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66162B1 -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 Google Patents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66162B1 KR101766162B1 KR1020160154117A KR20160154117A KR101766162B1 KR 101766162 B1 KR101766162 B1 KR 101766162B1 KR 1020160154117 A KR1020160154117 A KR 1020160154117A KR 20160154117 A KR20160154117 A KR 20160154117A KR 101766162 B1 KR101766162 B1 KR 10176616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hase
- branching
- cable
- line
- switch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패스케이블 무정전 배전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고압 3상 중 제1상씩 작업함에 있어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하여 작업구간 바이패스케이블의 중간에 중간접속을 없애고, 바이패스케이블 분기접속재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에서 직접 무정전변압기장치 및 기(40")의 단말케이블(21')을에 연결되게 하여 공사용개폐기의 소형화와 작업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게 하고, 특히 작업구간 간선 중간에 임시접속개소를 없앰으로써 임시접속개소에서 발생되는 전압강하를 방지하여 바이패스케이블의 허용용량을 증가시켜 중부하선로로 작업범위를 확대가 가능하게 하며, 작업구간에 다수의 변압기가 있을 경우 1대의 무정전변압기장치로 3개소의 변압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복잡한 도심지 시내지역에서의 공법적용이 용이하고 교통장애 및 보행자 통행위험을 방지하여 작업상의 편리함과 안정성이 향상되게 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이패스케이블 무정전 배전공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 전주에 연결 배선된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시 지상 또는 주상 포설되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여 신,구 전선의 순차적 분리 연결에 의해 무정전공사를 시행함에 있어 불안정한 다수의 접속개소 및 과다한 장비투입으로 교통장애등 작업공간이 협소한곳 또는 변압기가 많은 시내지역에서는 현장 적용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임시송전구간에 장비최소화 및 바이패스케이블의 중간접속개소를 없애고 전압강하를 개선하여 중부하선로 및 도심지 등에 현장적용 범위 확대가 가능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에 관한 것이다.
전력수요의 급증에 따라 이에 대응한 전력설비가 계속 확충되고 있으며, 전력 사용자의 전기품질에 대한 요구수준이 높아지면서 순간의 정전도 민원의 대상이 되어 보상청구 등의 전기 사용자의 집단행동과 소송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으로서 배전공사시에 양질의 전력공급을 위해 전력을 차단하지 않은 상태에서 공사가 이루어지는 무정전 공법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특고압 배전선로 무정전공법 중의 하나인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임시송전공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특고압 제3상을 공사용개폐기 및 제3상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여 50m 마다 중간접속재를 이용하여 임시로 접속하고, 작업구간에 변압기가 있을 경우에는 변압기 설치 개소마다 분기접속재에서 분기하여 각각의 무정전변압기장치에 공급하고, 분기선로가 있을 경우에는 분기접속재를 사용하여 분기선로를 공급하여 1회 작업구간이 200~300m정도로 작업이 이루어져 왔으나 이는 전압강하 등 불안정한 임시접속개소가 많고, 제3상 바이패스케이블을 임시로 지상에 포설하고 작업완료 후 다시 철거하는 등 부대작업에 따른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특허등록 10-1122499로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배전공법'을 등록한바 있다.
상기 특허공법은 도 1의 도시와 같이 특고압 제3상 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던 종래의 공법을 특고압 3상 중 제1상만 지상 또는 주상에 임시송전용 바이패스케이블(20)을 포설하여 전기의 순차적인 분리연결에 의하여 단상 또는 특고압제3상 배전선로의 교체 및 이설과 경과지 변경공사를 수행하는 무정전 배전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작업구간내 50m단위인 바이패스케이블(20)을 접속하기 위한 중간접속재(910) 및 공사용개폐기(400)를 작업구간 양측에 설치하고 분기주(60)가 있을 경우에는 분기접속재(920)에서 분기하여 분기주(60)의 분기선에 공급하여 임시접속개소가 많아 접속 개소당 3%씩 전압 강하가 발생하여 바이패스케이블의 허용용량을 감소 시켜 배전선로의 부하용량에 따라 작업범위가 매우 제한적이고,
또한 수용가가 많은 시내지역에서는 작업구간내 전주마다 변압기(30)(30')(30")가 설치되어 있어 작업장소가 협소하여 고가의 무정전변압기장치(50)를 변압기주 마다 설치가 불가능하여 공법적용이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특고압 3상 중 제1상에 다회로로 분기가 가능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활용하여 작업구간 간선 중간에 임시접속개소를 없애고, 작업구간내 3개소의 변압기주를 1대의 무정전변압기장치로 작업이 가능하게 하고 이와 동시에 3개소의 분기선로 까지도 작업이 가능하게 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는, 1회선으로 된 입력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을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입상주 양단의 단말케이블을 특고압 배전선로 제1상에 연결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는 제1 공정과;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과;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 및 제3상을 작업시에는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단말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순차적인 전기의 분리연결을 통하여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과;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및 단말케이블을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되며,
작업구간내 변압기주가 있는 경우,
1회선으로 된 입력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을 배전선로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다른 회선에서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에 연결하며,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저압바이패스케이블로 저압선 제1상에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고, 변압기의 2차인하선을 분리하고 변압기 COS를 개방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하고,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로의 변압기 COS를 투입하며, 변압기의 2차인하선을 연결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저압선에서 분리 및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제1상 이상의 변압기주 작업을 위해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과 무정전변압기장치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과 무정전변압기장치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함께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되며,
작업구간내 변압기주가 다수개소가 있는 경우,
1회선으로 된 입력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을 배전선로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다른 회선에서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로 분기시키되, 무정전변압기장치 전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추가로 설치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을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통해 변압기주 개소 수에 맞추어 회선을 분기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에 연결하며, 무정전변압기장치 1대로 내부 단상변압기 3대까지 각각 연결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3회선까지 출력하여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여 작업구간내 변압기주 3개소까지 배전선로 저압선 제1상을 각각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고, 변압기 2차인하선을 각각 분리하고 변압기 COS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개방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하고,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로의 변압기 COS를 투입하며, 변압기의 2차인하선을 연결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개방한 후, 무정전변압기장치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저압선에서 분리 및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제1상 이상의 변압기주 작업을 위해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과 무정전변압기장치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더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제4 공정에서는,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과 무정전변압기장치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함께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되며,
작업구간내 분기주가 있는 경우,
1회선으로 된 입력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을 배전선로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분기주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더 설치하여 연결하고 단말케이블을 분기선로에 입상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또 다른 하나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를 바이패스케이블로 연결하며,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 및 입상주에 연결된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제1상 이상의 배전선로 작업을 위해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단말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 및 분기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과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순차적인 전기의 분리연결을 통하여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 및 분기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과 바이패스케이블을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되며,
작업구간내 변압기주 및 분기주가 있는 경우,
1회선으로 된 입력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을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변압기주 작업을 위해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다른 회선에서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에 연결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저압바이패스케이블로 저압선 제1상에 연결하며, 분기주 작업을 위해 분기주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더 설치하여 단말케이블을 분기선로에 입상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를 바이패스케이블로 연결하되, 바이패스케이블을 연결시에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를 연결하며, 이후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고, 변압기 2차인하선을 각각 분리하고 변압기 COS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배전선로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로의 변압기 COS를 투입하고, 변압기의 2차인하선을 연결하며, 무정전변압기장치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저압선에서 분리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제1상 이상의 변압기주 작업을 위해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과 무정전변압기장치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과 분기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과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과 무정전변압기장치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과 분기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과 바이패스케이블을 함께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을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입상주 양단의 단말케이블을 특고압 배전선로 제1상에 연결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는 제1 공정과;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과;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 및 제3상을 작업시에는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단말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순차적인 전기의 분리연결을 통하여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과;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및 단말케이블을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되며,
작업구간내 변압기주가 있는 경우,
1회선으로 된 입력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을 배전선로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다른 회선에서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에 연결하며,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저압바이패스케이블로 저압선 제1상에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고, 변압기의 2차인하선을 분리하고 변압기 COS를 개방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하고,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로의 변압기 COS를 투입하며, 변압기의 2차인하선을 연결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저압선에서 분리 및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제1상 이상의 변압기주 작업을 위해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과 무정전변압기장치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과 무정전변압기장치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함께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되며,
작업구간내 변압기주가 다수개소가 있는 경우,
1회선으로 된 입력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을 배전선로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다른 회선에서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로 분기시키되, 무정전변압기장치 전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추가로 설치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을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통해 변압기주 개소 수에 맞추어 회선을 분기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에 연결하며, 무정전변압기장치 1대로 내부 단상변압기 3대까지 각각 연결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3회선까지 출력하여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여 작업구간내 변압기주 3개소까지 배전선로 저압선 제1상을 각각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고, 변압기 2차인하선을 각각 분리하고 변압기 COS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개방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하고,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로의 변압기 COS를 투입하며, 변압기의 2차인하선을 연결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개방한 후, 무정전변압기장치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저압선에서 분리 및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제1상 이상의 변압기주 작업을 위해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과 무정전변압기장치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더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제4 공정에서는,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과 무정전변압기장치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함께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되며,
작업구간내 분기주가 있는 경우,
1회선으로 된 입력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을 배전선로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분기주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더 설치하여 연결하고 단말케이블을 분기선로에 입상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또 다른 하나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를 바이패스케이블로 연결하며,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 및 입상주에 연결된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제1상 이상의 배전선로 작업을 위해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단말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 및 분기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과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순차적인 전기의 분리연결을 통하여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 및 분기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과 바이패스케이블을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되며,
작업구간내 변압기주 및 분기주가 있는 경우,
1회선으로 된 입력부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을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변압기주 작업을 위해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 중 다른 회선에서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에 연결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저압바이패스케이블로 저압선 제1상에 연결하며, 분기주 작업을 위해 분기주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더 설치하여 단말케이블을 분기선로에 입상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를 바이패스케이블로 연결하되, 바이패스케이블을 연결시에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다회로 출력부를 연결하며, 이후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고, 변압기 2차인하선을 각각 분리하고 변압기 COS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배전선로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로의 변압기 COS를 투입하고, 변압기의 2차인하선을 연결하며, 무정전변압기장치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을 저압선에서 분리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제1상 이상의 변압기주 작업을 위해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과 무정전변압기장치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과 분기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과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과 무정전변압기장치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과 분기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와 단말케이블과 바이패스케이블을 함께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함으로 달성할 수 있는 것이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과 같이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은, 특고압 3상 중 제1상씩 작업함에 있어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하여 작업구간 바이패스케이블의 중간에 중간접속을 없애고, 바이패스케이블 분기접속재를 사용하지 않고 본 발명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에서 직접 무정전변압기장치 및 분기선로에 연결되게 하여 공사용개폐기의 소형화와 작업공정의 단순화가 가능하고, 특히 작업구간 간선 중간에 임시접속개소를 없앰으로써 임시접속개소에서 발생되는 전압강하를 방지하여 바이패스케이블의 허용용량을 증가시켜 중부하선로로 작업범위를 확대하는 효과가 있으며, 작업구간에 다수의 변압기가 있을 경우 1대의 무정전변압기장치로 3개소의 변압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어 복잡한 도심지 시내지역에서의 공법적용이 용이하고 교통장애 및 보행자 통행위험을 방지하여 작업상의 편리함과 안정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시공상태도.
도 2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내 제1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변압기주를 갖는 제1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변압기주를 갖는 제2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변압기주를 갖는 제3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변압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포설 시공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2개소의 변압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간략회로도.
도 9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분기선로가 있는 제1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분기선로가 있는 제2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분기선로가 있는 제3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분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포설 시공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2개의 분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간략회로도.
도 15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변압기주와 분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변압기주와 분기주가 있는 경우 분기주를 무정전변압기장치에서 공급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3개소 변압기주와 1개소 분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3개소 변압기주와 1개소 분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포설 시공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9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2개소 변압기주와 2개소 분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2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내 제1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3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변압기주를 갖는 제1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4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변압기주를 갖는 제2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5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변압기주를 갖는 제3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6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변압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포설 시공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7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2개소의 변압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8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간략회로도.
도 9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분기선로가 있는 제1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분기선로가 있는 제2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분기선로가 있는 제3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12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분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포설 시공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3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2개의 분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4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간략회로도.
도 15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변압기주와 분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변압기주와 분기주가 있는 경우 분기주를 무정전변압기장치에서 공급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17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3개소 변압기주와 1개소 분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
도 18은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3개소 변압기주와 1개소 분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포설 시공상태 다른 실시예도.
도 19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에 2개소 변압기주와 2개소 분기주를 갖는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 다른 실시예도.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의 작업구간내 제1상 바이패스케이블 지상포설 시공상태도이다.
본 발명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은,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 등 유지보수를 위하여 작업정전을 줄이기 위한 무정전공법으로 기존의 바이패스케이블공법 및 기타 무정전공법을 적극적으로 활용 및 응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기존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을 적용하기 곤란한 중부하선로 및 도심지 등과 교통장애 및 보행자 위험을 해소하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기술 신공법으로 이를 활용하여 현장에서 작업자의 숙련도 및 현장 여건에 따라 보다 폭넓고 안전한 공법 적용을 위하여 발명된 것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가능하다.
*실시예 1
도 8을 참조하여 도 2의 도시와 같이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과,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된다.
먼저, 제1 공정은,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입력부(41)를 통해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1)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포설하여 양측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여 된다.
제2 공정은,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수행하여 된다.
제3 공정은,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2) 및 제3상(3)을 작업시에는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단말케이블(21)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이용하여 특고압 제2 상 및 제3상에 대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순차적인 전기의 분리연결을 통하여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제4 공정은,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및 단말케이블(21)을 철거하여 된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은,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가능하다.
*실시예 1
도 8을 참조하여 도 2의 도시와 같이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과,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된다.
먼저, 제1 공정은,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입력부(41)를 통해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1)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포설하여 양측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여 된다.
제2 공정은,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수행하여 된다.
제3 공정은,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2) 및 제3상(3)을 작업시에는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단말케이블(21)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이용하여 특고압 제2 상 및 제3상에 대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순차적인 전기의 분리연결을 통하여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제4 공정은,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및 단말케이블(21)을 철거하여 된다.
*실시예 2
도 3의 도시와 같이 작업구간 내 변압기주가 있을 경우,
도 8을 참조하여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과,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과,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된다.
먼저, 제1 공정은,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입력부(41)를 통해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1)에 입상한다.
그리고, 특고압 3상 중 제1상만 바이패스케이블(20)을 중간접속개소 없이 작업구간내 입상주와 지상에 포설하고 작업구간 양측 입상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여 제1상(1)을 바이패스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구간 내 변압기(30)가 있을 경우 어느 한 측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다른 회선에서 제1상(1)의 특고압을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공급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이용하여 저압선의 제1상 저압선(80)에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한다.
그리고, 제1상 임시송전이 완료되면 제1상 변압기 2차인하선(31)을 분리하고 제1상 변압기(30)의 COS(35)를 개방한다.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입력부(41)를 통해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1)에 입상한다.
그리고, 특고압 3상 중 제1상만 바이패스케이블(20)을 중간접속개소 없이 작업구간내 입상주와 지상에 포설하고 작업구간 양측 입상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여 제1상(1)을 바이패스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구간 내 변압기(30)가 있을 경우 어느 한 측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다른 회선에서 제1상(1)의 특고압을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공급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이용하여 저압선의 제1상 저압선(80)에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한다.
그리고, 제1상 임시송전이 완료되면 제1상 변압기 2차인하선(31)을 분리하고 제1상 변압기(30)의 COS(35)를 개방한다.
제2 공정은,
제1 공정에 이어, 특고압 바이패스된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제1상(1)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작업구간내 제1상(1) 전체를 사선상태의 안전한 작업공간으로 확보한 상태에서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 등을 완료하되, 제1상(1)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후,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의 변압기 COS(35)를 투입하고, 변압기(30) 2차인하선(31)을 연결한다.
그리고, 변압기(30)를 신설전선 제1상(1)으로 연결하여 송전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80)에서 분리하고, 양측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바이패스케이블(20)의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1상(1) 무정전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제1 공정에 이어, 특고압 바이패스된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제1상(1)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작업구간내 제1상(1) 전체를 사선상태의 안전한 작업공간으로 확보한 상태에서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 등을 완료하되, 제1상(1)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후,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의 변압기 COS(35)를 투입하고, 변압기(30) 2차인하선(31)을 연결한다.
그리고, 변압기(30)를 신설전선 제1상(1)으로 연결하여 송전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80)에서 분리하고, 양측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바이패스케이블(20)의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1상(1) 무정전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제3 공정은,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2) 및 제3상(3)을 작업하되,
먼저, 3상 중 제2상(2) 작업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이미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의 단말케이블(21)을 작업구간 양측에서 제2상(2)으로 바이패스 연결한 후,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검상한 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80) 제2상에 연결하고 제2상 임시송전이 완료되면 제2상 변압기 2차인하선(31)을 분리하고 제2상 변압기(30)의 COS(35)를 개방한 후, 제2상(2)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작업구간내 제2상(2) 전체를 사선상태의 안전한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 등을 완료하고, 제2상(2)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후,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의 변압기 COS(35)를 투입하고, 변압기(30) 2차인하선(31)을 연결하고, 변압기(30)를 신설전선 제2상(2)으로 연결하여 송전하며,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80) 제2상에서 분리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바이패스케이블(20)의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2상(2) 무정전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2) 및 제3상(3)을 작업하되,
먼저, 3상 중 제2상(2) 작업은 도 4의 도시와 같이 이미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의 단말케이블(21)을 작업구간 양측에서 제2상(2)으로 바이패스 연결한 후,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검상한 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80) 제2상에 연결하고 제2상 임시송전이 완료되면 제2상 변압기 2차인하선(31)을 분리하고 제2상 변압기(30)의 COS(35)를 개방한 후, 제2상(2)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작업구간내 제2상(2) 전체를 사선상태의 안전한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 등을 완료하고, 제2상(2)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후,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의 변압기 COS(35)를 투입하고, 변압기(30) 2차인하선(31)을 연결하고, 변압기(30)를 신설전선 제2상(2)으로 연결하여 송전하며,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80) 제2상에서 분리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바이패스케이블(20)의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2상(2) 무정전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이후, 3상 중 제3상(3) 작업은 도 5의 도시와 같이 이미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말케이블(21)을 작업구간 입상주 양측에서 제3상(3)으로 바이패스 연결한 후,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투입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검상한 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80) 제3상에 연결하고 제3상 임시송전이 완료되면 제3상 변압기 2차인하선(31)을 분리하고 제3상 변압기(30)의 COS(35)를 개방한 후 제3상(3)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작업구간내 제3상(3) 전체를 사선상태의 안전한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 등을 완료하고, 제3상(3)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후,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의 변압기 COS(35)를 투입하고, 변압기(30) 2차인하선(31)을 연결하고, 변압기(30)를 신설전선 제3상(3)으로 연결하여 송전하고,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80) 제3상에서 분리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바이패스케이블(20)의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3상(3) 무정전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제4 공정은,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함께 안전하게 철거하면 된다.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함께 안전하게 철거하면 된다.
한편, 상기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는, 도 8의 도시와 같이 일측에는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다.
이에, 일예로 제1상(1)측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입력부(41)와 연결하고, 바이패스케이블(20)은 다회로 출력부(43)의 어느 한 회선에 연결하며, 그 바이패스케이블(20)은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입력부(41)로도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한 측의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다회로 출력부(43)의 다른 한 회선에는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연결이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다로 공사용개폐기(40)의 다회로 출력부(43)의 연결을 위한 회선의 선택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3상 중 어느 한 회선을 통해 연결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이에, 사선 상태의 바이패스케이블(20)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 및 변압기주 간의 바이패스케이블(20) 연결작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연결작업이 종료된 후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작동시켜 그 바이패스케이블(20)에 대한 활선상태 및 변압기주로 임시송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실시예 3
도 6의 도시와 같이 바이패스케이블을 지상에 포설이 불가능하여 주상에 포설하고 변압기주가 있을 경우,
제1 공정에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설치함에 있어, 작업구간에 도로횡단, 도로교통 장애물 등으로 지상으로 바이패스케이블(20)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20)을 중간접속개소 없이 중성선(70) 부근 주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과, 제4 공을 수행하면 된다.
삭제
삭제
*실시예 4
도 7의 도시와 같이 작업구간내 변압기주가 다수개소 있는 경우,
도 8을 참조하여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과,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된다.
도 8을 참조하여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과,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된다.
먼저, 제1 공정은,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입력부(41)를 통해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1)에 입상한다.
그리고, 특고압 3상 중 제1상만 바이패스케이블(20)을 중간접속개소 없이 작업구간내 입상주와 지상에 포설하고 작업구간 양측 입상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여 제1상(1)을 바이패스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구간 내 변압기(30)가 일예로 2개소 있을 경우 입상주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다른 회선에서 제1상(1)의 특고압을 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공급하되, 공급시에는 무정전변압기장치(50) 전단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추가로 설치하여 입력부(41) 및 출력부(43)를 통해 제1상의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을 2회선으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 내부 단상변압기(도면중 미도시함) 3대 중 2대에 공급한다.
이때, 분기되는 연결케이블(22)는 단상변압기 3대까지 각각 연결하여 3회선까지 출력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이용하여 2회선으로 출력하여 변압기(30)의 저압선(80) 제1상과 변압기(30') 저압선(80') 제1상에 각각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한다.
그리고, 제1상 임시송전이 완료되면 제1상 변압기 2차인하선(31)(31')을 분리하고 제1상 변압기(30)(30')의 COS(35)(35')를 개방한다.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입력부(41)를 통해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1)에 입상한다.
그리고, 특고압 3상 중 제1상만 바이패스케이블(20)을 중간접속개소 없이 작업구간내 입상주와 지상에 포설하고 작업구간 양측 입상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여 제1상(1)을 바이패스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구간 내 변압기(30)가 일예로 2개소 있을 경우 입상주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다른 회선에서 제1상(1)의 특고압을 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공급하되, 공급시에는 무정전변압기장치(50) 전단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추가로 설치하여 입력부(41) 및 출력부(43)를 통해 제1상의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을 2회선으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 내부 단상변압기(도면중 미도시함) 3대 중 2대에 공급한다.
이때, 분기되는 연결케이블(22)는 단상변압기 3대까지 각각 연결하여 3회선까지 출력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이용하여 2회선으로 출력하여 변압기(30)의 저압선(80) 제1상과 변압기(30') 저압선(80') 제1상에 각각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한다.
그리고, 제1상 임시송전이 완료되면 제1상 변압기 2차인하선(31)(31')을 분리하고 제1상 변압기(30)(30')의 COS(35)(35')를 개방한다.
제2 공정은,
제1 공정에 이어, 특고압 바이패스된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제1상(1)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작업구간내 제1상(1) 전체를 사선상태의 안전한 작업공간으로 확보한 상태에서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 등을 완료하되, 제1상(1)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후,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의 변압기 COS(35)(35')를 투입하고, 변압기(30)(30') 2차인하선(31)(31')을 연결한다.
그리고, 변압기(30)(30')를 신설전선 제1상(1)으로 연결하여 송전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 전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개방한 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80)(80')에서 분리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바이패스케이블(20)의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1상(1) 무정전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제3 공정은,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2) 및 제3상(3)을 작업하되,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를 이용하여, 제2상(2) 및 제3상(3)에 대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면 된다.
제4 공정은,
무정전 작업이 종료되면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함께 안전하게 철거하면 된다.
제1 공정에 이어, 특고압 바이패스된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제1상(1)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작업구간내 제1상(1) 전체를 사선상태의 안전한 작업공간으로 확보한 상태에서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 등을 완료하되, 제1상(1)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후,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의 변압기 COS(35)(35')를 투입하고, 변압기(30)(30') 2차인하선(31)(31')을 연결한다.
그리고, 변압기(30)(30')를 신설전선 제1상(1)으로 연결하여 송전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 전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개방한 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80)(80')에서 분리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바이패스케이블(20)의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1상(1) 무정전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제3 공정은,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2) 및 제3상(3)을 작업하되,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를 이용하여, 제2상(2) 및 제3상(3)에 대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면 된다.
제4 공정은,
무정전 작업이 종료되면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함께 안전하게 철거하면 된다.
삭제
*실시예 5
도 9의 도시와 같이 작업구간에 분기선로가 있을 경우,
도 14를 참조하여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과,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된다.
먼저, 제1 공정은,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입력부(41)를 통해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1)에 입상한다.
그리고, 특고압 3상 중 제1상만 바이패스케이블(20)을 중간접속개소 없이 작업구간내 입상주와 지상에 포설하고 작업구간 양측 입상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여 제1상(1)을 바이패스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구간내 분기주(60)가 있을 경우에는 분기주(60)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더 설치하고, 단말케이블(21')을 이용하여 입력부(41)를 통해 분기선로 제1상에 입상한다.
그리고, 입상주에 설치된 어느 한 측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다회로 출력부(43) 중 다른 회선에서 제1상(1)의 특고압을 분기하여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또 다른 바이패스케이블(20')로 연결하며, 검상을 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한다.
먼저, 제1 공정은,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입력부(41)를 통해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1)에 입상한다.
그리고, 특고압 3상 중 제1상만 바이패스케이블(20)을 중간접속개소 없이 작업구간내 입상주와 지상에 포설하고 작업구간 양측 입상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여 제1상(1)을 바이패스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구간내 분기주(60)가 있을 경우에는 분기주(60)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더 설치하고, 단말케이블(21')을 이용하여 입력부(41)를 통해 분기선로 제1상에 입상한다.
그리고, 입상주에 설치된 어느 한 측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다회로 출력부(43) 중 다른 회선에서 제1상(1)의 특고압을 분기하여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또 다른 바이패스케이블(20')로 연결하며, 검상을 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한다.
제2 공정은,
제1 공정에 이어, 특고압 바이패스된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제1상(1)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작업구간내 제1상(1) 전체를 사선상태의 안전한 작업공간으로 확보한 상태에서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 등을 완료하되, 제1상(1)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후, 작업이 완료되면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하고,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및 분기주(60)의 단말케이블(21)(21')을 분리하여 제1상(1) 무정전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제1 공정에 이어, 특고압 바이패스된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제1상(1)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작업구간내 제1상(1) 전체를 사선상태의 안전한 작업공간으로 확보한 상태에서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 등을 완료하되, 제1상(1)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후, 작업이 완료되면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하고, 작업구간 양단 입상주 및 분기주(60)의 단말케이블(21)(21')을 분리하여 제1상(1) 무정전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제3 공정은,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2) 및 제3상(3)을 작업하되,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단말케이블(21)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 및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이용하여 제2상(2) 및 제3상(3)에 대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면 된다.
제4 공정은,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철거하면 된다.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2) 및 제3상(3)을 작업하되,
도 10 및 도 11의 도시와 같이 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단말케이블(21)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 및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이용하여 제2상(2) 및 제3상(3)에 대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면 된다.
제4 공정은,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철거하면 된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는, 도 14의 도시와 같이 일측에는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다.
이에, 일예로 제1상(1)측은 양측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입력부(41)와 연결하고, 다회로 출력부(43)의 어느 한 회선은 바이패스케이블(20)로 서로 연결하며, 어느 한 측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다회로 출력부(43)는 분기주(60)에 형성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다회로 출력부(43)으로도 연결이 가능하다.
또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입력부(41)를 통해 분기주(60)로 연결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다회로 출력부(43)의 연결을 위한 상의 선택은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3상 중 어느 제1상을 통해 연결 가능함은 당연할 것이다.
*실시예 6
도 12의 도시와 같이 같이 바이패스케이블을 지상에 포설이 불가능하여 주상에 포설하고 작업구간내 분기주(60)가 있을 경우,
제1 공정에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설치함에 있어, 작업구간에 도로횡단, 도로교통 장애물 등으로 지상으로 바이패스케이블(20)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20)을 중간접속개소 없이 중성선(70) 부근 주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제4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과, 제4 공을 수행하면 된다.
삭제
*실시예 7
도 13의 도시와 같이 작업구간내 분기주(60)가 다수개소 있는 경우, 실시예 4와 같이 도 9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제1 공정 내지 제4 공정을 수행하되,
제1 공정을 수행시, 작업구간내 다소개소 분기주(60)에 각각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더 설치하고, 단말케이블(21')을 이용하여 입력부(41)를 통해 분기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한다.
그리고, 입상주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다회로 출력부(43) 중 다른 회선에서 제1상(1)의 특고압을 분기하여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또 다른 바이패스케이블(20')로 연결하며, 검상을 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한다.
이후, 제2 공정 내지 제4 공정은 실시예 4와 같이 수행하되, 각각의 각 개소의 분기주(60)에 해당하게 수행하면 될 것이다.
제1 공정을 수행시, 작업구간내 다소개소 분기주(60)에 각각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더 설치하고, 단말케이블(21')을 이용하여 입력부(41)를 통해 분기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한다.
그리고, 입상주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다회로 출력부(43) 중 다른 회선에서 제1상(1)의 특고압을 분기하여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또 다른 바이패스케이블(20')로 연결하며, 검상을 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한다.
이후, 제2 공정 내지 제4 공정은 실시예 4와 같이 수행하되, 각각의 각 개소의 분기주(60)에 해당하게 수행하면 될 것이다.
*실시예 8
도 15와 도 16의 도시와 같이 작업구간내 변압기주와 분기주(60)가 있는 경우,
도 14를 참조하여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과,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된다.
먼저, 제1 공정은,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입력부(41)를 통해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1)에 입상한다.
도 14를 참조하여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과,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된다.
먼저, 제1 공정은,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입력부(41)를 통해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1)에 입상한다.
그리고, 특고압 3상 중 제1상만 바이패스케이블(20)을 중간접속개소 없이 작업구간내 입상주와 지상에 포설하고 작업구간 양측 입상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여 바이패스 연결한다.
그리고, 변압기주 작업을 위해 어느 한 측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한 회선에서 제1상(1)의 특고압을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공급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이용하여 저압선의 제1상 저압선(80)에 연결한다.
그리고, 분기주 작업을 위해 분기주(60)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더 설치하고, 단말케이블(21')을 이용하여 입력부(41)를 통해 분기선로 제1상에 입상한다.
그리고, 입상주(60)에 설치된 어느 한 측(현장여건상 가장가까운 입상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다회로 출력부(43) 중 다른 회선에서 제1상(1)의 특고압을 분기하여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또 다른 바이패스케이블(20')로 연결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고, 제1상 임시송전이 완료되면 제1상 변압기 2차인하선(31)을 분리하고 제1상 변압기(30)의 COS(35)를 개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케이블(20')를 이용하여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연결함에 있어서는, 도 16의 도시와 같이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서 제1상을 분기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다회로 출력부(43)로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제2 공정은,
작업구간 양단의 배전선로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1) 및 분기주(60)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의 변압기 COS(35)를 투입하고, 변압기(30) 2차인하선(31)을 연결하고, 변압기(30)를 신설전선 제1상(1)으로 연결하여 송전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80)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21)(21')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리고, 변압기주 작업을 위해 어느 한 측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43) 중 한 회선에서 제1상(1)의 특고압을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공급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 2차 저압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이용하여 저압선의 제1상 저압선(80)에 연결한다.
그리고, 분기주 작업을 위해 분기주(60)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더 설치하고, 단말케이블(21')을 이용하여 입력부(41)를 통해 분기선로 제1상에 입상한다.
그리고, 입상주(60)에 설치된 어느 한 측(현장여건상 가장가까운 입상주)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다회로 출력부(43) 중 다른 회선에서 제1상(1)의 특고압을 분기하여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또 다른 바이패스케이블(20')로 연결한다.
그리고, 각각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고, 제1상 임시송전이 완료되면 제1상 변압기 2차인하선(31)을 분리하고 제1상 변압기(30)의 COS(35)를 개방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케이블(20')를 이용하여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연결함에 있어서는, 도 16의 도시와 같이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서 제1상을 분기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다회로 출력부(43)로 연결되게 구성할 수 있다.
제2 공정은,
작업구간 양단의 배전선로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1) 및 분기주(60)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의 변압기 COS(35)를 투입하고, 변압기(30) 2차인하선(31)을 연결하고, 변압기(30)를 신설전선 제1상(1)으로 연결하여 송전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80)에서 분리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되면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21)(21')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삭제
삭제
삭제
제3 공정은,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2) 및 제3상(3)을 작업하되,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과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이용하여 특고압 제2 상 및 제3상에 대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면 된다.
제4 공정은,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과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함께 철거하면 된다.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2) 및 제3상(3)을 작업하되,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과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이용하여 특고압 제2 상 및 제3상에 대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면 된다.
제4 공정은,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과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함께 철거하면 된다.
*실시예 9
도 17의 도시와 같이 작업구간내 3개소의 변압기주와 1개소의 분기선로가 있는 경우,
실시예 8을 참조하여 제1 공정에서, 각각의 변압기(30)(30')(30")를 연결함에 있어, 무정전변압기장치(50) 전단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추가로 설치하여 입력부(41) 및 출력부(43)를 통해 제1상의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을 3회선으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 내부 단상변압기(도면중 미도시함) 3대 중 3대에 각각 공급한다.
그리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연결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50)내부 단상 변압기 3대를 개별로 운용이 가능하도록 무정전변압기장치(50) 2차 결선하여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이용하여 변압기(30)(30')(30")의 저압선(80)(80')(80") 제1상에 검상을 한 후 각각 연결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연결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50)내부 단상 변압기 3대를 개별로 운용이 가능하도록 무정전변압기장치(50) 2차 결선하여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이용하여 변압기(30)(30')(30")의 저압선(80)(80')(80") 제1상에 검상을 한 후 각각 연결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분기주(60)는 작업구간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또는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서 특고압 제1상을 분기할 수 있으나, 도 17은 또 다른 바이패스케이블(20')을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서 분기하여 분기주(60)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로 연결 및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단말케이블(21')을 제1상 분기선로에 입상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실시예 9에서는 변압기(30)(30')(30") 및 분기주(60)의 연결 이외에 1 공정 내지 4공정은 변압기 및 분기주의 개소에 따라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 9에서는 변압기(30)(30')(30") 및 분기주(60)의 연결 이외에 1 공정 내지 4공정은 변압기 및 분기주의 개소에 따라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삭제
*실시예 10
실시예 8 및 실시예 9를 참조하여 도 18의 도시와 같이 작업구간내 3개소의 변압기주와 1개소의 분기선로가 있고 바이패스케이블(20)을 지상에 포설이 불가능하여 주상에 포설하는 경우,
제1 공정에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설치함에 있어, 작업구간에 도로횡단, 도로교통 장애물 등으로 지상으로 바이패스케이블(20) 설치가 불가능한 경우 별도의 바이패스케이블(20)을 중간접속개소 없이 중성선(70) 부근 주상에 설치한 상태에서, 연속하여 제8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공정과, 제2 공정과, 제3 공정과, 제4 공을 수행하면 된다.
*실시예 11
도 19의 도시와 같이 작업구간내 2개소의 변압기주와 2개소의 분기주가 있는 경우
실시예 8을 참조하여 제1 공정에서, 각각의 변압기(30)(30')를 연결함에 있어, 무정전변압기장치(50) 전단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추가로 설치하여 입력부(41) 및 출력부(43)를 통해 제1상의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을 2회선으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 내부 단상변압기(도면중 미도시함) 3대 중 2대에 공급한다.
실시예 8을 참조하여 제1 공정에서, 각각의 변압기(30)(30')를 연결함에 있어, 무정전변압기장치(50) 전단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추가로 설치하여 입력부(41) 및 출력부(43)를 통해 제1상의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을 2회선으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 내부 단상변압기(도면중 미도시함) 3대 중 2대에 공급한다.
그리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연결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50)내부 단상 변압기 2대를 운용이 가능하도록 무정전변압기장치(50) 2차 결선하여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이용하여 변압기(30)(30')의 저압선(80)(80') 제1상에 검상을 한 후 각각 연결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분기주(60)(60')는 작업구간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또는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서 특고압 제1상을 분기할 수 있으나, 도 19는 또 다른 바이패스케이블(20')을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서 분기하여 각각의 분기주(60)(60')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로 연결 및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단말케이블(21')을 분기선로 입상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분기주(60)(60')는 작업구간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또는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서 특고압 제1상을 분기할 수 있으나, 도 19는 또 다른 바이패스케이블(20')을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서 분기하여 각각의 분기주(60)(60')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로 연결 및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의 단말케이블(21')을 분기선로 입상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삭제
한편, 실시예 9에서 변압기(30)(30') 및 두개소의 분기주(60)의 연결 이외에 1 공정 내지 4공정은 변압기 및 분기주의 개소에 따라 실시예 8과 동일하게 적용 가능할 것이다.
20,20' : 바이패스케이블 21,21' : 단말케이블
22 :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
30,30',30" : 변압기 31,31',31" : 변압기 2차인하선
35, 35', 35" : COS 40,40',40" :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41 : 입력부 43 : 다회로 출력부
400 : 공사용개폐기
50 : 무정전변압기장치 60, 60' : 분기주
70 : 중성선 80 : 저압선
81 : 저압바이패스케이블
910 : 중간접속재 920 : 분기접속재
22 :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
30,30',30" : 변압기 31,31',31" : 변압기 2차인하선
35, 35', 35" : COS 40,40',40" :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
41 : 입력부 43 : 다회로 출력부
400 : 공사용개폐기
50 : 무정전변압기장치 60, 60' : 분기주
70 : 중성선 80 : 저압선
81 : 저압바이패스케이블
910 : 중간접속재 920 : 분기접속재
Claims (8)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는 제1 공정과;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 제1상에 연결된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과;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 및 제3상을 작업시에는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단말케이블(21)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순차적인 전기의 분리연결을 통하여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과;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및 단말케이블(21)을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는 제1 공정과;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 제1상에 연결된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과;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 및 제3상을 작업시에는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단말케이블(21)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순차적인 전기의 분리연결을 통하여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과;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및 단말케이블(21)을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삭제
작업구간내 변압기주가 있는 경우,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다른 회선에서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연결하며, 무정전변압기장치(50) 2차 저압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로 저압선 제1상에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고, 변압기(30)의 2차인하선(31)을 분리하고 변압기 COS(35)를 개방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하고,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로의 변압기 COS(35)를 투입하며, 변압기의 2차인하선(31)을 연결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에서 분리 및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개방한 후, 배전선로 제1상에 연결된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 및 제3상을 작업시에는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함께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다른 회선에서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연결하며, 무정전변압기장치(50) 2차 저압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로 저압선 제1상에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고, 변압기(30)의 2차인하선(31)을 분리하고 변압기 COS(35)를 개방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하고,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로의 변압기 COS(35)를 투입하며, 변압기의 2차인하선(31)을 연결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에서 분리 및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개방한 후, 배전선로 제1상에 연결된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 및 제3상을 작업시에는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함께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작업구간내 변압기주가 다수개소가 있는 경우,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다른 회선에서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로 분기시키되, 무정전변압기장치(50) 전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추가로 설치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을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통해 변압기주 개소 수에 맞추어 회선을 분기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연결하며, 무정전변압기장치(50) 1대로 내부 단상변압기 3대까지 각각 연결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50) 2차 저압을 3회선까지 출력하여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이용하여 작업구간내 변압기주 3개소까지 배전선로 저압선 제1상을 각각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고, 변압기 2차인하선(31)을 각각 분리하고 변압기 COS(35)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개방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하고,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로의 변압기 COS(35)를 투입하며, 변압기의 2차인하선(31)을 연결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개방한 후,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에서 분리 및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 및 제3상을 작업시에는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더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제4 공정에서는,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함께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다른 회선에서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로 분기시키되, 무정전변압기장치(50) 전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추가로 설치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을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통해 변압기주 개소 수에 맞추어 회선을 분기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연결하며, 무정전변압기장치(50) 1대로 내부 단상변압기 3대까지 각각 연결하여 무정전변압기장치(50) 2차 저압을 3회선까지 출력하여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이용하여 작업구간내 변압기주 3개소까지 배전선로 저압선 제1상을 각각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고, 변압기 2차인하선(31)을 각각 분리하고 변압기 COS(35)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개방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하고,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로의 변압기 COS(35)를 투입하며, 변압기의 2차인하선(31)을 연결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개방한 후,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에서 분리 및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 및 제3상을 작업시에는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더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제4 공정에서는,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함께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작업구간내 분기주(60)가 있는 경우,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분기주(60)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더 설치하여 연결하고 단말케이블(21')을 분기선로에 입상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다른 회선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를 바이패스케이블(20')로 연결하며,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 및 입상주에 연결된 단말케이블(21)(21')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 및 제3상을 작업시에는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단말케이블(21)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 및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순차적인 전기의 분리연결을 통하여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분기주(60)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더 설치하여 연결하고 단말케이블(21')을 분기선로에 입상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다른 회선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를 바이패스케이블(20')로 연결하며,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상태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 및 입상주에 연결된 단말케이블(21)(21')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 및 제3상을 작업시에는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단말케이블(21)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 및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순차적인 전기의 분리연결을 통하여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작업구간내 변압기주 및 분기주(60)가 있는 경우,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변압기주 작업을 위해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다른 회선에서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연결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 2차 저압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로 저압선 제1상에 연결하며, 분기주(60) 작업을 위해 분기주(60)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더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분기선로에 입상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를 바이패스케이블(20')로 연결하되, 바이패스케이블(20')을 연결시에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를 연결하며, 이후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고, 변압기 2차인하선(31)을 각각 분리하고 변압기 COS(35)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배전선로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로의 변압기 COS(35)를 투입하고, 변압기의 2차인하선(31)을 연결하며,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에서 분리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 및 제3상을 작업시에는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과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과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함께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1회선으로 된 입력부(41)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스위칭 작동되는 다수 회선으로 분기된 다회로 출력부(43)가 구성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이용하되,
특고압 배전선로에서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의 입상주 양단에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배전선로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1상에 입상하고, 지상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포설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한 회선에 각각 연결하며, 변압기주 작업을 위해 작업구간 시작전주와 끝전주 양단에 설치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 중 다른 회선에서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로 분기시켜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 연결하고, 무정전변압기장치(50) 2차 저압을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로 저압선 제1상에 연결하며, 분기주(60) 작업을 위해 분기주(60)에 또 다른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를 더 설치하여 단말케이블(21')을 분기선로에 입상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를 바이패스케이블(20')로 연결하되, 바이패스케이블(20')을 연결시에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와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를 연결하며, 이후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투입하여 바이패스 연결하고, 변압기 2차인하선(31)을 각각 분리하고 변압기 COS(35)를 순차적으로 개방하는 제1 공정;
작업구간 양단의 배전선로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분리하여 제1상 작업구간 전체를 사선상태의 작업공간으로 확보하여 장주변경 또는 교체와 전선연선 및 긴선작업을 완료한 후, 작업이 완료된 배전선로 제1상 및 분기주의 점퍼선을 바이패스 연결한 상태에서, 작업이 완료된 특고압 배전선로의 변압기 COS(35)를 투입하고, 변압기의 2차인하선(31)을 연결하며, 무정전변압기장치(50)의 2차에 연결된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을 저압선에서 분리하고,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40")를 순차적으로 개방한 후, 배전선로에 연결된 단말케이블(21)을 분리하여 제1상 무정전 작업을 하는 제2 공정;
특고압 3개의 상 중 제2상 및 제3상을 작업시에는 제1상 작업시 이미 설치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과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이용하여 제1 공정과 제2 공정을 반복 수행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제3 공정; 및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 및 무정전변압기장치 연결케이블(22)과 무정전변압기장치(50)와 저압바이패스케이블(81)과 분기주(60)의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와 단말케이블(21')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함께 철거하는 제4 공정을 수행하여 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제 6항에 있어서,
제1 공정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를 바이패스케이블(20')로 연결하되,
바이패스케이블(20')을 연결시에는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서 1회선을 분기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제1 공정에서,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를 바이패스케이블(20')로 연결하되,
바이패스케이블(20')을 연결시에는 무정전변압기장치(50)에서 1회선을 분기하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40") 다회로 출력부를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제 3항, 제 5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도로교통 장애 및 보행자 통행 위험 등으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지상에 포설이 곤란한 작업구간의 경우,
전주의 주상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설치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도로교통 장애 및 보행자 통행 위험 등으로 바이패스케이블(20)을 지상에 포설이 곤란한 작업구간의 경우,
전주의 주상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설치하여 무정전 작업을 완료하는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4117A KR101766162B1 (ko) | 2016-11-18 | 2016-11-18 |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
PCT/KR2017/012032 WO2018093061A1 (ko) | 2016-11-18 | 2017-10-30 |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4117A KR101766162B1 (ko) | 2016-11-18 | 2016-11-18 |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66162B1 true KR101766162B1 (ko) | 2017-08-08 |
Family
ID=59653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4117A KR101766162B1 (ko) | 2016-11-18 | 2016-11-18 |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66162B1 (ko) |
WO (1) | WO2018093061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1589A (ko) | 2020-06-05 | 2021-12-14 | 한국전력공사 |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의 주상 포설 방법 |
KR20210154553A (ko) | 2020-06-12 | 2021-12-21 | 한국전력공사 |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및 그 방법 |
KR20230086422A (ko) | 2021-12-08 | 2023-06-15 | 한국전력공사 |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583821B (zh) * | 2022-03-04 | 2024-07-02 | 国网浙江省电力有限公司金华供电公司 | 一种不停电投运开闭所的方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2499B1 (ko) | 2010-07-26 | 2012-03-16 | 대원전기 주식회사 |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79320B1 (ko) * | 2003-02-18 | 2005-03-25 | 우창전력(주) |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 |
KR100864966B1 (ko) * | 2006-04-24 | 2008-10-22 | 에스엠 종합개발 주식회사 | 전선의 교체방법 |
KR20100054948A (ko) * | 2008-11-17 | 2010-05-26 | (주) 진흥이엔지 |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
KR101394095B1 (ko) * | 2014-03-19 | 2014-05-14 | 운장전력 주식회사 | 특고압 중성선과 저압 중성선의 분리 설치 구조를 갖는 가공지선 겸용 특고압 중성선을 이용한 배전선로 공법 |
-
2016
- 2016-11-18 KR KR1020160154117A patent/KR101766162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7
- 2017-10-30 WO PCT/KR2017/012032 patent/WO2018093061A1/ko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22499B1 (ko) | 2010-07-26 | 2012-03-16 | 대원전기 주식회사 |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51589A (ko) | 2020-06-05 | 2021-12-14 | 한국전력공사 |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의 주상 포설 방법 |
KR20210154553A (ko) | 2020-06-12 | 2021-12-21 | 한국전력공사 |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및 그 방법 |
KR20230086422A (ko) | 2021-12-08 | 2023-06-15 | 한국전력공사 |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8093061A1 (ko) | 2018-05-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66162B1 (ko) |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 |
KR100926445B1 (ko) | 분기접속기능을 갖는 익스텐션 엘보우를 이용한 지중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시공법 | |
EP1974430B1 (en) | A transmission system | |
US8014178B2 (en) | Converter station | |
KR101777080B1 (ko) | 절연활선장선기와 바이패스점퍼케이블을 이용하여 전주 경간내 전선을 분리하여 사선상태에서 구간내 작업을 하는 무정전 배전공법 | |
KR101122499B1 (ko) |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 |
RU154342U1 (ru) | Открытое распредел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одстанции | |
CN102368612A (zh) | 一种中压配电网的三双接线方式 | |
KR20100054948A (ko) |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 |
Magg et al. | Connecting networks with VSC HVDC in Africa: Caprivi Link interconnector | |
US20090201702A1 (en) | Converter Station | |
CN110739685B (zh) | 电缆型配电网的不停电作业方法 | |
KR101754043B1 (ko) | 개별 개폐형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 |
KR101126214B1 (ko) | 배전계통 송전선로상의 무정전 변압기 변경 연결방법 | |
KR20230124873A (ko) | 선로 작업 방법 | |
CN202405780U (zh) | 一种中压配电网的“三双”接线结构 | |
KR100415908B1 (ko) | 저압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 |
KR101470868B1 (ko) | 지중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이 적용된 시스템 | |
KR20230045404A (ko) | 삼상 배치 차단기 및 이를 이용한 네트워크 배전 계통 | |
CN113851990A (zh) | 一种低压侧完全不停电的箱式变压器更换方法 | |
Brochu et al. | Innovative applications of phase-shifting transformers supplemented with series reactive elements | |
RU2813005C1 (ru) | Способ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потребителей при повреждении фазы электрической сети 110 кВ | |
CN100401611C (zh) | 一种四路电源均衡切换的变电站接线方法 | |
CN202840317U (zh) | 一种快装变电站 | |
KR100833691B1 (ko) | 분산형 배전개폐소에 의한 전력공급 시스템 및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