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02595U - 광접속분배함 - Google Patents

광접속분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02595U
KR20090002595U KR2020070015148U KR20070015148U KR20090002595U KR 20090002595 U KR20090002595 U KR 20090002595U KR 2020070015148 U KR2020070015148 U KR 2020070015148U KR 20070015148 U KR20070015148 U KR 20070015148U KR 20090002595 U KR20090002595 U KR 200900025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oupled
optical
optical cable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151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인희
전범석
Original Assignee
명성네트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명성네트콤 (주) filed Critical 명성네트콤 (주)
Priority to KR20200700151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02595U/ko
Publication of KR200900025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25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87Anchoring optical cables to connector housings, e.g. strain relief featur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52Distribution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8Overhead installation
    • G02B6/483Installation of aerial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 Patch Boar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다양한 작업 요소를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작업능률을 제고토록 할 뿐만 아니라, 분배함을 이루는 함체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여러 광케이블의 유니트를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광접속분배함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은, 바닥면(11) 저면에 관통되어 광케이블(Ot)이 인입되는 다수개의 인입공(11')이 구비되고, 일측이 본체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도어(16)가 구비된 본체(10)와; 일단부는 상기 본체(10) 내부 좌우측면(13,14) 중의 어느 한 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브라켓트(21)에 서로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부는 좌우측면 중의 나머지 한 면에 결합되는 제2지지브라켓트(22)에 형성된 개구홈(22')에 각각 걸리는 다수개의 회전판넬(30)과; 상기 도어(16)의 일측 혹은 이에 대향하는 본체(10)의 일측 중의 어느 한곳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6)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시건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Figure P2020070015148
분배함, 접속, 광케이블, 분기, 함체

Description

광접속분배함{A optical cable terminal box}
본 고안은 다양한 작업 요소를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함으로써, 작업능률을 제고토록 할 뿐만 아니라, 분배함을 이루는 함체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할 수 있으며, 여러 광케이블의 유니트를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광접속분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케이블은 광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로서, 전기신호를 전송하는 케이블과는 달리 많은 양의 정보를 손실 없이 신속하게 전송할 수 있어 최근 정보화 시대의 도래에 따라 상기 광케이블의 수요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광케이블과 관련한 기술 개발도 꾸준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와 같이, 광케이블은 설치 길이에 따라 중간 중간을 연결해야 하는 데, 이때 상기 광케이블은 별도의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연결되며, 상기 광케이블로부터 필요한 부분만큼 분기(分枝)가 이루어질 경우에도 광케이블 접속 단자를 이용하여 광케이블을 분기시키게 된다.
이러한, 광케이블에 있어서 종래의 연결 방식은 심선 접속부분의 보호함체로 서 광접속함체가 주로 사용되고 있는바, 상기 함체는 작업이 간편하고 지상 작업이 용이한 반면에 작업 완료 후 원래 위치인 가공 조가선에 취부 되어야 하나 여러 가지 이유로 지상에 방치되는 사례가 허다하여 대형 통신 장애를 유발하기도 하고 구조적 특성상 미려하게 마무리를 할 수 없었다.
또한, 광케이블의 연결수가 4~6개 이내로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신주별로 광케이블 접속 함체가 다수개 걸려있게 되어 도시미관이 저해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함체를 통한 광케이블 연결이나 분기 작업시 접속함체를 지상으로 내려 작업하고, 다시 전주의 상부로 올린 후에 고정시켜야 하기 때문에 접속함체의 이동중이나 전신주 상부 고정시 연결 장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의 국내 특허등록 제 584843호에 " 광케이블 분기 접속단자함 "이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의 광케이블 분기 접속단자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접속단자함의 시건장치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광케이블 분기 접속단자함은, 상면과 저면에 광케이블의 출입을 위한 다수개의 인입공(1a)이 구비되고 전면에 개폐 가능하도록 일측이 힌지 결합된 도어(1b)가 장착된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 중앙부에 전체 또는 부분적으로 탈착되며 전면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다단의 슬라이딩 판넬(2)과; 상기 슬라이딩 판넬(2)의 후방에 수직 장착되어 다단의 걸림구(3a)가 구비되며 상기 다단의 걸림구(3a)상에 슬라이딩 판넬(2) 후방 중앙부가 걸림 고정 되는 제1시건장치(3)와; 슬라이딩 판넬(2) 후방의 상부 일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넬(2)이 고정되도록 걸림브라켓(4a)이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고 그 상단부가 잠금수단(4b)이 구비된 함체(4c)와 결합되는 제2시건장치(4)와; 상기 인입공(1a)을 통해 삽입된 광케이블의 단부가 분기 결합되어 본체(1)의 내측 벽면상에 장착되는 광케이블 접속고정구(5)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의 광케이블 분기 접속단자함은, 본체(1) 내부에 장착된 각 슬라이딩 판넬(2)의 후방이 판넬(2)과 수직 결합된 수직지지간(3b)의 걸림구(3a)상에 개별적으로 결합되어 상기 수직지지간(3b) 상단 절곡부(3c)와 중앙지지봉(3d) 사이의 스프링(3c) 탄성에 의한 일차적인 판넬(2) 고정이 이루어지게 됨과 아울러 다단의 판넬(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판넬(2)은 본체(1) 내로 인입되는 중요 회선이 접속 분기되어 별도로 관리되도록 함체(4c)의 열쇠구멍(4d)을 통해 별도의 잠금수단을 이용하여 이차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광케이블 분기 접속단자함이 구성됨에도 불구하고, 여러 부품을 모듈화하여 각각을 통합함으로써 작업의 각 요소를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이 단축되도록 하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줄이도록 하는 요구가 점점 증가하게 되었다.
또한, 함체 내부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함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에도 안전함은 물론, 내부부품을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요구도 점차로 증가하게 되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광케이블 접속에 따른 작업이 대부분 전신주위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로, 다양한 작업 요소를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여러 광케이블의 유니트를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능률을 제고토록 할 수 있는 광접속분배함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그리고, 광케이블 접속분배함을 이루는 함체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함체 내부에서 작업시 필요로 하는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는 광접속분배함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바닥면 저면에 다수개의 광케이블 인입공이 관통되어 구비되고, 일측이 본체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도어가 구비된 본체 내부의 지지브라켓트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회전판넬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광접속분배함은, 광케이블 접속에 따른 작업이 대부분 전신주위에서 이루어지는 관계로, 다양한 작업 요소를 최소화하여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 록 함으로써, 작업능률을 제고토록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광접속분배함은, 광케이블 접속분배함을 이루는 함체 내부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이용함으로써, 함체 내부에서 작업시 필요로 하는 공간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으며, 정면의 도어 및 측면의 보조 도어를 열도록 함으로써 여러 광케이블의 유니트를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고안의 상기 목적은, 바닥면 저면에 다수개의 광케이블 인입공이 관통되어 구비되고, 일측이 본체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도어가 구비된 본체 내부의 지지브라켓트에 수평방향으로 회전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회전판넬을 구비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고안의 광접속분배함은, 전신주에 고정되어 내부로 인입되는 광케이블을 고정토록 하는 광접속분배함에 있어서, 함체로서 바닥면 저면에 관통되어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다수개의 인입공이 구비되고, 일측이 본체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도어가 구비된 본체와; 판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본체 내부 좌우측면 중의 어느 한 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브라켓트에 서로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좌우측면 중의 나머지 한 면에 결합되는 제2지지브라켓트에 형성된 개구홈에 각각 걸리는 다수개의 회전판넬과; 상기 도어의 일측 혹은 이에 대향하는 본체의 일측 중의 어느 한곳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시건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됨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바,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광접속분배함의 본체는,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내부에 담겨져서 충격 또는 외부의 기후변화에도 안전하게 광케이블에의 접속 및 분기(分枝)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케이싱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본체는 금속재질로 구성되며 표면은 부식 등에도 결딜 수있도록 도금 또는 도장에 의한 보호피막처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형상은 후술하는 도어가 결합된 상태에서 육면체의 함체를 이루도록 구성한다.
이때, 전면에는 필요에 따라 개폐되도록 일측이 힌지 결합된 도어가 장착되고, 상기 본체의 배면의 후면에 결합되어, 사각함체의 본체를 전신주 등에 타이밴드(tie band) 등으로써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함체지지브라켓이 결합된다.
그리고, 튜브 고정시 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우측면 혹은 좌우측면 중의 어느 한 면에도 필요에 따라 개폐되도록 일측이 힌지 결합된 보조도어가 장착되는바, 이와 같이 정면의 도어 외에 보조도어를 더 구비함으로써, 이들을 열면 작업 현장에서 작업자가 여러 광케이블의 유니트를 육안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본체의 바닥면 저면에는 본체 내부로의 광케이블 인입과 인출을 위한 다수의 원형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을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의 단부는 본체 내부 배면에 장착 고정되는 보조판넬에 일측이 견고하게 결합된 후, 다수개의 회전판넬상에 각각 고정되는 접속여장판에 분기·접속된다.
상기 본체는 그 내부 중앙부에 전방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판상의 회전판넬이 장착되고, 상기 회전판넬상에 각각 고정되는 접속여장판에 분기·접속되는 다수개의 광케이블의 안전과 보호를 위하여 별도의 시건장치가 장착되는 구조인바, 도어의 일측 또는 이에 대향되는 본체의 일측 중의 어느 한곳에 장착되어서 일단 닫힌 상태에서 도어가 더 이상 열리지 않도록 하는 시건장치가 부가된다.
또한, 본체의 바닥면 저면에는 다수개의 인입공이 관통되어 구비되어 광케이블이 인입되는바, 특히 상기 인입공에는 관체 형상의 광케이블인입부재가 고정되며, 내부의 통공을 거쳐서 본체 내부로 광케이블이 인입되고, 광케이블의 심선 접속이 끝난 다음 외피 고정용 열수축 튜브를 가열하여, 광케이블의 외피 및 상기 광케이블인입부재를 감싸면서 수축고정시킴으로써, 외부로부터의 빗물 및 습기 등의 침투가 방지된다.
그리고,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의 본체 내부에는 양측면에 제1,2지지브라켓트가 결합되며, 상기 제1지지브라켓트에는 판상의 회전판넬이 서로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각 회전판넬의 다단부는 제2지지브라켓트에 형성된 개구부에 각각 걸리어서 안착되어,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에도 접속여장판에 충분히 보호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회전판넬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상기 회전판넬이 최종위치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판넬과 도어의 중간위치에 받침판넬이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바, 하단부가 본체 바닥면의 전방 테두리부에 경첩 등에 의하여 걔폐기능하게 결합되되, 최대로 열려진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토퍼가 결합된다.
즉, 중앙의 회전중심을 기준으로 접철되는 다수개의 판재가 결합된 상기 스토퍼의 일단부는 받침판넬의 일측에 결합되고, 타단부는 본체의 좌우측면 중의 대향하는 어느 한 면에 결합되어, 최대로 열려진 상태에서 받침판넬이 수평을 이룬채로 그 각도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받침판넬이 최대로 열려진 상태에서 상기 받침판넬의 상면에는 각종 부품 등이 놓여질 수 있는바, 이는 광케이블 접속에 따른 작업환경이 전신주위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작업환경을 최적으로 유지시키도록 할 수 있는데, 예를들면 상기 받침판넬의 상면에 접속기 및 각종 작업공구 등을 내려놓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물론, 상기 본체에 결합되는 각종 판넬류인 도어, 보조도어, 제1,2지지브라켓트, 회전판넬 및 받침판넬 등은 주로 볼트 또는 나사 등에 의하여 체결되도록 구성되어, 유지보수를 위한 부품교체 또는 별도 부품의 추가 등이 용이하여 본 고안의 분배함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본 고안의 광접속분배함의 회전판넬은, 종래 기술의 슬라이딩 판넬에 해당되는 구성요소로서, 본체 좌우측면 중의 어느 한 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브라켓트와 좌우측면 중의 나머지 한 면에 결합되는 제2지지브라켓트에 결합지지되는 구성이다.
즉,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의 판상의 회전판넬은, 본체 우측면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는 제1지지브라켓트에 상하 간격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최종적으로 원위치 된 상태에서 지지상태가 견고하도록 하 기 위하여, 본체 좌측면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되는 제2지지브라켓트에 간격을 이루며 형성된 안착홈에 걸리게 된다.
또한,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에는 시건장치가 장착되는 바, 상기 도어의 일측 혹은 이에 대향하는 본체의 일측 중의 어느 한곳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어가 본체의 전면에 닫힌 상태에서 상기 시건장치가 잠기게되면, 외부에서 본 광케이블 시설과 무관한 자들이 본 시설을 훼손하여 하는 것에 대비를 할 수 있게 되는데,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의 특정 구성요소를 교체하거나 내부 구성을 점검고자 하는 때에는 본 고안의 시건장치를 다시 해제함으로써 도어를 열면 된다.
그리고, 본체 내부의 배면에는 판상의 보조판넬이 부가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한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는 다수개의 관통공이 형성되는바, 테두리부의 관통공을 통하여 스크류 등의 고정부재로써 본 고안의 보조 판넬을 본체 내부의 배면에 체결하게 되고, 나머지 다수개의 관통공에는 다수개의 광케이블이 별도의 고정브라켓트에 결합되어 고정되는 등 다양하게 활용된다.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의 상기 목적에 대한 기술적 구성을 비롯한 작용효과에 관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광접속분배함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광접속분배함 및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의 제1,2지지브라켓트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고안 광 접속분배함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은, 함체로서 바닥면(11) 저면에 관통되어 광케이블(Ot)이 인입되는 다수개의 인입공(11')이 구비되고, 일측이 본체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도어(16)가 구비된 본체(10)와; 판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본체(10) 내부 좌우측면(13,14) 중의 어느 한 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브라켓트(21)에 서로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며, 타단은 좌우측면 중의 나머지 한 면에 결합되는 제2지지브라켓트(22)에 형성된 개구홈(22')에 각각 걸리는 다수개의 회전판넬(30)과; 상기 도어(16)의 일측 혹은 이에 대향하는 본체(10)의 일측 중의 어느 한곳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6)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시건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튜브 고정시 장애를 방지하기 위하여, 본체 우측면(14) 혹은 좌우측면(13) 중의 어느 한 면에도 필요에 따라 개폐되도록 일측이 힌지 결합된 보조도어(17)가 장착되며, 상기 본체의 바닥면 저면에는 본체 내부로의 광케이블 인입과 인출을 위한 다수의 인입공(11')이 형성되고, 상기 인입공(11')을 통해 인입된 광케이블의 단부는 본체 내부 배면에 장착 고정되는 보조판넬(23)에 일측이 견고하게 결합된 후 다수개의 회전판넬(30)상에 각각 고정되는 접속여장판(미도시)에 분기·접속된다.
또한, 상기 회전판넬(30)이 최종위치에 안착된 상태에서, 회전판넬(30)과 도어(16)의 중간위치에, 받침판넬(19)이 일정각도 범위내에서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바, 하단부가 본체 바닥면(11)의 전방 테두리부에 경첩 등에 의하여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되, 최대로 열려진 상태에서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스토퍼(19')가 결합된다.
미설명부호 C는 접속여장판, h는 나사관통공, S는 체결나사, W는 스터드이다.
도 6은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의 제1지지브라켓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의 제1지지브라켓트(21)는, 판재로서 일단부가 상기 본체(10) 내부의 우측면(14)에 결합되어, 상ㆍ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결합된 회전판넬결합부재(21")에 상기 회전판넬(30)이 각각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1지지브라켓트(21)의 일측에는 상ㆍ하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되어 회전판넬안착홈(21')이 형성되어, 회전판넬(30)이 회전되어 최대로 열려진 상태에서 광 케이블과 관련한 작업도중에 상기 회전판넬(30)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종래의 광케이블 분기 접속단자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접속단자함의 시건장치가 도시된 부분 절개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 및 제1,2지지브라켓트를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의 제1지지브라켓트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고안 광접속분배함의 내부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본체 11 : 바닥면 11' : 인입공
11" : 광케이블인입부재 13 : 좌측면 14 : 우측면
15 : 배면 16 : 도어 17 : 보조도어
19 : 받침판넬 21 : 제1지지브라켓트 22 : 제2지지브라켓트
22' : 개구홈 23 : 보조판넬 30 : 회전판넬
40 : 시건장치 50 : 함체지지브라켓트

Claims (6)

  1. 전신주에 고정되어 내부로 인입되는 광케이블을 고정토록 하는 광접속분배함에 있어서,
    바닥면(11) 저면에 관통되어 광케이블이 인입되는 다수개의 인입공(11')이 구비되고, 일측이 본체 전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된 도어(16)가 구비된 함체상의 본체(10)와;
    일단부는 상기 본체(10) 내부 좌우측면(13,14) 중의 어느 한 면에 결합되는 제1지지브라켓트(21)에 상하로 간격을 이루며, 동일축상에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부는 좌우측면 중의 나머지 한 면에 결합되는 제2지지브라켓트(22)에 형성된 개구홈(22')에 각각 걸리는 다수개의 회전판넬(30)과;
    상기 도어(16)의 일측 혹은 이에 대향하는 본체(10)의 일측중의 어느 한곳에 구비되어, 상기 도어(16)가 닫힌 상태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시건장치(4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분배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 배면(15)의 후면에 상하방향으로 결합되며, 상단부 및 하단부는 상기 전신주에 고정되는 함체지지브라켓(5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분배함.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브라켓트(21)이 결합되는 본체(10)의 좌우측면(13,14)중의 어느 한 면에 개폐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도어(17)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분배함.
  4. 제 1항에 있어서,
    판재로서 상기 본체(10) 내부의 배면(15)에 결합되는 보조판넬(23)을 더 포함하며, 전면에 관통형성된 지지공(23')에는 상기 다수개의 인입공(11')으로 인입된 광케이블(Ot)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분배함.
  5. 제 1항에 있어서,
    판재로서 일측이 본체 바닥면(11)의 전방 테두리부에 결합되어, 상기 도어(16)방향으로 개폐되는 받침판넬(19)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분배함.
  6. 제 1항에 있어서,
    관체로서 내부의 통공(h1)을 통하여 광케이블이 인입되며, 일측이 상기 본체(10)의 인입공(11')에 삽입되는 다수개의 광케이블인입부재(1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접속분배함.
KR2020070015148U 2007-09-11 2007-09-11 광접속분배함 KR200900025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148U KR20090002595U (ko) 2007-09-11 2007-09-11 광접속분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15148U KR20090002595U (ko) 2007-09-11 2007-09-11 광접속분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2595U true KR20090002595U (ko) 2009-03-16

Family

ID=41288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15148U KR20090002595U (ko) 2007-09-11 2007-09-11 광접속분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02595U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334B1 (ko) * 2012-01-06 2013-07-11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케이블 단자함
WO2013103206A1 (en) * 2012-01-06 2013-07-11 A.J. World Co., Ltd. Optical cable terminal box
KR102134870B1 (ko) * 2020-02-14 2020-07-16 김근태 전선 트레이 설치용 분전함
KR102284102B1 (ko) * 2021-05-20 2021-07-30 최장헌 수평회전 조절이 용이한 함체용 브라켓
KR102292122B1 (ko) * 2021-05-20 2021-08-23 엄중섭 수평회전 조절이 용이한 함체용 브라켓 체결구조
CN114660747A (zh) * 2022-03-31 2022-06-24 杭州兴达通信有限公司 一种模块式光缆交接箱及组装方法
KR20220145480A (ko) 2021-04-22 2022-10-31 이명길 슬라이딩 개폐 방식의 광분배함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5334B1 (ko) * 2012-01-06 2013-07-11 주식회사 에이제이월드 광케이블 단자함
WO2013103206A1 (en) * 2012-01-06 2013-07-11 A.J. World Co., Ltd. Optical cable terminal box
WO2013103207A1 (en) * 2012-01-06 2013-07-11 A.J. World Co., Ltd. Optical cable terminal box
KR102134870B1 (ko) * 2020-02-14 2020-07-16 김근태 전선 트레이 설치용 분전함
KR20220145480A (ko) 2021-04-22 2022-10-31 이명길 슬라이딩 개폐 방식의 광분배함
KR102284102B1 (ko) * 2021-05-20 2021-07-30 최장헌 수평회전 조절이 용이한 함체용 브라켓
KR102292122B1 (ko) * 2021-05-20 2021-08-23 엄중섭 수평회전 조절이 용이한 함체용 브라켓 체결구조
CN114660747A (zh) * 2022-03-31 2022-06-24 杭州兴达通信有限公司 一种模块式光缆交接箱及组装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02595U (ko) 광접속분배함
US8093496B2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moveable communication panels
EP2264501B1 (en) Method of adding equipment to a fiber distribution hub
US8038015B2 (en) Equipment rack panel system and method
US7349615B2 (en) Fiber optic housing assembly for fiber optic connections comprising pivotable portion
KR20100017404A (ko) 광케이블 접속 및 분배 함
US20100259145A1 (en) Modular Telecommunications Frame and Enclosure Assembly
US20080239632A1 (en) Apparatus for improving the accessiblity of a mounted structure
JP3937043B2 (ja) モジュール式家具用相互接続パネル
KR200455528Y1 (ko) 통신 보안 시스템 박스
KR101012437B1 (ko) 개폐수단을 가지는 통신장비 안치용 랙
KR102403918B1 (ko) 모듈내장형 광케이블 단자함
KR100584843B1 (ko) 광케이블 분기 분배 접속함
US6314230B1 (en) Fiber interconnection assembly
KR101379919B1 (ko) 듀얼 분기용 광접속함체
KR102549494B1 (ko) 슬라이딩 개폐 방식의 광분배함
EP2729836B1 (de) Netzabschluss-einrichtung für optische netzwerke
KR20070062948A (ko) 옥내용 동케이블 및 광케이블 겸용 단자함
KR200444464Y1 (ko) 광단자함
KR101092706B1 (ko) 통신 케이블용 공동 접속함체
US20170346268A1 (en) Protective skirt for telecommunications lines
KR200385420Y1 (ko) 케이블 수납부가 구비된 광단자함
KR101670889B1 (ko) 케이블 매니저
KR20230103502A (ko) 어댑터 구조 및 가공용 광탭
KR200497803Y1 (ko) 조명 설비용 배선 덕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