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9558B1 - 광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 - Google Patents

광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9558B1
KR101129558B1 KR1020100088901A KR20100088901A KR101129558B1 KR 101129558 B1 KR101129558 B1 KR 101129558B1 KR 1020100088901 A KR1020100088901 A KR 1020100088901A KR 20100088901 A KR20100088901 A KR 20100088901A KR 101129558 B1 KR101129558 B1 KR 101129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ove
holder
optical cable
housing
elastic pie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88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26785A (ko
Inventor
신동우
오세윤
최재영
Original Assignee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빛샘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빛샘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88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9558B1/ko
Publication of KR201200267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267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9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95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6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installing or repairing optical fibres or optical cables
    • G02B6/48Overhead installation
    • G02B6/483Installation of aerial typ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02B6/3807Dismountable connectors, i.e. comprising plugs
    • G02B6/3833Details of mounting fibres in ferrules; Assembly methods; Manufacture
    • G02B6/3834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 G02B6/3843Means for centering or aligning the light guide within the ferrule with auxiliary facilities for movably aligning or adjusting the fibre within its ferrule, e.g. measuring position or eccentric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4Systems or boxes with surplus lengths
    • G02B6/4441Boxes
    • G02B6/4446Cable boxes, e.g. splicing boxes with two or more multi fibre cab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44Mechanical structures for providing tensile strength and external protection for fibres, e.g. optical transmission cables
    • G02B6/4439Auxiliary devices
    • G02B6/4471Terminating devices ; Cable clam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ight Guides In General And Application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를 개시한 것으로서, 서로 마주보는 제 1 홀더의 제 1 홈과 제 2 홀더의 제 2 홈 사이에 광 케이블을 위치시키고, 제 1 홀더와 제 2 홀더 간의 체결력을 이용하여 제 2 홈에 제공된 탄성 편을 변형시켜 광 케이블을 감싸면서 홀딩한다.

Description

광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OPTICAL CABLE HOLDER AND OPTICAL CABLE CONNECTION DEVIC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광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광 케이블을 홀딩하는 홀더와 이를 구비한 직선형 가공 케이블 접속 함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화국과 가입자 간을 광 케이블로 연결하는 과정에서는 여러 접속지점들이 필요하며, 이러한 지점들에는 광 케이블용 접속 자재들 예컨데, 광 케이블 접속 함체나 광 중간절체함 또는 공단자함 등이 설치되어 광 케이블 간을 서로 연결한다.
상기의 광 케이블용 접속 자재들 중 광 케이블 접속 함체는 케이블 홀더를 이용하여 함체로 인입되는 광 케이블을 고정한다. 하지만, 종래의 함체에 구비된 케이블 홀더는 광 케이블의 과도한 눌림으로 인해 광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광의 손실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보다 효율적인 방법으로 광 케이블을 홀딩할 수 있는 광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케이블 접속 장치는, 광 케이블 접속 모듈이 내장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 인입되는 광 케이블을 홀딩하는 광 케이블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광 케이블 홀더는,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1 홈이 형성된 제 1 홀더;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2 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제 2 홈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 탄성 편을 포함하는 제 2 홀더; 및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홀더에 상기 제 2 홀더를 결합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편은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력에 의한 상기 제 1 홈과의 접촉 변형에 의해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광 케이블을 감싼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홀더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편은 상기 제 2 홈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편은, 상기 제 2 홈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편의 내측 면은 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편은 상기 제 2 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홈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홈의 곡률은 상기 제 2 홈의 곡률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의 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광 케이블의 외피에 압입되어 상기 광 케이블을 고정하는 돌출부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홈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2 상부 홈과,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2 하부 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제 2 상부 홈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 제 1 탄성 편과, 상기 제 2 하부 홈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 제 2 탄성 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홀더는 상기 제 2 상부 홈과 상기 제 2 하부 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홈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홀더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상부 홈의 곡률과 상기 제 2 하부 홈의 곡률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케이블 홀더는,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1 홈이 형성된 제 1 홀더;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2 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제 2 홈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 탄성 편을 포함하는 제 2 홀더; 및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홀더에 상기 제 2 홀더를 결합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편은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력에 의한 상기 제 1 홈과의 접촉 변형에 의해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광 케이블을 감싼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탄성 편의 내측 면은 곡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홈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2 상부 홈과,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2 하부 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제 2 상부 홈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 제 1 탄성 편과, 상기 제 2 하부 홈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 제 2 탄성 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홀더는 상기 제 2 상부 홈과 상기 제 2 하부 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홈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홀더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 2 상부 홈의 곡률과 상기 제 2 하부 홈의 곡률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광 케이블의 홀딩시 광 케이블의 눌림을 최소화하여, 광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광의 손실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광 케이블을 홀딩할 수 있다.
이하에 설명된 도면들은 단지 예시의 목적을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 케이블 접속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가설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가설 모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잠금 레버와 제 1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잠금 레버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잠금 레버가 제 1 하우징에 힌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레버 핸들러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4의 제 2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도 10a는 도 9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0b는 도 9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잠금 모듈을 이용한 하우징의 잠금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하우징 잠금 과정에서의 잠금 레버와 레버 록킹부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5는 하우징의 잠금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은 도 4의 광 케이블 접속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광 케이블 홀더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7의 광 케이블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제 1 홀더와 제 2 홀더의 하부 홈을 이용한 광 케이블 홀딩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제 1 홀더와 제 2 홀더의 상부 홈을 이용한 광 케이블 홀딩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1a는 종래의 광 케이블 홀더를 이용하여 홀딩된 광 케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1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케이블 홀더를 이용하여 홀딩된 광 케이블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2a는 종래의 광 케이블 홀더를 이용하여 광 케이블을 홀딩하기 전후의 광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광의 손실 값을 보여주는 표이다.
도 22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케이블 홀더를 이용하여 광 케이블을 홀딩하기 전후의 광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광의 손실 값을 보여주는 표이다.
도 23은 도 16의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연결 로드와 제 1 고정판의 사시도이다.
도 25a 및 도 25b는 도 16의 제 2 고정판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도 26은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7은 여장판 지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8은 도 27의 "C" 부분을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도이다.
도 29는 도 27의 여장판 지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30 및 도 31은 여장판 지지 모듈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2는 걸림 돌기가 걸림 턱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광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 실시 예 )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광 케이블 접속 장치(10)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고안에 따른 광 케이블 접속 장치(10)는 하우징(100)과 가설 모듈(200)을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가설 모듈(200)에 의해 가공 지선(GW, Ground Wire)에 고정되고, 하우징(100)에는 접속될 광 케이블(OC, Optical Cable)이 인입된다. 광 케이블(OC)은, 하우징(100)이 개방된 상태에서, 하우징(100)에 인입되고 접속 시공된다. 시공 완료 후, 하우징(100)은, 광 케이블(OC)의 연결 부위 및 광 섬유의 접속 부위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가설 모듈(200)은, 하우징(100)이 공중에 가설되도록 하우징(100)을 가공 지선(GW)에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 하우징(100) 상단의 복수의 지점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설 모듈(200)은 하우징(100) 상단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가공 지선(GW)과 광 케이블(OC) 사이의 거리(L)는 시공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으며, 가설 모듈(200)은 가공 지선(GW)과 광 케이블(OC) 사이의 거리(L)에 따라 가변적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가설 모듈(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가설 모듈(200)은 제 1 및 제 2 연결 부재(220, 240), 그리고 제 1 체결 부재(260)를 포함한다. 제 1 연결 부재(220)는 가공 지선(GW)을 파지한다. 제 2 연결 부재(240)는 하우징(100)에 결합되며, 제 1 연결 부재(22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한다. 상하 방향으로 이동된 제 1 연결 부재(220)는 제 1 체결 부재(260)에 의해 제 2 연결 부재(240)에 결합된다.
제 1 연결 부재(220)는 가동판(222)과 파지부(230)를 포함한다. 가동판(222)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길이가 긴 변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가동판(222)의 하단부에는 제 1 체결 홀(223)이 관통 형성되고, 제 1 체결 홀(223)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가동판(222)의 상단부에는 제 1 파지 홀(225)이 관통 형성되고, 제 1 파지 홀(225)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가동판(222)의 좌우 양 측면에는 가이드 돌기(227)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파지부(230)는 가공 지선(GW)을 파지하도록 가동판(222)에 제공된다. 파지부(230)는 가동판(222)의 상단으로부터 '∩'자 모양으로 연장된 파지판(232)을 가진다. 파지판(232) 상에는, 가동판(222)의 제 1 파지 홀(225)과 마주보는 위치에 제 2 파지 홀(233)이 형성된다. 제 2 파지 홀(233)은 길이 방향이 상하 방향을 향하는 장공 형상의 홀일 수 있다. 가동판(222)에 형성된 제 1 파지 홀(225)과, 파지판(232)에 형성된 제 2 파지 홀(233)에는 제 2 체결 부재(234)가 삽입된다. 제 2 체결 부재(234)는 외주 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 나사일 수 있다.
가공 지선(GW)이 파지판(232)의 곡선부에 삽입된 후, 제 2 체결 부재(234)가 제 1 및 제 2 파지 홀들(225,233)에 체결되면, 제 1 연결 부재(220)가 가공 지선(GW)에 고정될 수 있다.
제 2 연결 부재(240)는 고정판(242)과 가이드부(250)를 포함한다. 고정판(242)은 대체로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일 수 있으며, 길이가 긴 변이 상하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고정판(242)의 하단부에는 고정 홀들(243)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판(242)이 하우징(100)의 벽면에 접한 상태에서, 고정 홀들(243)에 체결 나사가 체결되면, 고정판(242)이 하우징(100)에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부(250)는 제 1 연결 부재(220)의 가동판(222)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도록 고정판(242)에 제공된다. 가이드부(250)는 고정판(242)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1 가이드 플레이트들(252)과, 제 1 가이드 플레이트들(252)로부터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 2 가이드 플레이트들(254)을 가진다. 가동판(222)이 고정판(242)과 가이드부(250) 사이에 삽입되면, 제 1 가이드 플레이트들(252)은 가동판(222)의 양 측면을 지지하고, 제 2 가이드 플레이트들(254)은 가동판(222)의 배면을 지지한다.
제 1 가이드 플레이트들(252)에는 가동판(222)의 이동 방향을 따라 장공 형상의 가이드 홀(253)이 형성되고, 가이드 홀(253)에는 가동판(222)에 형성된 가이드 돌기(227)가 삽입된다. 가이드 돌기(227)는 가동판(222)의 상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가동판(222)이 위쪽으로 이동할 경우, 가이드 돌기(227)가 가이드 홀(253)의 내측 상면에 접촉되면, 가동판(222)의 이동이 멈추어진다. 그리고, 가동판(222)이 아래쪽으로 이동할 경우, 가이드 돌기(227)가 가이드 홀(253)의 내측 하면에 접촉되면, 가동판(222)의 이동이 멈추어진다.
고정판(242)에는 가동판(222)의 상하 이동에 따른 제 1 체결 홀(223)의 이동 궤적을 따라 복수 개의 제 2 체결 홀들(245)이 관통 형성되며, 제 2 체결 홀들(245)에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가동판(222)은 제 1 체결 홀(223)이 제 2 체결 홀들(245) 중 어느 하나의 홀에 정렬되도록 이동될 수 있으며, 제 1 및 제 2 체결 홀(223, 245)에 제 1 체결 부재(260)가 삽입되면, 가동판(222)이 고정판(242)에 결합된다. 제 1 체결 부재(260)는 외주 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 나사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가설 모듈(200)은 가공 지선(GW)과 광 케이블(OC) 사이의 거리(L)에 따라 가변적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공 지선(GW)과 광 케이블(OC) 사이의 거리(L)가 먼 경우, 제 1 체결 홀(223)이 제 2 체결 홀들(245) 중 가장 위쪽의 홀에 정렬되도록 가동판(222)을 상측으로 이동시키고, 체결 홀들(223,245)에 제 1 체결 부재(260)를 체결한다.(도 3a) 이와 반대로, 가공 지선(GW)과 광 케이블(OC) 사이의 거리(L)가 가까운 경우, 제 1 체결 홀(223)이 제 2 체결 홀들(245) 중 가장 아래쪽의 홀에 정렬되도록 가동판(222)을 하측으로 이동시키고, 체결 홀들(223,245)에 제 1 체결 부재(260)를 체결한다.(도 3b)
하우징(100)은, 가설 부재(200)에 의해 가공 지선에 고정된 상태에서, 광 케이블의 접속을 위해 개폐될 수 있다.
도 4는 하우징이 개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을 포함한다.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은 전면이 개방된 구조를 가지며,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회전 방식에 개폐될 수 있다. 가설 부재(200)는 제 1 하우징(100a)의 상단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 1 하우징(100a)은 가설 부재(200)에 의해 가공 지선에 고정되므로, 하우징(100)은 제 2 하우징(100b)의 회전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제 2 하우징(100b)의 회전에 의해 제 1 하우징(100a)이 닫히면, 제 1 및 제 2 하우징(100a,100b)은 잠금 모듈(300)에 의해 잠금될 수 있다. 그리고, 광 케이블의 접속 시공을 위해, 제 1 및 제 2 하우징(100a,100b)은 잠금 모듈(300)에 의해 잠금 해제될 수 있다.
잠금 모듈(300)은 잠금 레버(320)와, 레버 록킹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잠금 레버(320)는 제 1 하우징(100a)의 상단부에 힌지 결합되고, 레버 록킹부(340)는 제 2 하우징(100b)의 상단부에 제공될 수 있다. 잠금 레버(320)가 힌지 결합에 의해 레버 록킹부(340)를 향해 회전되고, 레버 록킹부(340)와 결합되면,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이 잠금 상태로된다.
도 5는 도 4의 잠금 레버와 제 1 하우징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잠금 레버의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잠금 레버가 제 1 하우징에 힌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잠금 레버(320)는 몸체(322)와 가동 힌지부(324)를 포함한다. 몸체(322)는 'ㄱ'자 모양의 유선형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00a)의 상단부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몸체(322)의 상하 방향으로 절곡된 부분의 하면에는 복수 개의 가동 힌지부(324)가 결합된다. 가동 힌지부(324)는 몸체(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지점에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제 1 하우징(100a)의 상단부에는 잠금 레버(320)의 가동 힌지부(324)가 힌지 결합되는 고정 힌지부(110)가 제공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 힌지부(324)가 고정 힌지부(110)에 힌지 결합되고, 가동 힌지부(324)와 고정 힌지부(110)의 홀들(미도시)에 힌지 축(326)이 결합됨으로써, 잠금 레버(320)가 제 1 하우징(100a)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가동 힌지부(324)가 결합되는 몸체(322)의 하면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요(凹)부 형상의 잠금 홈(323)이 형성될 수 있다. 잠금 홈(323)은 후술할 레버 록킹부(340)의 잠금 돌기(342)에 끼워 맞춤되며,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잠금 레버(320)의 몸체(322)의 중앙부 상면에는 복수 개의 홀들(325)이 형성될 수 있다. 홀들(325)에는 도 8에 도시된 레버 핸들러(360)가 삽입된다. 레버 핸들러(360)는 잠금 레버(320)가 레버 록킹부(340)에 결합되도록 잠금 레버(320)를 회전시킨다. 레버 핸들러(320)는 홀들(235)에 삽입되는 제 1 로드들(362a, 362b)과, 제 1 로드들(362a, 362b)의 끝단으로부터 상기 홀들(325)의 길이 방향에 수직하게 연장되는 제 2 로드들(364a, 364b), 그리고 제 2 로드들(364a, 364b)의 끝단을 연결하는 제 3 로드(36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도 4의 제 2 하우징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10a는 도 9의 A-A' 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0b는 도 9의 B-B'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와, 도 9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레버 록킹부(340)는 잠금 레버(3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제 2 하우징(100b) 상단부의 복수의 지점에 일렬로 제공될 수 있다. 레버 록킹부(340)는 제 1 레버 록킹부(340a)와 제 2 레버 록킹부(340b)를 포함하며, 레버 록킹부(340)는 제 2 하우징(100b) 상단의 중앙 영역과, 중앙 영역의 좌우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 2 레버 록킹부(340b)는 하나 또는 복수 개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레버 록킹부(340a)는 제 2 레버 록킹부(340b)의 양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 1 레버 록킹부(340a)는 제 2 하우징(100b) 상단부의 상면에 제공되는 잠금 돌기(342a)를 가진다. 잠금 돌기(342a)는 철(凸)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00a)의 반대 측을 향하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잠금 돌기(342a)의 철(凸)부 형상은 잠금 레버(320)의 잠금 홈(323)의 요(凹)부 형상과 동일할 수 있으며, 잠금 돌기(342a)는 잠금 레버(320)의 회전에 의해 잠금 레버(320)의 잠금 홈(323)과 억지 끼워 맞춤될 수 있다.
제 2 레버 록킹부(340b)는 제 2 하우징(100b) 상단부의 상면에 제공되는 잠금 돌기(342b)를 가진다. 잠금 돌기(342b)는 철(凸)부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00a)의 반대 측을 향하는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잠금 돌기(342b)의 철(凸)부 형상은 잠금 레버(320)의 잠금 홈(323)의 요(凹)부 형상과 동일할 수 있으며, 잠금 돌기(342b)는 잠금 레버(320)의 회전에 의해 잠금 레버(320)의 잠금 홈(323)과 억지 끼워 맞춤될 수 있다. 그리고, 철(凸)부 형상의 잠금 돌기(342b)의 반대 측에는 힌지 축 고정 부재(344b)가 제공될 수 있다. 힌지 축 고정 부재(344b)는 일부가 개구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힌지 축 고정 부재(344b)에는 잠금 레버(320)와 제 1 하우징(100a)의 힌지 결합 축(도 7의 도면 참조 번호 326)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잠금 레버(320), 레버 록킹 부재(340) 및 레버 핸들러(360)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하우징(100a, 100b)의 잠금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1 내지 도 13은 클립 핸들을 이용한 하우징의 잠금 과정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제 2 하우징(100b)의 회전에 의해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이 닫힌 상태에서, 잠금 레버(320)는 제 2 하우징(100b)을 향해 회전될 수 있다. 잠금 레버(320)가 일정 각도 회전한 상태에서, 잠금 레버(320)의 홀(325)에 레버 핸들러(360)가 삽입된다. 레버 핸들러(360)가 제 2 하우징(100b)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되면, 잠금 레버(310)가 회전하여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을 잠금 상태가 되도록한다.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의 잠금 해제는 상기 과정의 역순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2의 레버 핸들(360)의 동작에 의해 도 13의 잠금 상태에 이르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4a 내지 도 14c는 하우징 잠금 과정에서의 잠금 레버와 레버 록킹부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면, 잠금 레버(320)와 제 1 하우징(100a)을 힌지 결합하는 힌지 축(도 7의 도면 참조 번호 326)이 레버 록킹부(340)의 힌지 축 고정 부재(344b)에 삽입된 상태에서, 잠금 레버(320)가 제 2 하우징(100b)을 향해 회전하면, 잠금 홈(323)의 일측의 돌출부가 잠금 돌기(342b)의 모서리부와 접촉한다. 잠금 홈(323)과 잠금 돌기(342b)의 접촉으로 인해 잠금 레버(320)의 회전에 간섭이 일어나기 때문에, 잠금 레버(320)는 외력의 작용이 없이 자체로 회전할 수 없게된다.(도 14a)
이때, 잠금 레버(320)에 레버 핸들러(360)를 삽입하고, 레버 핸들러(360)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면, 잠금 홈(323)의 일측의 돌출부가 잠금 돌기(342b)의 모서리부를 타고 넘어 회전한다.(도 14b)
계속해서, 레버 핸들러(360)를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면, 잠금 레버(320)가 회전하며, 잠금 레버(320)는 잠금 홈(323)에 레버 록킹부(340)의 잠금 돌기(342b)가 삽입될 때까지 회전된다. 잠금 돌기(342b)의 잠금 홈(323)으로의 삽입은 일종의 억지 끼워 맞춤으로, 레버 핸들러(360)를 이용한 외력의 작용에 의해 잠금 홈(323)에 잠금 돌기(342b)가 삽입 고정되는 것이다. 이때, 잠금 레버(320)의 몸체(322) 내측면은 제 2 하우징(100b)의 외측 면에 접촉된다.(도 14c)
도 14a 내지 도 14c를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의 과정을 통해, 제 1 하우징(100a)과 제 2 하우징(100b)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잠금 상태가 될 수 있다.
도 16은 도 4의 광 케이블 접속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광 케이블 가스켓(420), 광 케이블 홀더(500) 및 심선 보호용 가스켓(440)은 제 1 하우징(100a)의 측면에 수평 방향으로 일렬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00a)으로 인입되는 광케이블의 수만큼 상하 방향으로 복수 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광 케이블 가스켓(420), 광 케이블 홀더(500) 및 심선 보호용 가스켓(440)은 제 1 하우징(100a)의 좌우 양 측면에 서로 마주보는 위치에 제공될 수 있다. 광 케이블 홀더(500)는 제 1 하우징(100a)의 좌우 양측에 각각 제공되는 홀더 삽입 홈(130)에 설치되고, 광 케이블 가스켓(440)은 홀더 삽입 홈(130)의 내측에 제공되는 가스켓 삽입 홈(140)에 설치된다.
광 케이블은 가장 내측에 위치한 원추 형상의 광 케이블 가스켓(420)을 통해 제 1 하우징(100a)으로 인입되며, 인입되는 광 케이블은 광 케이블 홀더(500)에 의해 제 1 하우징(100a)에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심선 보호용 가스켓(440)은 광 케이블 홀더(500)의 외측에 위치한 광 케이블의 부분을 감싼다. 제 1 하우징(100a)에 인입된 광 케이블의 중심인장선은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600)에 의해 고정되고, 광 섬유 심선은 여장판(710)에서 접속 및 여장 처리된다.
도 17은 도 16의 광 케이블 홀더(500)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도 17의 광 케이블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광 케이블 홀더(500)는 제 1 홀더(520), 제 2 홀더(540), 그리고 체결 부재(560)를 포함한다. 제 1 홀더(520)는 제 1 하우징(도 16의 도면 번호 100a)의 홀더 삽입 홈(130)에 결합된다. 제 1 홀더(520)와 제 2 홀더(540) 사이에는 광 케이블이 위치하고, 제 2 홀더(540)는 체결 부재(560)에 의해 제 1 홀더(520)와 결합하여 광 케이블을 고정한다.
제 1 홀더(520)는 몸체부(521)와 고정부(527)를 포함한다. 몸체부(521)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몸체부(521)의 상면 중심부에는 양단이 개방된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1 홈(522)이 형성된다. 제 1 홈(522)에는 돌출부들(524)이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들(524)은, 제 1 홀더(520)와 제 2 홀더(540)의 결합시, 광 케이블의 외피에 압입되어 광 케이블을 고정한다. 돌출부들(524)은 제 1 홈(5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제 1 홈(522)의 중심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521)의 제 1 홈(522) 양측에는 몸체부(5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홀들(526)이 형성된다. 고정부(527)는 몸체부(521)의 평면보다 큰 평면의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며, 몸체부(521)와 일체를 이루도록 몸체부(521)의 하단에 제공된다. 몸체부(521)의 홀들(526)의 위치에 대응하는 고정부(527) 상의 위치에는 체결 홀들(528)이 관통 형성되며, 체결 홀들(528)의 내측 면에는 암나사가 형성된다. 고정부(527)의 바닥면이 제 1 하우징(100a)의 홀더 삽입 홈(130)의 바닥면에 결합되는 것에 의해, 제 1 홀더가 제 1 하우징(100a)의 홀더 삽입 홈(130)에 결합된다.
제 2 홀더(540)는 몸체부(541), 가이드부들(548a,548b), 그리고 탄성 편들(548a,548b)을 포함한다. 몸체부(541)는 대체로 직육면체 형상을 가진다. 몸체부(541)의 상면 중심부에는 양단이 개방된 오목한 곡면 형상의 상부 홈(542a)이 형성되고, 몸체부(541)의 하면 중심부에는 양단이 개방된 오목한 곡면 형상의 하부 홈(542b)이 형성된다. 상부 홈(542a)과 하부 홈(542b)은 제 1 홀더(520)의 제 1 홈(522)보다 큰 곡률을 가지는 곡면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부 홈(542a)의 곡면의 곡률은 하부 홈(542b)의 곡면의 곡률과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부 홈(542a)의 곡률이 하부 홈(542b)의 곡률보다 클 수 있으며, 이와 반대로 하부 홈(542b)의 곡률이 상부 홈(542a)의 곡률보다 클 수도 있다. 즉, 상부 홈(542a)과 하부 홈(542b)은 상이한 곡률을 가지므로, 양자의 곡률 반경 또한 서로 상이하고, 이에 의해 상부 홈(542a)과 하부 홈(542b)에 삽입되는 광 케이블의 직경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부 홈(542a)에는 돌출부들(544a)이 돌출 형성되고, 하부 홈(542b)에는 돌출부들(544b)이 돌출 형성된다. 돌출부들(544a,544b)은, 제 1 홀더(510)와 제 2 홀더(520)의 결합시, 광 케이블의 외피에 압입되어 광 케이블을 고정한다. 돌출부들(544a)은 상부 홈(542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상부 홈(542a)의 중심 영역에 제공되고, 돌출부들(544b)은 하부 홈(54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열을 이루도록 하부 홈(542b)의 중심 영역에 제공될 수 있다.
몸체부(541)의 상부 홈(542a) 및 하부 홈(542b) 양측에는 몸체부(54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홀들(546)이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몸체부(541)의 상면 모서리 4 곳과, 몸체부(541)의 하면 모서리 4 곳에는 꺽쇠 형상의 가이드부들(547a,547b)이 제공된다. 가이드부들(547a)은 몸체부(541)의 상면 모서리로부터 위 방향으로 연장되고, 가이드부들(547b)은 몸체부(541)의 하면 모서리로부터 아래 방향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부들(547a,547b)과 후술할 탄성 편들(548a,548b) 사이의 공간에는, 제 1 홀더(520)와 제 2 홀더(540)의 결합시, 제 1 홀더(520) 상면 양측의 평면부가 삽입된다. 이때, 제 1 홀더(520)의 홀들(526)과 제 2 홀더(540)의 홀들(546)은 중심이 일치하도록 정렬된다.
탄성 편들(548a)은 상부 홈(542a)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되고, 상부 홈(542a)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위 방향을 향해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연장된다. 탄성 편들(548b)은 하부 홈(542b)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되고, 하부 홈(542b)의 가장자리 영역으로부터 아래 방향을 향해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연장된다. 탄성 편들(548a,548b)의 내측 면은 곡면일 수 있으며, 탄성 편들(548a,548b)은 상부 홈(542a)과 하부 홈(54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부 홈(542a)과 하부 홈(542b)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탄성 편들(548a,548b)은, 제 1 홀더(520)와 제 2 홀더(540)의 결합시, 체결 부재(560)의 체결력에 의해 제 1 홀더(520)의 제 1 홈들(522)과 접촉하여 변형되면서, 제 1 홀더(520)와 제 2 홀더(540) 사이에 위치한 광 케이블의 외측 면을 감싼다.
체결 부재(560)는 헤드(562)와, 헤드(52)의 하단에 결합된 봉 형상의 체결 로드(564)를 포함한다. 체결 로드(564)의 하단부에는 수나사(565)가 형성된다. 제 1 홀더(520)와 제 2 홀더(540)의 결합시, 체결 로드(564)는 제 2 홀더(540)의 몸체부(541)에 형성된 홀들(546)과 제 1 홀더(520)의 몸체부(521)에 형성된 홀들(526)에 관통 삽입되고, 체결 로드(564)의 수나사(565)는 제 1 홀더(520)의 고정부(527)에 형성된 체결 홀들(528)에 나사 결합된다. 이때, 체결 부재(560)의 헤드(562) 하면은 제 2 홀더(540)의 몸체부(541) 상면에 접촉된다. 따라서, 제 1 홀더(520)와 제 2 홀더(540) 사이의 체결력, 즉 광 케이블의 가압 및 탄성 편들의 변형을 유발시키는 힘은 체결 홀들(528)에 나사 결합된 체결 로드(564)의 회전수에 의해 조절된다.
도 19a 내지 도 19c는 제 1 홀더(520)와 제 2 홀더(540)의 하부 홈(542b)을 이용한 광 케이블 홀딩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먼저, 제 1 홀더(520)가 제 1 하우징(도 16의 도면 번호 100a)의 홀더 삽입 홈(도 16의 도면 번호 130)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D2의 직경을 가지는 광 케이블을 제 1 홀더(520)의 제 1 홈(522)에 위치시키고, 제 2 홀더(540)의 하부 홈(542b)과 탄성 편들(548b)이 광 케이블을 덮도록 제 2 홀더(540)를 제 1 홀더(520) 상에 위치시킨다. 이때, 탄성 편들(548b)의 단부는 제 1 홀더(520)의 제 1 홈(522)의 곡면에 접촉된다. 이후, 체결 부재(560)의 체결 로드(564)는 제 2 홀더(540)의 홀들(546)과 제 1 홀더(520)의 홀들(526)에 관통 삽입되고, 체결 부재(560)의 수나사(565)는 제 1 홀더(520)의 체결 홀들(528)에 나사 결합된다.(도 19a)
도 19a의 상태에서, 체결 로드(564)를 회전시키면 체결 부재(560)의 헤드(562)가 제 2 홀더(540)의 몸체부(541) 상면을 누르는 힘에 의해 제 2 홀더(540)는 제 1 홀더(5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 2 홀더(540)의 탄성 편들(548b)의 단부가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1 홈(522)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탄성 편들(548b)은 제 2 홀더(540)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힘에 의해 광 케이블을 향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광 케이블을 감싼다. 이때, 제 1 홀더(520)의 돌출부들(524)과 제 2 홀더(540)의 돌출부들(544b)은 광 케이블의 외피에 압입되어 광 케이블을 고정한다.(도 19b)
한편, 도 1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홀더(520)와 제 2 홀더(540)의 하부 홈(542b) 사이에는 D2보다 작은 D1의 직경을 가지는 광 케이블이 위치할 수 있다. 직경 D1의 광 케이블의 홀딩 과정은 직경 D2의 광 케이블의 홀딩 과정과 동일하다. 다만, 직경 D1의 광 케이블의 경우, 직격 D2의 광 케이블과 비교하여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광 케이블을 홀딩하기 위해 제 2 홀더(540)의 탄성 편들(548b)의 변형 량이 커진다.
도 20a 내지 도 20c는 제 1 홀더와 제 2 홀더의 상부 홈을 이용한 광 케이블 홀딩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제 2 홀더(540)의 상부 홈(542a)의 곡률은 하부 홈(542a)의 곡률보다 크므로, 상부 홈(542a)은 보다 큰 직경의 광 케이블을 홀딩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먼저, 제 1 홀더(520)가 제 1 하우징(도 16의 도면 번호 100a)의 홀더 삽입 홈(도 16의 도면 번호 130)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D2의 직경을 가지는 광 케이블을 제 1 홀더(520)의 제 1 홈(522)에 위치시키고, 제 2 홀더(540)의 상부 홈(542a)과 탄성 편들(548a)이 광 케이블을 덮도록 제 2 홀더(540)를 제 1 홀더(520) 상에 위치시킨다. 이때, 탄성 편들(548a)의 단부는 제 1 홀더(520)의 제 1 홈(522)의 곡면에 접촉된다. 이후, 체결 부재(560)의 체결 로드(564)는 제 2 홀더(540)의 홀들(546)과 제 1 홀더(520)의 홀들(526)에 관통 삽입되고, 체결 부재(560)의 수나사(565)는 제 1 홀더(520)의 체결 홀들(528)에 나사 결합된다.(도 20a)
도 20a의 상태에서, 체결 로드(564)를 회전시키면 체결 부재(560)의 헤드(562)가 제 2 홀더(540)의 몸체부(541)를 누르는 힘에 의해 제 2 홀더(540)는 제 1 홀더(520)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 2 홀더(540)의 탄성 편들(548a)의 단부가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1 홈(522)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이므로, 탄성 편들(548a)은 제 2 홀더(540)의 이동에 의해 발생하는 힘에 의해 광 케이블을 방향으로 변형되어 광 케이블을 감싼다. 이때, 제 1 홀더(520)의 돌출부들(524)과 제 2 홀더(540)의 돌출부들(544a)은 광 케이블의 외피에 압입되어 광 케이블을 고정한다.(도 20b)
한편, 도 20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홀더(520)와 제 2 홀더(540)의 상부 홈(542a) 사이에는 D2보다 큰 D3의 직경을 가지는 광 케이블이 위치할 수 있다. 직경 D3의 광 케이블의 홀딩 과정은 직경 D2의 광 케이블의 홀딩 과정과 동일하다. 다만, 직경 D3의 광 케이블의 경우, 직경 D2의 광 케이블과 비교하여 큰 직경을 가지므로, 광 케이블을 홀딩하기 위해 제 2 홀더(540)의 탄성 편들(548a)의 변형 량이 작아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케이블 홀더(500)는 탄성 편들을 이용하여 광 케이블을 감싸면서 광 케이블을 홀딩한다. 이에 의해, 광 케이블의 홀딩 시, 종래의 경우(도 21a)와 비교하여 광 케이블의 눌림이 최소화될 수 있다.(도 21b) 도 2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광 케이블의 외피에 눌림 흔적이 남아있으나, 도 2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 광 케이블의 외피에는 눌림 흔적이 거의 남아 있지 않는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케이블 홀더(500)는, 광 케이블의 홀딩 시, 광 케이블을 통해 전달되는 광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경우에는, 광 케이블이 홀딩되는 T4와 T5의 시간 구간에서 광 케이블 홀더에 의해 눌리는 광섬유 심선 3에서 광 손실 값이 커진다. 하지만, 도 2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경우에는, 광 케이블이 홀딩되는 T4와 T5의 시간 구간에서 광 케이블 홀더에 의해 과도하게 눌리는 광섬유 심선이 없기 때문에, 각각의 광섬유 심선들에서 광 손실 값의 변동량이 최소화된다. 여기서, 도 22a와 도 22b의 광 케이블이 홀딩되지 않는 동일한 시간 구간에서 동일한 광섬유 심선들의 광 손실 값이 차이가 나는 것은 측정 오차에 의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광 케이블 홀더(500)는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제 2 홀더의 상부 홈 및 하부 홈과, 탄성 편을 이용하여 광 케이블을 홀딩하므로, 다양한 크기의 직경을 가지는 광 케이블을 홀딩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탄성 편들(548a,548b)이 상부 홈(542a)과 하부 홈(542b)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탄성 편들(548a,548b)은 상부 홈(542a)과 하부 홈(542b)의 가장자리 영역의 일 측에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제 2 홀더(540)의 몸체부(541)에 상부 홈(542a)과 하부 홈(542b)이 모두 제공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제 2 홀더(540)의 몸체부(541)에는 상부 홈(542a)과 하부 홈(542b) 중 어느 하나만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제 2 홀더(540)가 제 1 하우징(100a)의 홀더 삽입 홈(130)에 설치되고, 제 1 홀더(520)가 제 2 홀더(54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상부 홈(542a)의 곡률과 하부 홈(542b)의 곡률이 상이한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상부 홈(542a)의 곡률과 하부 홈(542b)의 곡률은 동일할 수 있다.
도 23은 도 16의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의 사시도이고, 도 24는 도 23의 연결 로드와 제 1 고정판의 사시도이며, 도 25a 및 도 25b는 도 16의 제 2 고정판의 사시도와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26은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6과, 도 23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600)은 브라켓(610), 연결 로드(620), 제 1 및 제 2 고정판(630,640) 그리고 체결 부재(660)를 포함한다. 브라켓(610)은 길이 방향이 중심인장선(CSM, Central Strength Member)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도록 제공되는 판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00a)의 내벽에 설치된다.
연결 로드(620)는 길이 방향이 브라켓(6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고, 브라켓(610)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 로드(620)는 브라켓(6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개 제공될 수 있다.
각각의 연결 로드(620)의 단부에는 제 1 고정판(630)이 연결된다. 제 1 고정판(630)과 마주보도록 제 2 고정판(640)이 제공되며, 제 1 고정판(630)과 제 2 고정판(640)의 사이에는 중심인장선(CSM)이 위치한다. 제 2 고정판(640)의 제 1 고정판(630)과 마주보는 면에는 중심인장선(CSM)이 삽입되는 삽입 홈(642)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판(630)에는 암나사 홀(632)이 형성되고, 제 2 고정판(640)에는 암나사 홀(632)에 정렬된 체결 홀(644)이 관통 형성된다. 체결 홀(644)은 중심인장선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향하는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고정판(640) 상의, 삽입 홈(642)을 중심으로 체결 홀(644)의 반대 편에는 제 1 고정판(630)을 향해 아래 방향으로 측판(650)이 연장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측판(650)은 제 1 고정판(630)을 향해 수직하게 아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체결 부재(660)는 중심인장선이 고정되도록 제 2 고정판(640)을 제 1 고정판(630)에 가압한다. 체결 부재(660)는 외주 면에 수나사가 형성된 체결 나사일 수 있으며, 체결 부재는 체결 홀(644)을 관통하여 암나사 홀(632)에 나사 결합된다.
광 섬유 심선은, 중심인장선이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600)에 고정된 상태에서, 여장판(710)에서 접속 및 여장 처리된다. 여장판(710)은, 여장판 지지 부재(720)에 의해, 지지되고 또한 제 1 하우징(100a)에 반출입될 수 있다.
도 27은 여장판 지지 모듈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8은 도 27의 "C" 부분을 반대 방향에서 바라본 확대도이고, 도 29는 도 27의 여장판 지지 부재의 측면도이다.
도 27 내지 도 29를 참조하면, 여장판 지지 모듈(700)은 여장판(710), 여장판 지지 부재(720) 및 록킹 부재(740)를 포함한다. 여장판(710)은 광 케이블의 광 섬유 심선을 접속하고, 여장판(710)은 여장판 지지 부재(720)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여장판(710)은 여장판 지지 부재(720)에 의해 제 1 하우징(100a)에 반출입될 수 있으며, 제 1 하우징(100a)에 반입된 여장판 지지 부재(720)는 록킹 부재(740)에 의해 잠금 또는 해제될 수 있다.
여장판 지지 부재(720)는 지지판(722), 가동 힌지부(724) 및 스토퍼(726)를 포함한다. 지지판(722)에는 여장판(710)이 놓이고, 지지판(722)은 제 1 하우징(100a)에 회전 방식에 의해 반출입되도록 힌지 결합된다. 지지판(722)에는 가동 힌지부(724)가 제공되고, 제 1 하우징(100a)에는 고정 힌지부(150)가 제공된다. 가동 힌지부(724)는 회전 축(미도시)이 삽입되는 홀들이 대향 면에 형성된 'ㄷ'자 형상을 가지고, 지지판(722)에 결합된다. 고정 힌지부(150)는 로드 형상을 가지며, 제 1 하우징(100a)의 내벽에 수직하게 결합된다. 고정 힌지부(150)는 'ㄷ'자 형상의 가동 힌지부(724) 내측에 삽입되고, 가동 힌지부(724)와 고정 힌지부(150)는 회전 축(미도시)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토퍼(726)는 가동 힌지부(724)의 개방된 하부에 제공되며, 여장판 지지 부재(720)가 제 1 하우징(100a)으로부터의 반출시, 고정 힌지부(150)와의 접촉에 의해 지지판(722)의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록킹 부재(740)는 잠금부(750)와 걸림턱(770)을 포함한다. 잠금부(750)는 누르는 힘을 이용한 원터치(One Touch) 방식으로 잠금 및 해제가 이루어지도록 걸림턱(770)에 결합될 수 있다.
잠금부(750)는 누름판(752), 걸림 돌기(754) 및 요철부(756)를 포함한다. 누름판(752)은 탄성 변형 및 복원이 가능한 플레이트 형상으로 제공되며, 지지판(722)에 수직하게 결합될 수 있다. 걸림 돌기(754)는 누름판(752)의 단부에 결합되며, 후크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누름판(752)의 가압면에는 요철부(756)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걸림턱(770)은 제 1 하우징(100a)의 내측 상부벽으로부터 수직하게 아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 30 및 도 31은 여장판 지지 모듈의 동작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32는 걸림 돌기가 걸림 턱에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하면, 광 섬유 심선의 접속이나 여장 처리 등과 같은 시공 작업시, 지지판(722)은 회전되어 제 1 하우징(100a)으로부터 반출될 수 있다.(도 30) 그리고 시공 작업의 완료시, 지지판(722)은 회전되어 제 1 하우징(100a)에 반입될 수 있으며(도 31), 이때 지지판(722)은 걸림 돌기(754)와 걸림 턱(770)의 결합에 의해 제 1 하우징(100a)에 록킹될 수 있다.(도 32) 지지판(722)의 회전에 의해, 걸림 돌기(754)의 외측 면이 걸림 턱(770)에 접촉할 수 있고, 걸림 턱(770)의 외측 면이 경사면으로 제공되기 때문에, 지지판(722)의 더 이상의 회전에 의해 걸림 돌기(754)가 걸림 턱(770)을 타고 넘어 걸림 턱(77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하우징 200: 가설 모듈
300: 잠금 모듈 400: 광 케이블 가스켓
500: 광 케이블 홀더 520: 제 1 홀더
522: 제 1 홈 540: 제 2 홀더
542a: 상부 홈 542b: 하부 홈
524, 544a, 544b: 돌출부 548a, 548b: 탄성 편
600: 중심인장선 고정 모듈 700: 여장판 지지 모듈

Claims (14)

  1. 광 케이블 접속 모듈이 내장된 하우징;
    상기 하우징으로 인입되는 광 케이블을 홀딩하는 광 케이블 홀더를 포함하되,
    상기 광 케이블 홀더는,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1 홈이 형성된 제 1 홀더;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2 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제 2 홈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 탄성 편을 포함하는 제 2 홀더; 및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홀더에 상기 제 2 홀더를 결합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편은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력에 의한 상기 제 1 홈과의 접촉 변형에 의해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 사이에 개재되는 상기 광 케이블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홀더는 상기 하우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편은 상기 제 2 홈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편은,
    상기 제 2 홈의 가장자리 영역에서 상기 몸체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단면적이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편의 내측 면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편은 상기 제 2 홈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제 2 홈의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복수 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의 곡률은 상기 제 2 홈의 곡률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홈 및 상기 제 2 홈의 곡면에 돌출 형성되며, 상기 광 케이블의 외피에 압입되어 상기 광 케이블을 고정하는 돌출부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홈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2 상부 홈과,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2 하부 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제 2 상부 홈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 제 1 탄성 편과, 상기 제 2 하부 홈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 제 2 탄성 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홀더는 상기 제 2 상부 홈과 상기 제 2 하부 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홈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홀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부 홈의 곡률과 상기 제 2 하부 홈의 곡률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접속 장치.
  11.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1 홈이 형성된 제 1 홀더;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2 홈이 형성된 몸체부와, 상기 제 2 홈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 탄성 편을 포함하는 제 2 홀더; 및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이 서로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홀더에 상기 제 2 홀더를 결합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탄성 편은 상기 체결 부재의 체결력에 의한 상기 제 1 홈과의 접촉 변형에 의해 상기 제 1 홈과 상기 제 2 홈 사이에 개재되는 광 케이블을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홀더.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편의 내측 면은 곡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홀더.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홈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2 상부 홈과, 상기 몸체부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한 곡면 형상의 제 2 하부 홈을 포함하고,
    상기 탄성편은 상기 제 2 상부 홈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 제 1 탄성 편과, 상기 제 2 하부 홈의 길이 방향을 향하는 양측 가장자리 영역에 제공된 제 2 탄성 편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홀더는 상기 제 2 상부 홈과 상기 제 2 하부 홈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 1 홈과 마주보도록 상기 제 1 홀더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홀더.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상부 홈의 곡률과 상기 제 2 하부 홈의 곡률은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 케이블 홀더.
KR1020100088901A 2010-09-10 2010-09-10 광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 KR1011295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01A KR101129558B1 (ko) 2010-09-10 2010-09-10 광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88901A KR101129558B1 (ko) 2010-09-10 2010-09-10 광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785A KR20120026785A (ko) 2012-03-20
KR101129558B1 true KR101129558B1 (ko) 2012-03-29

Family

ID=46142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88901A KR101129558B1 (ko) 2010-09-10 2010-09-10 광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95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7736A2 (en) 2014-05-22 2015-11-25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Modular clamping assembly for fixing a conduit to a body of a vehicle, and rail vehicle carriag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9092B1 (ko) * 2017-08-25 2018-09-14 한전케이디엔주식회사 로고스키 탈부착 되는 관통방식의 조절형 프로브
KR101871476B1 (ko) * 2018-02-21 2018-06-26 주식회사 아이티스퀘어 휴대 및 조립이 용이한 프로브
US11767948B2 (en) * 2020-07-09 2023-09-26 Corning Research & Development Corporation Wall mount bracket for multipor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073A (ja) 1998-08-24 2000-03-0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ーの光ケーブル把持具
KR200391243Y1 (ko) 2005-04-29 2005-08-02 삼진정보통신(주) 케이블 고정 홀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6073A (ja) 1998-08-24 2000-03-03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ーの光ケーブル把持具
KR200391243Y1 (ko) 2005-04-29 2005-08-02 삼진정보통신(주) 케이블 고정 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947736A2 (en) 2014-05-22 2015-11-25 Bombardier Transportation GmbH Modular clamping assembly for fixing a conduit to a body of a vehicle, and rail vehicle carri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26785A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9558B1 (ko) 광 케이블 홀더 및 이를 구비한 광 케이블 접속 장치
JP5138947B2 (ja) 光ケーブルクロージャ
KR200409251Y1 (ko) 광케이블 단자함
KR20110116048A (ko) 광섬유 조립체용 하우징
KR200457438Y1 (ko) 광 케이블 접속 장치
US11435540B2 (en) Cable management system for a splice enclosure, and a splice enclosure with a cable management system
KR101187583B1 (ko) 광케이블 인입 클램프
KR200457881Y1 (ko) 광 케이블 접속 장치
US20120141083A1 (en) Communication chassis
KR200457959Y1 (ko) 광 케이블 접속 장치
KR102350854B1 (ko) 단자함
CN208334734U (zh) 一种通信光纤到户接线盒
JP4655067B2 (ja) ケーブル把持構造
KR101777272B1 (ko) 여장판 지지대 및 광접속함체
CN220291643U (zh) 线缆分线器
US9733433B2 (en) Optical connection box
CN216210085U (zh) 一种5g终端盒
KR970011525B1 (ko) 옥내용 광콘센트
JP3191086U (ja) 光ケーブル用クロージャ
JP6190164B2 (ja) 光ケーブル接続用クロージャ
JP3816186B2 (ja) 光ケーブル接続部収納用キャビネットにおける保留心線収納トレイ
JP2903021B1 (ja) 余長収納ケースおよび光配線盤
JP3236460U (ja) 奥行きが低減されたハウジング及びスプライシングカセット
KR102525785B1 (ko) 광분배함
US11454765B2 (en) Fiber optic adapter and fiber optic conn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