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3320A - 커넥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3320A
KR20100053320A KR1020080112380A KR20080112380A KR20100053320A KR 20100053320 A KR20100053320 A KR 20100053320A KR 1020080112380 A KR1020080112380 A KR 1020080112380A KR 20080112380 A KR20080112380 A KR 20080112380A KR 20100053320 A KR20100053320 A KR 20100053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nap ring
mounting groove
outer diameter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2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27909B1 (ko
Inventor
한동국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123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9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53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33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20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22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 F16B2/24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 F16B2/248Cli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solely by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of resilient material, e.g. rubbery material of metal of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naps, Bayonet Connections, Set Pins, And Snap Rings (AREA)

Abstract

자동 변속기의 커넥터와 스냅링을 일체화하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별도의 공구 없이 커넥터와 스냅링의 결합상태를 변경하여 케이스에 커넥터를 장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는 커넥터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커넥터 고정장치는 외주면을 따라 장착홈을 갖고 해당되는 결합부재의 장착 구멍에 삽입되는 커넥터, 및 장착홈에 결합되며, 회전상태에 따라 장착 구멍 외측으로 벌어져 커넥터를 고정하는 스냅링을 포함하며, 장착홈은 스냅링과 접하는 부분이 비원형 단면구조이고, 스냅링은 장착홈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커넥터, 스냅링, 변속기, 케이스

Description

커넥터 고정장치{CONNECTOR FIXING APPARATUS}
본 발명은 차량에 사용되는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냅링(snap ring)은 축 또는 커넥터 등의 외경에 끼워지거나, 구멍의 내경에 가공된 홈에 끼워져 스냅링이 설치된 부품의 이동을 방지하는 고리 모양의 링으로서 차량의 부품에도 많이 사용된다.
스냅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축 또는 커넥터와 같이 외측에 장착되는 외접링과 구멍의 홈에 장착되는 내접링이 있다.
외접링은 축 또는 커넥터의 외측에 가공된 홈에 끼워 축 또는 커넥터의 이동을 방지하는 것이다. 외접링은 공구를 사용하여 벌려진 상태에서 홈에 끼워 넣게 되며, 벌려진 힘을 해제하면 오므라들어 홈에 고정된다.
내접링은 구멍에 가공된 홈에 끼워 구멍에 삽입한 부품의 이동을 방지하며, 외접링과는 반대로 공구를 사용하여 수축시킨 상태에서 홈에 끼워 넣게 되며, 수축시킨 힘을 해제하면 벌어지게 되어 홈에 고정된다.
그런데 위와 같은 스냅링은 스냅링이 장착되는 부위의 케이스 공간이 좁을 경우에는 그 조립 및 해제가 상당히 어렵게 된다. 특히, 자동 변속기 조립라인에서와 같이 커넥터와 스냅링이 분리되어 물류를 구성하는 경우 조립성이 좋지 않은 공간에서 스냅링을 커넥터에 장착해야 하는 작업이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자동 변속기의 커넥터와 스냅링을 일체화하여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으며, 협소한 공간에서도 별도의 공구 없이 커넥터와 스냅링의 결합상태를 변경하여 케이스에 커넥터를 장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는 커넥터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커넥터 고정장치는 외주면을 따라 장착홈을 갖고 해당되는 결합부재의 장착 구멍에 삽입되는 커넥터, 및 장착홈에 결합되며, 회전상태에 따라 장착 구멍 외측으로 벌어져 커넥터를 고정하는 스냅링을 포함하며, 장착홈은 스냅링과 접하는 부분이 비원형 단면구조이고, 스냅링은 장착홈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스냅링은 장착홈 형상에 대응되며, 양단의 단부가 서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장착홈에 끼워지는 제1 부재, 제1 부재의 양단에서 각각의 단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2 부재, 및 각각의 제2 부재들 가운데 서로 인접되는 제2 부재들을 연결하며, 제1 부재와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외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3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스냅링은 커넥터의 장착홈에 끼워진 초기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외경이 가 변될 수 있다.
커넥터의 장착홈에 형성되어 스냅링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돌기부는 2개로 이루어지며, 장착홈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2개의 돌기부간 직선 거리는 스냅링이 커넥터에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의 외경보다 더 작게 이루어질 수 있다.
스냅링은 커넥터에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의 외경과 커넥터 이탈 방지 위치에서의 외경이 서로 다르게 가변될 수 있다.
스냅링의 외경은 커넥터에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 결합부재의 장착 구멍보다 더 작은 제1 타원형을 유지할 수 있다.
스냅링의 외경은 커넥터 이탈 방지 위치에서 결합부재의 장착 구멍보다 일부 방향에서 더 큰 제2 타원형으로 가변될 수 있다.
스냅링은 탄성을 갖는 선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넥터 고정장치는 자동 변속기의 커넥터와 스냅링을 일체화하여 협소한 공간에서도 조립성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와 스냅링을 일체화하여 자동 변속기 조립 라인에서 분류되는 물류를 단일화함으로써 이에 대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별도의 공구 없이 커넥터와 스냅링의 결합상태를 변경하여 케이스에 커넥터를 장착하거나 탈착할 수 있다.
또한, 커넥터와 스냅링이 일체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므로써 커넥터와 스냅링의 미조립 및 오조립에 의한 조립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도면에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고정장치에서 커넥터와 스냅링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냅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고정장치는 커넥터(10), 스냅링(20)을 포함한다.
커넥터(10)는 외주면을 따라 장착홈(12)을 갖고 해당되는 결합부재의 장착 구멍(4)에 삽입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결합부재는 자동 변속기의 케이스(2)를 말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고정장치가 자동 변속기에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커넥터(10)가 장착될 수 있는 다른 결합부재에도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부재를 자동 변속기의 케이스(2)에 한정하여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한편, 커넥터(10)에는 케이스(2)의 장착 구멍(4)에 삽입되는 위치에 오링(16)이 결합될 수 있다.
스냅링(20)은 커넥터(10)의 장착홈(12)에 결합된다. 장착홈(12)은 스냅링(20)과 접하는 부분이 원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형성된다. 여기서, 장착홈(12)의 형상은 다양한 설계변경을 통해 변경될 수 있으며, 스냅링(20)과 접하는 부분이 비원(非圓)형 단면구조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냅링(20)과 접하는 면이 복수의 각을 갖는 직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스냅링(20)과의 접촉상태를 고려하여 모서리부분은 라운드로 형성할 수 있다.
스냅링(20)은 장착홈(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스냅링(20)과 접하는 면이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스냅링(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타원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스냅링(20)은 폐곡선으로 형성되어 장착홈(12)에 결합된 상태에서 커넥터(10)와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한다.
스냅링(20)은 장착홈(12) 형상에 대응되며, 제1 부재(22), 제2 부재(24), 제3 부재(26)를 포함한다. 제1 부재(22) 내지 제3 부재(26)는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제1 부재(22)는 양단의 단부가 서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장착홈(12)에 끼워지는 부분이다.
제2 부재(24)는 제1 부재(22)의 양단에서 각각의 단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되는 부분이다.
제3 부재(26)는 각각의 제2 부재(24)들 가운데 서로 인접되는 제2 부재(24)들을 연결하며, 제1 부재(22)와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외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부분이다.
스냅링(20)은 커넥터(10)의 장착홈(12)에 끼워진 초기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외경이 가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스냅링(20)은 탄성을 갖는 선재로 형성한다. 그리고 커넥터(10)의 장착홈(12)에 형성되어 스냅링(20)의 회전된 상태를 지지하는 돌기부(14)를 더 포함한다. 커넥터(10) 외주면에 가공된 장착홈(12)에 돌기부(14)를 구성하고 커넥터(10)의 장착홈(12)에 스냅링(20)을 일체로 장착하면, 커넥터(10)와 스냅링(20)의 분리가 어려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은 스냅링이 커넥터에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 외경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는 스냅링이 커넥터에 결합되어 커넥터 이탈 방지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외경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돌기부(14)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2개로 이루어지며, 장착홈(12)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할 수 있다. 2개의 돌기부(14)간 직선 거리는 스냅링(20)이 커넥터(10)에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의 외경(d1)보다 더 작게 이루어진다.
스냅링(20)은 커넥터(10)에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의 외경(d1)과 커넥터 이탈 방지 위치에서의 외경(d2)이 서로 다르게 가변된다.
예를 들어, 스냅링(20)의 외경(d1)은 커넥터(10)에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10)의 외경(c1)보다 더 작은 제1 타원형을 유지한다. 여기서, 커넥터(10)의 외경(c1)은 케이스(2)의 장착 구멍(4)에 삽입되는 커넥 터(10) 부분의 외경을 말한다.
따라서, 스냅링(20)의 외경(d1)은 커넥터(10)에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 케이스(2)의 장착 구멍(4)보다 더 작은 상태를 유지하므로써 장착 구멍(4)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넥터(10)에 스냅링(20)을 일체화한 초기상태에서는 커넥터(10)가 케이스(2) 내부에서 외부로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를 케이스(2)의 장착 구멍(4)에 삽입한 상태에서 스냅링(20)을 커넥터 이탈 방지 위치로 회전시켜 커넥터(10)가 케이스(2) 내부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해야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스냅링(20)의 외경(d2)은 커넥터 이탈 방지 위치에서 커넥터(10)의 외경(c1)보다 일부 방향에서 더 큰 제2 타원형으로 가변된다. 스냅링(20)이 제1 타원형에서 제2 타원형으로 변하게 되면 외경 또한 변하게 된다. 제2 타원형에서 길어진 외경(d2) 부분은 커넥터(10)의 외경(c1) 뿐만이 아니라 커넥터(10)가 삽입되는 케이스(2)의 장착 구멍(4) 지름보다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10)가 케이스(2)의 장착 구멍(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냅링(20)은 원형이 제1 타원형 또는 제2 타원형으로 형성되도록 한다. 즉,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스냅링(20)의 폐곡선에서 복수개의 각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냅링(20)이 180ㅀ 회전시 케이스(2)에서 커넥터(10)가 빠지지 않는 최대의 이탈 방지력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스냅링(20) 회전을 최소화하고 케이스(2)로 이탈 방지를 하기 위해 복수의 각을 더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스냅링(20) 의 제1 부재(22) 형상에 굴곡을 형성하여 종방향으로 외력을 가해 스냅링(20)의 외경을 가변할 수도 있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고정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자동 변속기 내부에는 밸브 보디가 장착되어 유압 제어를 한다. 유압 제어를 위해 솔레노이드 밸브와 유온 센서가 장착된다. 또한, 자동 변속기는 구동에 필요한 여러 가지 전기장치와 연결되며, 이들 대부분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자동 변속기에는 케이스(2)의 일측에 전기적 신호를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용 커넥터가 장착된다. 커넥터의 장착구조는 케이스(2)의 일측에 커넥터 장착홀을 형성하고, 커넥터 장착홀을 통해 커넥터를 케이스(2)의 내측에서 외측으로 빼낸다. 그리고 스냅링을 커넥터 외주면에 가공된 홈에 끼워 넣어 케이스(2) 외측에 걸리도록 하여 커넥터가 케이스(2)의 내측으로 다시 빠져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정한다.
즉, 케이스(2)에 장착되는 커넥터는 외력에 의해 안으로 밀려들어가지 않도록 스냅링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스냅링을 장착하기 위해서는 케이스(2)와 커넥터 삽입 구조의 좁은 공간에 스냅링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하며 밀어 넣어야 한다. 또한, 케이스(2)와 커넥터의 결합 구조상 밸브 보디 조립 전에 장착해야 한다.
만약, 밸브 보디가 변속기 하방에 부착되는 경우 작업자의 작업 편의를 위해 자동 변속기를 뒤집힌 상태로 조립라인에 투입한다. 따라서, 커넥터는 작업자에게 잘 보이지 않는 위치에 놓이게 되므로 조립성 및 작업 확인이 좋지 않다.
또한, 커넥터의 장착공정은 대부분 변속기 조립 라인에서 마지막 공정에 해당되어 스냅링을 끼우는 작업을 작업자의 실수로 생략할 수 있다. 그리고 커넥터와 스냅링이 분리된 상태에서 스냅링의 탄성력을 이기고 끼워야 하므로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대충 끼우는 경우 오조립 상태로 출고될 수 있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는 먼저, 커넥터(10) 외주면에 가공된 장착홈(12)에서 스냅링(20)과 접하는 면을 직사각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스냅링(20)은 장착홈(12)의 형상에 대응하는 타원형상으로 형성한다. 장착홈(12)에는 돌기부(14)를 구성하고, 커넥터(10)의 장착홈(12)에 스냅링(20)을 일체로 장착하여 스냅링(20)이 커넥터(10)의 장착홈(12)에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 커넥터(10)와 스냅링(20)의 분리가 어려운 상태를 유지한다.
커넥터(10)와 스냅링(20)이 일체로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 커넥터(10)를 케이스(2)의 장착 구멍(4)으로 삽입시킨다. 커넥터(10)와 스냅링(20)이 일체화된 상태에서는 커넥터(10)가 케이스(2) 내부에서 외부로 빠질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10)를 케이스(2)에 조립한 후 스냅링(20)을 커넥터 이탈 방지 위치로 회전시켜 커넥터(10)가 케이스(2) 내부에서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를 위해, 커넥터(10)의 일부 노출된 부분이 장착 구멍(4)에 걸려 있게 한 상태에서, 스냅링(20)을 케이스 이탈 방지 위치로 회전시켜 스냅링(20)의 형태를 제1 타원형에서 제2 타원형으로 가변시킨다. 이때, 스냅링(20)은 장착홈(14)의 직사각형상에 따라 대응하여 제1 타원형에서 제2 타원형으로 가변된다. 이러한 상태 에서 돌기부(14)가 스냅링(20)의 외면에 접하도록 하여 스냅링(20)이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참고로, 장착홈(12)의 돌기부(14)간 직선 거리는 스냅링(20)이 커넥터(10)에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의 외경(d1)보다 더 작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장착홈(12)의 돌기부(14)와 스냅링(20)의 외면이 접한 상태에서 스냅링(20)은 돌기부(14)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스냅링(20)은 제1 타원형에서 제2 타원형으로 변하게 된다. 스냅링(20)이 제1 타원형에서 제2 타원형으로 변하게 되면 외경 또한 변하게 되는데, 길어진 외경(d2) 부분은 커넥터(10)의 외경(c1) 뿐만이 아니라 커넥터(10)가 삽입되는 케이스(2)의 장착 구멍(4) 지름보다 더 커지게 된다. 따라서, 커넥터(10)가 케이스(2)의 장착 구멍(4)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냅링(20)을 초기상태로 회전시키면 스냅링(20)은 장착홈(14)의 직사각형상에 따라 대응하여 제2 타원형에서 다시 제1 타원형으로 변하게 된다. 그러면, 스냅링(20)의 외경(d1)은 커넥터(10)의 외경(c1)보다 더 작게 된다. 따라서, 케이스(2)의 장착 구멍(4) 지름을 통해 커넥터(10)가 이탈 가능한 초기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스냅링(20)은 별도의 공구 없이도 작업자의 손으로 외력을 가해 회전시킬 수 있으며, 장착홈(12)의 돌기부(14)와 스냅링(20)의 접촉관계에 따라 스냅링(20)을 제1 타원형 또는 제2 타원형으로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커넥터(10)와 스냅링(20)을 일체로 결합하므로써 자동 변 속기의 조립라인에서 커넥터(10)의 장착공정이 마지막 공정이라 하더라도 커넥터(10)에서 스냅링(20)이 결합되지 않는 우려가 없다. 그리고 미리 스냅링(20)이 커넥터(10)의 장착홈(12)에 끼워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작업자의 오조립 문제도 해소할 수 있다. 따라서, 스냅링(20)의 미조립 및 오조립에 의한 조립불량을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 고정장치에서 커넥터와 스냅링의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냅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스냅링이 커넥터에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 외경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스냅링이 커넥터에 결합되어 커넥터 이탈 방지 위치로 회전된 상태에서 외경의 차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케이스 10 ; 커넥터
12 ; 장착홈 14 ; 돌기부
20 ; 스냅링 22 ; 제1 부재
24 ; 제2 부재 26 ; 제3 부재

Claims (10)

  1. 외주면을 따라 장착홈을 갖고 해당되는 결합부재의 장착 구멍에 삽입되는 커넥터, 및
    상기 장착홈에 결합되며,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장착 구멍 외측으로 벌어져 상기 커넥터를 고정하는 스냅링
    을 포함하며,
    상기 장착홈은 상기 스냅링과 접촉되는 부분이 비원(非圓)형 단면구조이고,
    상기 스냅링은 상기 장착홈의 단면형상에 대응하는 폐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은
    상기 장착홈 형상에 대응되며, 양단의 단부가 서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상기 장착홈에 끼워지는 제1 부재;
    상기 제1 부재의 양단에서 각각의 단부로부터 수직한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2 부재, 및
    상기 각각의 제2 부재들 가운데 서로 인접되는 제2 부재들을 연결하며, 상기 제1 부재와 수평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외경이 커지는 방향으로 신장되는 제3 부재
    를 포함하는 커넥터 고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은 상기 커넥터의 장착홈에 끼워진 초기 상태에서 회전됨에 따라 외경이 가변되는 커넥터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의 장착홈에 형성되어 상기 스냅링의 회전된 상태를 유지하는 돌기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2개로 이루어지며, 상기 장착홈에서 서로 대면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하는 커넥터 고정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돌기부간 직선 거리는 상기 스냅링이 상기 커넥터에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의 외경보다 더 작게 이루어지는 커넥터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의 외경과 커넥터 이탈 방지 위치에서의 외경이 서로 다르게 가변되는 커넥터 고정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의 외경은 상기 커넥터에 결합된 초기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장착 구멍보다 더 작은 제1 타원형을 유지하는 커넥터 고정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의 외경은 커넥터 이탈 방지 위치에서 상기 결합부재의 장착 구멍보다 일부 방향에서 더 큰 제2 타원형으로 가변되는 커넥터 고정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가운데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링은 탄성을 갖는 선재로 이루어지는 커넥터 고정장치.
KR1020080112380A 2008-11-12 2008-11-12 커넥터 고정장치 KR101427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380A KR101427909B1 (ko) 2008-11-12 2008-11-12 커넥터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2380A KR101427909B1 (ko) 2008-11-12 2008-11-12 커넥터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3320A true KR20100053320A (ko) 2010-05-20
KR101427909B1 KR101427909B1 (ko) 2014-08-08

Family

ID=42278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2380A KR101427909B1 (ko) 2008-11-12 2008-11-12 커넥터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2790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42921A (ja) * 1992-02-27 1993-09-21 Yazaki Corp ケーシング内外の電気接続装置
KR100251913B1 (ko) * 1996-12-26 2000-04-15 정몽규 플러그 고정용 스냅링
KR200152998Y1 (ko) 1997-07-26 1999-08-02 양재신 차축체결구조
KR20080004277A (ko) * 2006-07-05 2008-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케이블용 커넥터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27909B1 (ko) 2014-08-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54110B2 (ja) 防振クランプ
CN105849452B (zh) 连接器、释放工具以及包括连接器和释放工具的装置
JP3149685U (ja) 光コネクタ
EP3705736B1 (en) Fixation structure
JP2006118714A (ja) 接続要素
JP4131409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US20130011101A1 (en) Optical connector
KR102481101B1 (ko) 연결 부재, 유체 기기 접속 지그 및 유체 기기 접속 구조
JP2018080787A (ja) 防振装置
KR20100053320A (ko) 커넥터 고정장치
JP2015025525A (ja) 管体の接続構造
JP4762858B2 (ja) 固定式直角曲げコネクタ
CN111065829B (zh) 长条部件组件
JP4938619B2 (ja) 誤組付け防止具
JP4290360B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の結合装置
KR101478923B1 (ko) 퀵 커넥터
CN111033065B (zh) 末端支承装置及使用末端支承装置的控制缆线组件
KR20020062118A (ko) 광 커넥터
JP5713860B2 (ja) 固定機構及び自動車用ミラーアセンブリー
KR20050114493A (ko) 링크 로드 결합용 고정핀의 이탈 방지장치
JP2008261420A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2020068557A (ja) 取付部材
WO2022114203A1 (ja) 固定構造
JP4155584B2 (ja) 光コネクタ
JP2006009611A (ja) 燃料ポンプユニット用フィルタ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