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6422A -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6422A
KR20230086422A KR1020210175033A KR20210175033A KR20230086422A KR 20230086422 A KR20230086422 A KR 20230086422A KR 1020210175033 A KR1020210175033 A KR 1020210175033A KR 20210175033 A KR20210175033 A KR 20210175033A KR 20230086422 A KR20230086422 A KR 202300864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cable
band
support device
cable support
cross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5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31025B1 (ko
Inventor
이재희
조호윤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10175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1025B1/ko
Publication of KR202300864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64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1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1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지중인입선을 대신하는 바이패스케이블의 상단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되고, 바이패스케이블을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하여 지지장치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무정전 간접활선 방식으로 지중인입선 및 관련 기자재를 교체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Bypass cable supporting device for power pole}
본 발명은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주에 설치되어 바이패스케이블을 지지함으로써 지중인입선 및 관련 기자재들을 무정전 공법으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용가의 위치 및 지역 여건에 따라서 전주의 가공선로와 연결된 인입선이 지하로 매설되어 수용가로 연결되는 경우가 존재한다. 이러한 매립 인입선을 지중인입선이라고 지칭한다. 지중인입선은 가공선로로부터 전주를 따라 하강하여 지하로 인입되어야 하기 때문에 다수의 입상주 관련 기자재(와 동일한 기자재)가 사용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주(1)의 측면에 입상관(2)이 설치되고, 입상관(2)의 하부에는 반할관(3)이 연결된다. 종단접속재(5)를 매개로 가공선로(6)에 연결된 지중인입선(4)은 상기 입상관(2)과 반할관(3)을 통해 지중으로 연장된다. 이후 지중인입선(4)은 지중에 매립된 파형관을 통해 수용가의 수변전 설비에 연결되며, 경우에 따라서는 트로프, 맨홀 등을 경유한다.
상기와 같이 지중인입선(4)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입상관(2)과 반할관(3) 뿐만 아니라 종단접속재(5)와, 이를 지지하는 상부용 지지금구(7)와 경완금(8) 및 또 다른 케이블 고정 부품인 하부용 지지금구(9) 등이 사용되고, 또한 입상관(2)을 전주(1)에 고정하기 위해 복수의 강벨트(10)들이 사용된다.
한편, 상기 지중인입선(4) 및 그 설치에 이용되는 다수의 관련 기자재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노후되어 교체가 필요하다.
상기 지중인입선(4) 및 관련 기자재들을 무정전 간접활선공법으로 교체하기 위해서는 가공선로(6)와 수용가측 수변전설비를 바이패스케이블로 연결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상기 바이패스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줄 수 있는 전용의 설비가 없어 휴전 협의를 거친 후 정전 상태에서 교체작업을 실시할 수밖에 없었다.
따라서 수용가의 불만과 정전으로 인한 사회 경제적 손실이 필연적으로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66162(2017.08.08. 공고)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주에 바이패스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지중인입선 및 그 관련 기자재들을 무정전 간접활선 방식으로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주에 고정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바이패스케이블을 지지하는 고리부;를 포함한다.
상기 밴드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서로 평행 관계인 제1밴드와 제2밴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는 양측 단부에 평판형 체결편이 형성되고, 양측 체결편은 볼트 및 너트로 조여진다.
상기 지지부는 가로대가 지중인입선의 종단접속재와 같은 높이에 설치됐을 때 상기 밴드부가 활선부로부터 활선이격거리(0.9m) 이상 떨어질 수 있도록 된 길이를 갖는다.
상기 가로대는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리부는 가로대의 양측 단부와 중앙 부분에 설치된다.
상기 고리부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상기 고리부에는 개구부를 차단하여 바이패스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힌지핀을 매개로 고리부의 일측 사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힌지축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항상 개구부를 막는 위치로 회동시키며, 고리부의 타측 사이드부 상단에는 이탈방지부재의 자유단부가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와 가로대와 고리부는 절연재질로 제작되거나 또는 표면에 절연피복층이 형성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전주에 바이패스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따라서 바이패스케이블을 안정적인 상태로 가공전선에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는 간접활선공구를 이용하여 작업할 수 있는 형태로 제작된다.
따라서 무정전 간접활선방식으로 지중인입선 및 관련 기자재들을 안전하게 교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휴전 협의가 필요 없게 되는 편리함이 있으며, 휴전 협의 실패에 의한 교체 지연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지중인입선 및 관련 기자재의 노후화로 인한 고장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무정전 상태로 교체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정전에 따른 사용자 불편 및 사회 경제적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전주의 지중인입선 설치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의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의 고리부 변형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의 고리부에 이탈방지부재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과 동일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는, 전주(1)에 고정되는 밴드부(100)와, 밴드부(100)에 수직 상방으로 설치되고 그 상단에 가로대(300)가 설치되는 지주부(200)와, 지주부(200)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상기 가로대(300)와, 가로대(300)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바이패스케이블을 지지하는 고리부(400)들을 포함한다.
밴드부(100)는 상부의 제1밴드(110)와 하부의 제2밴드(120)로 구성된다. 제1밴드(110)와 제2밴드(120)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어 있으며, 이들은 서로에 대해 평행하다.
제1밴드(110)와 제2밴드(120)는 소정 폭을 가지는 원형의 강재 밴드로서 원주상의 일단부가 절단되고, 그 양측 단부에 서로 마주보는 평판형의 체결편(111,121)이 형성된다. 각각의 체결된(111,121)에는 볼트홀이 형성되어 있어서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양측 체결편(111,121)을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조여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1밴드(110)와 제2밴드(120)로 전주(1)를 감싸 조여줌으로써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를 전주(1)에 견고하게 설치할 수 있다.
지지부(200)는 고리부(400) 및 가로대(300)를 통해 전달되는 바이패스케이블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하단이 제1밴드(110)와 제2밴드(120)에 고정되고, 상단은 가로대(300)의 중앙에 고정된다.
지지부(200)는 바이패스케이블의 하중을 지지하는데 충분한 강성을 가진다면 강, 알루미늄 합금, 플라스틱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다만 활선부(가공선로(6))에 근접하여 설치되는 것이므로 절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된 경우는 상관없으나 강이나, 알루미늄 재질인 경우에는 표면에 절연피복층이 형성된다. 이는 상기 가로대(300) 및 고리부(400)에 있어서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200)는 밴드부(100) 체결(또는 분리) 작업시 작업자가 활선부로부터 안전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즉, 지지부(200)는 1 ~ 1.5 m 길이로 제작되어 밴드부(100) 설치시 작업자가 활선이격거리(0.9m)를 준수한 상태에서 작업할 수 있도록 해 준다.
가로대(300)는 바이패스케이블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강도를 가지며, 고리부(400)의 설치 장소를 제공한다.
지중인입선(4)이 단상일 경우 하나의 고리부(400)만 있어도 무방하지만, 3상인 경우에 대비하여 고리부(400)는 3개가 구비되며, 고리부(400)들은 가로대(300)의 양단부와 중앙부에 하나씩 설치된다.
고리부(400)는 C형상으로서, 대략 원형의 몸체 일부에 개구부(401)가 형성된 것이다. 고리부(400)는 개구부(401)의 반대쪽 부분이 가로대(300)에 고정된다. 상기 개구부(401)를 통해 바이패스케이블이 고리부(4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걸쳐짐으로써 바이패스케이블이 지지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의 사용 상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는 전주(1)의 상부에 설치된다.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는 전주(1)에서 지중인입선(4) 관련 기자재들이 설치된 방향의 반대쪽(뒤쪽) 방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중인입선(4) 및 관련 기자재들의 교체 작업시 지지장치 및 바이패스케이블(20)에 의해 작업이 방해받지 않게 된다.
또한 가로대(300)가 종단접속재(5)와 유사한 높이에 위치하도록 지지장치가 설치됨으로써 바이패스케이블(20)을 가공선로(6)에 접속하는 작업(필요에 따라서는 바이패스케이블을 가공선로에 연결된 리드선이나 또는 종단접속재의 상단에 연결할 수 있음)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전주(1) 상부의 공간에서 바이패스케이블(20)과 다른 기자재들이 혼촉되지 않도록 바이패스케이블(20)들이 깔끔하게 정리될 수 있다.
바이패스케이블(20)의 하중은 고리부(400)와 가로대(300) 및 지주부(200)를 통해 밴드부(100)로 전달되며, 제1밴드(110)와 제2밴드(120)의 전체 면적을 통해 전주(1)로 확산된다. 밴드부(100)는 넓은 접촉 면적으로 전주(1)에 강하게 장착되어 있으므로 바이패스케이블(20)의 하중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고리부(400)는 도 5와 도 6과 같은 실시예로 실시될 수 있다.
먼저 고리부(400)의 형상이 U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리부(400)는 개구부(401)가 C 형상 고리부와 달리 지지장치의 배면을 향하지 않고 상방을 향하도록 직립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리부(400)들은 3상 바이패스케이블(20) 각각의 위치를 고정하여 바이패스케이블(20)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는 기능을 하므로 개구부(401)의 방향에는 크게 제한이 없다.
또한 고리부(400)에는 상기 개구부(401)를 차단하여 바이패스케이블(20)이 개구부(401)를 통해 빠지지 않도록 해주는 이탈방지부재(430)가 설치될 수 있다.
이탈방지부재(430)는 고리부(400)의 일측 사이드부(410)의 단부에 힌지핀(440)을 매개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힌지핀(440)에는 토션스프링(450)이 구비되고 토션스프링(450)의 일측 단부는 고리부(400)(정확히는 상기 사이드부(410)의 내측 벽면)에 지지되고 타측 단부는 이탈방지부재(430)의 저면에 지지된다. 따라서 토션스프링(450)은 항상 이탈방지부재(430)가 개구부(401)을 막아주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해준다.
고리부(400)의 타측 사이드부(420)의 상단 내측부에는 이탈방지부재(430)의 자유단부가 걸려지는 걸림턱(421)이 형성되어 이탈방지부재(430)가 고리부(400)의 외측으로 회동되는 것을 억제해준다.
또한 상기 고리부(400)의 양측 사이드부(410,420)의 내측면에는 이탈방지부재(430)의 회전 작동에 고리부(400)의 몸체가 간섭되지 않도록 내측으로 오목한 작동공간(411,422)이 형성된다.
상기 이탈방지부재(430)는 바이패스케이블(20)이 고리부(400)의 내부로 삽입될 때는 바이패스케이블(20)에 밀려 고리부(400) 내측으로 회동하면서 개구부(401)를 개방하고, 바이패스케이블(20)이 고리부(400)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된 후에는 토션스프링(450)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동되어 개구부(401)를 차단함으로써 바이패스케이블(20)이 개구부(401)를 통해 고리부(400)의 외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바이패스케이블(20)의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는 밴드부(100)를 볼트 체결함으로써 전주(1)에 매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밴드부(100) 체결 작업시, 상기 지지부(200)의 안전거리 확보 기능에 의해서 활선부(가공선로(6))로부터 충분히 떨어진 위치에서 작업할 수 있으므로 설치 작업을 안전하게 실시할 수 있다.
밴드부(100) 체결 작업 이후에, 바이패스케이블(20)을 고리부(400)에 걸어주는 작업과, 바이패스케이블(20)을 가공선로(6)에 연결하는 작업과, 그 외 지중인입선(4)과 관련 기자재들의 분리 및 교체 작업 등은 현재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간접활선공구들을 이용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를 전주(1)에 설치하고, 바이패스케이블(20)을 간접활선공법으로 설치한 후, 통전을 유지한 상태에서 교체하고자 하는 지중인입선(4)을 절단 및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지중인입선(4) 설치 관련 기자재(종단접속재(5), 상부용 지지금구(7), 경완금(8), 하부용 지지금구(9) 등등)들도 무정전 상태에서 교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가 제공됨으로써 바이패스케이블(20)을 간접활선공법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안전사고가 감소되고 작업자들의 작업 만족도가 향상된다.
또한 지중인입선(4) 및 관련 기자재들을 무정전 상태로 교체할 수 있으므로 휴전 협의가 필요 없어 사전 준비가 간편하고, 휴전 지연에 의한 노후 부품들의 교체 지연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부품 노후화에 의한 선로 고장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객 만족도가 향상되고, 사회 경제적 손실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전주 2 : 입상관
3 : 반할관 4 : 지중인입선
5 : 종단접속재 6 : 가공선로
7 : 상부용 지지금구 8 : 경완금
9 : 하부용 지지금구 10 : 강벨트
100 : 밴드부 110 : 제1밴드
120 : 제2밴드 111,121 : 체결편
200 : 지주부 300 : 가로대
400 : 고리부 410,420 : 사이드부
430 : 이탈방지부재 440 : 힌지핀
450 : 토션스프링

Claims (9)

  1. 전주에 고정되는 밴드부와;
    상기 밴드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지주부와;
    상기 지주부의 상단에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가로대와;
    상기 가로대에 등간격으로 설치되어 바이패스케이블을 지지하는 고리부;
    를 포함하는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밴드부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고 서로 평행 관계인 제1밴드와 제2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밴드와 제2밴드는 양측 단부에 평판형 체결편이 형성되고, 양측 체결편은 볼트 및 너트로 조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가로대가 지중인입선의 종단접속재와 같은 높이에 설치됐을 때 상기 밴드부가 활선부로부터 활선이격거리(0.9m) 이상 떨어질 수 있도록 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는 수평으로 설치되고, 상기 고리부는 가로대의 양측 단부와 중앙 부분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에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삽입하거나 빼낼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리부에는 개구부를 차단하여 바이패스케이블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부재는 힌지핀을 매개로 고리부의 일측 사이드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힌지축에 토션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이탈방지부재를 항상 개구부를 막는 위치로 회동시키며, 고리부의 타측 사이드부 상단에는 이탈방지부재의 자유단부가 걸려지는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가로대와 고리부는 절연재질로 제작되거나 또는 표면에 절연피복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KR1020210175033A 2021-12-08 2021-12-08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KR102631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033A KR102631025B1 (ko) 2021-12-08 2021-12-08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5033A KR102631025B1 (ko) 2021-12-08 2021-12-08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6422A true KR20230086422A (ko) 2023-06-15
KR102631025B1 KR102631025B1 (ko) 2024-01-31

Family

ID=8676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5033A KR102631025B1 (ko) 2021-12-08 2021-12-08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3102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899A (ko) * 2006-06-01 2006-08-01 (주)한그린텍 지그재그 승탑 사다리
KR20130015952A (ko) * 2011-08-05 2013-02-14 한국전력공사 전주의 조가선 설치용 2단 밴드
KR20130039991A (ko) * 2011-10-13 2013-04-23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장치
KR101766162B1 (ko) 2016-11-18 2017-08-08 대원전기 주식회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KR20190139517A (ko) * 2018-06-08 2019-12-18 한국전력공사 입상케이블 거치장치
KR20210016894A (ko) * 2019-08-06 2021-02-17 한국전력공사 점퍼선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86899A (ko) * 2006-06-01 2006-08-01 (주)한그린텍 지그재그 승탑 사다리
KR20130015952A (ko) * 2011-08-05 2013-02-14 한국전력공사 전주의 조가선 설치용 2단 밴드
KR20130039991A (ko) * 2011-10-13 2013-04-23 한국전력공사 케이블 고정장치
KR101766162B1 (ko) 2016-11-18 2017-08-08 대원전기 주식회사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KR20190139517A (ko) * 2018-06-08 2019-12-18 한국전력공사 입상케이블 거치장치
KR20210016894A (ko) * 2019-08-06 2021-02-17 한국전력공사 점퍼선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31025B1 (ko) 2024-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57560B2 (en) Cable retention device
US903835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repairing utility poles
US9464438B2 (en) Method of repairing spacer fitting assemblies
KR101777379B1 (ko) 배전선로 활선작업용 보조아암
KR102550110B1 (ko) 애자 분리 공법, 및 이 공법에서 사용되는 주상 서스펜션 장치, 애자 지지구, 대(對)전신주 고정구 및 행잉/서스펜션 툴
KR101721540B1 (ko) 전선 인장 및 고정용 클램프
KR20230086422A (ko) 전주용 바이패스케이블 지지장치
JP5056659B2 (ja) 電柱建替工具および電柱建替方法
KR20130002631U (ko) 원터치형 전선측 접지장치
KR101897766B1 (ko)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US2975998A (en) Tube-retaining bracket
US6770811B1 (en) Prepackaged mounting assembly
KR101069275B1 (ko) 이상 장력 이탈형 조가선 지지금구
CN107859475A (zh) 高度可调防坠高空作业平台梯
US20210408777A1 (en) Joint-use bracket for installing communication lines on utility pole
KR20180134666A (ko) 다도체 긴선작업 최소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다도체 전선 공중이설 방법
KR101747745B1 (ko) 초고압 변전소용 피뢰기 단자 결합구조
KR200448225Y1 (ko) 작업선 거치대
KR100891710B1 (ko) 송전철탑용 엘형 클램프
KR101052793B1 (ko) 일체형 컷아웃스위치 체결금구
KR101151863B1 (ko) 활선 방호관 취부기
CN112993862B (zh) 一种用于电力施工的紧线装置
US20220112737A1 (en) Crossarm for an electrical pole
KR102668844B1 (ko) 저압선 멀티앵글 바인드레스 지지장치
US20230085769A1 (en) Joint-use bracket for installing communication lines on utility po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