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89353Y1 -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89353Y1
KR200389353Y1 KR20-2005-0009107U KR20050009107U KR200389353Y1 KR 200389353 Y1 KR200389353 Y1 KR 200389353Y1 KR 20050009107 U KR20050009107 U KR 20050009107U KR 200389353 Y1 KR200389353 Y1 KR 2003893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steel tower
outer frame
bolt
f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0910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흥
Original Assignee
두산산업개발 주식회사
이재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산업개발 주식회사, 이재흥 filed Critical 두산산업개발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5-000910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893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893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8935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04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against falling dow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66Safety n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7/00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 E04G7/02Connections between parts of the scaffold with separate coupling elements
    • E04G7/06Stiff scaffolding clamps for connecting scaffold members of common shape

Abstract

본 고안은 공구 및 자재의 낙하방지와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해 철탑에 설치되는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견고하게 설치되며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한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은 공구 및 자재의 낙하방지와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해 철탑에 설치되는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배치되는 망과 상기 망의 외곽을 감싸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외곽 프레임 전방 양측으로 설치되는 파이프클램프와 상기 외곽 프레임의 후방 중앙에 설치되어 철탑에 고정되는 로프의 일단과 연결되는 아이볼트와 상기 외곽프레임의 일측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홀더로 구성되는 망체와; 상기 망체의 파이프클램프에 결합되는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와 결합되는 파이프클램프와, 상기 파이프클램프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면 중앙에는 철탑의 프레임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고정수단이 결합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철탑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절곡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곡부에는 저면고정수단이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Fall protector device for pylon}
본 고안은 공구 및 자재의 낙하방지와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해 철탑에 설치되는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견고하게 설치되며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한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낙하물 방지장치는 공구 및 자재의 낙하를 방지하고 작업자의 추락 방지를 위해 철탑에 설치되는 것으로, 파이프를 일정 간격으로 엮은 다음 그 위에 그물을 펼쳐 결속 끈으로 묶는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낙하물 방지장치는 견고한 설치가 어려워 작업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고 설치가 매우 번거롭고 설치 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낙하물 방지장치를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하여 더욱 안전하고 견고한 설치를 통해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할 수 있도록 한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공구 및 자재의 낙하방지와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해 철탑에 설치되는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배치되는 망과 상기 망의 외곽을 감싸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외곽 프레임 전방 양측으로 설치되는 파이프클램프와 상기 외곽 프레임의 후방 중앙에 설치되어 철탑에 고정되는 로프의 일단과 연결되는 아이볼트와 상기 외곽프레임의 일측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홀더로 구성되는 망체와; 상기 망체의 파이프클램프에 결합되는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와 결합되는 파이프클램프와, 상기 파이프클램프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면 중앙에는 철탑의 프레임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고정수단이 결합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철탑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절곡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곡부에는 저면고정수단이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홀더는, 상기 외곽프레임의 측면 양측 상, 하단에 형성되되 일측 홀더는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타측 홀더는 외곽프레임을 잡아줄 수 있도록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고안의 측면고정수단은, 상기 본체의 장공 저면에 위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의 장공에 끼워져 누름판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과, 상기 누름판의 상면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장공에 끼움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끼워져 볼트가 장공을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눌러주는 누름링과, 상기 누름링으로부터 돌출된 볼트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저면고정수단은, 상기 나사부에 끼워지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 상단에 결합되어 철탑 프레임에 밀착되는 누름부재와 상기 체결볼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체결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손잡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고정수단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면고정수단의 확대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를 각각 도시한 것으로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낙하물 방지장치(1)는, 망(11)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외곽프레임(12)의 전방에 파이프클램프(13)가 형성된 망체(10)와, 상기 망체(10)의 파이프 클램프(13)에 결합되는 연결파이프(20)와, 상기 연결파이프(20)에 결합되는 파이프클램프(31)가 일측에 형성된 고정체(30)로 구성된다.
상기 망체(10)는, 중앙에 배치되는 망(11)과, 상기 망(11)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외곽프래임(12)과, 상기 외곽프레임(12)의 전방에 설치되는 파이프클램프(13)와, 상기 외곽프레임(12)의 후방에 설치되는 아이볼트(14)와, 상기 외곽프레임(12)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홀더(15)로 구성된다.
상기 망(11)은, 낙하물에 의하여 작업자에 위험을 끼칠 우려가 있는 장소에 재해방지를 위하여 설치하거나 고소작업 중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그물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곽프레임(12)은, 망(11)을 평평하게 지지하고 망(11)을 보호하기 위해 망(11)의 가장자리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사각형태의 각관(角管)이 주로 사용된다.
상기 외곽프레임(12)을 사각의 각관으로 형성하는 이유는 망체(10)를 하나 이상으로 밀착 설치할 때 외곽프레임(12)과 이웃하는 외곽프레임(12)의 면이 서로 틈 세가 없이 맞닿게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파이프클램프(13)는, 연결파이프(20)에 견고히 결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건축공사 현장에서 사용되는 높은 건물을 지을 때 디디고 서기 위하여 다리처럼 걸쳐 놓는 비계 파이프의 연결시 사용되는 파이프클램프로서 상세한 구성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홀더(15)는, 외곽프레임(12)의 일측 상하면 양측으로 형성되며 이중 일측의 홀더(15)는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타측의 홀더(15)는 직각으로 절곡된 형태로 형성되어 외곽프레임(12)과 이웃하는 외곽프레임(12)의 밀착 설치가 가능하다.
즉, 둘 이상의 망체(10)를 연이어 연결 설치시 상기 홀더(15)에 타 망체(10)의 외곽프레임(12)이 끼워져 밀착 결합하면 외곽프레임(12)의 일측이 홀더(15)에 삽입되어 지지되기 때문에 견고한 결합 상태가 유지된다.
상기 아이볼트(14)는, 머릿부분에 걸고리 구멍을 붙인 볼트로서, 외곽프레임(12)의 후방 중앙에 형성되며 철탑프레임(60)과 연결되는 로프(70)의 일단과 연결된다.
상기 연결파이프(20)는, 소정의 길이를 가지며 망체(10)와 고정체(30) 사이에 설치되어 망체(10)와 고정수단(3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파이프(20)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파이프로서 상세한 구성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고정체(30)는, 상기 연결파이프(20)에 결합되는 파이프클램프(31)와, 상기 파이프클램프(31) 일측으로 연결 설치되는 본체(32)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파이프클램프(31)는 연결파이프(20)와의 결합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상기 망체(10)의 외곽프레임(12) 전방에 설치된 파이프클램프(13)와 동일한 파이프클램프(31)가 사용된다.
상기 본체(32)는, 일단이 상기 파이프클램프(31)와 연결되며 타단은 철탑프레임(60)에 결합되는 절곡부(33)가 형성되며 중앙에는 측면고정수단(40)이 결합되는 장공(321)이 형성된다.
상기 절곡부(33)에는 저면고정수단(50)이 결합되는 나사부(331)가 형성된다.
상기 측면고정수단(40)은, 본체(32)의 장공(321)을 따라 이동하면서 철탑프레임(60)의 측면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장공(321)의 바로 저면에 위치되며 철탑프레임(60)에 밀착되는 누름판(41)과, 상기 누름판(4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상기 본체(32)의 장공(321)에 끼워져 상기 누름판(41)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42)과, 하단은 상기 누름판(41)의 상면 중앙과 연결되면서 장공(321)에 끼움 결합되어 장공(321)의 상측으로 돌출되는 볼트(43)와, 상기 볼트(43)에 결합되는 누름링(44)과, 상기 누름링(44)으로부터 돌출된 볼트(43)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 너트(45)로 이루어진다.
상기 누름판(41)은, 일정 두께를 가진 사각판으로서 상면 중앙에는 볼트(43)가 결합되며 중앙 부근에는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회전방지턱(42)이 형성된다.
이 회전방지턱(42)은 상기 고정수단(30)의 본체(32) 중앙에 형성된 장공(321) 끼움 결합되어 누름판(41)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볼트(43)는, 본체(32)의 장공(321)에 용이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장공(321) 보다 적은 나사외경을 가지며 하단은 누름판(41)의 상면 중앙에 고정설치되고 상단은 본체(32)의 장공(321)을 통과하여 장공(321)의 상측에 위치된다.
상기 누름링(44)은, 외경이 본체(32)의 장공(321)보다 크게 형성되어 하단이 장공(321)의 상면에 위치되며, 내측에는 볼트(43)의 나사부외경 보다 큰 내경이 형성되어 볼트(43)에 손쉽게 끼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누름링(44)의 길이는 누름링(44)을 볼트(43)에 끼웠을 때 볼트(43)의 상단이 누름링(44)의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면 족하다.
상기 손잡이 너트(45)는, 누름링(44)을 끼웠을 때 상측으로 돌출되는 볼트(43)의 상단부위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손잡이 너트(45)를 일측으로 회전시켜 볼트(43)를 조이면 손잡이 너트(45) 하단이 누름링(44)의 상면과 밀착되면서 누름링(44)의 하단이 장공(321)의 상면에 긴밀히 밀착되어 측면고정수단(40)이 장공(321)을 따라 움직이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이와 반대로 손잡이 너트(45)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볼트(43)를 풀어주면 밀착되었던 누름링(44)과 손잡이 너트(45) 및 장공(321) 상면과의 밀착 상태가 느슨해 지면서 다시 측면고정수단(40)이 장공(321)을 따라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상기 저면고정수단(50)은, 절곡부(33)에 형성된 나사부(331)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상기 나사부(331)에 결합되는 체결볼트(51)와, 상기 체결볼트(51) 하단에 형성되는 손잡이(53)와, 상기 체결볼트(51) 상단에 형성되는 누름부재(52)로 구성된다.
상기 누름부재(52)는 금속재질보다는 부드러운 플라스틱이나 고무재질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낙하물 방지장치(1)는 망체(10)와 연결파이프(20) 및 고정체(30)가 연결 구성되어 철탑프레임(60)에 고정체(30)를 결합하여 매우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낙하물 방지장치(1)의 설치과정을 살펴보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체(30)의 절곡부(33)를 철탑프레임(60)에 결합한 다음 측면고정수단(40) 및 저면고정수단(50)을 사용하여 철탑프레임(60)에 견고하게 고정한다.
즉, 측면고정수단(40)을 본체(32)의 장공(321)을 따라 이동시켜 누름판(41)이 철탑프레임(60)에 밀착되게 한 다음 손잡이 너트(45)를 회전시켜 누름링(44)이 장공(321)의 상면을 압박하도록 조여주면 누름판(41)이 장공(321)을 따라 이동이 불가한 철탑프레임(60)에 밀착된 고정상태가 된다.
그리고 저면고정수단(50)의 손잡이(53)를 회전시키면 절곡부(33)에 형성된 나사부(331)를 따라 체결볼트(51)가 상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체결볼트(51) 상측의 누름부재(52)는 철탑프레임(60)의 저면을 가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체(30)는 철탑프레임(60)에 견고히 고정된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고정체(30)의 고정작업이 완료되면 로프(70)의 일단을 망체(10)의 아이볼트(14)에 연결하고 타단은 철탑프레임(60)에 연결하여 망체(10)가 수평보다 조금 상향된 상태로 설치되게 하여 낙하물 방지장치(1)의 설치작업을 완료한다.
한편, 상기 망체(10)의 외곽프레임(12)에는 홀더(15)가 형성되어 있어 둘 이상의 낙하물 방지장치(1)를 연결 설치시 홀더(15)에 외곽프레임(12)이 끼움 결합되기 때문에 견고한 연결설치가 이루어지며 낙하물 방지장치(1)의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다.
이상에서 상세히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낙하물 방지장치는 망체와 연결파이프 및 고정체의 일체형 구조로 형성되어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하고 견고한 설치를 통해 안전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되는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을 지라도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하기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형이 있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면고정수단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면고정수단의 확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용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낙하물 방지장치 10:망체 11:망
12:외곽프레임 13:파이프클램프 14:아이볼트
15:홀더 20:연결파이프 30:고정체
31:파이프클램프 32:본체 33:절곡부
40:측면고정수단 41:누름판 42:회전방지턱
43:볼트 44:누름링 45:손잡이 너트
50:저면고정수단 51:체결볼트 52:누름부재
53:손잡이 60:철탑프레임 70:로프
321:장공 331:나사부

Claims (4)

  1. 공구 및 자재의 낙하방지와 작업자의 추락방지를 위해 철탑에 설치되는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에 있어서,
    중앙에 배치되는 망과 상기 망의 외곽을 감싸는 외곽 프레임과 상기 외곽 프레임 전방 양측으로 설치되는 파이프클램프와 상기 외곽 프레임의 후방 중앙에 설치되어 철탑에 고정되는 로프의 일단과 연결되는 아이볼트와 상기 외곽프레임의 일측면 양측으로 형성되는 홀더로 구성되는 망체와;
    상기 망체의 파이프클램프에 결합되는 연결파이프와;
    상기 연결파이프와 결합되는 파이프클램프와, 상기 파이프클램프 일측으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서 상면 중앙에는 철탑의 프레임 측면에 밀착되는 측면고정수단이 결합되는 장공이 형성되고 일단에는 철탑의 프레임에 결합되는 절곡부를 형성하되 상기 절곡부에는 저면고정수단이 결합되는 나사부가 형성되는 본체로 이루어진 고정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상기 외곽프레임의 측면 양측 상, 하단에 형성되되 일측 홀더는 평판형으로 형성되고 타측 홀더는 외곽프레임을 잡아줄 수 있도록 끝단이 직각으로 절곡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고정수단은, 상기 본체의 장공 저면에 위치되는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면서 상기 본체의 장공에 끼워져 누름판이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는 회전방지턱과, 상기 누름판의 상면 중앙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클램프 본체의 장공에 끼움 결합되는 볼트와, 상기 볼트에 끼워져 볼트가 장공을 따라 이동되지 않도록 눌러주는 누름링과, 상기 누름링으로부터 돌출된 볼트 상단에 결합되는 손잡이 너트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고정수단은, 상기 나사부에 끼워지는 체결볼트와 상기 체결볼트 상단에 결합되어 철탑 프레임에 밀착되는 누름부재와 상기 체결볼트의 하단에 결합되어 체결볼트를 조이거나 풀어주는 손잡이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KR20-2005-0009107U 2005-04-02 2005-04-02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KR2003893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107U KR200389353Y1 (ko) 2005-04-02 2005-04-02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09107U KR200389353Y1 (ko) 2005-04-02 2005-04-02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89353Y1 true KR200389353Y1 (ko) 2005-07-14

Family

ID=436906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09107U KR200389353Y1 (ko) 2005-04-02 2005-04-02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89353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411A (ko)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91411A (ko) 2017-02-07 2018-08-16 주식회사 제이케이시스 원형 강관형 송전철탑용 추락 및 낙하물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5596A (ko) 파이프용 클램프
KR200389353Y1 (ko)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CN211396577U (zh) 一种脚手架用方矩管支撑卡接装置
JP4093560B2 (ja) 親綱支柱
KR20070056757A (ko) 비계용 클램프
JP2847239B2 (ja) 建物躯体に対する壁パネルの取付工法及びこれに使用する取付治具
KR200443586Y1 (ko) 전선 거치대
KR200489405Y1 (ko) 맞춤형 낙하방지망 설치용 고정구
KR101896955B1 (ko)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02041U (ko) 낙하방지망 설치 브래킷
JP3525106B2 (ja) ネットブラケット
KR20060055283A (ko) 건축물 시공용 추락 및 낙하 방지장치
KR200375320Y1 (ko) 건축물 시공용 추락 및 낙하 방지장치
KR20070119843A (ko) 갱폼 추락방지장치
JP2525987Y2 (ja) 建設用親綱支持金具
CN215443103U (zh) 一种用于封堵预留洞口的支模工具
CN214531861U (zh) 一种防护网连接装置
JPS647159Y2 (ko)
JP3649390B2 (ja) 足掛け装置
GB2411688A (en) Pivoted jaw clamp supporting a hook
JPS5914139B2 (ja) 建築用足場器具の固定部材
JPH0438230A (ja) ちょう架線碍子の交換器具及び交換方法
JP2023025099A (ja) 支持具
JPH0648048Y2 (ja) 石貼り建築物用足場つなぎ具
JPH10306592A (ja) 仮設建築用シートジョイントの取付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