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2499B1 -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 Google Patents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2499B1
KR101122499B1 KR1020100071855A KR20100071855A KR101122499B1 KR 101122499 B1 KR101122499 B1 KR 101122499B1 KR 1020100071855 A KR1020100071855 A KR 1020100071855A KR 20100071855 A KR20100071855 A KR 20100071855A KR 101122499 B1 KR101122499 B1 KR 1011224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wire
work
cable
byp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1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0370A (ko
Inventor
권세원
Original Assignee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전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1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2499B1/ko
Priority to PCT/KR2011/003996 priority patent/WO2012015160A1/ko
Publication of KR20120010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24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24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Landscapes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에서의 무정전 배전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임시송전용 바이패스케이블 3상 중 1상을 전선이선기구를 활용하여 지상 또는 주상에 포설하여 임시송전하는 케이블 및 전선을 활용하여 1상씩 순차적인 전기의 분리연결에 의하여 3상작업을 완료하는 무정전 전선교체와 이를 통한 전주교체 및 지장전주에 대한 이설공사가 가능하도록 작업함으로써,
대도시 시내지역과 같이 전주와 인접하여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건물 접촉 등 다양한 간섭물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이와 무관하게 효과적이고 합리적인 무정전 배전공사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고, 무정전 전공의 작업숙련도 및 취향에 따라 무정전공법을 폭넓게 선택 및 활용이 가능하여 무정전 작업 범위의 확대 및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이며, 작업범위의 확대로 인해 작업시의 정전감소 및 전력품질 향상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Non-power-failure power distribution method using wire-changing device and bypasscable}
본 발명은 각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에 있어서, 각 전주에 전선이선기구를 설치하여 지상 또는 주상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에 의한 신,구 전선 간의 순차적 전기의 분리와 연결에 의해 무정전으로 전선 교체 및 전주교체와 전주이설 및 경과지 변경공사를 할 수 있도록 하되, 한 번의 전선이선기구 설치작업 및 임시송전용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이선작업에 의해 3상 전선을 무정전으로 교체 및 이설 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되, 본 발명의 출원인이 기 출원등록한 특허등록 제0407376에 의한 "전주 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과 선등록의 특허등록 제479320호에 의한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이에 대응한 전력설비가 계속 확충되고 있으며, 전력 사용자의 전기품질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순간의 정전도 민원의 대상이 되어 보상청구 등의 전기 사용자의 집단행동과 소송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배전공사시에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 공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기존의 무정전 공법에 의한 배전공사는, 이동용 변압기차공법, 바이패스(By-pass)케이블 공법, 공사용 개폐장치 공법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은 케이블차와 작업구간에 필요한 케이블, 공사용 개폐장치, 이동용 변압기차, 활선버켓트럭 및 활선작업용 공기구 일체를 갖추고, 바이패스케이블을 설치하여 전력의 공급을 바이패스되게 한 후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작업을 실시하고 다시 바이패스케이블을 철거하여야 배전공사가 완료되는 것이다.
또한, 배전선로 전기용량이 5,000KVA를 초과하는 배전선로는 기존 바이패스 케이블 공법을 적용한 작업시에 기존 케이블 공법용 케이블의 허용용량이 5,000KVA이하이기 때문에 배전선로의 용량을 5,000KVA이하로 줄이기 위하여 타 배전선로로 전력부하를 절체하는데 따른 많은 시간과 인건비가 낭비되고, 효과적 배전선로의 계통운영에도 심각한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특히 한 전주에 상하 2회선 이상의 배전선로는 상단 배전선로의 무정전작업을 현행 무정전 공법으로는 시공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전기한 배전공사에는 많은 공사인력이 필요하고, 50m로 규격화되어 있는 바이패스케이블을 200~300m 구간에 설치하기 위해 대단히 위험한 특별고압의 접속점을 많이 만들게 되어 접속불량과 접속점의 방호장치 등을 사용하여야 되고, 설치와 철거를 자주 반복함으로써 많은 인건비의 낭비와 바이패스케이블의 손상이 가속되어 안전을 더욱 위협하는 위험물이 되고, 안전사고나 불시 정전사고가 난다면 고가의 비용으로 전기 품질을 확보하기 위한 목적에 반하여 더 많은 민원과 경제적 손실 및 인명피해를 가져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무리한 부하 절체작업으로 불안한 배전선로 계통운영과 2회선 이상의 배전선로의 상단선로는 무정전공법 작업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인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2001년 특허출원 제32587호 와 같이, 전주내 전선 이선기구 및 전선연선기구를 이용하여 전주 내에서 신구 전선교체 및 이설전선 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면서 신구 전선 간의 전기의 분리 연결에 의해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도 전기가 끊기지 않는 무정전으로 신구전선을 교체 및 이설할 수 있는 공법을 제공하여 전력부하 절체작업 없이 2회선 이상의 상단 배전선로의 무정전 작업을 가능하게 하여 전력품질의 향상과 또한 이동용 변압기차 공법을 변압기 교체시 외에는 사용하지 않는 신기술로서 저렴한 비용으로 안전한 공사가 가능하게 하며 공사중이더라도 바이패스케이블로 인한 보행자의 보행이나 차량 통과에 지장을 주지 않게 한 전주내 전선이선기구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을 고안 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전주내 전선 이선기구 및 전선연선기구를 이용하여 전주내에서 신구 전선교체 및 이설전선 간의 작업공간을 확보하면서 신구 전선 간의 전기의 분리 연결에 의해 신구전선을 교체 및 이설할 수 있는 공법은, 교체 및 이설코저 하는 전선마다 전선 이선기구 및 연선기구를 설치하여 작업 후 다시 철거하는 공법이지만 한 번의 전선이선으로 다수의 전선을 교체 및 이선할 수 있는 공정에도 전선이선작업을 반복함으로써 작업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출원인은 특허등록 제407376호와 같이, 설치전선과 철거전선의 연결에 의한 바이패스로 정전 없이 철거전선의 전기를 차단하는 전주 내 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에 있어서, 전선이선기구를 일측에만 설치하여 일측전선만 타측으로 이선시킨 후, 그 해당 교체전선을 전기한 무정전 배전공법으로 전선을 교체하되, 나머지 교체전선은 별도의 이선공정 없이 기 이선전선을 바이패스케이블로 활용하여 전선연선기구 설치공정과 설치전선 설치공정과 철거전선 철거공정과 바이패스에 의한 무정전 연결공법을 반복수행하여 신,구 전선의 교체 및 이설 작업시 한 번의 전선 이선기구 설치작업과 이에 의한 이선작업에 의해 다수의 전선을 교체 및 이설 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한 전주 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을 제안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무정전 배전공법은 대도시 시내지역에서 전주 위 1상의 전선을 측방으로 이격하고자 할 때에 건축물이나 가로등 또는 간판이나 가로수 및 보호수가 인접하고 있는 경우에는 전선에 대한 측방 이격 작업이 곤란해지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또한 현장 여건상 전선을 측방으로 이격시키기가 불가능한 경우에는 복잡하고 많은 작업시간과 다수의 작업 인원이 투입되는 기존의 배전공법을 그대로 적용하여야 하는 폐단을 갖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한 것으로서, 선등록 제10-0407376호에 의한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을 활용하여 대도시 시내지역에서 전주 위의 1상의 전선을 측방으로 이격함에 있어 건축물이나 가로등 및 간판이나 보호수 등이 측방에 있어 안전상 이격이 곤란한 경우, 현장여건상 1상의 전선을 측방으로 이격이 불가능한 경우 또는 현장여건상 작업의 안전을 위하여 전주내 1상의 전선을 전선이선기구를 설치 및 바이패스케이블 3상 중 1상을 지상 또는 주상에 포설하여 임시송전하는 케이블 및 전선을 활용하여 1상씩 순차적인 전기의 분리와 연결에 의하여 3상작업을 완료하는 무정전 전선교체 및 전주교체와 지장전주의 이설공사가 가능한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을 개발하여 현장에서 작업자의 숙련도 및 선호도에 따라 더욱 완성도 높은 무정전 공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바이패스케이블 3상 중 1상을 전선이선기구를 활용하여 지상 또는 주상에 포설하여 임시송전하는 케이블 및 전선을 활용하여 1상씩 순차적인 전기의 분리연결에 의하여 3상작업을 완료하는 무정전 전선교체와 전주교체 및 지장전주에 대한 이설공사가 가능하도록 개발된 신기술로 작업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대도시 시내지역에서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은 작업시 전주 내 이선기구를 설치하여 측방으로 전선을 이선하고자 할 경우 건축물이나 간판 또는 가로등 등으로부터 이격거리가 미달하여 전선이선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을 것인데 이와 같은 경우 및 필요한 작업여건에 따라 바이패스케이블에 대한 지상 또는 공중 포설을 통해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고, 무정전 전공의 작업숙련도 및 취향에 따라 무정전공법을 폭넓게 선택 및 활용이 가능하여 무정전 작업 범위의 확대 및 작업자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하여 안전성이 향상되는 것이며, 작업범위의 확대로 인해 작업시의 정전감소 및 전력품질 향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공법으로부터 바이패스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공법으로부터 3상선로 중 제1상이 제거된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공법으로부터 3상선로 중 제2상이 제거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공법으로부터 3상선로 중 제3상이 제거된 상태도
도 5는 도 4로부터 바이패스케이블을 가공 설치한 시공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공법으로부터 변압기주를 갖는 작업구간에 대한 시공 예시도
도 7은 도 6으로부터 바이패스케이블을 가공 설치한 시공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공법으로부터 분기주를 갖는 작업구간에 대한 시공 예시도
도 9는 도 8로부터 바이패스케이블을 가공 설치한 시공 예시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공법으로부터 바이패스케이블이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공법으로부터 3상선로 중 제1상이 제거된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공법으로부터 3상선로 중 제2상이 제거된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배전공법으로부터 3상선로 중 제3상이 제거된 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배전설비의 신설, 전주교체와 지장전주에 대한 이설 등 유지보수를 위하여 작업정전을 줄이기 위하여 무정전공법으로 기존의 바이패스케이블공법과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배전공법 및 기타 무정전공법을 적극적으로 활용 및 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 바이패스케이블 공법과 전선이선공법을 활용하여 현장에서 작업자의 숙련도 및 현장여건에 따라 보다 폭넓고 안전한 공법 적용을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 실시예 1
장주 및 전선이 가선된 특고압 배전설비 무정전 작업을 하기 위하여 주상에서 장주 일측에 전선이선기구를 설치하여 특고압 제1상을 측면으로 이선하여 안전한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무정전 작업을 시행하는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기존의 무정전 배전공법 작업공정을 대신하여, 도 1의 도시와 같이 주상에서 장주 일측에 특허등록 제407376호에 의해 제안된 공지의 전선이선기구(10)를 설치한 후,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20)을 지상에 포설하여 특고압 3상 중 제1상(A)을 바이패스 시키고, 도 2의 도시와 같이 특고압 3상 중 바이패스 된 제1상(A)의 전선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3상 중 제1상(A)을 사선상태로 만들어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다.
이어, 제1상(A) 점퍼선을 압축하고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A)작업을 완료하고, 3상 중 제2상(B) 작업시는 이미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작업구간 양측에서 3상 중 제2상(B)으로 바이패스시킨 후, 도 3의 도시와 같이 제2상(B)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로 만들어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하고 제2상(B)의 점퍼선을 압축하고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2상(B)의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제3상(C)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제2상(B)의 작업공정을 제3상(C)에서 반복 수행하고,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철거하여 특고압 3상 무정전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 실시예 2
도 5의 도시와 같이 지상에 작업 방해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장주 및 전선이 가선된 특고압 배전설비 무정전 작업을 하고자 함에 있어, 해당 작업 구간 내 지상에 하천이나 도로 및 다양한 작업 방해 요소가 위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도 5의 도시와 같이 바이패스케이블(20)을 전선이선기구(10)를 통해 중성선 부근에 주상에 설치하여 특고압 3상 중 제1상(A)을 바이패스 시킨 후, 특고압 3상 중 바이패스된 제1상(A)의 전선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3상 중 제1상(A)을 사선상태로 만들어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다.
이어, 제1상(A) 점퍼선을 압축하고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A)작업을 완료하고, 3상 중 제2상(B) 작업시는 이미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작업구간 양측에서 3상 중 제2상(B)으로 바이패스시킨 후, 제2상(B)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로 만들어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하고 제2상(B)의 점퍼선을 압축하고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2상(B)의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제3상(C)은 제2상(B)의 작업공정을 제3상(C)에서 반복 수행하고,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철거하여 특고압 3상 무정전 작업을 안전하게 수행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다.
* 실시예 3
도 6의 도시와 같이 작업구간 내 변압기주가 있을 경우.
우선, 장주 및 전선이 가선된 특고압 배전설비 무정전 작업을 하기 위하여 주상에서 장주 일측에 전선이선기구(10)를 설치한 후,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20)을 지상에 포설하여 특고압 3상중 제1상(A)을 바이패스 시킨 후 작업구간 내 변압기(30)가 있을 경우에는 바이패스케이블(20) 중간에 별도의 케이블 분기접속재(40)를 활용하여 특고압을 분기하여 무정전 변압기 장치(50)에 공급하여 변압기(30)의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바이패스케이블(20)에는 양측단에 각기 공사용 개폐장치(70)를 설치함에 따라 사선 상태의 바이패스케이블(20)과 무정전 변압기 장치(50) 및 변압선로 간의 연선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연선작업이 종료된 후 공사용 개폐장치(70)를 작동시켜 그 바이패스케이블(20)에 대한 활선상태 및 변압선로로 임시송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어, 특고압 3상중 바이패스된 제1상(A)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3상 중 제1상(A)을 사선상태로 만들어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하고 제1상(A)의 점퍼선을 압축한 후 변압기를 신설되어 송전된 제1상(A)으로 복귀하고 바이패스케이블(20)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A)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3상 중 제2상(B) 작업시는 이미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작업구간 양측에서 3상 중 제2상(B)으로 바이패스시킨 후 작업구간 내 제2상(B)에 변압기(30)가 있을 경우 이미 설치된 무정전 변압기 장치(50)의 2차 전원을 제2상(B)변압기에 연결하여 송전하고, 제2상(B)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로 만들어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하고 제2상(B)의 점퍼선을 압축하고 변압기를 신설된 제2(B)상으로 복귀시키고 바이패스케이블(20)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2상(B)의 작업을 완료하는 것이며, 제3상(C)은 제2상(B) 작업공정을 제3상(C)에서 반복 수행하고,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철거하여 특고압 3상 무정전 작업을 안전하게 완료하면 되는 것이다.
* 실시예 4
도 7의 도시와 같이 작업구간 내 지상 장애물과 변압기주가 있을 경우.
우선, 장주 및 전선이 가선된 특고압 배전설비 무정전 작업을 하기 위하여 주상에서 장주 일측에 전선이선기구(10)를 설치한 후,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20)을 중성선 부근으로 가공 설치하여 특고압 3상중 제1상(A)을 바이패스 시킨 후 작업구간 내 변압기(30)가 있을 경우에는 바이패스케이블(20) 중간에 별도의 케이블 분기접속재(40)를 활용하여 특고압을 분기하여 무정전 변압기 장치(50)에 공급하여 변압기(30)의 전원을 공급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바이패스케이블(20)에는 양측단에 각기 공사용 개폐장치(70)를 설치함에 따라 사선 상태의 바이패스케이블(20)과 무정전 변압기 장치(50) 및 변압선로 간의 연선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연선작업이 종료된 후 공사용 개폐장치(70)를 작동시켜 그 바이패스케이블(20)에 대한 활선상태 및 변압선로로 임시송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이어, 특고압 3상중 바이패스된 제1상(A)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3상 중 제1상(A)을 사선상태로 만들어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하고 제1상(A)의 점퍼선을 압축한 후 변압기를 신설되어 송전된 제1상(A)상으로 복귀하고 바이패스케이블(20)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A)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또한, 3상 중 제2상(B) 작업시는 이미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작업구간 양측에서 3상 중 제2상(B)으로 바이패스시킨 후 작업구간 내 제2상(B)에 변압기(30)가 있을 경우 이미 설치된 무정전 변압기 장치(50)의 2차 전원을 제2상(B)변압기에 연결하여 송전하고, 제2상(B)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로 만들어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하고 제2상(B)의 점퍼선을 압축하고 변압기를 신설된 제2(B)상으로 복귀시키고 바이패스케이블(20)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2상(B)의 작업을 완료하는 것이며, 제3상(C)은 제2상(B) 작업공정을 제3상(C)에서 반복 수행하고,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철거하여 특고압 3상 무정전 작업을 안전하게 완료하면 되는 것이다.
* 실시예 5
도 8의 도시와 같이 작업구간 내 분기주에 의한 분기선로가 있을 경우.
우선, 장주 및 전선이 가선된 특고압 배전설비 무정전 작업을 하기 위하여 주상에서 장주 일측에 전선이선기구(10)를 설치한 후,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20)을 지상에 포설하여 특고압 3상중 제1상(A)을 바이패스 시킨 후 작업구간 내 분기주(60)가 있을 경우에는 바이패스케이블(20) 중간에 케이블 분기접속재(40)를 활용하여 특고압 제1상(A)을 분기하여 분기주(60)의 분기선로 제1상에 연결하여 임시송전한 후, 특고압 3상중 바이패스된 제1상(A)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3상 중 제1상(A)을 사선상태로 만들어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하고 제1상(A)의 점퍼선을 압축한 후 분기선로를 신설되어 송전된 제1상(A)으로 복귀하고 바이패스케이블(20)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A)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바이패스케이블(20)에는 양측단에 각기 공사용 개폐장치(70)를 설치함에 따라 사선 상태의 바이패스케이블(20)과 분기선로 간의 연선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연선작업이 종료된 후 공사용 개폐장치(70)를 작동시켜 그 바이패스케이블(20)에 대한 활선상태 및 분기선로로 임시송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제3상 중 제2상(B) 작업시는 이미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작업구간 양측에서 제3상 중 제2상(B)으로 바이패스시킨 후 작업구간 내 제2상(B)에 분기선로가 있을 경우에 이미 설치된 분기접속재(40)에서 분기된 케이블을 분기선로 제2상(B)에 연결하여 분기선로로 임시송전시킨 후, 제2상(B)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로 만들어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하고 제2상(B)의 점퍼선을 압축하고 분기선로를 신설된 제2상(B)으로 복귀시키고 바이패스케이블(20)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2상(B)의 작업을 완료하는 것이며, 제3상(C)은 제2상(B)의 작업공정을 제3상(C)에서 반복 수행하고,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철거하여 특고압 3상 무정전 작업을 안전하게 완료하면 되는 것이다.
* 실시예 6
도 9의 도시와 같이 작업구간 내 지상 장애물 및 분기주에 의한 분기선로가 있을 경우.
우선, 장주 및 전선이 가선된 특고압 배전설비 무정전 작업을 하기 위하여 주상에서 장주 일측에 전선이선기구(10)를 설치한 후,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20)을 중성성 부근에 가공 상태로 포설하여 특고압 3상중 제1상(A)을 바이패스 시킨 후 작업구간 내 분기주(60)가 있을 경우에는 바이패스케이블(20) 중간에 케이블 분기접속재(40)를 활용하여 특고압 제1상(A)을 분기하여 분기주(60)의 분기선로 제1상에 연결하여 임시송전한 후, 특고압 3상중 바이패스된 제1상(A)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3상 중 제1상(A)을 사선상태로 만들어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하고 제1상(A)의 점퍼선을 압축한 후 분기선로를 신설되어 송전된 제1상(A)으로 복귀하고 바이패스케이블(20)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A)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바이패스케이블(20)에는 양측단에 각기 공사용 개폐장치(70)를 설치함에 따라 사선 상태의 바이패스케이블(20)과 분기선로 간의 연선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연선작업이 종료된 후 공사용 개폐장치(70)를 작동시켜 그 바이패스케이블(20)에 대한 활선상태 및 분기선로로 임시송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제3상 중 제2상(B) 작업시는 이미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작업구간 양측에서 제3상 중 제2상(B)으로 바이패스시킨 후 작업구간 내 제2상(B)에 분기선로가 있을 경우에 이미 설치된 분기접속재(40)에서 분기된 케이블을 분기선로 제2상(B)에 연결하여 분기선로로 임시송전시킨 후, 제2상(B)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로 만들어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하고 제2상(B)의 점퍼선을 압축하고 분기선로를 신설된 제2상(B)으로 복귀시키고 바이패스케이블(20)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2상(B)의 작업을 완료하는 것이며, 제3상(C)은 제2상(B)의 작업공정을 제3상(C)에서 반복 수행하고,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철거하여 특고압 3상 무정전 작업을 안전하게 완료하면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한 무정전 배전공법은, 바이패스케이블 허용용량이 기존의 5,000kv에서 10,000kv까지 걸 수 있도록 하고, 50m단위로 접속하지 않고 작업구간 내 접속개소를 두지 않도록 50m, 100m, 150m, 200m ,300m로 케이블을 구비하며, 기존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은 3상의 바이패스케이블을 주상에 포설이 불가능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1상의 바이패스케이블만 포설함으로 시내지역에서 도로 횡단 개소 및 보행자 안전을 위하여 특고압 케이블을 지상에 포설하지 않고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하여 주상에 가공 포설이 가능하도록 기술을 가일층 향상시킨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0 : 전선이선기구
20 : 바이패스케이블
30 : 변압기주
40 : 분기접속재
50 : 무정전 변압기 장치
60 : 분기주
70 : 공사용 개폐장치
A : 제1상 B : 제2상
C : 제3상

Claims (6)

  1. 주상에서 전주 일측에 전선이선기구를 설치하는 공정과;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여 특고압 3상 중 제1상을 바이패스시키는 공정과;
    특고압 3상 중 바이패스된 제1상의 전선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3상 중 제1상을 사선상태로 만들어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하는 동시에 제1상 점퍼선을 압축하고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을 완료하는 공정과;
    3상 중 제2상 작업시 이미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을 작업구간 양측에서 3상 중 제2상으로 바이패스시킨 후, 제2상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로 만들어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하고 제2상의 점퍼선을 압축하고 포설된 케이블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2상의 작업을 완료하는 공정과;
    제2상의 작업공정을 제3상에서 반복 수행하는 공정과;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을 철거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바이패스케이블은 작업구간 내 지상의 현장 상태에 따라 지상 포설되거나 공사현장의 여건에 따라 중성선 부근에 가공 상태로 선택적인 포설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3. 주상에서 전주 일측에 전선이선기구를 설치하는 공정과;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여 특고압 3상중 제1상을 바이패스 시킨 후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에 위치한 별도의 케이블 분기접속재를 활용하여 특고압을 분기하여 무정전 변압기 장치에 공급하여 변압선로의 제1상에 대한 전원을 공급하는 공정과;
    특고압 3상중 바이패스된 제1상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3상 중 제1상을 사선상태로 만들어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하고 제1상의 점퍼선을 압축한 후 변압기를 경유하여 신설 송전된 제1상으로 복귀하고 바이패스케이블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에 대한 작업을 완료하는 공정과;
    이미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을 작업구간 양측에서 3상 중 제2상으로 바이패스시킨 후 작업구간 내 제2상의 변압기는 이미 설치된 무정전 변압기 장치의 2차 전원을 제2상변압기에 연결하여 송전하고, 제2상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로 만들어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하고 제2상의 점퍼선을 압축하고 변압기를 신설된 제2상으로 복귀시키고 바이패스케이블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2상의 작업을 완료하는 공정과;
    제2상의 작업공정을 제3상에서 반복 수행하는 공정과;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을 철거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4. 제 3항에 있어서,
    바이패스케이블은 작업구간 내 지상의 현장 상태에 따라 지상 포설되거나 공사장의 여건에 따라 중성선 부근에 가공 상태로 선택적인 포설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5. 주상에서 전주 일측에 전선이선기구를 설치하는 공정과;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여 특고압 3상중 제1상을 바이패스 시킨 후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에 위치하는 케이블 분기접속재를 활용하여 특고압 제1상으로부터 분기하여 분기선로의 제1상에 연결하여 임시송전한 후, 특고압 3상중 바이패스된 제1상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3상 중 제1상을 사선상태로 만들어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하고 제1상의 점퍼선을 압축한 후 분기선로를 신설되어 송전된 제1상으로 복귀하고 바이패스케이블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작업을 완료하는 공정과;
    이미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을 작업구간 양측에서 제3상 중 제2상으로 바이패스시킨 후 작업구간 내 제2상의 분기선로에 이미 설치된 분기접속재에서 분기된 케이블을 분기선로 제2상에 연결하여 임시송전시킨 후, 제2상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로 만들어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하고 제2상의 점퍼선을 압축하고 분기선로를 신설된 제2상으로 복귀시키고 바이패스케이블의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2상의 작업을 완료하는 공정과;
    제2상의 작업공정을 제3상에서 반복 수행하는 공정과;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을 철거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6. 제 5항에 있어서,
    바이패스케이블은 작업구간 내 지상의 현장 상태에 따라 지상 포설되거나 공사현장 여건에 따라 중성선 부근에 가공 상태로 선택적인 포설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20100071855A 2010-07-26 2010-07-26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11224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855A KR101122499B1 (ko) 2010-07-26 2010-07-26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PCT/KR2011/003996 WO2012015160A1 (ko) 2010-07-26 2011-06-01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1855A KR101122499B1 (ko) 2010-07-26 2010-07-26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370A KR20120010370A (ko) 2012-02-03
KR101122499B1 true KR101122499B1 (ko) 2012-03-16

Family

ID=45530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1855A KR101122499B1 (ko) 2010-07-26 2010-07-26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22499B1 (ko)
WO (1) WO201201516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2090A (zh) * 2014-03-19 2015-11-25 大原电机株式会社 利用架空地线和特高压中性线的兼用线的具有特高压中性线和低压中性线的分离设置结构的配电线路的施工方法
KR101736175B1 (ko) * 2016-10-17 2017-05-29 (주) 세양전기 절연스틱 및 공사용 개폐기를 이용한 사선작업 공간확보 무정전 공법
KR101766162B1 (ko) 2016-11-18 2017-08-08 대원전기 주식회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61076B (zh) * 2012-07-05 2016-09-21 中国电力科学研究院 一种用于35kV线路配电化的设计方法
AU2016246066B2 (en) 2015-04-09 2020-09-17 Quanta Associates, L.P. Conductor as a tool
KR101704613B1 (ko) * 2016-03-30 2017-02-08 미래전기기술단(주) 활선 상태에서의 배전선로 교체장치
KR101754043B1 (ko) * 2016-12-13 2017-07-06 대원전기 주식회사 개별 개폐형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KR101777080B1 (ko) * 2017-01-05 2017-09-12 대원전기 주식회사 절연활선장선기와 바이패스점퍼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주 경간내 전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에서 구간내 작업을 하는 무정전 배전공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63Y1 (ko) * 2001-11-08 2002-02-19 한국전력공사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KR100864966B1 (ko) * 2006-04-24 2008-10-22 에스엠 종합개발 주식회사 전선의 교체방법
KR20100054948A (ko) * 2008-11-17 2010-05-26 (주) 진흥이엔지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0468A (ja) * 1992-08-13 1994-03-11 Furukawa Electric Co Ltd:The 無停電電流切替え方法および装置
JP3122553B2 (ja) * 1993-03-11 2001-01-09 日本碍子株式会社 三相配電線における給電回線切換装置
KR100407376B1 (ko) * 2002-01-10 2003-11-28 대원전기 주식회사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0479320B1 (ko) * 2003-02-18 2005-03-25 우창전력(주)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4163Y1 (ko) * 2001-11-08 2002-02-19 한국전력공사 무정전공사용 바이패스라인의 분기케이블 고정 장치
KR100864966B1 (ko) * 2006-04-24 2008-10-22 에스엠 종합개발 주식회사 전선의 교체방법
KR20100054948A (ko) * 2008-11-17 2010-05-26 (주) 진흥이엔지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102090A (zh) * 2014-03-19 2015-11-25 大原电机株式会社 利用架空地线和特高压中性线的兼用线的具有特高压中性线和低压中性线的分离设置结构的配电线路的施工方法
CN105102090B (zh) * 2014-03-19 2017-04-12 大原电机株式会社 利用架空地线和特高压中性线的兼用线的具有特高压中性线和低压中性线的分离设置结构的配电线路的施工方法
KR101736175B1 (ko) * 2016-10-17 2017-05-29 (주) 세양전기 절연스틱 및 공사용 개폐기를 이용한 사선작업 공간확보 무정전 공법
KR101766162B1 (ko) 2016-11-18 2017-08-08 대원전기 주식회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15160A1 (ko) 2012-02-02
KR20120010370A (ko) 2012-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2499B1 (ko)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100926445B1 (ko) 분기접속기능을 갖는 익스텐션 엘보우를 이용한 지중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시공법
KR101777080B1 (ko) 절연활선장선기와 바이패스점퍼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주 경간내 전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에서 구간내 작업을 하는 무정전 배전공법
DK2866320T3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orking on wiring
KR20100054948A (ko)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KR101598019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을 구현하기 위한 장치
KR101103553B1 (ko) 간격유지용 절연 가이더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
KR101766162B1 (ko)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KR102128445B1 (ko)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KR20230124873A (ko) 선로 작업 방법
US20090195083A1 (en) Live conductor stringing and splicing method and apparatus
CN104466949A (zh) 一种用于平原地区中小城市城区10kV主副线环网格布局的方法
KR101470868B1 (ko) 지중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이 적용된 시스템
KR100407376B1 (ko) 전주내 전선이선기구를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KR20100036065A (ko) 활선상태에서 배전선로의 교체시공방법
KR101754043B1 (ko) 개별 개폐형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KR101736175B1 (ko) 절연스틱 및 공사용 개폐기를 이용한 사선작업 공간확보 무정전 공법
JP2005191727A (ja) Opgwシステム
D'Souza et al. Conversion of 230 KV switchyard to gas insulated substation in a gas plant
KR200176364Y1 (ko) 무정전 공사장치
KR100844039B1 (ko) 무정전 공법에 의한 고압 수용가 및 간선 개폐기의교체방법
JP2024069959A (ja) 変圧器取替工法
Potts et al. Permanent Solutions for Temporary Loads an Alternate Approach to Electric System Design for Short-Term Loading
Oury et al. Live working on underground low voltage systems
Wright et al. Power 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From the Mokelumne River Development of the Pacific Gas and Electric Compan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