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62118A - 광 커넥터 - Google Patents

광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62118A
KR20020062118A KR1020010029331A KR20010029331A KR20020062118A KR 20020062118 A KR20020062118 A KR 20020062118A KR 1020010029331 A KR1020010029331 A KR 1020010029331A KR 20010029331 A KR20010029331 A KR 20010029331A KR 20020062118 A KR20020062118 A KR 2002006211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optical element
optical
optical connector
stopp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29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쿠라키요시
Original Assignee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히로세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2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2118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6Optical coupling means
    • G02B6/264Optical coupling means with optical elements between opposed fibre ends which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beam splitting
    • G02B6/266Optical coupling means with optical elements between opposed fibre ends which perform a function other than beam splitting the optical element being an attenuat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69Mounting ferrules to connector body, i.e. plu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45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ferrules comprising functional elements, e.g.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51Ferrules having keying or cod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Optical Couplings Of Light Guide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광학소자의 교환작업의 간소화 및 그 작업성의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광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우징(33)에 내장되는 광학소자(3)를 보유하는 광 커넥터(31)로서, 상기 광학소자(3)의 상기 하우징(33)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지지기구(15, 34, 43)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소자(3)의 교환 시에는, 상기 광학소자 (3)가 상기 하우징(33)과 일체로 교환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기구(15, 34, 43)는, 상기 광학소자(3)에 설치된 스토퍼부재(15)와, 이 스토퍼부재(15)의 일방측에서 상기 하우징(33)에 형성된 접촉부와, 상기 스토퍼부재(15)의 타방측에서 상기 하우징(33)에 고정되는 빠짐방지부재(34)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부재(15)가 상기 접촉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광학소자(3)의 일방측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상기 스토퍼부재(15)가 상기 빠짐방지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광학소자(3)의 타방측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며, 상기 광학소자(3)의 상기 하우징(33)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광 커넥터{OPTICAL CONNECTOR}
본 발명은, 광 커넥터, 특히, 감쇠소자나 필터소자 등의 광학소자를 내장하는 광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광 커넥터에는 그 자체에 감쇠기능이나 필터기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감쇠기나 필터를 내장한 타입이 있고, 종래의 이러한 종류의 광 커넥터로서는, 예컨대, 일본 특개2000-22132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있다. 이 광 커넥터(1)는, 도 7 및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우징(2)과, 이 하우징(2)에 내장되는 광학소자, 예컨대, 감쇠소자(3)와, 축방향 기단측으로부터 상기 감쇠소자(3)에 장착되는 정렬 슬리브(4)과, 이 정렬 슬리브(4)을 통해서 상기 감쇠소자(3)에 접속되는 본체(5)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은, 합성수지제로 가늘고 긴 통형상을 이루고, 측벽에 J자형상으로 형성된 걸림홈(6)과, 축방향을 따라서 삽입통과된 원기둥형상의 통과구멍 (7)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의 내주부에는, 선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단차부(8), 제 2단차부(9)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단차부(8) 및 제 2단차부 (9)에 의해, 상기 통과구멍(7)은 단계적을 확경되고, 상기 통과구멍(7)에는, 선단부분(10), 중앙부분(11), 기단부분(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쇠소자(3)는, 감쇠기능을 보유하는 광섬유(13a)를 지지하는 쇠고리 (14)과, 이 쇠고리(14)의 외주 중앙부분에 고착된 고리형상의 스토퍼부재(15)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트퍼부재(15)는, 금속제이고, 그 외경는 상기 선단부분(10)보다크게 또는 상기 중앙부분(11)보다 작게, 그 외면에는, 상기 감쇠소자(3)의 감쇠기능, 형번 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표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정렬 슬리브 (4)은, 원통형상을 이루고, 축방향을 따라서 슬롯이 형성되고, 탄성을 보유하고 있다.
상기 본체(5)는, 피복케이블(16)과, 이 피복케이블(16)의 선단부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7)와, 상기 피복케이블(16)을 상기 고정부재(17)에 코킹 고정하는 코킹금구(18)와, 광섬유(13b)의 선단부를 지지하는 쇠고리(19), 즉, 별도의 광학소자와, 상기 쇠고리(19)의 외주부 기단측에 고착된 슬라이딩접촉 슬리브(20)과, 이 슬라이딩접촉 슬리브(20)과 상기 고정부재(17)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21)으로 이루어지고, 이 스프링(21)은 상기 슬라이딩접촉 슬리브(20)을 통해서 상기 쇠고리(19)를 선단측에 힘을 가하고 있다. 또한, 상기 고정금구(17)는, 상기 하우징(2)의 중앙부분(11)에 끼워맞출 수 있는 형상을 이루고, 그 외면에는, 상기 걸림홈(6)에 결합가능한 돌기부(22)가 돌출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보유하는 상기 광 커넥터(1)를 조립하기에는, 우선, 상기 하우징(2)의 통과구멍(7)에 기단측으로부터 상기 감쇠소자(3)를 삽입하고, 또한, 상기 쇠고리(14)의 기단측부분에 상기 정렬 슬리브(4)의 선단측부분을 장착시킨다. 게다가, 상기 돌기부(22)가 상기 걸림홈(6)에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5)를 상기 하우징(2) 내에 삽입한다. 상기 고체부재(17)가 상기 중앙부분(11)에 끼워맞춤과 아울러 상기 본체(5)의 쇠고리(19)이 상기 정렬 슬리브(4)의 기단측 부분에 끼워맞추고, 상기 스토퍼부재(15)의 선단면은 상기 제 1단차부(8)에 접촉한다. 그 후, 상기본체(5)를 상기 하우징(2)에 대해서 더욱 삽입하고, 상기 쇠고리(19)를 상기 감쇠소자(3)의 쇠고리(14)과 단면접촉시킨다. 상기 광섬유(13a, 13b)는 서로 접속하고, 상기 쇠고리(19)은 상기 스프링(21)의 반발력에 저항하여 상기 슬라이딩접촉 슬리브(20)과 함께 기단측으로 슬라이딩접촉한다. 이 상태 하에서, 상기 하우징(2)을 소정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이 삽입동작을 해제하면, 상기 스프링(21)의 반발력에 의해 상기 하우징(2)은 선단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돌기부(22)는 상기 걸림홈(6)에 걸리고, 상기 본체(5)는 상기 하우징(2)에 잠금상태로 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광 커넥터에서는, 감쇠기능의 변경 등의 이유로 인해 상기 감쇠소자(3)를 교환할 필요가 생긴 경우, 상기 조립순서와 역의 순서로, 상기 하우징(2)으로부터, 감쇠소자(3), 정렬 슬리브(4), 본체(5)의 각 구성부품을 각각 떼어내고, 대신에 별도의 감쇠소자를, 상기 하우징(2)에 삽입한 후, 상기 정렬 슬리브(4), 본체(5)를 다시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그 교환작업 시에 착탈시킬 부품점수가 많고, 작업공수도 많게 되고 있기 때문에, 교환작업에 매우 수고가 들고 있다. 또한, 상기 감쇠소자(3)는 매우 작은 것이므로, 교환 시에, 그 식별표시를 식별하기 어렵고, 다른 사양의 감쇠소자를 잘못 설치하거나, 또는, 감쇠소자를 분실할 우려가 있고, 작업성의 향상이 도모되기 곤란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이루어진 것이고, 광학소자의 교환작업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그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광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반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3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4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5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 7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종래예를 나타내는 분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감쇠소자 4 … 정렬 슬리브
5 … 본체 15 … 스토퍼부재
31 … 광 커넥터 33 … 하우징
34 … 빠짐방지부재 43 … 제 1단차부
56 … 빠짐방지부재 58 … 빠짐방지부재
60 … 빠짐방지부재 65 … 빠짐방지부재
본 발명은, 하우징에 내장되는 광학소자를 보유하는 광 커넥터로서, 상기 광학소자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지지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소자의 교환 시에는, 이 광학소자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교환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광학소자에 설치된 스토퍼부재와, 이 스토퍼부재의 일방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접촉부와, 상기 스토퍼부재의 타방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빠짐방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접촉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광학소자의 일방측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빠짐방지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광학소자의 타방측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며, 상기 광학소자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광학소자와, 이 광학소자에 접속되는 별도의 광학소자를 정렬시켜서 지지하는 정렬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소자의 교환 시에는, 이 광학소자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정렬 슬리브와 일체로 교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빠짐방지부재는, 상기 스토퍼부재의 타방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 압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빠짐방지부재는, 상기 스토퍼부재의 타방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나사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상기 빠짐방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부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광학소자의 교환 시에는, 이 광학소자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교환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교환작업의 간소화 및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또한, 설명의 간략화를 위하여, 상기 종래의 광커넥터(1)와 마찬가지의 구성에 관해서는, 도면 상, 동일부호를 붙이고, 이들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광 커넥터(31)를 나타내고 있고, 이 광 커넥터(31)는, 케이스(32)와, 이 케이스(32)에 수용된 하우징(33)과, 감쇠소자(3)와, 이 감쇠소자(3)의 기단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33)에 압입되는 빠짐방지부재(34)와, 정렬 슬리브(4)과, 본체(5)로 개략 구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32)는, 예컨대, 금속제로 가늘고 긴 각통형상을 이루고, 그 외면에는, 상기 감쇠소자(3)의 감쇠성능, 형번 등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표시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32)의 둘레벽부에는, 선단측에 개구부(35)가 뚫어설치됨과 아울러 기단측에 창(36)이 뚫어설치되고, 상기 개구부(35)의 기단측을 면하는 부분에는, 내측에 돌출하는 볼록부(5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3)은, 예컨대, 합성수지제로 가늘고 긴 통형상을 이루고, 상기 케이스(32) 내에서 적어도 축방향으로 헐겁게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33)의 외주부 선단측에는 돌출부(37)가 형성되고, 이 돌출부(37)는 상기 개구부(35)의 선단측을 면하는 단면(38)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33)의 외주부에는, 상기 돌출부(37)의 기단측에, 기단방향 외측에 경사지게 제1경사면(39), 제 2경사면(40)이 각각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2경사면(40)의 기단측에, 얕은 오목부(41)가 절결되고, 상기 볼록부(54)는 상기 오목부(41)의 선단측 절결면(55)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또한, 상기 하우징(33)에는, 축방향을 따라서, J형상의 걸림홈(50)과, 원기둥형상의 통과구멍(42)이 형성되고, 내주부에는, 선단측으로부터 순서대로, 제 1단차부(43), 제 2단차부(44), 제 3단차부(45)가 형성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제 1단차부(43), 제 2단차부(44), 제 3단차부(45)에 의해, 상기 통과구멍(42)은 단계적으로 확경되고, 선단부분(46), 선단측 중앙부분(47), 기단측 중앙부분(48), 기단부분(49)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감쇠소자(3)는, 광섬유(13a)를 지지하는 쇠고리(14)과, 이 쇠고리(14)의 외주 중앙부분에 고착된 고리형상이 스토퍼부재(15)로 구성되어 있다. 이 스토퍼부재(15)는, 예컨대, 금속제이고, 그 외경은 상기 선단부분(46)보다 크게 또한 상기 선단측 중앙부분(47)보다 작게, 그 선단부는 상기 제 1단차부(43)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정렬 슬리브(4)는, 예컨대, 지르코니아제이고, 원통형상을 이루고, 축방향을 따라서 슬롯이 형성되고, 쇠고리(14)의 기단측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정렬 슬리브(4)의 외주 선단부분에는, 예컨대, 인청동제의, 누름 슬리브(51)가 끼워붙여지고, 이것에 의해, 상기 정렬 슬리브(4)는, 보다 확실하게 상기 쇠고리(14)에 장착되도록 된다.
상기 빠짐방지부재(34)는, 예컨대, 스테인레스제로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고, 그 내경은, 상기 누름 슬리브(51)의 외경보다 크게 또한 스토퍼부재(15)보다 작고,그 선단부는 상기 스토퍼부재(15)의 기단부에 접촉가능하게 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 빠짐방지부재(34)에는, 그 선단측에 플랜지부(52)가 형성되고, 이 플랜지부(52)의 외주부는 선단방향 내측에 경사지고, 또한, 선단부 외주부분에는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빠짐방지부재(34)의 기단부(53)는, 외주부분이 기단방향 외측에 경사지고, 내주부분에는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광 커넥터(31)를 조립하는 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상기 케이스(32)에, 그 기단측을부터 상기 하우징(33)을 삽입하고, 상기 볼록부(54)를 상기 제 2경사면(40)을 따라서 슬라이딩접촉시킨 후, 상기 오목부(41)에 헐겁게 끼워지고, 상기 하우징(33)을 상기 케이스(32)에 지지시킨다. 이 때, 상기 하우징(33)은, 상기 돌출부(37)가 상기 끝면(38)에 접촉하는 것으로 선단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고, 상기 볼록부(54)가 상기 절결면(55)에 접촉하는 것에서 기단방향으로의 움직임이 규제되는 것이므로,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상태로 상기 케이스(32)에 지지된다.
상기 하우징(33)이 상기 케이스(32)에 지지된 상태로, 상기 하우징(33)의 기단측으로부터 상기 감쇠소자(3)를 삽입하고, 또한, 상기 빠짐방지부재(34)를 삽입한다. 상기 빠짐방지부재(34)는, 그 선단부가 상기 선단측 중앙부분(47)에 압입되고, 또한, 그 외의 부분이 상기 플랜지부(52) 및 기단부(53)를 통해서 상기 기단측 중앙부분(48)에 압입되고, 그 결과, 상기 빠짐방지부재(34)는 상기 하우징(33)에 고정된 상태로 된다. 이 압입동작은, 선단부 외주부분에 모따기가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상기 모따기부(52) 및 기단부(53)의 각 외주부가 각각 선단방향 내측에 경사지고 있는 것이므로,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3)에 상기 감쇠소자(3) 및 빠짐방지부재(34)가 장착된 상태로, 그 기단측으로부터, 상기 누름 슬리브(51)을 끼워붙인 상기 정렬 슬리브(4)을 계속 삽입하면, 이 정렬 슬리브(4)는, 상기 빠짐방지부재(34)에 헐겁게 끼워지고, 상기 쇠고리(14)의 기단측 부분에 장착된다. 또한, 그 기단측으로부터, 돌기부(22)가 상기 걸림홈(50)에 결합하도록 상기 본체(5)를 상기 하우징 (33) 내에 삽입하고, 종래와 마찬가지의 동작으로 상기 돌기부(22)를 상기 걸림홈 (50)에 걸면, 상기 정렬 슬리브(4)의 기단측 부분은 상기 쇠고리(19)에 끼워붙여진다. 게다가, 상기 쇠고리(19)은 상기 감쇠소자(3)의 쇠고리(14)과 끝면접촉하고, 상기 광섬유(13a, 13b)는 서로 접속되고, 상기 본체(5)는 상기 하우징(33)에 잠금상태로 된다. 즉, 상기 감쇠소자(3), 정렬 슬리브(4) 및 상기 본체(5)는, 상기 스토퍼부재(15)의 선단부가 상기 제 1단차부(43)에 접촉함으로써 선단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되고, 상기 스토퍼부재(15)의 기단부가 상기 빠짐방지부재(34)의 선단부에 접촉함으로써 기단방향으로의 움직임을 규제되고,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가능한 상태로 상기 하우징(33)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감쇠소자(3)를 교환하는 경우에는, 상기 감쇠소자(3) 및 빠짐방지부재(34)를 장착한 상태의 상기 하우징(33)을, 상기 조립순서와 역의 순서로, 상기 광 커넥터(31)로부터 떼어낸 후, 별도의 감쇠소자 및 빠짐방지부재를 장착한 별도의 하우징을, 상기 정렬 슬리브(4)을 통해서 상기 본체(5)에 장착시킨다. 이와 같이, 상기 감쇠소자(3)의 교환작업 시에 착탈시키는 부품점수나 작업공수를, 종래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삭감할 수 있기 때문에, 그 교환작업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쇠소자(3)의 식별표시가 상기 하우징(33)의 외면에 이루어져 있으므로, 그 식별표시의 판별이 하기 쉽고, 다른 사양의 감쇠소자를 잘못 설치할 우려가 없고,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빠짐방지부재를 상기 형상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컨대, 도 3에 나타내는 빠짐방지부재(56)와 같이, 외주부를 톱니형상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33)의 기단측으로부터 압입가능하도록 형성시키고, 상기 하우징(33)의 내면에 상기 빠짐방지부재(56)가 결합가능한 결합홈(57)을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도 4에 나타내는 빠짐방지부재(58)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하고, 상기 하우징(33)의 내면에 상기 빠짐방지부재(58)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의 압입부(59)를 형성시켜도 좋다. 이 경우, 압입작업을 보다 원활하게 행하기 때문에, 상기 압입부(59)의 기단측을 테이퍼형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빠짐방지부재(34)가 상기 하우징(33)의 기단측으로부터 압입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도 5에 나타내는 빠짐방지부재(60)와 같이, 외주부에 나사를 형성하고, 그 기단면에 공구를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홈(61)을 절결하고, 또한, 상기 하우징(33)의 내주면에 상기 빠짐방지부재(60)가 나사결합가능한 나사부(62)를 형성시켜도 좋다. 이 경우에는, 상기 결합홈(61)에 공구의 선단을 결합시켜, 상기 빠짐방지부재(60)를 회전시켜서 기단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33)에 나사결합시키고, 상기 감쇠소자(3)를 상기 하우징(33)에지지시킨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33)의 외주부의 대향하는 부분에 각각 삽입구멍(63)을 뚫어설치하고, 한쌍의 반쪽부재(64, 64')로 이루어지는 빠짐방지부재(65)를 상기 삽입구멍(63)에 압입가능하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각 반쪽부재(64, 64')는, 상기 하우징(33)에 상기 감쇠소자(3)를 장착 후, 상기 삽입구멍(63)에 압입되고, 상기 스토퍼부재(15)의 축방향 기단측에 장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이 경우, 상기 빠짐방지부재(65)는, 상기 삽입구멍(63)에 압입하는 대신에, 상기 하우징(33)에 거는 외, 접착, 용접 등에 의해 상기 하우징(33)에 고정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상기 정렬 슬리브(4)의 외주부분에 상기 누름 슬리브(51)가 끼워붙여져 있지만, 도 3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누름 슬리브(51)은 설치하지 않아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설명에서는, 상기 감쇠소자(3) 등의 상기 하우징(33)으로의 삽입작업은, 모두 그 기단측으로부터 행해지고 있지만, 선단측으로부터 행하도록 구성시켜도 좋다. 또한, 상기 하우징(33)에 내장되는 광학소자는, 상기 감쇠소자(3)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은, 필터, 절연체 등의 광학소자를 내장하는 광 커넥터에도 실시가능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게다가 또한, 상기 감쇠소자(3)의 교환 시에는, 감쇠소자(3) 및 빠짐방지부재(34)뿐만 아니라, 상기 정렬 슬리브(4)을 장착한 하우징(33)마다 교환하도록 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교환작업 시에 착탈시키는 부품점수나 작업공수를 한층 삭감할 수 있으므로, 그 교환작업을 보다 간소화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소자의 교환작업 시에 떼어내거나 설치하는 부품점수나 작업공수를 삭감가능하기 때문에, 그 교환작업이 매우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에 광학소자의 식별표시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식별표시의 식별이 하기 쉽게 되고, 감쇠소자의 사양을 잘못 설치할 우려가 없고, 또한, 하우징마다 교환하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감쇠소자 등의 소형부품을 분실하거나 할 우려가 없다. 이 때문에, 광학소자의 교환 시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등 각종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하우징에 내장되는 광학소자를 보유하는 광 커넥터로서,
    상기 광학소자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설치된 지지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소자의 교환 시에는, 이 광학소자가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교환되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기구는, 상기 광학소자에 설치된 스토퍼부재와, 이 스토퍼부재의 일방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접촉부와, 상기 스토퍼부재의 타방측에서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는 빠짐방지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접촉부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광학소자의 일방측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상기 스토퍼부재가 상기 빠짐방지부재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광학소자의 타방측으로의 움직임을 규제하며, 상기 광학소자의 상기 하우징으로부터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소자와, 이 광학소자에 접속되는 별도의 광학소자를 정렬시켜서 지지하는 정렬 슬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광학소자의 교환 시에는, 이 광학소자가 상기 하우징 및 상기 정렬 슬리브와 일체로 교환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방지부재는, 상기 스토퍼부재의 타방측으로부터상기 하우징에 압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방지부재는, 상기 스토퍼부재의 타방측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나사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빠짐방지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외주부에 형성된 구멍으로부터 상기 하우징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커넥터.
KR1020010029331A 2001-01-19 2001-05-28 광 커넥터 KR2002006211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1011710A JP2002214481A (ja) 2001-01-19 2001-01-19 光コネクタ
JP2001-11710 2001-01-1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2118A true KR20020062118A (ko) 2002-07-25

Family

ID=18878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29331A KR20020062118A (ko) 2001-01-19 2001-05-28 광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522485B2 (ko)
EP (1) EP1225463B1 (ko)
JP (1) JP2002214481A (ko)
KR (1) KR20020062118A (ko)
CN (1) CN1221826C (ko)
DE (1) DE60220960D1 (ko)
TW (1) TW54843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0774A1 (en) * 2007-02-16 2008-08-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te grip optical fiber connector
WO2008100771A1 (en) * 2007-02-16 2008-08-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te grip optical fiber connec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09334U (en) * 2001-11-21 2002-11-01 Hon Hai Prec Ind Co Ltd Optical fiber attenuator
JP4167210B2 (ja) * 2004-09-08 2008-10-15 ホシデン株式会社 スリーブの取り付け構造
WO2008006402A1 (de) * 2006-07-12 2008-01-17 Cube Optics Ag Steckverbinder
US7775726B2 (en) * 2007-02-16 2010-08-17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te grip optical fiber connector
US7549802B2 (en) * 2007-06-28 2009-06-23 Verizon Services Corp. Fiber optic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07488D0 (en) * 1993-04-08 1993-06-02 Amp Holland Optical fibre connector latching mechanism
JPH09145957A (ja) * 1995-11-20 1997-06-06 Fujitsu Ltd 光コネクタ
JP3066739B2 (ja) * 1996-07-15 2000-07-17 セイコーインスツルメンツ株式会社 汎用光コネクタ及びベーシックプラグ
JP3225202B2 (ja) * 1997-01-24 2001-11-05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コネクタ
US6102581A (en) * 1998-06-16 2000-08-15 Lucent Technologies Inc. Optical adapter including a ferrule assembly
JP3825930B2 (ja) * 1999-01-28 2006-09-27 ヒロセ電機株式会社 光コネクタ
DE19916397C2 (de) * 1999-03-31 2002-03-14 Infineon Technologies Ag Feldmontierbarer Lichtwellenleiter-Steckverbind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100774A1 (en) * 2007-02-16 2008-08-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te grip optical fiber connector
WO2008100771A1 (en) * 2007-02-16 2008-08-2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mote grip optical fiber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21826C (zh) 2005-10-05
US6522485B2 (en) 2003-02-18
US20020097510A1 (en) 2002-07-25
DE60220960D1 (de) 2007-08-16
EP1225463A3 (en) 2004-06-23
CN1322960A (zh) 2001-11-21
EP1225463A2 (en) 2002-07-24
JP2002214481A (ja) 2002-07-31
EP1225463B1 (en) 2007-07-04
TW548438B (en) 2003-08-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12084A (en) Connector for small-diameter piping
US9164244B2 (en) Optical connector plug
AU2003206705B2 (en) Plug-in element for an optical plug-in connection
KR101169238B1 (ko) 우수한 방진성을 갖는 광커넥터 어댑터
US6733322B2 (en) Pluggable connection housing with anti-kink element
US8596883B2 (en) Optical connector plug
KR20020070830A (ko) 페룰 지지구조
KR20000062581A (ko) 척 및 관조인트
CA2613658A1 (en) Optical connector excellent in maintenance of a connected state
JP4131409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JP4211486B2 (ja) クイックコネクタ
KR20020062118A (ko) 광 커넥터
US5446817A (en) Formed alignment sleeve for fiber optic termini
CN108824563B (zh) 面板组件以及包括该面板组件的龙头装置
KR20080070728A (ko) 커플링
US20220326450A1 (en) Connection structure of an adapter and a connector
JPH0440655Y2 (ko)
CN212773790U (zh) 一种可快速拆装的执手装置
CN210771609U (zh) 一种面框和灯体卡扣式安装的灯具
JP2005308130A (ja) 抜け止め連結構造および弁装置
JP3786581B2 (ja) 光コネクタ部品
JP4673889B2 (ja) 遠心力作動式スリーブクラッチ
KR100218574B1 (ko) 압력 매체 파이프의 결합 장치
JP2003255185A (ja) 光コネクタ
KR200165666Y1 (ko) 고정핀 겸용 와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