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244Y1 -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 - Google Patents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244Y1
KR200491244Y1 KR2020190002212U KR20190002212U KR200491244Y1 KR 200491244 Y1 KR200491244 Y1 KR 200491244Y1 KR 2020190002212 U KR2020190002212 U KR 2020190002212U KR 20190002212 U KR20190002212 U KR 20190002212U KR 200491244 Y1 KR200491244 Y1 KR 2004912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insertion hole
bag hanger
touch
portable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22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효원
Original Assignee
업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업스페이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업스페이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900022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2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2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244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08Holders for articles of personal use in general, e.g. brushes
    • A47G29/083Devices for suspending handbags from tables, chai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5/00Holders or carriers for hand articles; Holders or carriers for use while travelling or camping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F
    • A45F2200/05Holder or carrier for specific articles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실시예들은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로서, 내측면은 평면이고, 외측면은 곡면으로 구성된 제1 부재(10), 상기 제1 부재(10)와 회전 가능한 제1 링크(1)를 통해 연결되고, 내측면이 평면이고, 외측면이 곡면으로 구성된 제2 부재(20) 및 상기 제2 부재(20)와 회전 가능한 제2 링크(2)를 통해 연결되고, 내측면은 제1 사이각(30a)을 갖는 두 개의 면으로 구성되고, 외측면은 곡면으로 구성된 제3 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10)는, 제1 파트(11) 및 제1 파트(11)의 방향으로 개방된 제1 삽입구(10h)를 갖는 제2 파트(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20)는, 제1 링크(1)와 연결된 제3 파트(21) 및 상기 제2 링크(2)와 연결된 제4 파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PORTABLE AND TRANSFORMABLE BAG HANGER BY ONE TOUCH}
본 고안은 휴대용 가방걸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원터치로 형태 변형이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에 관련된다. 본 고안은 일면을 가볍게 터치함으로써 휴대용 가방걸이를 보관형태에서 사용형태로 변형할 수 있다.
종래의 휴대용 가방걸이는 가방의 수직축 하중이 휴대용 가방걸이의 테이블에 놓이는 부분의 수평축으로 전달되었다. 이에 따라서 테이블에 놓이는 부분을 무겁게 하여 가방이 걸린 상태에서 테이블에 놓인 부분이 테이블 밖으로 미끄러지지 않게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가방의 무게가 테이블에 놓이는 부분이 견딜 수 있는 하중을 넘어서면 휴대용 가방걸이가 테이블 밖으로 밀려 떨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가 있다.
(실용신안문헌 1)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공개 제 20-2009-0007109 호
본 고안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가방의 수직축 하중이 휴대용 가방걸이의 수직축으로 최대한 유지될 수 있도록 휴대용 가방걸이와 테이블의 마찰면과 가방이 걸리는 부분이 동일 수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는 휴대용 가방걸이의 구조가 필요하다.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는, 내측면은 평면이고, 외측면은 곡면으로 구성된 제1 부재(10); 상기 제1 부재(10)와 회전 가능한 제1 링크(1)를 통해 연결되고, 내측면이 평면이고, 외측면이 곡면으로 구성된 제2 부재(20); 및 상기 제2 부재(20)와 회전 가능한 제2 링크(2)를 통해 연결되고, 내측면은 제1 사이각(30a)을 갖는 두 개의 면으로 구성되고, 외측면은 곡면으로 구성된 제3 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10)는, 제1 파트(11) 및 제1 파트(11)의 방향으로 개방된 제1 삽입구(10h)를 갖는 제2 파트(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20)는, 제1 링크(1)와 연결된 제3 파트(21) 및 상기 제2 링크(2)와 연결된 제4 파트(22)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부재(30)는, 제2 링크(2)와 연결되고 제6 파트(32)의 방향으로 개방된 제2 삽입구(30h)를 갖는 제5 파트(31) 및 단부에 후크형태의 고정 부재(33)를 갖는 제6 파트(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11)의 폭(w1)은, 제2 파트(12)의 폭(w2) 보다 작고, 상기 제6 파트(32)의 폭(w6)은, 상기 제5 파트의 폭(w5) 보다 작고, 상기 제2 링크(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33)는 상기 제1 삽입구(10h)로 삽입되고, 상기 제1 삽입구(10h) 내 체결 부재(10c)와 체결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부재(10)의 제1 파트(11)의 일 단부는 경사면(13p)을 갖는 가이드 부재(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13)는 상기 제2 삽입구(30h)로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경사면(13p)은 상기 제2 링크(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13)가 상기 제2 삽입구(30h)로 삽입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 부재(33)와 체결 부재(10c)가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13)가 상기 제2 삽입구(30h)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파트(1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1 파트(11)가 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6 파트(32)는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부재(13)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서 상기 제2 삽입구(30h)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고정 부재(33)는 상기 체결 부재(10c)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3 파트(21)와 상기 제4 파트(22)는 회전 링크(23)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 링크(23)는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링크(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 사이의 제2 사이각(120a)은 최대값이 70°일 수 있다.
본 고안의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는 원터치로 손쉽게 사용 용도의 형태 변환이 가능하며, 가방을 건 상태에서 휴대용 가방걸이와 테이블 간의 접촉면과 가방이 걸린 부분이 동일하거나 그 주변 수직축에 형성되므로, 휴대용 가방걸이가 수평 이동하여 테이블에서 이탈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가방걸이의 일 파트가 180도 이상 회전 하게 됨으로써, 테이블의 하부 형태에 맞춰 휴대용 가방걸이의 걸이 구조를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용 가방걸이가 테이블에 접촉하는 면과 이에 이웃하는 면의 각도를 70도로 결정함으로써 휴대용 가방걸이의 수평축 이동에 따른 이탈을 방지하고, 테이블 형태에 무관하게 가방이 최대한 테이블에 닿지 않게 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의 사시도이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방걸이의 배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부재의 제3 파트 및 제4 파트가 회전 링크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방걸이를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은 상태(제2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방걸이를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은 상태(제2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6a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부재의 고정 부재와 제1 부재의 체결 부재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방걸이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고안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다만, 실시형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도면에서의 각 구성요소들의 크기는 설명을 위하여 과장될 수 있으며, 실제로 적용되는 크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100)의 사시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은 휴대용 가방걸이(100)가 펼쳐진 상태(제1 형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100)는 제1 부재(10), 제2 부재(20) 및 제3 부재(30)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부재(10)는 내측면은 평면이고, 외측면은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부재(10)의 내측면에는 마찰부재가 부착될 수 있다. 마찰부재는 가방걸이가 테이블에 걸려있을 때, 가방걸이(100)가 테이블 면의 수평축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제1 부재(10)는, 제1 파트(11) 및 제2 파트(12)로 구분될 수 있다. 즉 제1 파트(11)와 제2 파트(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파트(12)는 제1 파트(11)의 방향으로 개방된 제1 삽입구(10h)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파트(11)의 일 단부에는 가이드 부재(13)가 구성될 수 있다.
제2 부재(20)는 제1 부재(10)와 회전 가능한 제1 링크(1)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부재(20)는 내측면이 평면이고, 외측면이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부재(20)는, 제1 링크(1)와 연결된 제3 파트(21) 및 제3 부재(30)와의 연결을 위한 제2 링크(2)와 연결된 제4 파트(2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3 파트(21)와 제4 파트(22)는 회전 가능한 회전 링크(23)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 부재(30)는 상기 제2 부재(20)와 회전 가능한 제2 링크(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3 부재(30)는 내측면은 제1 사이각(30a)을 갖는 두 개의 면으로 구성되고, 외측면은 곡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3 부재(30)는, 제2 링크(2)와 연결되고 제6 파트(32)의 방향으로 개방된 제2 삽입구(30h)를 갖는 제5 파트(31) 및 단부에 후크형태의 고정 부재(33)를 갖는 제6 파트(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5 파트(31)의 외측에는 추가 장식품 등을 묶을 수 있는 체결구(31a)가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에서 제6 파트(32) 관련해서, 고정 부재(33)는 하나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고정 부재(33)는 둘 이상일 수 도 있다. 둘 이상인 경우 후크의 방향은 고정 부재 마다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제1 파트(11)의 폭(w1)은, 제2 파트(12)의 폭(w2) 보다 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6 파트(32)의 폭(w6)은, 상기 제5 파트의 폭(w5) 보다 작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파트(11)는 제2 파트(12)의 일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제1 파트(11)와 연결되지 않는 단면에 제1 삽입구(10h)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응되게, 제6 파트(32)는 제5 파트(31)의 일 부분으로부터 돌출된 형태일 수 있으며, 제6 파트(32)와 연결되지 않는 단면에 제2 삽입구(30h)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용 가방걸이(10)가 원형으로 체결 시, 제1 파트(11)와 제6 파트(32)는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서로 대응되는 방향으로 제2 파트(12) 및 제5 파트(31)의 단면의 일 부분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2 링크(2)(및/또는 제1 링크(1))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33)는 상기 제1 삽입구(10h)로 삽입되고, 상기 제1 삽입구(10h) 내 체결 부재(10c)와 체결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방걸이(100)의 배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상술한 제1 사이각(30a) 및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 사이의 제2 사이각(120a)이 도시된다. 제1 사이각(30a)이 형성되는 부분에는 가방이 걸리게 된다. 또한 제2 사이각(120a) 은 가방걸이가 거치되는 테이블의 면과 제2 부재(20)의 내측면 사이의 각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2 사이각(120a)은 제1 링크(1)의 회전에 의해 가변적으로 변할 수 있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있어서, 최대값은 70°일 수 있다. 제2 사이각(120a)의 최대값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다루도록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2 부재(20)의 제3 파트(21) 및 제4 파트(22)가 회전 링크에 의해 회전된 상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회전(20R)의 각도는 180°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360°일 수 있다.
도 3에서와 같이 제4 파트(22)의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가방을 걸 수 있는 제6 파트(32)도 전환된다. 이와 같이 제6 파트(32)의 방향이 전환됨으로써, 사용자는 테이블의 형태를 고려하여 필요한 방향으로 가방을 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방걸이(100)를 휴대가 용이하도록 접은 상태(제2 상태)의 사시도 및 정면도를 나타낸다. 도 1을 참조하면서 도 4 및 도 5를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제6 파트(32)는 제1 파트(11)와 깊이 방향으로 중첩되며, 제2 파트(12)와는 연장된 방향으로 서로 접촉되고 있다. 이와 같이 제6 파트(32)가 제1 파트와 일정 부분 겹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제1 상태에서의 긴 휴대용 가방걸이가 원형의 형태로 접힐 수 있게 된다.
도 1과 도 4에 각각 도시된 제1 및 제2 상태 간의 변화를 위한 변화 매커니즘을 하기에서 설명한다.
도 6a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부재(30)의 고정 부재(33)와 제1 부재(10)의 체결 부재(10c)의 체결 구조를 나타낸다. 제1 삽입구(10h)의 내측면에 형성된 체결 부재(10c)는 고정 부재(33)의 후크가 걸릴 수 있는 돌출형태를 가질 수 있다. 고정 부재(33)가 제1 삽입구(10h)로 삽입되면서 후크(331)가 체결 부재(10c)에 걸릴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고정 부재(33)가 제1 삽입구(10h)의 진행방향을 따라 들어갈 수 있도록 고정 부재 가이드(33a)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고정 부재 가이드(33a)와 고정 부재(33)가 형성하는 폭은 제1 삽입구(10h)의 폭과 동일하거나, 거의 일치 수 있다. 여기서 '거의 일치'한다는 것은 고정 부재(33)와 체결 부재(10c)의 변형력을 고려했을 때, 고정 부재(33)의 후크(331) 앞단이 체결 부재(10c)를 넘어 후크로 체결될 수 있는 정도를 의미한다.
도 6b는 일 실시예에 있어서, 가이드 부재(13)의 기능을 설명하는 도이다.
가이드 부재(13)는 제1 파트(11)의 일 단부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경사면(13p)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부재(13)는 제2 링크(2)(및/또는 제1 링크(1))의 회전에 의해, 제2 삽입구(30h)로 삽입될 수 있다.
도 6b에서 가이드 부재(13)는 반구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고, 가이드 부재(13)는 직선 또는 곡선의 경사면을 갖는 임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경사면(13p)은 상기 제2 링크(2)의 회전에 의해 제1 파트(11)가 제2 삽입구(30a)를 향할 때, 상기 가이드 부재(13)가 상기 제2 삽입구(30h)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할 수 있다. 각 부재(10-30)간의 사이각이 최소가 되는 경우,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부재(10)의 단부인 가이드 부재(13)는 제2 삽입구(30h)의 내측면에 접하게 된다. 즉 각 단부의 사이각이 최소가 되는 상태에서는 고정 부재(33)와 제1 삽입구(10h) 및 가이드 부재(13)와 제2 삽입구(30h)가 정확히 일치하지 않는다. 이러한 불일치를 이용하여 본 고안의 휴대용 가방걸이(100)는 원터치 형태 변화 매커니즘을 구현할 수 있다.
다시 도 6b를 참조하면 각 부재들(10-30) 사이의 사이각이 최소인 상태에서, 제6 파트(32)의 외측에서 내측으로 힘(F1)이 가해지면 제6 파트(32)는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에 따라서, 가이드 부재(13)는 경사면(13p)를 따라서 제2 삽입구(30h)로 진행(M1)할 수 있게 된다. 가이드 부재(13)가 제2 삽입구(30h)로 이동하는 것은 고정 부재(33)가 제1 삽입구(10h)로 삽입(도 4a 참조)되는 것을 의미한다.
각 부재들(10-30) 사이의 사이각이 최소인 상태(최대로 접은 상태)에서 제1 파트(11)의 일 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부재(13)가 제5 파트(31)의 단부에 형성된 제2 삽입구(30h)의 내측에 접촉하게 되는 것과 대응되게, 제6 파트(32)의 단부에 형성된 고정 부재(33)는 제2 파트(12)의 단부에 형성된 제1 삽입구(10h)의 내측으로부터 먼 쪽으로 위치하게 된다.
상술한 '최대로 접은 상태'에서 가이드 부재(13)가 경사면을 따라 제2 삽입구(30h)의 안쪽으로 들어감에 대응되게, 고정 부재(33)는 제1 삽입구(10h)의 내측면의 안쪽 방향으로 이동(M3)하게 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고정 부재(33)는 체결 부재(10c)와 접촉된 후 후크 연결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가방걸이(30)의 체결이 해제(제2 상태에서 제1 상태로 변화)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6a 및 도 6b를 더 참조하면 고정 부재(33)와 체결 부재(10c)가 체결되고, 가이드 부재(13)가 상기 제2 삽입구(30h)로 삽입된 상태(도 4에 도시된 제2 상태)에서, 제1 파트(1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힘(F2)이 가해지면, 상기 제1 파트(11)가 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6 파트(32)는 외측으로 이동(M2)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부재(13)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서 상기 제2 삽입구(30h)로부터 추출되고, 고정 부재(33)는 상기 체결 부재(10c)로부터 탈착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파트(1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힘(F2)을 사용자가 손쉽게 가할 수 있도록 제1 파트(11)의 외측면의 일 부분에는 함몰부(11a)가 형성될 수 있다. 휴대용 가방걸이(100)의 제2 상태에서 사용자는 함몰부(11a)를 누름으로써 휴대용 가방걸이(100)의 체결상태를 쉽게 해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휴대용 가방걸이(100)는 체결시 원형(도 4에 도시된 제2 상태)이고, 체결이 해제되고 각 링크의 각도가 최대화된 개방시에는 도 1에 나타난 제1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체결된 상태에서는 원형으로 보관이 용이하고, 이용 시에는 개방된 상태에서 테이블에 거치시킨 후 가방을 걸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가방걸이(100)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휴대용 가방걸이(100)가 U자 형태로 테이블에 걸려 있으며, 가방은 테이블 안쪽에 위치한다. 한편 도 8에서 휴대용 가방걸이(100)는 S 자 형태로 테이블에 걸려 있으며, 가방은 테이블 바깥쪽에 위치한다. 도 8의 상태는 제2 부재(20)의 회전 링크가 회전함에 따라서 구현된 형태이다. 도 8에서와 같이 S 자 형태를 가짐으로써, 하부가 막힌 테이블에 가방을 걸 경우, 가방을 거는 면(제6 파트)의 방향이 테이블 바깥쪽을 향하게 하여 사용자가 손쉽게 가방을 걸고 꺼낼 수 있다.
또한 가방의 하중이 휴대용 가방걸이와 테이블 면 사이의 마찰력 외에 제2 부재(20)가 테이블의 옆면을 미는 방향으로도 분산되므로, 보다 안정적으로 가방을 걸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만일 도 7에서 나타난 U자 형태의 가방걸이를 도 8의 테이블에 적용할 경우, 가방의 하중이 테이블과 가방걸이와의 마찰력이 작용하는 방향에 모두 전달되므로, 가방이 무거운 경우 가방걸이가 테이블 밖으로 밀려 나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제1부재와 제2 부재 사이의 제2 사이각이 약 70°인 경우를 나타내고, 도 9는 약 90°인 경우를 나타낸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사이각은 70°일 수 있다. 도 7과 도 9를 비교하면, 휴대용 가방걸이의 외측면과 가방 사이의 거리(w7,w9)는 제2 사이각이 70°인 경우가 90°인 경우 보다 더 크다. 이에 따라서 가방걸이에 걸린 가방이 좀 더 테이블 안쪽으로 배치됨으로써 가방이 외부요인에 이해 부딪힐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고안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가방걸이
10: 제1 부재 13 : 가이드 부재
20 : 제2 부재 23 : 회전 링크
30 : 제3 부재 33 : 고정 수단
30a : 제1 사이각 120a : 제 2 사이각

Claims (6)

  1.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로서,
    내측면은 평면이고, 외측면은 곡면으로 구성된 제1 부재(10);
    상기 제1 부재(10)와 회전 가능한 제1 링크(1)를 통해 연결되고, 내측면이 평면이고, 외측면이 곡면으로 구성된 제2 부재(20); 및
    상기 제2 부재(20)와 회전 가능한 제2 링크(2)를 통해 연결되고, 내측면은 제1 사이각(30a)을 갖는 두 개의 면으로 구성되고, 외측면은 곡면으로 구성된 제3 부재(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부재(10)는, 제1 파트(11) 및 제1 파트(11)의 방향으로 개방된 제1 삽입구(10h)를 갖는 제2 파트(12)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부재(20)는, 제1 링크(1)와 연결된 제3 파트(21) 및 상기 제2 링크(2)와 연결된 제4 파트(22)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부재(30)는, 제2 링크(2)와 연결되고 제6 파트(32)의 방향으로 개방된 제2 삽입구(30h)를 갖는 제5 파트(31) 및 단부에 후크형태의 고정 부재(33)를 갖는 제6 파트(3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파트(11)의 폭(w1)은, 제2 파트(12)의 폭(w2) 보다 작고,
    상기 제6 파트(32)의 폭(w6)은, 상기 제5 파트의 폭(w5) 보다 작고,
    상기 제2 링크(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고정 부재(33)는 상기 제1 삽입구(10h)로 삽입되고, 상기 제1 삽입구(10h) 내 체결 부재(10c)와 체결되고,
    상기 제1 부재(10)의 제1 파트(11)의 일 단부는 경사면(13p)을 갖는 가이드 부재(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13)는 상기 제2 삽입구(30h)로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13p)은 상기 제2 링크(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가이드 부재(13)가 상기 제2 삽입구(30h)로 삽입되도록 가이드 하는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부재(33)와 체결 부재(10c)가 체결되고, 상기 가이드 부재(13)가 상기 제2 삽입구(30h)로 삽입된 상태에서, 제1 파트(11)의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면, 상기 제1 파트(11)가 내측으로 이동하고, 상기 제6 파트(32)는 외측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가이드 부재(13)는 상기 경사면을 따라서 상기 제2 삽입구(30h)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고정 부재(33)는 상기 체결 부재(10c)로부터 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파트(21)와 상기 제4 파트(22)는 회전 링크(23)로 연결되고,
    상기 회전 링크(23)는 180도 이상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링크(1)에 의해 형성되는 제1 부재(10)와 제2 부재(20) 사이의 제2 사이각(120a)은 최대값이 7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
KR2020190002212U 2019-05-29 2019-05-29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 KR2004912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12U KR200491244Y1 (ko) 2019-05-29 2019-05-29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2212U KR200491244Y1 (ko) 2019-05-29 2019-05-29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244Y1 true KR200491244Y1 (ko) 2020-03-11

Family

ID=69767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2212U KR200491244Y1 (ko) 2019-05-29 2019-05-29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244Y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7109U (ko) 2009-06-18 2009-07-13 최정임 접이식 휴대용 가방걸이
US20160252130A1 (en) * 2008-09-29 2016-09-01 Clipsy, Llc Rotary joint assembly and combination clip-hook and jewelry piece employ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60252130A1 (en) * 2008-09-29 2016-09-01 Clipsy, Llc Rotary joint assembly and combination clip-hook and jewelry piece employing the same
KR20090007109U (ko) 2009-06-18 2009-07-13 최정임 접이식 휴대용 가방걸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9708B2 (ja) 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
JP4993235B1 (ja) 折り畳みハンガ
JP3223701U (ja) ケーブル収容装置
WO2013161400A1 (ja) 折畳みハンガー
KR200491244Y1 (ko) 원터치로 변형 가능한 휴대용 가방걸이
JP2016107535A (ja) 綴じ具
JP2016516955A (ja) エネルギーガイドチェーン
JP2563056B2 (ja) 開閉機構を有するバインダー綴具
JP6372852B2 (ja) 給電用ハーネスクランプ
JP5472852B2 (ja) 物品掛け具
JP2631065B2 (ja) 錠止機構を有するバインダー綴具
JP2012030836A (ja) 折畳コンテナ
JP2019090472A (ja) ケーブル類保護案内装置及びその取付構造
JP4425242B2 (ja) 吊掛装置
JP4976925B2 (ja) 物干し器
JPH09168467A (ja) ハンガーサポート
KR200408639Y1 (ko) 신분증 고정구
JP2001334099A (ja) ハンガー
US20070023465A1 (en) Clip hanger
JP6508922B2 (ja) 長尺体固定具及びホルダ部材
JP7117721B2 (ja) ハンガー
JP7118741B2 (ja) 開閉装置
KR20120092400A (ko) 프리스톱 힌지장치가 결합된 파티션 벨트라인용 도어패널
JP3089215B2 (ja) カーテン収納具
JP3155109U (ja) ハンガー用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