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7766B1 -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7766B1
KR101897766B1 KR1020170016577A KR20170016577A KR101897766B1 KR 101897766 B1 KR101897766 B1 KR 101897766B1 KR 1020170016577 A KR1020170016577 A KR 1020170016577A KR 20170016577 A KR20170016577 A KR 20170016577A KR 101897766 B1 KR101897766 B1 KR 1018977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wire
truss structure
wire rope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65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1411A (ko
Inventor
김후식
이대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Priority to KR10201700165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766B1/ko
Publication of KR201800914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14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7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7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4Means for fastening, supporting, or bracing scaffolds on or against building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30Scaffolding bars or members with non-detachably fixed coup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765kV 송전 철탑과 같은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의 건설시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시 발생하는 낙하물에 의해 지상 작업자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빠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하며, 원형강관을 사용하는 765kV 송전 철탑의 임의의 위치에 설치가능하도록 하며, 수평프레임이 10m를 초과하는 위치에는 트러스구조물을 수평프레임에 설치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추락 또는 낙하물의 추락시 안전을 극대화하기 위한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Description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Fall and fallen object prevention devices for steel pipe type transmission tower}
본 발명은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765kV 송전 철탑과 같은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의 건설시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시 발생하는 낙하물에 의해 지상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빠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낙하물 방지장치로는 공구 및 자재의 낙하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해 철탑에 설치되는 것으로, 파이프를 일정 간격으로 엮은 다음 그 위에 그물을 펼쳐 결속 끈으로 묶어 고정용으로 사용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낙하물 방지장치는 견고한 설치가 어려우며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고, 설치가 매우 번거롭고 설치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추락방지를 위해 2중 안전벨트를 사용하지만 철탑 승탑 및 이동 시 불편함으로 인하여 안전벨트를 사용하지 않음으로 추락사고 발생시 인명피해를 초래하게 되며, 추락 방지용 그물망 설치 시 자재운반에 장애가 되어 형석적인 설치만 시행하고 있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 20-0389353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765kV 송전 철탑과 같은 원형강관형 송전철탑의 건설시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시 발생하는 낙하물에 의해 지상 작업자의 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원형 강관을 사용하는 765kV 송전 철탑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임의의 위치에 트러스구조물을 설치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추락 또는 낙하물의 추락시 안전을 극대화하기 위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765kV 송전 철탑 이외에 원형 강관형 작은 철탑에도 설치 가능하며, 빠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방지장치의 접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자재운반시 추락 방지장치로 인한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765kV 송전 철탑과 같은 원형강관형 송전철탑의 건설시 작업자의 안전과 낙하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10)는,
복수의 고압전선이 설치되고, 작업자의 추락방지와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호망(20)이 안착되는 트러스구조물(300)이 연결되는 철탑프레임부(100)와;
상기 철탑프레임부(100)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는 트러스구조물(300)과 철탑프레임부(100) 간의 연결을 위한 제1,2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수단(200)과;
작업자의 추락방지와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방호망(20)이 안착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수단(200)에 의해 철탑프레임부(10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철탑프레임부(100)에 연결 형성되는 트러스구조물(300)과;
상기 트러스구조물(300)의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제2클램프(220)와 트러스구조물(300)에 연결 형성되는 트러스회동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765kV 송전 철탑과 같은 원형강관형 송전철탑의 건설시 작업자의 안전과 작업시 발생하는 낙하물에 의해 지상 작업자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원형 강관을 사용하는 765kV 송전 철탑의 수평프레임과 수직프레임의 임의의 위치에 트러스구조물을 설치하도록 하여 작업자의 추락 또는 낙하물의 추락시 안전을 극대화하기 위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765kV 송전 철탑 이외에 원형 강관형 작은 철탑에도 설치 가능하며, 빠른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방지장치의 접이가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자재운반시 추락 방지장치로 인한 장애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의 철탑프레임부에 대한 사시도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의 수직프레임과 트러스구조물의 연결 부분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의 수평프레임과 트러스구조물의 연결 부분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2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의 클램프수단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의 와이어조임수단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의 트러스구조물의 접힘관계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의 트러스구조물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인 765kV 송전 철탑과 같은 원형강관형 송전철탑의 건설시 작업자의 안전과 낙하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10)는,
복수의 고압전선이 설치되고, 작업자의 추락방지와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호망(20)이 안착되는 트러스구조물(300)이 연결되는 철탑프레임부(100)와;
상기 철탑프레임부(100)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는 트러스구조물(300)과 철탑프레임부(100) 간의 연결을 위한 제1,2클램프를 포함하는 클램프수단(200)과;
작업자의 추락방지와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방호망(20)이 안착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수단(200)에 의해 철탑프레임부(10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철탑프레임부(100)에 연결 형성되는 트러스구조물(300)과;
상기 트러스구조물(300)의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제2클램프(220)와 트러스구조물(300)에 연결 형성되는 트러스회동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철탑프레임부(100)는 복수개의 수직프레임(110)이 수직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직프레임(110) 간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수평프레임(120)이 형성되어 철탑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110)과 복수의 수평프레임(120) 간의 구조물의 지지하기 위한 복수의 격자프레임이 형성되어 견고한 철탑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철탑프레임부(100)는 송전탑의 수직을 형성하며, 클램프수단(200)에 의해 트러스구조물(300)이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10)과;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110)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며, 클램프수단(200)에 의해 트러스구조물(300)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수평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110)의 단면을 나타낸 도 1(b)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직프레임(110)이 4개로 도시되고 있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복수의 수직프레임(110)은 하부에서 중부의 위치까지 사선으로 형성되며, 중부에서 상부 측으로는 수직으로 형성되어 하부에서 중부 위치까지의 수직프레임(110)을 통해 철탈의 중심이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수평프레임(120)은 수직프레임(110)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복수의 수직프레임(110) 하측에서 상측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복수의 수평프레임(120)은 설계자의 철탑 설계에 따라 간격이 변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110)과 복수의 수평프레임(120) 간에는 복수의 격자프레임이 형성되어 수직프레임(110)과 수평프레임(120) 간의 연결을 통해 철탑프레임부(100)의 구조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도록 설계될 수 있다.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상기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10)는 안착플레이트(230)를 복수의 수직프레임(110) 또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20)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와이어로프(500)를 더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로프(500)는 클램프수단(200)을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에 밀착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며, 클램프수단(200)은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의 임의 위치에 트러스구조물(300)을 고정시키기 위한 구성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와이어로프(500)를 당겨 조여줌으로 와이어로프(500)에 의해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에 밀착되는 클램프수단(200)의 밀착력을 높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로프(500)는 복수개 사용됨으로 트러스구조물(300)이 클램프수단(200)을 통해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에서 견고히 고정 연결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클램프수단(200)은 철탑프레임부(100) 즉, 복수의 수직프레임(110) 또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20)과 트러스구조물(300)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 트러스구조물(300)의 상부트러스부(310)와 연결되는 제1클램프(210)와 트러스회동수단(400)과 연결되는 제2클램프(2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2클램프(210,220)는 트러스구조물(300)을 철탑프레임부(100)에 연결하기 위해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 외주면에 밀착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230)와;
상기 와이어로프(500)를 안착플레이트(230)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방식으로 안착플레이트(230)에 결합되는 와이어고정부재(240)와;
상기 와이어로프(500)에 의해 안착플레이트(230)가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 외주면에 밀착되는 경우, 안착플레이트(230)가 움직이지 않도록 안착플레이트(230) 상부와 하부에 끼워지는 복수의 쐐기핀(250)과;
상기 제1클램프(210)의 안착플레이트(230)에 상부트러스부(310)를 연결하거나, 제2클램프(220)의 안착플레이트(230)에 트러스회동수단(400)을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연결요크(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착플레이트(230)는 와이어로프(500)에 의해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의 외주면에 밀착 형성되는 것으로, 안착플레이트(230) 일측면은 원통형상의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과 밀착될 수 있도록 원호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의 외주면과 동일한 치수를 갖는 원호가 안착플레이트(230)에 형성됨으로 밀착력이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고정부재(240)는 와이어로프(500)를 안착플레이트(230) 측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 안착플레이트(230) 일측면을 감싸도록 형성되는 와이어로프(500)가 움직이지 않도록 와이어고정부재(240)는 볼트방식으로 안착플레이트(230)에 체결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와이어로프(500)가 지나가는 안착플레이트(230)부분에는 와이어안착홈(241)이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안착홈(241)상에 와이어로프(500)가 위치하게 된다. 이때 와이어고정부재(240)는 와이어로프(500)를 덮는 방식으로 안착플레이트(230)에 볼트를 통해 체결된다.
이로 인해 와이어로프(500)가 안착플레이트(230)에 대해 안정되게 흔들림없이 고정된다.
상기 쐐기핀(250)은 와이어로프(500)에 의해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에 밀착 결합되는 안착플레이트(230)가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에 밀착된 후 움직이지 않도록 하기 위한 보조수단으로서 안착플레이트(230) 상부와 하부에 형성되는 쐐기삽입홈(251)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쐐기핀(250)은 안착플레이트(230)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 쐐기삽입홈(251)으로 타격수단을 통해 삽입됨으로서, 와이어로프(500)를 통해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 밀착 고정된 안착플레이트(230)가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에 더욱 견고히 밀착되도록 와이어로프(500)를 당기는 인장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요크(260)는 안착플레이트(230) 일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제1클램프(210)에 형성되는 연결요크(260)에는 상부트러스부(310)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제2클램프(220)에 형성되는 연결요크(260)에는 트러스회동수단(400)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클램프(210)에 형성된 연결요크(260)에는 상부트러스부(310)가 회동가능한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는데, 예를 들어 핀결합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제2클램프(220)에 형성된 연결요크(260)에도 트러스회동수단(400)이 회동 가능한 결합방식에 의해 결합되며, 예를 들어 핀 결합 방식일 수 있다.
상기에서는 연결요크(260)에 상부트러스부(310)나 트러스회동수단(400)이 결합할 때 핀 결합방식을 예를 들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핀 결합방식을 포함하여 연결요크(260)에 대해 상부트러스부(310)나 트러스회동수단(400)이 회동가능한 결합 방식이면 어떠한 것이든 상관없다.
상기 제1,2클램프에 형성된 연결요크(260) 일측에는 상부트러스부(310) 또는 트러스회동수단(400)과의 연결을 위한 관통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연결요크(260)에 가해지는 트러스구조물(300)의 무게를 견디도록 하기 위해 연결요크(260)와 안착플레이트(230) 간에 복수의 리브(도면부호 미도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제1,2클램프(210,220)는 상기 쐐기핀(250)이 삽입되도록 내부가 테이퍼진 형상을 하는 쐐기삽입홈(251)과;
상기 와이어로프(500)가 안착되도록 하는 와이어안착홈(241)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쐐기삽입홈(251)은 안착플레이트(230) 일측면 즉,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 외주면과 밀착되는 면에 테이퍼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타격수단에 의해 밀려 강제 삽입되는 쐐기핀(250)이 안착플레이트(230)를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의 외주면에서 일정 간격 이격시킴으로 조임 강도를 증가시키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쐐기삽입홈(251)은 일정 각도의 테이퍼 형상을 갖으며, 쐐기핀(250)이 타격수단에 의해 밀려 안착플레이트(230) 중앙측으로 이동시 쐐기핀(250)이 안착플레이트(230)를 수직,수평프레임(110,120)으로부터 일정 간격 떨어지도록 하여 안착플레이트(23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와이어로프(500)를 인장시켜 안착플레이트(230)가 수직, 수평프레임(120)에 대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안착홈(241)은 안착플레이트(23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와이어로프(500)가 안착플레이트(230)에서 미끄러져 이동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안착플레이트(230) 중앙을 중심으로 상부과 하부의 일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안착홈(241)은 와이어로프(500) 형상에 맞게 안착플레이트(230) 일측에 형성되어 와이어로프(500)가 안착플레이트(230)에 안착되어 감싸 지나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10)는 상기 와이어로프(500)에 조임 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와이어조임수단(6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조임수단(600)은 안착플레이트(230)를 감싸도록 형성된 와이어로프(500)의 일측단과 타측단을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하나의 와이어로프(500)당 한 쌍의 와이어조임수단(600)이 형성된다.
와이어로프(500) 일측단을 수용하는 와이어조임수단(600)과 타측단을 수용하는 와이어조임수단(600)은 상호 밀착 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도록 체결수단(640)으로 상호 체결됨으로 와이어로프(500)의 조임 인장력을 높이는 효과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조임수단(600)은 와이어로프(500)의 일측단을 연결 고정하기 위해 와이어로프(500) 일측단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관통부재(610)와;
상기 와이어관통부재(610)를 관통한 와이어로프(500)를 와이어관통부재(6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와이어관통부재(610)에 삽입 형성되는 테이퍼관(620)과;
와이어로프(500)의 일측단이 관통되는 와이어관통부재(610)와 와이어로프(500)의 타측단이 관통되는 와이어관통부재(610) 간의 연결을 위해 와이어관통부재(610) 상에 형성되는 연결부(630)와;
상기 연결부(630)에 체결되는 체결수단(640)을 포함하며,
상기 테이퍼관(620)은 와이어관통부재(610) 측으로 삽입시 테이퍼관(620)의 테이퍼부분이 와이어로프(500)를 눌러 고정시킴으로 와이어로프(500)가 와이어관통부재(610)에서 빠지지 않도록 고정력을 높여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와이어조임수단(600)은 하나의 와이어로프(500)당 한 쌍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관통부재(610)는 하나의 와이어로프(500)당 한 쌍이 구비된다. 즉, 안착플레이트(230)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와이어로프(500)의 일측단을 관통 수용하는 하나의 와이어관통부재(610)와 와이어로프(500)의 타측단을 관통 수용하는 하나의 와이어관통부재(610)가 한쌍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와이어관통부재(610) 내측면은 테이퍼관(620)이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 각도로 테이퍼 형상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테이퍼관(620)은 상기 와이어관통부재(610) 내부로 삽입되는 것으로, 상기 와이어관통부재(610)를 관통한 와이어로프(500)의 일측단은 상기 테이퍼관(620)과 결합고정된다.
와이어로프(500)와 테이퍼관(620)과의 결합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테이퍼관(620) 내부를 와이어로프(500)가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와이어관통부재(610) 내부에는 테이퍼관(620)의 테이퍼 경사와 동일한 각도를 갖는 테이퍼 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된다.
이때, 체결수단(640)을 이용해 한 쌍의 와이어관통부재(610)를 상호 조임 체결하게 되면 상기 와이어로프(500)를 감싸고 있는 테이퍼관(620)은 와이어관통부재(610) 내측으로 삽입 이동하다가 일정지점에서 멈추게 된다. 체결수단(640)을 이용해 한 쌍의 와이어관통부재(610)를 더욱 조임 체결하게 되면 와이어로프(500)에는 강한 인장력이 가해지고 이로 인해 트러스구조물(300)이 수직프레임이나 수평프레임에 견고히 결합되게 된다.
상기 연결부(630)는 와이어관통부재(610) 일측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와이어로프(500) 일측단에 형성되는 와이어관통부재(610)와 와이어로프(500) 타측단에 형성되는 와이어관통부재(610) 간의 연결을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630)는 체결수단(640)이 관통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와이어로프(500) 일측단에 형성되는 와이어관통부재(610) 측으로는 볼트가 와이어로프(500) 타측단에 형성되는 와이어관통부재(610) 측으로는 너트가 형성되어 체결됨으로 와이어관통부재(610) 간의 조임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수단(640)은 와이어관통부재(610) 간의 연결을 위한 볼트와 너트인 것으로, 와이어로프(500) 일측단에 형성된 연결부(630)와 와이어로프(500) 타측단에 형성된 연결부(630)에 볼트가 관통되고, 와이어로프(500) 타측단에 형성된 연결부(630) 측에는 너트가 형성되어 와이어관통부재(610) 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체결수단(640)에 의한 체결 조임이 강해질수록 와이어로프(500)의 조임 인장력이 높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정 기간이 지남에 따라 인장력이 낮아지는 와이어로프(500)를 체결수단(640)을 통해 당겨줌으로 와이어로프(500)의 조임인장력을 다시 높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서 와이어조임수단(600)은 하나의 와이어로프(500)당 한 쌍씩 구비되는 것으로, 예를 들어, 6개의 와이어로프(500)가 설치되는 경우, 1개의 와이어로프(500)에 2개의 와이어조임수단(600)이 설치되어, 총 12개의 와이어조임수단(60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트러스구조물(300)은 765kV 송전 철탑의 유지보수 또는 765kV 송전 철탑의 건설시 작업자의 추락 또는 낙하물에 의해 지상에 위치한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방호망(20)을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트러스구조물(300)은 클램프수단(200)과 트러스회동수단(400)에 연결되어 사용시 펼쳐지고 미사용시 상측으로 회동시켜 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2와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구조물(300)은 상부에 방호망(20)이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일측이 제1클램프(21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상부트러스부(310)와;
상기 트러스회동수단(400)의 슬라이드홈(420)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트러스부(310) 하측으로 형성되는 하부트러스부(320)와;
트러스구조물(300)의 구조적 강도 강화를 위해 상기 상부트러스부(310)와 하부트러스부(320)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격자트러스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트러스부(310)는 제1클램프(210)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측으로 방호망(20)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트러스부(310)의 일측 끝단에는 수직프레임(110)에 연결된 지선(30)이 결합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트러스부(310)는 구체적으로, 제1클램프(210)의 연결요크(260)와의 체결을 위한 연결핀이 삽입되도록 상부트러스부(310)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핀삽입홈(311)과;
상기 트러스구조물(3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선(30)이 연결되도록 상부트러스부(310)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지선연결부(3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삽입홈(311)은 제1클램프(210)에 형성되는 연결요크(260)와 연결하기 위해 상부트러스부(310)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연결요크(260)가 연결되는 상부트러스부(310)의 위치에 연결요크(260)와의 결합용 핀이 관통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핀삽입홈(311)에는 연결요크(260)와 상부트러스부(310)의 연결시 회동가능하도록 핀이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황에 따라 접이식 이외 고정식으로 사용할 경우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선연결부(312)는 트러스구조물(300)의 하중을 지지해주기 위한 지선(30)을 설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부트러스부(310) 일측 끝단 즉, 연결요크(260)와 연결된 반대측에 고리형태로 형성되어 지선(30)이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선연결부(312)는 상부트러스부(310)에 용접 접합되어 트러스구조물(300)의 하중을 지선(30)을 통해 견딜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트러스부(320)는 제2클램프(220)에 연결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트러스회동수단(400)의 일측과 연결 형성된다.
수직프레임 또는 수평프레임에 대해 트러스회동수단(400)이 접힘 회동시, 상기 하부트러스부(320)는 트러스회동수단(40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20)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하부트러스부(320)는 구체적으로, 트러스회동수단(400)의 슬라이드홈(420)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하부트러스부(320) 일측 끝단의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핀(3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직,수평 프레임(210,220)에 대한 트러스구조물(300)의 회동 접힘시, 상부트러스부(310)는 제1클램프(210)를 중심으로 접힘이 이루어지며, 하부트러스부(320)는 슬라이드판(41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20)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된다.
이때, 하부트러스부(320)의 슬라이딩 이동은 하부트러스부(320)에 형성된 슬라이드핀(321)이 슬라이드판(410)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20)을 따라 이동함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슬라이드핀(321)은 하부트러스부(320) 일측 끝단의 양측에 한 쌍이 형성되며, 도 4에 도시된 두 개의 슬라이드판(410) 각각에 형성된 슬라이드홈(420)에 상기 슬라이드핀(321)이 슬라이딩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격자트러스부(330)는 상부트러스부(310)와 하부트러스부(320) 사이에 복수개 형성되는 것으로, 트러스구조물(300)의 구조적 강화 즉, 상부트러스부(310)에 안착되는 방호망(20)에 낙하물 또는 작업자의 추락시 발생되는 하중을 분산시키기 위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트러스구조물(300)이 자체하중에 의해 쳐짐이 발생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며, 격자트러스부(330)는 설계자의 설계에 따라 설치되는 갯수가 선택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구조물(300)은,
트러스구조물(3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지지대(340)가 연결되도록 하부트러스부(320)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지지대연결부(322)와;
트러스구조물(300)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일측이 지지대연결부(322)에 연결되고, 타측이 가이드부재(350)에 연결되는 지지대(340)와;
상기 지지대(340)가 가이드바(360)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가이드바(360)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재(350)와;
트러스구조물(300)의 회동 접힘 시 트러스구조물(300)이 원활하게 회동 접힘이 되도록 일측이 수직프레임(110)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연결요크(260)에 연결되는 가이드바(3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연결부(322)는 트러스구조물(300)의 하중을 지지하도록 형성되는 지지대(340)가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트러스부(320) 일측 끝단 즉, 슬라이드판(410)과 연결되는 측의 반대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지지대(340)는 트러스구조물(3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지지대(340)는 일측이 하부트러스부(320)에 형성된 지지대연결부(322)에 연결되고, 타측은 가이드부재(350)에 연결되어, 트러스구조물(300)의 회동 접힘시, 가이드부재(350)를 통해 지지대(340)의 일측단이 가이드바(360)상에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부재(350)는 가이드바(360)를 따라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일측에 지지대(340)가 연결 형성되어 트러스구조물(300)의 회동 접힘이 이루어지는 경우, 가이드부재(350)에 연결된 지지대(340)의 일측단이 가이드바(360)상에서 이동됨으로 트러스구조물(300)의 회동접힘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바(360)의 일측은 제2클램프(220)의 연결요크(260)에 연결되고, 타측은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되는 부분은 수직프레임(210)에 대해 일정 각도를 이룰 수 있도록 보조연결수단에 의해 수직프레임(210)에 고정 연결된다.
상기 가이드바(360)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수직프레임에 대해 일정 각도로 형성되는 것은 지지대(340)의 원활한 승강을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러스회동수단(400)은 트러스구조물(300)의 원활한 접힘을 위해 하부트러스부(320)가 수직프레임(110)에 고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구성수단이다.
구체적으로, 도 4와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트러스회동수단(400)은 상기 제2클램프(220)의 연결요크(26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판(410)과;
상기 슬라이드판(410) 상에 형성되며, 하부트러스부(320)의 슬라이드핀(321)이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홈(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슬라이드판(410)은 제2프레임에 형성되는 연결요크(26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 형성되는 것으로, 한 쌍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판(410) 사이로 하부트러스부(320)가 삽입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판(410)은 제2프레임에 형성되는 연결요크(260)와 회동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슬라이드판(410)이 연결요크(260)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연결은 핀 결합 방식일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핀 결합 방식에 한정되지 않고 슬라이드판(410)이 연결요크(260)와 회동가능하도록 하는 연결 방식이면 어떠한 것이든 상관없다.
상기 슬라이드홈(420)은 슬라이드판(410) 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트러스부(320)에 형성된 슬라이드핀(321)이 상기 슬라이드홈(420)에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슬라이드홈(420)에 하부트러스부(320) 양측으로 형성된 슬라이드핀(321)이 삽입되어 트러스구조물(300)의 회동시 슬라이드핀(321)이 슬라이드홈(420)을 따라 슬라이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슬라이드홈(420)은 트러스구조물(300)의 회동 접힘시, 하부트러스부(320)의 원할한 회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사상을 첨부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 : 방지장치 20 : 방호망
30 : 지선
100 : 철탑프레임
110 : 수직프레임 120 : 수평프레임
200 : 클램프수단
210 : 제1클램프 220 : 제2클램프
230 : 안착플레이트 240 : 와이어고정부재
241 : 와이어안착홈 250 : 쐐기핀
251 : 쐐기삽입홈 260 : 연결요크
300 : 트러스구조물
310 : 상부트러스바 311 : 핀삽입홈
312 : 지선연결부 320 : 하부트러스부
321 : 슬라이드핀 322 : 지지대연결부
330 : 격자트러스부 340 : 지지대
350 : 가이드부재 360 : 가이드바
400 : 트러스회동수단
410 : 슬라이드판 420 : 슬라이드홈
500 : 와이어로프
600 : 와이어조임수단
610 : 와이어관통부재 620 : 테이퍼관
630 : 연결부 640 : 체결수단

Claims (8)

  1. 765kV 송전 철탑과 같은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의 건설시 작업자의 안전과 낙하물의 피해를 방지하기 위한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10)에 있어서,
    복수의 고압전선이 설치되고, 작업자의 추락방지와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방호망(20)이 안착되는 트러스구조물(300)이 연결되는 철탑프레임부(100)와;
    상기 철탑프레임부(100)의 임의 위치에 설치되는 트러스구조물(300)과 철탑프레임부(100) 간의 연결을 위한 제1,2클램프(210,220)를 포함하는 클램프수단(200)과;
    작업자의 추락방지와 낙하물에 의한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방호망(20)이 안착되도록 복수개 형성되며, 상기 클램프수단(200)에 의해 철탑프레임부(100)에 대해 회동 가능하도록 철탑프레임부(100)에 연결 형성되는 트러스구조물(300)과;
    상기 트러스구조물(300)의 접힘이 이루어지도록 제2클램프(220)와 트러스구조물(300)에 연결 형성되는 트러스회동수단(400)을 포함하고,

    상기 트러스회동수단(400)은,
    상기 제2클램프(220)의 연결요크(260)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되는 한 쌍의 슬라이드판(410)과;
    상기 슬라이드판(410) 상에 형성되며, 하부트러스부(320)의 슬라이드핀(321)이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드홈(4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탑프레임부(100)는,
    송전탑의 수직을 형성하며, 클램프수단(200)에 의해 트러스구조물(300)이 연결되는 복수의 수직프레임(110)과;
    상기 복수의 수직프레임(110) 간의 연결을 위해 형성되며, 클램프수단(200)에 의해 트러스구조물(300)이 연결되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안착플레이트(230)를 복수의 수직프레임(110) 또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20)에 밀착되도록 하기 위한 복수의 와이어로프(5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2클램프(210,220)는,
    트러스구조물(300)을 철탑프레임부(100)에 연결하기 위해 복수의 수직프레임(110) 또는 복수의 수평프레임(120) 외주면에 밀착 형성되는 안착플레이트(230)와;
    상기 와이어로프(500)를 안착플레이트(230)에 고정하기 위해 볼트방식으로 안착플레이트(230)에 결합되는 와이어고정부재(240)와;
    상기 와이어로프(500)에 의해 안착플레이트(230)가 수직프레임(110) 또는 수평프레임(120) 외주면에 밀착되는 경우, 안착플레이트(230)가 움직이지 않도록 안착플레이트(230) 상부와 하부에 끼워지는 복수의 쐐기핀(250)과;
    상기 제1클램프(210)의 안착플레이트(230)에 상부트러스부(310)를 연결하거나, 제2클램프(220)의 안착플레이트(230)에 트러스회동수단(400)을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는 연결요크(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로프(500)에 조임인장력을 제공하기 위한 와이어조임수단(60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조임수단(600)은,
    와이어로프(500)의 일측단을 연결 고정하기 위해 와이어로프(500) 일측단이 관통되도록 형성되는 와이어관통부재(610)와;
    상기 와이어관통부재(610)를 관통한 와이어로프(500)를 와이어관통부재(610)에 고정시키기 위해 와이어관통부재(610)에 삽입 형성되는 테이퍼관(620)과;
    와이어로프(500)의 일측단이 관통되는 와이어관통부재(610)와 와이어로프(500)의 타측단이 관통되는 와이어관통부재(610) 간의 연결을 위해 와이어관통부재(610) 상에 형성되는 연결부(630)와;
    상기 연결부(630)에 체결되는 체결수단(640)을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관통부재(610) 내측에는 테이퍼관(620)을 삽입 수용할 수 있는 테이퍼 형상의 삽입부가 형성되며, 상기 와이어조임수단(600)은 하나의 와이어로프(500)당 한 쌍씩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구조물(300)은,
    상부에 방호망(20)이 안착되도록 형성되고, 일측이 제1클램프(210)에 연결되도록 형성되는 상부트러스부(310)와;
    상기 트러스회동수단(400)의 슬라이드홈(420)을 따라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상기 상부트러스부(310) 하측으로 형성되는 하부트러스부(320)와;
    트러스구조물(300)의 구조적 강도 강화를 위해 상기 상부트러스부(310)와 하부트러스부(320) 사이에 형성되는 복수의 격자트러스부(3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트러스부(310)는,
    제1클램프(210)의 연결요크(260)와의 체결을 위한 연결핀이 삽입되도록 상부트러스부(310)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핀삽입홈(311)과;
    상기 트러스구조물(3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한 지선(30)이 연결되도록 상부트러스부(310)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지선연결부(312)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트러스부(320)는,
    트러스회동수단(400)의 슬라이드홈(420)을 따라 슬라이딩 되도록 하부트러스부(320) 일측 끝단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슬라이드핀(3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구조물(300)은,
    트러스구조물(300)의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되는 지지대(340)가 연결되도록 하부트러스부(320)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지지대연결부(322)와;
    트러스구조물(300)의 무게를 지지하도록 일측이 지지대연결부(322)에 연결되고, 타측이 가이드부재(350)에 연결되는 지지대(340)와;
    상기 지지대(340)가 가이드바(360)를 따라 원활하게 이동되도록 가이드바(360) 상에 형성되는 가이드부재(350)와;
    트러스구조물(300)의 회동 접힘 시 트러스구조물(300)이 원활하게 회동 접힘이 되도록 일측이 수직프레임(110) 외주면에 고정되고, 타측이 연결요크(260)에 연결되는 가이드바(3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8. 삭제
KR1020170016577A 2017-02-07 2017-02-07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KR1018977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577A KR101897766B1 (ko) 2017-02-07 2017-02-07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16577A KR101897766B1 (ko) 2017-02-07 2017-02-07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11A KR20180091411A (ko) 2018-08-16
KR101897766B1 true KR101897766B1 (ko) 2018-09-13

Family

ID=63443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6577A KR101897766B1 (ko) 2017-02-07 2017-02-07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7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834A (ko) 2022-08-09 2024-02-16 한국전력공사 옥외 변전소 철골구조물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6054B1 (ko) * 2022-02-09 2022-09-23 이삼종 송전철탑의 추락과 낙하물 방지시스템 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0838A (ja) * 2006-08-24 2008-03-0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鉄塔用飛散防護ネットの取付工法
JP2014045647A (ja) * 2012-07-31 2014-03-13 Sanyo Engineer & Construction Inc 電柱作業落下物防止具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89353Y1 (ko) 2005-04-02 2005-07-14 두산산업개발 주식회사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0838A (ja) * 2006-08-24 2008-03-06 Tokyo Electric Power Co Inc:The 鉄塔用飛散防護ネットの取付工法
JP2014045647A (ja) * 2012-07-31 2014-03-13 Sanyo Engineer & Construction Inc 電柱作業落下物防止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0834A (ko) 2022-08-09 2024-02-16 한국전력공사 옥외 변전소 철골구조물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1411A (ko) 2018-08-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30397B2 (en) Fall protection system
US10060146B2 (en) I-beam-attachable lifeline system
US12012769B2 (en) Safety net and safety net components for multi-storey building construction
KR102385170B1 (ko) 낙하물 방지용 보호망 설치장치 및 설치방법
US20090020363A1 (en) Scaffolding fall protection system
KR101897766B1 (ko)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US11549274B2 (en) Support apparatus
KR101205611B1 (ko) 전주용 안전 네트
KR101256097B1 (ko) 낙석방지망 설치 구조물
KR101049437B1 (ko) 당김구가 설치되는 도로용 안전구조물
KR20210007451A (ko) 전주용 추락방지 안전망
JP6312109B1 (ja) 仮設足場用安全装置
KR101005071B1 (ko) 생명줄 전용 안전 난간대
US20170298641A1 (en) Netting Structure
DE102017128143B3 (de) Wartungsplattform zur Wartung von Einbauten in einem Turm für eine Windenergieanlage und Anordnung einer Wartungsplattform
KR200417314Y1 (ko) 낙하물 방지장치
RU168802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репления средств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работающих на опоре круглого сечения
KR200386867Y1 (ko) 안전방호망장치
US20090166130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ecuring Fall Arrest Equipment
JP4314485B2 (ja) 電線張替装置
KR102671548B1 (ko) 관형지지물 점검용 안전장치 및 작동방법
KR20120107354A (ko) 안전난간 설치용 각도 조절형 스텐션
US7726634B2 (en) System and method for tensioning and locking a safety strand
CN221073578U (zh) 一种安全兜网
KR200418547Y1 (ko) 다기능성 강선형 비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