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96955B1 -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6955B1
KR101896955B1 KR1020180003388A KR20180003388A KR101896955B1 KR 101896955 B1 KR101896955 B1 KR 101896955B1 KR 1020180003388 A KR1020180003388 A KR 1020180003388A KR 20180003388 A KR20180003388 A KR 20180003388A KR 101896955 B1 KR101896955 B1 KR 1018969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bracket
reinforcing
fixing
r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33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창근
민용철
김태경
엄윤섭
Original Assignee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건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건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033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695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69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69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95Guide tracks for safet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는, 작업자의 신체에 연결되는 안전 로프를 지지하기 위한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의 철근이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된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 1 브라켓 바디 및 제 1 브라켓 바디에 배치되는 제 1 후크 걸이를 포함하는 제 1 고정 브라켓과, 철근이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고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 2 철근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 2 브라켓 바디 및 제 2 브라켓 바디에 배치되는 제 2 후크 걸이를 포함하는 제 2 고정 브라켓과, 철근의 일부분이 제 1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고 철근의 다른 일부분이 제 2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태로 제 1 고정 브라켓과 제 2 고정 브라켓이 철근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철근에 고정되도록 제 1 고정 브라켓과 제 2 고정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브라켓 클램프와, 안전 로프가 연결되어 안전 로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제 1 후크 걸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 2 후크 걸이에 연결되는 가이드 로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SUPPORTING DEVICE FOR SAFETY ROPE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본 발명은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산업 현장에서 작업자 추락 방지를 위해 사용되는 안전 로프를 지지할 수 있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각종 산업 현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작업자 추락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안전 로프의 사용이 의무화되어 있다. 안전 로프는 작업자가 착용하는 산업용 안전벨트에 연결되어 건축 구조물 등의 지지물에 지지됨으로써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할 수 있다.
건축 공사 현장의 경우, 안전 로프를 지지하는 지지물로 공사 현장의 철근 구조물을 이용하거나, 또는 별도의 지지기구를 설치하여 안전 로프를 지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런데 철근에 안전 로프를 연결하는 경우, 철근이 작업자의 몸무게를 충분히 지탱하지 못하고 휘어져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막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별도의 지지기구를 설치하여 안전 로프를 지지하는 방법은 공사 현장에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지지기구가 필요하나, 종래의 지지기구는 설치가 번거롭고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09868호(2009. 10. 01)에는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 공사 현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콘크리트 기둥 철근 안전벨트 걸이시설용 브라켓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브라켓은 중심부에 통공이 형성된 직사각형태의 프레임과, 프레임의 외측면에 연결되는 연결고리와, 프레임의 꼭지점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원통기둥을 포함한다. 원통기둥은 철근이 삽입될 수 있도록 내부에 빈 공간이 마련되고 상부는 막힌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브라켓은 철근의 상단부가 복수 개의 원통기둥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철근 기둥에 설치된다.
이러한 브라켓은 한 쌍이 하나의 와이어를 지지하도록 배치된다. 즉, 적절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 한 쌍의 브라켓 각각의 연결고리에 와이어의 양쪽 끝단을 연결하여 와이어를 공중에 배치하고, 이 와이어에 안전 로프를 걸어 안전 로프를 지지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은 브라켓을 철근의 상단에 설치해야 하므로 시공이나 해체가 불편하다. 그리고 브라켓이 철근의 상단부에 걸치는 형태로 배치되므로 철근과의 결합력이 약하며, 작업자의 체중이 안전 로프와 와이어를 통해 브라켓에 전달될 때 브라켓이 철근의 상단에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09-0009868호(2009. 10. 01)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작업자가 다루기 용이하고, 시공 및 해체가 용이하며, 철근에 견고하게 지지되어 작업자의 신체에 연결되는 안전 로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는, 작업자의 신체에 연결되는 안전 로프를 지지하기 위한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의 철근이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된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 1 브라켓 바디와,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에 배치되는 제 1 후크 걸이를 포함하는 제 1 고정 브라켓; 상기 철근이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 2 철근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 2 브라켓 바디와,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에 배치되는 제 2 후크 걸이를 포함하는 제 2 고정 브라켓; 상기 철근의 일부분이 상기 제 1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철근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제 2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태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이 상기 철근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상기 철근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브라켓 클램프; 및 상기 안전 로프가 연결되어 상기 안전 로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 1 후크 걸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후크 걸이에 연결되는 가이드 로프;를 포함한다.
상기 브라켓 클램프는,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에 결합되어 한쪽 끝단이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에 구비되는 볼트 삽입홈을 통해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를 관통할 수 있는 고정 볼트와,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를 관통하는 상기 고정 볼트의 한쪽 끝단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볼트는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의 일측에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고정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 볼트는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그 일단이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에 피봇 결합되고, 상기 볼트 삽입홈은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의 가장자리에서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는, 상기 제 1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철근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철근 압착 패드; 및 상기 제 2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철근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철근 압착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의 내측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연통하는 제 1 브라켓 바디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 1 철근 압착 패드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홈과 연통하는 제 1 철근 삽입홈 속에 놓이도록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홈에 수용되며,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의 내측에는 상기 복수 개의 제 2 철근 삽입홈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연통하는 제 2 브라켓 바디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 2 철근 압착 패드는 적어도 일부분이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홈과 연통하는 제 2 철근 삽입홈 속에 놓이도록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홈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철근 압착 패드에는 상기 제 1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는 철근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제 1 철근 안착홈이 마련되고, 상기 제 2 철근 압착 패드에는 상기 제 2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는 철근의 일부분이 수용될 수 있는 제 2 철근 안착홈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은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 2 철근 삽입홈은 상기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의 이격 간격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철근 삽입홈 및 상기 제 2 철근 삽입홈은 각각 아치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후크 걸이는 U볼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의 상기 철근이 접하는 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되고, 상기 제 2 후크 걸이는 U볼트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의 상기 철근이 접하는 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돌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는, 상기 제 1 후크 걸이 및 상기 제 2 후크 걸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로프의 양쪽 끝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로프 후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는, 상기 가이드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로프의 중간에 결합되는 로프 길이조절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은, (a) 외측으로 개방된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 1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에 배치되는 제 1 후크 걸이를 갖는 제 1 고정 브라켓, 외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 2 철근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 2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에 배치되는 제 2 후크 걸이를 갖는 제 2 고정 브라켓,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브라켓 클램프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철근 고정유닛과, 사용자의 신체에 연결되는 안전 로프가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로프를 준비하는 단계; (b) 건축물에 구비되는 철근 기둥들에 각각 구비되는 철근의 일부분이 상기 제 1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철근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제 2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태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이 상기 철근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브라켓 클램프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복수 개의 철근 고정유닛을 상기 복수 개의 철근 기둥 각각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철근에 결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이드 로프의 일단을 상기 복수 개의 철근 기둥 중 어느 하나의 철근 기둥에 결합되는 철근 고정유닛에 구비되는 제 1 후크 걸이 또는 제 2 후크 걸이에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 로프의 타단을 상기 복수 개의 철근 기둥 중 다른 하나의 철근 기둥에 결합되는 철근 고정유닛에 구비되는 제 1 후크 걸이 또는 제 2 후크 걸이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철근 기둥 하나당 상기 철근 고정유닛 복수 개를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한 후, 동일한 철근 기둥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철근 고정유닛을 연결 로프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철근 기둥 하나당 상기 철근 고정유닛 복수 개를 상호 평행 또는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철근 기둥 하나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 개의 철근 고정유닛을 각각 다른 철근 기둥에 배치되는 철근 고정유닛과 상기 가이드 로프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가이드 로프 복수 개를 상기 철근 기둥 하나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철근 고정유닛에 각각 하나씩 결합하여 상호 평행 또는 상호 수직으로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하고, 각각의 가이드 로프를 다른 철근 기둥들에 배치되는 다른 철근 고정유닛들에 각각 연결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브라켓 클램프는,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에 결합되는 고정 볼트와, 상기 고정 볼트에 나사 결합될 수 있는 조임 나사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고정 볼트를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에 구비되는 볼트 삽입홈을 통해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를 관통시키고 상기 조임 나사를 상기 고정 볼트에 나사 결합하여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철근 고정유닛은,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철근 압착 패드와,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철근 압착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철근과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 사이에 상기 제 1 철근 압착 패드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철근 압착 패드를 상기 철근에 밀착시키고, 상기 철근과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 사이에 상기 제 2 철근 압착 패드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철근 압착 패드를 상기 철근에 밀착시킨 후,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을 상기 브라켓 클램프로 결합시킬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가이드 로프의 양쪽 끝단에 상기 제 1 후크 걸이 및 상기 제 2 후크 걸이에 각각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로프 후크가 구비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로프 후크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로프를 상기 철근 고정유닛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가이드 로프의 중간에 상기 가이드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로프 길이조절기구가 결합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로프 길이조절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로프를 팽팽하게 길이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는 안전 로프가 연결되는 가이드 로프 유닛을 지지하는 철근 고정유닛이 복수 개의 철근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안전 로프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고, 작업자가 추락 사고의 위험에 처할 때 작업자의 몸무게를 안정적으로 지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는 분리형 구조의 제 1 고정 브라켓과 제 2 고정 브라켓을 각각 단순하게 철근을 사이에 두고 맞댄 상태에서 브라켓 클램프로 제 1 고정 브라켓과 제 2 고정 브라켓을 철근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및 해체가 쉽고, 사용이 편리하며,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의 철근 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의 철근 고정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의 시공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의 다양한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5 및 도 16은 철근 고정유닛에 구비되는 제 1 철근 압착 패드 및 제 2 철근 압착 패드의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의 철근 고정유닛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의 철근 고정유닛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100)는 건축물의 철근(25)에 고정되는 두 개 이상의 철근 고정유닛(110)과, 철근 고정유닛(110)에 연결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로프 유닛(150)을 포함한다. 이러한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100)는 공사 현장에서 작업자의 신체에 연결되는 안전 로프(10)를 지지함으로써 작업자 추락 사고를 방지하는데 이용된다.
철근 고정유닛(110)은 철근(25)에 결합되는 제 1 고정 브라켓(112) 및 제 2 고정 브라켓(120)과, 제 1 고정 브라켓(112) 및 제 2 고정 브라켓(120)을 철근(25)에 고정시키는 복수 개의 브라켓 클램프(130)(135)와, 철근(25)에 접하여 탄성 변형될 수 있도록 제 1 고정 브라켓(112) 및 제 2 고정 브라켓(120)에 각각 배치되는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 및 제 2 철근 압착 패드(145)를 포함한다.
제 1 고정 브라켓(112)은 제 1 브라켓 바디(113)와, 제 1 브라켓 바디(113)에 배치되는 제 1 후크 걸이(117)를 포함한다. 제 1 브라켓 바디(113)에는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114)이 마련된다.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114)은 제 1 브라켓 바디(113)의 일면에 제 1 브라켓 바디(113)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 1 철근 삽입홈(114)은 철근(25)이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철근 삽입홈(114)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진다. 제 1 브라켓 바디(113)는 철근(25)이 제 1 철근 삽입홈(114)에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철근(25)의 외면에 접하여 철근(25)을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다. 제 1 브라켓 바디(113)에는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114)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연통하는 제 1 브라켓 바디홈(115)이 마련된다. 제 1 브라켓 바디홈(115)에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가 수용될 수 있다.
제 1 후크 걸이(117)는 제 1 브라켓 바디(113)의 중간에 제 1 브라켓 바디(113)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제 1 후크 걸이(117)는 제 1 브라켓 바디(113)의 다른 일면, 즉 제 1 브라켓 바디(113)의 철근(25)이 접하는 부분과 반대측 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 1 후크 걸이(117)는 U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가이드 로프 유닛(150)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제 2 고정 브라켓(120)은 제 2 브라켓 바디(121)와, 제 2 브라켓 바디(121)에 배치되는 제 2 후크 걸이(127)를 포함한다. 제 2 브라켓 바디(121)에는 복수 개의 제 2 철근 삽입홈(122)이 마련된다. 복수 개의 제 2 철근 삽입홈(122)은 제 2 브라켓 바디(121)의 일면에 제 2 브라켓 바디(121)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 복수 개의 제 2 철근 삽입홈(122)의 이격 거리는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114)의 이격 거리와 같다. 제 2 철근 삽입홈(122)은 철근(25)이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된다. 제 1 철근 삽입홈(114)과 마찬가지로 제 2 철근 삽입홈(122)은 아치형으로 이루어진다. 제 2 브라켓 바디(121)는 철근(25)이 제 2 철근 삽입홈(122)에 부분적으로 삽입됨으로써 철근(25)의 외면에 접하여 철근(25)을 부분적으로 감쌀 수 있다. 제 2 브라켓 바디(121)에는 복수 개의 제 2 철근 삽입홈(122) 중에서 적어도 하나와 연통하는 제 2 브라켓 바디홈(123)이 마련된다. 제 2 브라켓 바디홈(123)에 제 2 철근 압착 패드(145)가 수용될 수 있다.
이 밖에, 제 2 브라켓 바디(121)에는 복수 개의 볼트 삽입홈(124)(125)이 마련된다. 이들 볼트 삽입홈(124)(125)은 브라켓 클램프(130)(135)의 결합을 위한 것이다. 복수 개의 볼트 삽입홈(124)(125) 중 하나의 볼트 삽입홈(124)은 제 2 브라켓 바디(121)의 중간에 배치되고, 다른 볼트 삽입홈(125)은 제 2 브라켓 바디(121)의 가장자리에서 외부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즉, 다른 볼트 삽입홈(125)은 제 2 브라켓 바디(121)의 양쪽 끝단에 한 쌍이 마련되되, 제 2 브라켓 바디(121)의 양쪽 끝단에서 각각 외부로 개방된다.
제 2 후크 걸이(127)는 제 2 브라켓 바디(121)의 중간에 제 2 브라켓 바디(121)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제 2 후크 걸이(127)는 제 2 브라켓 바디(121)의 다른 일면, 즉 제 2 브라켓 바디(121)의 철근(25)이 접하는 부분과 반대측 면에서 외측으로 돌출된다. 제 2 후크 걸이(127)는 제 1 후크 걸이(117)와 마찬가지로 U볼트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에 가이드 로프 유닛(150)이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브라켓 클램프(130)(135)는 제 1 고정 브라켓(112)과 제 2 고정 브라켓(120)을 복수 개의 철근(25)을 사이에 두고 상호 마주하도록 결합시켜 제 1 고정 브라켓(112) 및 제 2 고정 브라켓(120)을 복수 개의 철근(25)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복수 개의 브라켓 클램프(130)(135) 중에서 하나의 브라켓 클램프(130)는 제 1 고정 브라켓(112) 및 제 2 고정 브라켓(120)의 중간 부분을 결합시키고, 다른 브라켓 클램프(135)는 제 1 고정 브라켓(112) 및 제 2 고정 브라켓(120)의 양쪽 끝단부를 결합시킨다.
제 1 고정 브라켓(112) 및 제 2 고정 브라켓(120) 각각의 중간 부분을 상호 결합시키는 브라켓 클램프(130)는 고정 볼트(131)와, 고정 볼트(131)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 나사(132)를 포함한다. 고정 볼트(131)는 제 1 브라켓 바디(113)의 중간에 제 1 브라켓 바디(113)의 길이 방향에 대해 수직 방향으로 고정 배치된다. 고정 볼트(131)는 제 2 브라켓 바디(121)에 구비되는 볼트 삽입홈(124)을 통해 제 2 브라켓 바디(121)를 관통할 수 있다. 조임 나사(132)는 제 2 브라켓 바디(121)를 관통하는 고정 볼트(131)의 한쪽 끝단에 나사 결합된다. 조임 나사(132)가 고정 볼트(131)에 나사 결합되어 조여짐으로써, 제 1 고정 브라켓(112)과 제 2 고정 브라켓(120) 각각의 중간 부분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제 1 고정 브라켓(112) 및 제 2 고정 브라켓(120) 각각의 끝단부를 상호 결합시키는 브라켓 클램프(135)는 고정 볼트(136)와, 고정 볼트(136)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 나사(138)를 포함한다. 고정 볼트(136)는 제 1 브라켓 바디(113)의 끝단부에 피봇 결합된다. 즉, 고정 볼트(136)는 제 1 브라켓 바디(113)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는 지지 샤프트(137)에 결합되어 지지 샤프트(137)를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다. 고정 볼트(136)는 지지 샤프트(137)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제 2 브라켓 바디(121)에 구비되는 볼트 삽입홈(125)에 삽입됨으로써, 볼트 삽입홈(125)을 통해 제 2 브라켓 바디(121)를 관통할 수 있다. 조임 나사(138)는 제 2 브라켓 바디(121)를 관통하는 고정 볼트(136)의 한쪽 끝단에 나사 결합된다. 조임 나사(138)가 고정 볼트(136)에 나사 결합되어 조여짐으로써, 제 1 고정 브라켓(112)과 제 2 고정 브라켓(120) 각각의 끝단부를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브라켓 클램프(135)는 제 1 고정 브라켓(112) 및 제 2 고정 브라켓(120) 각각의 양쪽 끝단부를 상호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쌍 구비된다.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는 제 1 고정 브라켓(112)의 제 1 철근 삽입홈(114)에 삽입되는 철근(25)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 1 브라켓 바디(113)에 배치된다.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는 고무 등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는 제 1 브라켓 바디홈(115)에 수용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제 1 브라켓 바디홈(115)과 연통하는 제 1 철근 삽입홈(114) 속에 놓인다. 따라서 제 1 철근 삽입홈(114)에 철근(25)이 삽입될 때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가 철근(25)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가 철근(25)의 외면에 밀착되어 탄성 변형됨으로써 제 1 고정 브라켓(112)은 철근(25)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가 철근(25)에 밀착됨으로써 제 1 고정 브라켓(112)이 슬립 발생없이 철근(25)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는 제 1 고정 브라켓(112)과 철근(25)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함으로써, 제 1 고정 브라켓(112)이 철근(25)과 충돌하여 제 1 고정 브라켓(112)이나 철근(25)이 손상되는 문제를 줄여줄 수 있다.
제 2 철근 압착 패드(145)는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지고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와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제 2 철근 압착 패드(145)는 제 2 고정 브라켓(120)의 제 2 철근 삽입홈(122)에 삽입되는 철근(25)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제 2 브라켓 바디(121)에 배치된다. 제 2 철근 압착 패드(145)는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와 마찬가지로 고무 등 탄성 변형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진다. 제 2 철근 압착 패드(145)는 제 2 브라켓 바디홈(123)에 수용되어 적어도 일부분이 제 2 브라켓 바디홈(123)과 연통하는 제 2 철근 삽입홈(122) 속에 놓인다. 따라서 제 2 철근 삽입홈(122)에 철근(25)이 삽입될 때 제 2 철근 압착 패드(145)가 철근(25)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다. 제 2 철근 압착 패드(145)가 철근(25)의 외면에 밀착되어 탄성 변형됨으로써 제 2 고정 브라켓(120)은 철근(25)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제 2 철근 압착 패드(145)가 철근(25)에 밀착됨으로써 제 2 고정 브라켓(120)이 슬립 발생없이 철근(25)에 견고하게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철근 압착 패드(145)는 제 2 고정 브라켓(120)과 철근(25) 사이에서 완충 작용을 함으로써 제 2 고정 브라켓(120)이 철근(25)과 충돌하여 제 2 고정 브라켓(120)이나 철근(25)이 손상되는 문제를 줄여줄 수 있다.
가이드 로프 유닛(150)은 안전 로프(10)와 연결되는 가이드 로프(151)와, 가이드 로프(151)의 양쪽 끝단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로프 후크(152)와, 가이드 로프(151)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가이드 로프(151)의 중간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로프 길이조절기구(154)(155)를 포함한다.
가이드 로프(151)는 로프 후크(152)를 통해 철근 기둥(20)에 결합되는 철근 고정유닛(110)에 연결될 수 있다. 로프 후크(152)는 철근 고정유닛(110)의 제 1 후크 걸이(117) 또는 제 2 후크 걸이(127)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로프 후크(152)는 통상적인 로프용 후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 로프(151)는 작업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는 강도를 갖는 다양한 형태, 또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이드 로프(151)는 단일 로프, 또는 복수 개의 로프가 겹쳐진 형태, 또는 복수 개의 로프가 로프 길이조절기구(154)(155) 등의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된 형태 등 다양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가이드 로프(151)는 그 일단이 로프 후크(152)를 통해 하나의 철근 기둥(20)에 결합되는 철근 고정유닛(110)에 연결되고, 그 타단이 또 다른 로프 후크(152)를 통해 다른 철근 기둥(20)에 결합되는 다른 철근 고정유닛(110)에 연결됨으로써, 복수 개의 철근 기둥(20) 사이에 대략 수평으로 배치되어 안전 로프(10)를 지지할 수 있다.
도시된 것과 같이, 안전 로프(10)의 끝단에는 로프 걸이부재(15)가 배치될 수 있으며, 안전 로프(10)는 로프 걸이부재(15)를 통해 가이드 로프(151)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로프 걸이부재(15)가 가이드 로프(151)에 걸린 상태에서 안전 로프(10)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경우, 안전 로프(10)가 가이드 로프(151)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이 경우, 안전 로프(10)의 길이가 작업자의 가동 범위를 제한하는 문제를 줄일 수 있고, 작업자가 안전 로프(10)의 길이에 따른 움직임 제약을 덜 받으면서 작업을 수행하는데 유리하다.
복수 개의 로프 길이조절기구(154)(155)는 가이드 로프(151)의 중간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가이드 로프(151)의 길이를 조절하는데 이용된다. 복수 개의 로프 길이조절기구(154)(155) 중 하나의 로프 길이조절기구(154)는 가이드 로프(151)의 길이를 대략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다른 로프 길이조절기구(155)는 가이드 로프(151)의 길이를 미세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하나의 로프 길이조절기구(154)는 가방끈 조절 버클과 같이 단순하면서 가이드 로프(151)의 길이 조절이 용이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반면, 다른 하나의 로프 길이조절기구(155)는 래칫 버클(ratchet buckle)과 같이 레버 조작에 따라 래칫 휠이 회전하여 가이드 로프(151)를 일정 피치 간격으로 감아 가이드 로프(151)의 미세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의 것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래칫 버클 구조의 로프 길이조절기구(155)를 이용하면 가이드 로프(151)를 철근 고정유닛(110)에 연결한 후 가이드 로프(151)를 팽팽하게 당길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로프(151)가 외측으로 당겨지더라도 풀리지 않고 팽팽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100)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4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고정 브라켓(112)과 제 2 고정 브라켓(120)을 철근 기둥(20)의 철근(25)을 사이에 두고 마주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 1 고정 브라켓(112)을 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114)에 복수 개의 철근(25)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철근(25)에 밀착시키고, 제 2 고정 브라켓(120)을 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 2 철근 삽입홈(122)에 복수 개의 철근(25)이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철근(25)에 밀착시킨다. 이때, 제 1 고정 브라켓(112)에 배치되는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가 철근(25)에 밀착되어 탄성 변형되고, 제 2 고정 브라켓(120)에 배치되는 제 2 철근 압착 패드(145)가 철근(25)에 밀착되어 탄성 변형되며, 제 1 고정 브라켓(112)에 고정된 브라켓 클램프(130)의 고정 볼트(131)가 제 2 고정 브라켓(120)의 볼트 삽입홈(124)에 삽입된다. 이후, 고정 볼트(131)에 조임 나사(132)를 나사 결합하고 조임으로써 제 1 고정 브라켓(112)과 제 2 고정 브라켓(120) 각각의 중간 부분을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 브라켓(112)의 양쪽 끝단에 피봇 결합된 브라켓 클램프(135)의 고정 볼트(136)를 제 2 고정 브라켓(120)의 양쪽 끝단에 형성된 볼트 삽입홈(125)에 각각 끼운 후, 고정 볼트(136)에 조임 나사(138)를 나사 결합하고 조임으로써 제 1 고정 브라켓(112)과 제 2 고정 브라켓(120) 각각의 양쪽 끝단 부분을 상호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복수 개의 철근 고정유닛(110)을 도 7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 개의 철근 기둥(20)에 결합한다.
이때, 제 1 고정 브라켓(112)에 배치되는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가 복수의 철근(25)에 밀착됨으로써 제 1 고정 브라켓(112)은 복수의 철근(25)과 슬립 발생없이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고정 브라켓(120)에 배치되는 제 2 철근 압착 패드(145)가 복수의 철근(25)에 밀착됨으로써 제 2 고정 브라켓(120)은 복수의 철근(25)과 슬립 발생없이 안정적인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철근 고정유닛(110)은 복수의 철근(25)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후, 도 8에 나타낸 것과 같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철근 고정유닛(110)에 가이드 로프 유닛(150)을 연결한다. 즉, 가이드 로프(151)의 일단에 구비되는 로프 후크(152)를 하나의 철근 기둥(20)에 결합된 철근 고정유닛(110)의 제 1 후크 걸이(117) 또는 제 2 후크 걸이(127)에 걸고, 가이드 로프(151)의 타단에 구비되는 로프 후크(152)를 다른 철근 기둥(20)에 결합된 철근 고정유닛(110)의 제 1 후크 걸이(117) 또는 제 2 후크 걸이(127)에 건다. 그리고 로프 길이조절기구(154)로 가이드 로프(151)의 길이를 대략적으로 조절한 후, 로프 길이조절기구(155)로 가이드 로프(151)를 조임으로써 가이드 로프(151)를 두 개의 철근 고정유닛(110) 사이에 팽팽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100)의 설치 후, 도 9에 나타낸 것과 같이 작업자가 안전 로프(10)에 구비된 로프 걸이부재(15)를 가이드 로프(151)에 걸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작업자가 추락의 위험에 처하는 경우,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100)가 안전 로프(10)를 통해 작업자의 몸무게를 지탱함으로써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100)의 다양한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2에 나타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은 하나의 철근 기둥(20)에 복수 개의 철근 고정유닛(110)을 결합하는 방법이다.
먼저,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 개의 철근 기둥(20) 각각에 두 개의 철근 고정유닛(110)을 상호 평행하게 이격 배치한다. 이때, 각각의 철근 고정유닛(110)을 상술한 것과 같은 방법을 통해 철근 기둥(2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철근(25)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이, 동일한 철근 기둥(20)에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는 두 개의 철근 고정유닛(110)을 연결 로프(160)로 연결한다. 도시된 것과 같이 연결 로프(160)는 그 양쪽 끝단에 각각 로프 후크(162)가 구비된 것이 이용될 수 있다. 로프 후크(162)는 철근 고정유닛(110)의 제 1 후크 걸이(117) 또는 제 2 후크 걸이(127)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연결 로프(160)에 구비되는 하나의 로프 후크(162)를 동일한 철근 기둥(20)에 결합되는 두 개의 철근 고정유닛(11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되는 제 1 후크 걸이(117) 또는 제 2 후크 걸이(127)에 걸고, 다른 하나의 로프 후크(162)를 다른 하나의 철근 고정유닛(110)에 구비되는 제 1 후크 걸이(117) 또는 제 2 후크 걸이(127)에 걸어 두 개의 철근 고정유닛(110)을 연결 로프(160)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서로 다른 철근 기둥(20)에 각각 결합되어 상호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두 개의 철근 고정유닛(110)에 가이드 로프(151)를 연결한다.
이러한 시공방법은 가이드 로프(151)가 연결되는 철근 고정유닛(110)이 연결 로프(160)를 통해 다른 철근 고정유닛(110)과 연결됨으로써, 철근 고정유닛(110)이 더욱 견고하게 철근 기둥(2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가이드 로프(151)의 한쪽 끝단을 복수 개의 철근 고정유닛(110)으로 지지하게 됨으로써 가이드 로프(151)에 대한 지지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더욱 큰 하중을 지탱할 수 있다.
이러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철근 기둥(20)에 결합되는 철근 고정유닛(110)의 개수는 두 개 이상의 다양한 개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철근 기둥(20)에 결합되는 철근 고정유닛(1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평행하게 배치되지 않고 상호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의 시공방법은 철근 기둥(20) 하나당 복수 개의 철근 고정유닛(110) 및 복수 개의 가이드 로프 유닛(150)을 배치하는 방법이다.
먼저, 도 13에 나타낸 것과 같이, 복수 개의 철근 기둥(20) 각각에 철근 고정유닛(110) 두 개를 상호 수직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한다. 이때, 각각의 철근 고정유닛(110)을 상술한 것과 같은 방법을 통해 철근 기둥(20)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철근(25)에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4에 나타낸 것과 같이, 하나의 철근 기둥(20)에 결합되는 두 개의 철근 고정유닛(110)에 각각 가이드 로프(151)를 결합하여 철근 기둥(20) 하나에 두 개의 가이드 로프(151)를 상호 수직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결한다. 이들 두 개의 가이드 로프(151)는 각각의 한쪽 끝단이 하나의 철근 기둥(20)에 결합되는 두 개의 철근 고정유닛(110)에 각각 연결된다. 그리고 이중 하나의 가이드 로프(151)는 그 다른 쪽 끝단이 다른 철근 기둥(20)에 결합되는 철근 고정유닛(110)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의 가이드 로프(151)는 그 다른 쪽 끝단이 또 다른 철근 기둥(20)에 결합되는 철근 고정유닛(110)에 연결된다. 이와 같이 복수 개의 가이드 로프(151)를 복수 개의 철근 기둥(20)에 연결함으로써, 작업자가 자신의 작업 범위에 맞춰 적절한 가이드 로프(151)를 선택하여 안전 로프(10)를 연결하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작업자가 적절한 가이드 로프(151)를 선택하여 안전 로프(10)를 연결하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시공방법에 있어서, 하나의 철근 기둥(20)에 결합되는 철근 고정유닛(110)의 개수는 두 개 이상의 다양한 개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하나의 철근 기둥(20)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철근 고정유닛(110)은 도시된 것과 같이 상호 수직 교차하도록 배치되지 않고, 상호 평행, 또는 수직 이외에 다양한 각도로 교차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하나의 철근 고정유닛(110)에 가이드 로프(151)가 하나씩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철근 고정유닛(110)에 구비되는 후크 걸이의 개수에 따라 하나의 철근 고정유닛(110)에 연결되는 가이드 로프(151)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상술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100)는 안전 로프(10)가 연결되는 가이드 로프 유닛(150)을 지지하는 철근 고정유닛(110)이 복수 개의 철근(25)에 견고하게 고정됨으로써, 안전 로프(1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100)는 분리형 구조의 제 1 고정 브라켓(112)과 제 2 고정 브라켓(120)을 각각 단순하게 철근(25)을 사이에 두고 맞댄 상태에서 브라켓 클램프(130)(135)로 제 1 고정 브라켓(112)과 제 2 고정 브라켓(120)을 철근(25)에 간단하게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시공 및 해체가 쉽고, 사용이 편리하며, 운반 및 보관이 용이하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해 바람직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앞에서 설명되고 도시되는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 1 고정 브라켓(112)의 제 1 브라켓 바디(113)나 제 2 고정 브라켓(120)의 제 2 브라켓 바디(121)는 도시된 것과 같은 사각 바 형태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브라켓 바디(113)에 구비되는 제 1 철근 삽입홈(114)의 형상이나 크기, 개수, 배치 간격은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 2 브라켓 바디(121)에 마련되는 제 2 철근 삽입홈(122)의 형상이나 크기, 개수, 배치 간격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 1 브라켓 바디(113)에 배치되는 제 1 후크 걸이(117)의 형상이나 개수, 제 2 브라켓 바디(121)에 배치되는 제 2 후크 걸이(127)의 형상이나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 1 후크 걸이(117)나 제 2 후크 걸이(127)는 도시된 것과 같은 U볼트 형태 이외에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브라켓 클램프(130)(135)가 고정형의 고정 볼트(131)와 이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 나사(132)를 포함하는 구조, 회전형 고정 볼트(136)와 이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 나사(138)를 포함하는 구조인 것으로 나타냈으나, 브라켓 클램프는 이러한 구조 이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브라켓 클램프는 제 1 브라켓 바디(113) 및 제 2 브라켓 바디(121)와 분리 가능한 분리형의 고정 볼트와 이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 나사를 포함하는 구조를 취할 수 있다. 이 밖에, 브라켓 클램프는 제 1 고정 브라켓(112)과 제 2 고정 브라켓(120)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다양한 다른 구조로 변경될 수 있고, 그 개수나 제 1 고정 브라켓(112) 및 제 2 고정 브라켓(120)과의 결합 위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나 제 2 철근 압착 패드(145)의 구조도 도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5 및 도 16는 제 1 철근 압착 패드와 제 2 철근 압착 패드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것이다.
먼저, 도 15에 나타낸 제 1 철근 압착 패드(170)는 제 1 브라켓 바디(113)에 구비되는 제 1 철근 삽입홈(114)에 대응하는 제 1 철근 안착홈(171)을 갖는다. 제 1 철근 안착홈(171)은 제 1 철근 압착 패드(170)의 일면에 복수 개가 구비된다. 제 1 철근 압착 패드(170)는 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 1 철근 안착홈(171)이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114)에 대응하도록 제 1 브라켓 바디(113)의 제 1 브라켓 바디홈(115)에 수용된다. 제 2 철근 압착 패드(175)는 제 2 브라켓 바디(121)에 구비되는 제 2 철근 삽입홈(122)에 대응하는 제 2 철근 안착홈(176)을 갖는다. 제 2 철근 안착홈(176)은 제 2 철근 압착 패드(175)의 일면에 복수 개가 구비된다. 제 2 철근 압착 패드(175)는 이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제 2 철근 안착홈(176)이 복수 개의 제 2 철근 삽입홈(122)에 대응하도록 제 2 브라켓 바디(121)의 제 2 브라켓 바디홈(123)에 수용된다. 제 1 철근 안착홈(171)은 도시된 것과 같이 제 1 철근 삽입홈(114)에 대응하는 아치형, 또는 제 1 철근 삽입홈(114)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철근 안착홈(176)도 제 2 철근 삽입홈(122)의 형태에 따라 아치형 이외의 다양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도 16에 나타낸 제 1 철근 압착 패드(180) 및 제 2 철근 압착 패드(185)는 도 2에 나타낸 제 1 철근 압착 패드(140) 및 제 2 철근 압착 패드(145)에 비해 크기가 확대된 것이다. 제 1 철근 압착 패드(180)는 제 1 브라켓 바디(113)의 제 1 브라켓 바디홈(115)에 수용될 때 제 1 브라켓 바디(113)의 제 1 철근 삽입홈(114)을 완전히 채우는 크기를 갖는다. 제 2 철근 압착 패드(185)는 제 2 브라켓 바디(121)의 제 2 브라켓 바디홈(123)에 수용될 때 제 2 브라켓 바디(121)의 제 2 철근 삽입홈(122)을 완전히 채우는 크기를 갖는다. 이 밖에, 제 1 철근 압착 패드나 제 2 철근 압착 패드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또한 가이드 로프(151)에 결합되는 로프 후크(152)의 구조나 개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로프 길이조절기구(154)(155)의 구조나 개수도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110 : 철근 고정유닛
112 : 제 1 고정 브라켓 113 : 제 1 브라켓 바디
114 : 제 1 철근 삽입홈 117 : 제 1 후크 걸이
120 : 제 2 고정 브라켓 121 : 제 2 브라켓 바디
122 : 제 2 철근 삽입홈 127 : 제 2 후크 걸이
130, 135 : 브라켓 클램프 131, 136 : 고정 볼트
132, 138 : 조임 나사 140, 170, 180 : 제 1 철근 압착 패드
145, 175, 185 : 제 2 철근 압착 패드
150 : 가이드 로프 유닛 151 : 가이드 로프
152 : 로프 후크 154, 155 : 로프 길이조절기구
160 : 연결 로프

Claims (8)

  1. 작업자의 신체에 연결되는 안전 로프를 지지하기 위한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의 철근이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된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 1 브라켓 바디와,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에 배치되는 제 1 후크 걸이를 포함하는 제 1 고정 브라켓;
    상기 철근이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외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 2 철근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 2 브라켓 바디와,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에 배치되는 제 2 후크 걸이를 포함하는 제 2 고정 브라켓;
    상기 철근의 일부분이 상기 제 1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철근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제 2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태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이 상기 철근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상기 철근에 고정되도록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브라켓 클램프; 및
    상기 안전 로프가 연결되어 상기 안전 로프를 지지할 수 있도록 일단이 상기 제 1 후크 걸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후크 걸이에 연결되는 가이드 로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클램프는,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에 결합되어 한쪽 끝단이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에 구비되는 볼트 삽입홈을 통해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를 관통할 수 있는 고정 볼트와,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를 관통하는 상기 고정 볼트의 한쪽 끝단에 나사 결합되는 조임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철근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철근 압착 패드; 및
    상기 제 2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기 철근의 외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철근 압착 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철근 삽입홈 및 상기 제 2 철근 삽입홈은 각각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로프의 중간에 결합되는 로프 길이조절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6. (a) 외측으로 개방된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 1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에 배치되는 제 1 후크 걸이를 갖는 제 1 고정 브라켓, 외측으로 개방되고 상기 복수 개의 제 1 철근 삽입홈에 대응하는 복수 개의 제 2 철근 삽입홈을 구비하는 제 2 브라켓 바디 및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에 배치되는 제 2 후크 걸이를 갖는 제 2 고정 브라켓,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을 상호 결합시킬 수 있는 브라켓 클램프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철근 고정유닛과, 사용자의 신체에 연결되는 안전 로프가 연결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 로프를 준비하는 단계;
    (b) 건축물에 구비되는 철근 기둥들에 각각 구비되는 철근의 일부분이 상기 제 1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고 상기 철근의 다른 일부분이 상기 제 2 철근 삽입홈에 삽입되는 상태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이 상기 철근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여 고정되도록 상기 브라켓 클램프로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을 결합시키는 방법으로 상기 복수 개의 철근 고정유닛을 상기 복수 개의 철근 기둥 각각에 구비되는 복수 개의 철근에 결합하는 단계; 및
    (c) 상기 가이드 로프의 일단을 상기 복수 개의 철근 기둥 중 어느 하나의 철근 기둥에 결합되는 철근 고정유닛에 구비되는 제 1 후크 걸이 또는 제 2 후크 걸이에 연결하고, 상기 가이드 로프의 타단을 상기 복수 개의 철근 기둥 중 다른 하나의 철근 기둥에 결합되는 철근 고정유닛에 구비되는 제 1 후크 걸이 또는 제 2 후크 걸이에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의 시공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철근 고정유닛은,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1 철근 압착 패드와,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에 탄성 변형 가능하게 배치되는 제 2 철근 압착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철근과 상기 제 1 브라켓 바디 사이에 상기 제 1 철근 압착 패드를 개재하여 상기 제 1 철근 압착 패드를 상기 철근에 밀착시키고, 상기 철근과 상기 제 2 브라켓 바디 사이에 상기 제 2 철근 압착 패드를 개재하여 상기 제 2 철근 압착 패드를 상기 철근에 밀착시킨 후, 상기 제 1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제 2 고정 브라켓을 상기 브라켓 클램프로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의 시공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에서, 상기 가이드 로프의 중간에 상기 가이드 로프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로프 길이조절기구가 결합되고,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로프 길이조절기구를 이용하여 상기 가이드 로프를 팽팽하게 길이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의 시공방법.
KR1020180003388A 2018-01-10 2018-01-10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8969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388A KR101896955B1 (ko) 2018-01-10 2018-01-10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3388A KR101896955B1 (ko) 2018-01-10 2018-01-10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6955B1 true KR101896955B1 (ko) 2018-09-10

Family

ID=63594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3388A KR101896955B1 (ko) 2018-01-10 2018-01-10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695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6493A1 (fr) * 2022-06-10 2023-12-15 Eiffage Genie Civil Dispositif de fixation à un treillis de ferraillage pour supporter un montant de garde-corp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8663A (ja) * 1994-11-30 1996-06-18 Kunimoto Shokai:Kk 安全用親綱取付装置
JPH11236767A (ja) * 1998-02-20 1999-08-31 Taisei Corp 簡便クランプ
KR200375319Y1 (ko) * 2004-11-18 2005-03-10 삼성물산 주식회사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KR20090009868A (ko) 2006-04-14 2009-01-23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뼈 성장촉진물질을 갖는 고정 플레이트 및 사용방법
JP2011172779A (ja) * 2010-02-25 2011-09-08 Nishimatsu Constr Co Ltd 綱支持用具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58663A (ja) * 1994-11-30 1996-06-18 Kunimoto Shokai:Kk 安全用親綱取付装置
JPH11236767A (ja) * 1998-02-20 1999-08-31 Taisei Corp 簡便クランプ
KR200375319Y1 (ko) * 2004-11-18 2005-03-10 삼성물산 주식회사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KR20090009868A (ko) 2006-04-14 2009-01-23 워쏘우 오르쏘페딕 인코포레이티드 뼈 성장촉진물질을 갖는 고정 플레이트 및 사용방법
JP2011172779A (ja) * 2010-02-25 2011-09-08 Nishimatsu Constr Co Ltd 綱支持用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136493A1 (fr) * 2022-06-10 2023-12-15 Eiffage Genie Civil Dispositif de fixation à un treillis de ferraillage pour supporter un montant de garde-corp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79164A1 (en) Rebar stanchion horizontal lifeline fall arrest system
AU2012216652B2 (en) Temporary roof anchor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US11795713B2 (en) Fall protection system
KR101896955B1 (ko)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9227094B2 (en) Height safety anchor
KR101920836B1 (ko) 콘크리트 건축물 시공을 위한 걸쇠식 유볼트형 자재 결속구
US11753836B2 (en) Fall protection system
KR20200021305A (ko) 안전 로프 연결용 철근 고정유닛과 이를 갖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US20020053485A1 (en) Rebar anchorage system for horizontal lifeline
KR101896956B1 (ko)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443586Y1 (ko) 전선 거치대
JP2018188952A (ja) 足場板留め具
JP2004211402A (ja) 親綱支柱
KR101505169B1 (ko) 수직대와 횡대를 포함하는 건축자재 연결구
JP3262541B2 (ja) 安全ネットやシートなどの吊り具
EP4343080A1 (en) Fall protection system
JPH11236767A (ja) 簡便クランプ
GB2411688A (en) Pivoted jaw clamp supporting a hook
JP5812554B1 (ja) 親綱係留用支柱の取付金具及び取付構造
KR200172587Y1 (ko) 건축용 안전망의 지지구조체
KR200389353Y1 (ko) 철탑용 낙하물 방지장치
KR102633363B1 (ko) 비계용 안전로프 클램프
KR20020032853A (ko) 낙하물 방호 장치
KR0128705Y1 (ko) 휀스망 체결장치
JPH052258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