 결합부위의 외경이 상기 제1테이퍼부의 최대외경 측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작아지도록 구성되는 실시예에 의하면, 부시와 제2인너 가의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도출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소켓부재들의 연결을 위한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의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소켓부재들의 연결을 위한 동작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의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고안 일실시예의 일요부를 보인 단면도이며, 도 6은 본 고안 일실시예의 단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소켓부재들의 연결을 위한 동작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은, 자동차 부품들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한 쌍의 케이블(제1케이블(151), 제2케이블(152))을 한 쌍의 인너(제1인너, 제2인너)를 이용하여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과 부시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하여, 본 고안의 일요부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하우징(170)은, 도 5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방진부재(190)와 함께 결속 및 폐쇄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상기 제1인너(201)는, 자동차 동력전달을 위한 한 쌍의 케이블(151)(152)들 중 제1케이블(151)이 결합되고, 상기 제2인너(202)는, 상기 제1케이블(151)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제2케이블(152)이 결합되고, 상기 제1인너(201)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의 마주하는 단부 사이에 방진부재(190)가 배치된다. 즉,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는 상기 방진부재(190)를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측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부시(180)는, 도 4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인너(202)의 제1인너(201)와 마주하는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182)을 가지며, 탄성변형이 가능하도록 분할슬릿(181)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분할슬릿(181)과 함께 방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터짐부(183)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분할슬릿(181)에 복수의 터짐부(183)가 부가된 부시는, 분할슬릿(181)이 전체적인 변형을 초래하는 것에 더하여 그 터짐부(183)들에 의해 구획된 부분들이 구획별로 변형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제2인너(202)와의 결속작업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상기 부시(180)의 수용공간(182)에 삽입되는 제2인너(202)는, 그 부시(180)와의 결합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1테이퍼부(202a)를 구비한다. 상기 제1테이퍼부(202a)는, 선단측이 최소외경, 선단측에서 외경이 일정한 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커지는 부분으로, 상기 부시(180)의 수용공간(182)에 제2인너(202)의 원활한 삽입을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은, 부시(180)의 수용공간(182)에 결합되는 제2인너(202)의 결합부위의 외경이, 선단측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점점 커지도록 구성됨으로써, 부시(180)와 제2인너(202) 간의 결합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됨에 따라 제품의 양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가 동축 상에서 마주하게 배치되고, 상기 부시(180)와 제2인너(202)가 서로 동축상에서 이동하면서 서로 결합될 수 있도록 성형됨으로써, 상대적으로 간소한 구성을 가지는 부품 간의 결합에 의해 한 쌍의 케이블(151)(152)들의 연결작업이 이루어지게 됨에 따라, 간소한 부품에 의해서도 부품 간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도출된다.
상기 제2인너(202)에는 상기 제1테이퍼부(202a)와 함께 제2테이퍼부(202b)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테이퍼부(202b)는, 상기 제1테이터부(202a)와 외경이 일정한 부분 사이에 마련되고, 제1테이퍼부(202a)의 최대외경 측에서 외경이 일정한 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작아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2테이퍼부(202b)는 상기 제2인너(202)와 부시(180) 간의 분리작업의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게 한다.
이상, 본 고안의 일요부에 대한 구성을 도 4 내지 도 6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채용되는 다른 구성에 대해 도 2, 도 3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인너(201)와 제2인너(202)의 결합부위를 폐쇄시키는 하우징(170)을 감싸는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소켓부재(110)는, 상기 한 쌍의 케이블(151)(152)들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케이블(151)이 이동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소켓부재(110)는 상기 제1케이블(151)의 연장방향(또는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고, 아래에서 설명될 제2소켓부재(120)의 치합부(121a)에 결합되는 톱니부(111)를 구비한다. 즉,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위치고정은, 상기 제1소켓부재(110)의 톱니부(1111)와 제2소켓부재(120)의 치합부(121a) 간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제1소켓부재(110)는 상기 제2소켓부재(120)와의 결합을 위해 외주면에 톱니부(111)가 형성되도록 성형됨으로써, 그 제1소켓부재(110)의 중심축선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인 형상을 이루게 된다. 결국, 본 고안에 채용되는 제1소켓부재(110)는 구성이 간소하고 제품성형을 위한 금형제작의 용이함에 의해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한다.
상기 제2소켓부재(120)는, 상기 제1소켓부재(110)를 감싸는 형태로 배치되고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레그(121)를 가진다. 상기 탄성레그(121)는 상기 톱니부(1111)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톱니부(1111)에 치합되는 치합부(121a)를 가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결합 및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스프링(140)과 위치고정부재(130)가 채용되었다.
상기 스프링(140)은,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치합부(121a)의 탄성변형을 선택적으로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치합부(121a)가 도 3 및 도 6과 같이 상기 스프링(140)에 의해 눌려지게 됨으로써,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게 되고, 상기 치합부(121a)가 도 7과 같이 스프링(140)에 의한 가압이 해제됨으로써, 상기 제2소켓부재(120)가 제1소켓부재(11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30)는, 상기 스프링(140)을 도 6과 같은 상태에서 도 7과 같이 후퇴시킬 수 있는 가압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제2소켓부재(120)와 스프링(140) 사이에 배치된다.
이러한 위치고정부재(130)는, 상기 스프링(140)을 가압하여 도 7과 같이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치합부(121a)와 제1소켓부재(110)의 톱니부(111)의 치합상태가 해제되게 하고, 상기 스프링(140)이 도 6과 같이 원래의 위치로 복원된 상태에서는 상기 치합부(121a)와 톱니부(111)가 서로 치합되게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톱니부(111)와 치합부(121a)가 서로 치합된 상태에서 상기 위치고정부재(130)가 스프링(140)에 의한 가압력에 의해 탈거되지 않고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121b)와 걸림턱(13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스토퍼(121b)는 제2소켓부재(120)에 구비되고, 상기 걸림턱(131)은 위치고정부재(130)에 구비된다. 상기 위치고정부재(130)의 걸림턱(131)이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스토퍼(121b)에 걸림으로써, 위치고정부재(130)의 제2소켓부재(120)에 대한 탈거가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소켓부재(120)와 위치고정부재(130)는, 상기 케이블(151)(152)의 연장방향의 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된다. 결국, 본 고안은,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결합을 위한 부품의 구성이 간소화되고 그 성형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즉,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와 위치고정부재(130)가 모두 상기 축선 방향을 중심으로 하여 대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종래기술과 같이 비대칭 요소가 구비되지 않아도 됨으로써 제품 성형을 위한 금형제작이 용이하고 제품의 구성이 간소화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은 상기 위치고정부재(130)를 가압하여 스프링(140)을 후퇴시킨 후 그 가압력을 해제하여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현장에서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결합 및 분리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간의 1차 결합 이후에 분리가 요구된 경우에 그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를 손상 또는 파손 없이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 제1케이블(151)과 제2케이블(152)의 제1소켓부재(110)에 대한 상대이동시에, 그 케이블(151)(152)들과 제1소켓부재(110) 간의 직접적인 마찰을 방지하기 위해 라이너(161)(162)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이너(161)(162)는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1케이블(151) 사이 및 상기 제2소켓부재(120)와 제2케이블(152) 사이에 배치되고, 내부에 제1케이블(151)과 제2케이블(152)이 상대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가 결합되는 경우에 제1소켓부재(110)의 제2소켓부재(120)에 대한 접근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톱니부(111)와 치합부(121a)가 서로 치합 가능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2소켓부재(1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소켓부재(110)의 제2소켓부재(120)와 대향하는 단부 측에 접촉되는 스프링(210)을 구비한다.
즉, 상기 스프링(210)은 상기 제1소켓부재(110)가 제2소켓부재(120) 측으로 지나치게 접근됨으로써 상기 톱니부(111)와 치합부(121a)가 정위치에서 배열되지 못하여 제1소켓부재(110)와 제2소켓부재(120) 간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의 도 5에 대응되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인너(301)에, 제1케이블(351)의 연장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동축유지보스(301a))가 구비되고, 상기 제2인너(302)에, 상기 동축유지보스(301a)를 동축상에 수용하는 동축유지홈(30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인너(301)의 동축유지보스(301a)는 방진부재(390)를 관통하여 상기 제2인너(302)의 동축유지홈(302a)에 결합된다.
상기 제1인너(301)와 제2인너(302)는, 소켓부재들 내에 배치되기 때문에, 동력전달을 위한 힘이 작용하게 되는 경우에 인너들 간의 틸팅 혹은 케이블들 간의 휘어짐 등의 현상이 발생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상기 제1인너(301)와 제2인너(302)가 동축유지보스(301a)와 동축유지홈(302a)을 통해 서로 동축상에서 함께 틸팅되도록 결속되어 있고, 하우징(370) 내에 결속되어 있기 때문에, 인너들 간의 틸팅이 발생하지 않고 케이블들 간의 휘어짐이 발생하지 않게 됨에 따라, 소켓부재들 내에서 제1인너(301)와 제2인너(302)와 하우징(370)이 서로 동축상에서 직선운동만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제1인너(301)와 제2인너(302)들 간의 상대적인 틸팅 혹은 케이블의 휘어짐에 의해 인너(301)(302)와 케이블(351)(352)이 소켓부재의 내면에 접촉되어 마찰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그 마찰로 인하여 부품의 내구성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나아가 마찰을 초래하지 않고 정밀한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됨에 따라 제품을 장시간 사용한 이후에도 동작성능 혹은 감음성(민감도)이 떨어지지 않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는 달리, 부시(380)의 내주면에 이탈방지턱(38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탈방지턱(381)은, 상기 제2인너(302)에 걸리는 부분으로, 제2인너(302)가 부시(380)에 삽입된 이후에 제2인너(302)의 임의이탈을 억제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상, 본 고안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10:제1소켓부재 111:톱니부
120:제2소켓부재 121:탄성레그
121a:치합부 121b:스토퍼
130:위치고정부재 131:걸림턱
140:스프링 151:제1케이블
152:제2케이블 161,162:라이너
170:하우징 180:부시
181:분할슬릿 182:수용공간
183:터짐부 190:방진부재
201:제1인너 202:제2인너
202a:제1테이퍼부 202b:제2테이퍼부
210:스프링
120:제2소켓부재 121:탄성레그
121a:치합부 121b:스토퍼
130:위치고정부재 131:걸림턱
140:스프링 151:제1케이블
152:제2케이블 161,162:라이너
170:하우징 180:부시
181:분할슬릿 182:수용공간
183:터짐부 190:방진부재
201:제1인너 202:제2인너
202a:제1테이퍼부 202b:제2테이퍼부
210:스프링
Claims (4)
- 자동차 부품들 간의 동력전달을 위한 한 쌍의 케이블(제1케이블, 제2케이블)을 한 쌍의 인너(제1인너, 제2인너)를 이용하여 연결시키기 위한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에 있어서,
상기 제1인너와 제2인너의 서로 마주하는 단부를 결속 및 폐쇄시키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상기 제2인너의 제1인너와 마주하는 단부를 수용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탄성변형이 가능한 부시;를 구비하고,
상기 제2인너의 제1인너와 마주하는 단부는, 상기 부시의 수용공간에 그 부시를 변형시키면서 삽입되되, 그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선단측이 최소외경, 선단측에서 외경이 일정한 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커지는 제1테이퍼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인너는, 상기 제1테이터부와 외경이 일정한 부분 사이에, 제1테이퍼부의 최대외경 측에서 외경이 일정한 부분으로 갈수록 점점 외경이 작아지는 제2테이퍼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2인너의 제1테이퍼부의 최대외경측에 걸리는 이탈방지턱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시는, 탄성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분할슬릿을 구비하고, 그 분할슬릿과 함께 방사형으로 배열된 복수의 터짐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2852U KR200467767Y1 (ko) | 2011-04-05 | 2011-04-05 |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
US13/116,935 US8646355B2 (en) | 2010-05-28 | 2011-05-26 | Automobile cable socke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10002852U KR200467767Y1 (ko) | 2011-04-05 | 2011-04-05 |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007070U true KR20120007070U (ko) | 2012-10-15 |
KR200467767Y1 KR200467767Y1 (ko) | 2013-07-04 |
Family
ID=47504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10002852U KR200467767Y1 (ko) | 2010-05-28 | 2011-04-05 |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67767Y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27088A1 (en) * | 2013-02-14 | 2014-08-21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Self engaging port plug |
KR101462924B1 (ko) * | 2013-11-15 | 2014-11-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케이블소켓 |
DE102016209411A1 (de) * | 2016-05-31 | 2017-11-30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Parksperre eines Kraftfahrzeuggetriebes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98215B1 (ko) * | 2003-06-27 | 2005-06-29 |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 자동차의 기어변속케이블용 소켓 |
JP2006022909A (ja) | 2004-07-09 | 2006-01-26 | Nok Corp | 樹脂製ブッシュ |
KR101012413B1 (ko) | 2009-02-06 | 2011-02-08 | 주식회사 인팩 | 조립이 간편한 자동차 변속기용 연결구 |
KR101173682B1 (ko) | 2011-04-05 | 2012-08-13 | 주식회사 대동시스템 |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
-
2011
- 2011-04-05 KR KR2020110002852U patent/KR200467767Y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27088A1 (en) * | 2013-02-14 | 2014-08-21 |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 Self engaging port plug |
US9229186B2 (en) | 2013-02-14 | 2016-01-05 | Commscope Technologies Llc | Self engaging port plug |
KR101462924B1 (ko) * | 2013-11-15 | 2014-11-1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케이블소켓 |
DE102016209411A1 (de) * | 2016-05-31 | 2017-11-30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Vorrichtung zur Betätigung einer Parksperre eines Kraftfahrzeuggetrieb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467767Y1 (ko) | 2013-07-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28362B2 (en) | Connector with elastic deformation member | |
EP2930796A1 (en) | Connector with vibratory connection feedback | |
US7661887B2 (en) | Shutter assembly | |
JP6119670B2 (ja) | コネクタ | |
US8646355B2 (en) | Automobile cable socket | |
JP6506851B2 (ja) | ロック装置を備えたプラグコネクタ | |
WO2012086652A1 (ja) | 2ピースクリップ | |
US7648286B2 (en) | Shutter assembly | |
KR200467767Y1 (ko) |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 |
EP3168077A1 (en) | Vehicle cable connecting device | |
KR101075191B1 (ko) |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 |
KR101325495B1 (ko) |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유니트 | |
JP2015002599A (ja) | クリップ | |
WO2015053295A1 (ja) | メス端子 | |
KR101173682B1 (ko) | 자동차 케이블 연결용 소켓 | |
KR100857216B1 (ko) | 자동차 케이블 연결장치 | |
WO2012118146A1 (ja) | コネクタ | |
JP4782729B2 (ja) | 光コネクタ | |
JP5296623B2 (ja) | 光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方法 | |
KR101147846B1 (ko) | 자동차 케이블용 소켓 | |
JP3135920U (ja) | ハンドブレーキレバーのノブ構造 | |
WO2017155061A1 (ja) | 光コネクタ | |
JP5346855B2 (ja) | 光コネクタ | |
JP2016207253A (ja) | コネクタと端子金具の接続構造 | |
JP2006302654A (ja) | コネクタ結合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