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75319Y1 -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 Google Patents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75319Y1
KR200375319Y1 KR20-2004-0032612U KR20040032612U KR200375319Y1 KR 200375319 Y1 KR200375319 Y1 KR 200375319Y1 KR 20040032612 U KR20040032612 U KR 20040032612U KR 200375319 Y1 KR200375319 Y1 KR 2003753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pe
safety
holder
worker
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326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찬
박철기
Original Assignee
삼성물산 주식회사
정효특수건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물산 주식회사, 정효특수건설 (주) filed Critical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04-00326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753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753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753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76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E04G21/3261Safety-nets; Safety mattresses; Arrangements on buildings for connecting safety-lines
    • E04G21/3295Guide tracks for safety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 공사에서 외부와 인접한 기둥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작업자의 몸에 채워진 안전로프가 정착됨으로써 외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비계 설치없이도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 공사에서 외부와 인접한 기둥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몸에 채워진 안전로프를 정착시키기 위한 로프 고정대로서, 기둥 둘레를 둘러싸는 띠형상의 부재로 외주면에 안전로프 정착구(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작업자의 몸에 채워진 안전로프(R)를 이미 구축된 기둥(C)에 정착시킴으로써 추락방지를 위한 비계설치없이도 작업자가 기둥(C)에 지지하여 안전하게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Rope fixture for careful working}
본 고안은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축구조물 공사에서 외부와 인접한 기둥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작업자의 몸에 채워진 안전로프를 정착시킴으로써 외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비계 설치없이도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공사는 기둥과 보를 구축한 후 바닥 슬래브를 구축하고 벽체를 시공하는 방법으로 진행한다. 바닥 슬래브 공사에는 콘크리트 압송관으로부터 토출되는 콘크리트를 고르게 펴야 하는 등 바닥 슬래브 위에서 작업자들에 의해 이루어지는 작업이 수반되며, 이때 외부와 인접한 슬래브 단부에는 작업 도중 추락의 위험이 상재하였다. 이에, 추락을 방지하기 위해 비계를 설치하였으나, 비계설치를 위한 가설작업은 그 설치 및 해체에 따른 비용과 시간을 발생시켜 전체 공사비와 공기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특히 PC(Pre-cast Concrete) 복합공사, 즉 기둥은 PC부재로 조립하여 설치하고 슬래브는 현장타설에 의한 방법으로 시공되는 공사에서는 PC기둥 조립 후 RC슬래브 공정을 진행하기 위한 비계설치작업이 진행되는데 이는 상당히 번거로운 작업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건축구조물 공사에서 외부에 인접한 기둥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작업자의 몸에 채워진 안전로프를 정착시킴으로써 외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비계 설치없이도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특히 PC 복합공사에서의 활용성이 우수한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건축구조물 공사에서 외부와 인접한 기둥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몸에 채워진 안전로프를 정착시키기 위한 로프 고정대로서, 기둥 둘레를 둘러싸는 띠형상의 부재로 외주면에 안전로프 정착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를 제공한다. 상기 안전로프 정착구는 안전로프의 단부에 장착된 턴버클이 정착되도록 고리형상으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로프 고정대는 둘 이상의 단위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단위부재의 양단에는 결속공(結束孔)이 형성되며, 이웃하는 결속공에 결속구(結束具)를 체결하여 단위부재 상호간을 결속함으로써 기둥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위부재의 양단에는 외향(外向)하여 돌출 연장되는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에 결속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구는 볼트와 너트로서 볼트를 결속공에 체결하고 너트를 조임으로써 단위부재 상호간을 결속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단위부재 날개부의 형성으로 이루어지는 모서리에 보강지지재를 더 부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프 고정대는 각형(角形) 기둥에 설치하기 위하여 각형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각형의 외주면 모서리에 안전로프 정착구가 구비되도록 제작할 수 있다.
이하,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건축구조물 공사에서 외부와 인접한 기둥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몸에 채워진 안전로프를 정착시키기 위한 로프 고정대로서, 기둥 둘레를 둘러싸는 띠형상의 부재로 외주면에 안전로프 정착구(1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은 작업자의 몸에 채워진 안전로프(R)를 이미 구축된 기둥(C)에 정착시킴으로써 추락방지를 위한 비계설치없이도 작업자가 기둥(C)에 지지하여 안전하게 고소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로프 고정대(10)는 기둥(C) 둘레에 고정 설치된 상태에서 작업자의 거동에 의해서 유동되지 않아야 하므로 일정 이상의 강도를 갖는 철재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 고정대(10)에 안전로프(R)를 용이하게 정착시키면서 탈락시키기 위해 턴버클이 장착된 안전로프(R)를 채택하고, 상기 안전로프(R) 턴버클의 수용을 위해 로프 고정대의 안전로프 정착구(15)는 고리형상으로 제작한다.
상기 로프 고정대(10)가 각형(角形) 기둥에 설치하기 위하여 각형으로 제작되는 경우에는 안전로프 정착구(15)는 각형의 외주면 모서리에 구비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안전로프 정착구(15)에 작업자의 안전로프(R)가 직접 정착될 때 안전로프 길이에 대한 작업자의 슬래브(B) 작업공간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함이다.
로프 고정대(10)는 그 설치의 편의를 위해 둘 이상의 단위부재(10a)로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서는 두 개의 단위부재(10a)로 구성된 로프 고정대(10)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이상으로 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단위부재(10a)의 양단에는 결속공(結束孔)이 형성되며, 이웃하는 결속공에 결속구(結束具, 11)를 장착하여 단위부재(10a) 상호간을 결속함으로써 로프 고정대(10)가 기둥(C)에 고정 설치된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단위부재(10a)의 양단에 외향(外向)하여 돌출 연장되는 날개부(10a-1)를 형성시키고 상기 날개부(10a-1)에 결속공을 형성시킨 단위부재(10a)를 제작하고, 결속구(11)로 볼트와 너트를 채택하여 이들을 조임결합하면 단위부재(10a) 상호간을 견고하게 결속할 수 있다. 상기 날개부(10a-1)의 형성으로 이루어지는 모서리에는 날개부(10a-1)를 보강하기 위한 보강지지재(12)가 더 부착될 수 있다.
결속구(11)로서 볼트와 너트의 채택은 둘 이상의 단위부재(10a))가 연속적으로 배치되어 이루는 내주면의 크기와 이들이 설치되는 기둥(C)의 외주면이 일치하지 않더라도 그 차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해준다. 이는 둘 이상의 단위부재(10a)를 기둥(C) 둘레를 따라 불연속적으로 배치(단위부재의 단부가 서로 맞닿지 않게 배치)하더라도 단위부재(10a) 상호간을 결속구(11)인 볼트가 연결함으로써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통상의 기둥(C)부재가 사각으로 설계되는 점을 감안하여 단위부재(10a)를 사각의 모서리에 맞는 ㄱ자형으로 제작하면 사각기둥의 크기에 무관하게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즉, 사각 기둥(C)의 네 모서리와 일치하는 ㄱ자형의 단위부재 네 개를 마련하면 기둥 크기에 무관하게 결속구(11)인 볼트 길이의 조절에 의해 단위부재를 연결하면서 결속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기둥(C)에 본 고안의 로프 고정대(10)가 설치되는 것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로프 고정대(10)를 기둥(C)에 설치하고 로프 고정대에 안전로프(R)를 정착시킨 후 작업자가 기둥 주변의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도로서, 작업자의 몸에 채워진 안전로프(R)를 정착시키는 방법에 따라 구별하고 있다. 즉, 도 2에서는 작업자의 몸에 채워진 안전로프(R)가 직접 본 고안의 로프 고정대(10)에 정착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도 3에서는 인접하는 기둥(C) 둘을 잇도록 기둥 연결용 안전로프(R)를 일단 로프 고정대의 정착구(15)에 정착시킨 후에 작업자의 몸에 채워진 안전로프(R)가 기둥 둘을 잇는 기둥 연결용 안전로프(R)에 정착되는 경우가 도시되어 있다.
이상에서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고안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에 따르면, 건축구조물 공사에서 외부에 인접한 기둥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하고 작업자의 몸에 채워진 안전로프를 정착함으로써 외부와 인접한 위치에서 비계 설치없이 안전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특히 PC 복합공사에서의 활용성이 우수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의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로프 고정대를 기둥에 설치하고 로프 고정대에 안전로프를 정착시킨 후 작업자가 기둥 주변의 작업을 실시하고 있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로프 고정대 10a: 단위부재
10a-1: 날개부 11: 결속구
12: 보강지지재 15: 안전로프 정착구
C: 기둥 B; 슬래브
R: 안전로프

Claims (6)

  1. 건축구조물 공사에서 외부와 인접한 기둥의 소정 위치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몸에 채워진 안전로프를 정착시키기 위한 로프 고정대로서,
    기둥 둘레를 둘러싸는 띠형상의 부재로 외주면에 안전로프 정착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2. 제1항에서,
    상기 안전로프 정착구는 안전로프의 단부에 장착된 턴버클이 정착되도록 고리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서,
    상기 로프 고정대는 둘 이상의 단위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단위부재의 양단에는 결속공(結束孔)이 형성되며, 이웃하는 결속공에 결속구(結束具)를 체결하여 단위부재 상호간을 결속함으로써 기둥에 고정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4. 제3항에서,
    상기 단위부재의 양단에는 외향(外向)하여 돌출 연장되는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날개부에 결속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속구는 볼트와 너트로서 볼트를 결속공에 체결하고 너트를 조임으로써 단위부재 상호간을 결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5. 제4항에서,
    상기 단위부재 날개부의 형성으로 이루어지는 모서리에 보강지지재가 더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6. 제5항에서,
    상기 로프 고정대는 각형(角形) 기둥에 설치하기 위하여 각형으로 제작된 것으로서, 각형의 외주면 모서리에 안전로프 정착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KR20-2004-0032612U 2004-11-18 2004-11-18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KR2003753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612U KR200375319Y1 (ko) 2004-11-18 2004-11-18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32612U KR200375319Y1 (ko) 2004-11-18 2004-11-18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75319Y1 true KR200375319Y1 (ko) 2005-03-10

Family

ID=436771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32612U KR200375319Y1 (ko) 2004-11-18 2004-11-18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75319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955B1 (ko) * 2018-01-10 2018-09-10 롯데건설 주식회사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896956B1 (ko) * 2018-01-10 2018-09-10 롯데건설 주식회사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21305A (ko) * 2018-08-20 2020-02-28 롯데건설 주식회사 안전 로프 연결용 철근 고정유닛과 이를 갖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5596230A (zh) * 2022-11-08 2023-01-13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Cn) 一种临边作业时安全绳张拉装置及使用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6955B1 (ko) * 2018-01-10 2018-09-10 롯데건설 주식회사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896956B1 (ko) * 2018-01-10 2018-09-10 롯데건설 주식회사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200021305A (ko) * 2018-08-20 2020-02-28 롯데건설 주식회사 안전 로프 연결용 철근 고정유닛과 이를 갖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2118794B1 (ko) 2018-08-20 2020-06-03 롯데건설 주식회사 안전 로프 연결용 철근 고정유닛과 이를 갖는 안전 로프용 지지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15596230A (zh) * 2022-11-08 2023-01-13 中建八局第二建设有限公司(Cn) 一种临边作业时安全绳张拉装置及使用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61190B2 (en) Wood gang 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concrete building using same
KR101117546B1 (ko) 가설 흙막이 공법용 사각강관 버팀보의 연결 및 접합 시공구조 및 그 시공구조를 위한 연결보강부재와 접합보강부재
KR101415915B1 (ko) 건축용 서포터
KR101125549B1 (ko)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200381589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101135881B1 (ko) 건축물용 와플형 무량판 슬래브 및 상기 와플형 무량판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의 무량판 접합구조
KR200375319Y1 (ko) 안전작업을 위한 로프 고정대
CN114108836A (zh) 一种预埋安装装置及其安装方法
KR200413527Y1 (ko) 갱폼 추락방지구
JP3179138U (ja) 脚頭部施工用足場支保工
KR20060064994A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20120003729U (ko) 시스템서포트 헤드
KR200378210Y1 (ko) 강관파일의 두부 보강 구조
KR100660426B1 (ko) 갱폼 추락방지구
JP2006225961A (ja) 橋脚頭部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7294034B2 (ja) 仮設手摺構造及び仮設手摺の施工方法
KR100428942B1 (ko) 기둥구조물 보강장치를 이용한 기둥구조물 보강공법
KR20110027493A (ko) 갱폼 어셈블리
JP2654935B2 (ja) リブ付きスラブの施工法及びリブ補強筋用スペーサー
KR200375139Y1 (ko) 갱폼의 하부 체결구조
KR100588350B1 (ko) 교량 슬래브의 중앙분리대측 측단부 시공방법 및 그에적용되는 상부브래킷
KR200252600Y1 (ko) 기둥구조물보강장치
JP4872301B2 (ja) Rc構造体の構築工法
KR102437398B1 (ko) 시공성이 용이한 일체형 슬라브 유로폼 시스템
JP5119729B2 (ja) 壁つなぎ用金具及び壁つなぎ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