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8705Y1 - 휀스망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휀스망 체결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8705Y1
KR0128705Y1 KR2019930021093U KR930021093U KR0128705Y1 KR 0128705 Y1 KR0128705 Y1 KR 0128705Y1 KR 2019930021093 U KR2019930021093 U KR 2019930021093U KR 930021093 U KR930021093 U KR 930021093U KR 0128705 Y1 KR0128705 Y1 KR 01287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nce
fastening
support
fixe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1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1809U (ko
Inventor
김춘자
송부옥
Original Assignee
김춘자
송부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자, 송부옥 filed Critical 김춘자
Priority to KR2019930021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8705Y1/ko
Publication of KR9500118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18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87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87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10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way of connecting wire to posts; Dropp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4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ly adapted wire, e.g. barbed wire, wire mesh, toothed strip or the like; Coupling mean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02Wire fencing, e.g. made of wire mesh
    • E04H17/06Parts for wire fences
    • E04H17/08Anchoring means therefor, e.g. specially-shaped parts entering the ground; Strut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휀스망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각 지주(1)(1')의 상, 중, 하단부에 체결공(2)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호형의 지지부(3)와 양측에 체결판(4)이 형성된 연결고정판(5)을 각 지주(1)(1')의 배면에 고정볼트(6)로서 고정설치하고, 지주(1)(1')의 전면에는 휀스망(7)을 대고 지주(1)(1')의 배면 상, 중, 하부에 체결되어 있는 연결고정관(5)의 위치에 고정파이프(8)를 대고 U형의 고정볼트(9)로서 체결판(4)의 체결공(10)에 고정하고, 지주(트와 지주(1')사이의 파이프(8)와 휀스망(7)은 밴드(11)로서 고정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시간을 줄일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인력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가 있고, 원형의 파이프와 고정볼트 등 자재구입이 손쉽고 휀스의 상, 하 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이 용이하며 휀스의 선경이 굵은 것과 강도가 강한 휀스를 간단하게 설치할 수가 있고, 휀스의 절단시 휀스가 짧거나 긴 것 등에 구애없이 사용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Description

휀스망 체결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리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보인 요부확대 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1' : 지주 2, 10 : 체결공
3 : 지지부 4 : 체결판
5 : 연결고정판 6, 9 : 고정볼트
7 : 휀스망 8 : 고정파이프
11 : 고정밴드 1, 1' : 지주
2, 10 : 체결공 3 : 지지부
4 : 체결판 5 : 연결고정판
6, 9 : 고정볼트 7 : 휀스망
8 : 고정파이프 11 : 고정밴드
본 고안은 울타리나 낙석방지책으로 사용하는 휀스망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휀스의 선경이 굵은 휀스나, 강도가 강한 휀스 등을 호형의 고정판과 U형의 볼트를 이용하여 프레임과 함께 체결고정할 수 있도록 한 휀스망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휀스망을 설치할 때에는 휀스망의 가장자리부를 고정봉에 횡으로 끼운 다음 이 고정봉을 상, 하프레임과 지주에 체결밴드로서 고정하였으나 이와 같은 방법은 설치작업시 일일이 고정봉에 휀스를 걸고 이를 다시 프레임에 고정볼트로서 체결하여 작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작업이 더디고 번거로우며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실용신안등록 제68002호(공고번호 92-5346호)와 제70930호(공고번호 92-8236호)를 안출하여 사용하였으나, 상기의 방법은 휀스의 선경이 가는 것일 경우에는 바람직하지만 휀스의 선경이 굵은 것일 경우에는 휀스가 프레임의 내부 요홈으로 삽입이 되지 않기 때문에 외부로 돌출하여 종래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이로 인하여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고 복잡한 단점이 있었으며, 휀스를 고정하는 프레임을 공장에서 직접 운반하여 사용하여야 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U형 고정볼트를 이용하여 휀스를 고정하는 휀스철망체결구조(공개번호 92-21609호)가 안출되었는 바, 상기의 고안은 서로 교차되는 휀스지주와 상, 하휀스횡부재의 교차 연결부분을 체결시키도록 양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한쌍의 U형부와 그 U형부들의 일측단부들 및 타측단부들이 각각 삽입되는 구멍이 양단에 형성되고 중앙에 휀스지주를 부분적으로 밀착수용하기 위한 호형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한쌍의 체결부로 구성되어 있는 다수의 교차 체결부재와, 휀스철망을 휀스지주에 체결시키도록 양단부에 나사부가 형성된 한쌍의 U형부와 그 U형부들의 양단부들이 각각 삽입되는 구멍이 양단에 형성되고 중앙에 휀스지주를 부분적으로 밀착수용하기 위한 호형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체결부로 구성되어 있는 두사의 철망체결부재와 휀스철망을 상, 하휀스부형부재에 체결시키도록 하면에 일방향으로 경사지게 다수의 톱니가 형성되어 있고 일단에는 타단을 통과시킬 수 있게 하는 구멍과 일단 통과된 부분의 후퇴이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구멍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구멍의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톱니가 맞물리도록 멈춤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가요성 밴드부재를 구비하여서 된 구성이다.
그러나 상기 고안은 교차체결부재와 철망체결부재를 각각 체결부에 체결한 다음 저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여 작업이 힘들고 각각의 체결부재를 일일이 체결부를 체결하여 작업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등의 단점이 있으며, 또한 휀스에 의하여 고정부재가 고정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휀스에 하중이 가해질 경우 철망체결부재가 미끄러지면서 하단으로 흘러내리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지주의 배면 상, 중, 하부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호형의 연결고정판을 볼트로서 고정하고 연결고정판이 체결된 지주의 배면에는 휀스를 설치하되 휀스의 상,중,하부에는 원형의 프레임을 대고 수개의 U형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고정판에 고정하여셔 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소정간격을 두고 지주를 세워 프레임과 체결밴드를 이용하여 휀스를 설치하는 휀스망 체결장치에 있어서, 각 지주(1)(1')의 상, 중, 하부에 체결공(2)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호형의 지지부(3)와 양측에 체결판(4)이 형성된 연결고정판(5)을 각 지주(1)(1')의 배면에 고정볼트(6)로서 고정설치한다.
지주(1)(1')의 전면에는 휀스망(7)을 대고 지주(1)(1')의 배면 상, 중, 하부에 체결되어 있는 연결고정관(5)의 위치에 고정파이프(8)를 대고 U형의 고정볼트(9)로서 체결판(4)의 체결공(10)에 고정하고, 지주(1)와 지주(1')사이의 파이프(8)와 휀스망(7)은 밴드(11)로서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 중, 하부에 체결공(2)이 형성되어 있는 수개의 지주(1)(1')를 소정간격으로 설치하고, 각 체결공(2)에는 체결판(5)에 상, 하로 체결공(10)이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호형의 지지부(3)가 형성된 연결고정관(5)을 고정볼트(6)로서 체결고정한다.
연결고정판(5)이 설치되어 있는 지주(1)(1')의 전면에는 휀스망(7)을 대고 휀스망(7)의 상부에 원형의 고정파이프(8)를 대고 U형의 고정볼트(9)로서 고정하며 지주(1)와 지주(1')사이의 고정파이프와 휀스망(7)에는 수개의 고정밴드(11)로서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고정파이프(8)의 상부가 고정되면 휀스망(7)의 하단부를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고정하고 이 상태에서 중간부를 다시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지주의 배면 상, 중, 하부에 체결공을 형성하여 체결부가 형성되어 있는 호형의 연결고정판을 볼트로서 고정하고 연결고정판이 체결된 지주의 배면에는 휀스를 설치하되 휀스의 상, 중, 하부에는 원형의 프레임을 대고 수개의 U형 볼트를 이용하여 연결고정판에 고정하여서 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시간을 줄일 수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인력과 인건비를 절감할 수가 있고, 원형의 파이프와 고정볼트 등 자재구입이 손쉽고 휀스의 상, 하 높이를 자유자재로 조절이 용이하며 휀스의 선경이 굵은 것과 강도가 강한 휀스 등 구애없이 간단하게 설치할 수가 있고, 휀스의 절단시 휀스가 짧거나 긴 것 등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가 있으며, 지주에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미관상 보기가 미려하고 휀스에 하중이 가해져도 연결고정판이 지주에 견고히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휀스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여 휀스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가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U형의 체결구를 이용하여 휀스를 고정하는 휀스망 체결장치에 있어서, 각 지주(1)(1')의 상, 중, 하단부에 체결공(2)을 관통되게 형성하여 호형의 지지부(3)와 양측에 체결판(4)이 형성된 연결고정판(5)을 각 지주(1)(1')의 배면에 고정볼트(6)로서 고정설치 한 다음 지주(1)(1')의 전면에 휀스망(7)을 대고 지주(1)(1')의 배면 상, 중, 하부에 체결되어 있는 연결고정관(5)의 위치에 고정파이프(8)을 대고 U형의 고정볼트(9)로서 체결판(4)의 체결공(10)에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휀스망 체결장치.
KR2019930021093U 1993-10-14 1993-10-14 휀스망 체결장치 KR01287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093U KR0128705Y1 (ko) 1993-10-14 1993-10-14 휀스망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1093U KR0128705Y1 (ko) 1993-10-14 1993-10-14 휀스망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809U KR950011809U (ko) 1995-05-16
KR0128705Y1 true KR0128705Y1 (ko) 1998-11-02

Family

ID=1936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1093U KR0128705Y1 (ko) 1993-10-14 1993-10-14 휀스망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87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169A (ko) * 2010-06-29 2013-08-29 페리 게엠베하 사이드 보호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464B1 (ko) * 2021-09-10 2022-04-04 주식회사 굿윌코퍼레이션 상부프레임 높이조절부재 및 이를 이용한 울타리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96169A (ko) * 2010-06-29 2013-08-29 페리 게엠베하 사이드 보호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1809U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179893A1 (en) T-post fence bracket
US3316721A (en) Tensioned retaining wall for embankment
EP0424417A1 (en) A stanchion assembly
US3290014A (en) Adjustable gate apparatus
KR0128705Y1 (ko) 휀스망 체결장치
US20050116213A1 (en) Pole assembly for a mesh fence and mesh fence having a pole assembly
EP0632918B1 (de) Werbeaufsteller
KR102019396B1 (ko) 낙석방지책 구조물
JPH09506686A (ja) フェンス、特にキャッチフェンス用支柱スタンド
AU2019100904A4 (en) Fence Strainer Assembly
US5464070A (en) Stanchion assembly
JP3043946B2 (ja) プレストレスコンクリートの緊張材曲げ上げ具
JPH048202Y2 (ko)
KR200143486Y1 (ko) 철책의 체결구
KR200172587Y1 (ko) 건축용 안전망의 지지구조체
JPH051059Y2 (ko)
JP3572229B2 (ja) シートハウス
JP2784952B2 (ja) アンカーボルト定着装置
JPH07197423A (ja) 落石等の防護柵
JPH079956Y2 (ja) 親綱支柱
JPH0725970Y2 (ja) 親綱支柱
JPH0440355Y2 (ko)
KR950005906Y1 (ko) 철책용 철망 고정구
JPS625479Y2 (ko)
KR0134773Y1 (ko) 이동식 안전망 설치용 골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