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25549B1 -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25549B1
KR101125549B1 KR1020110106351A KR20110106351A KR101125549B1 KR 101125549 B1 KR101125549 B1 KR 101125549B1 KR 1020110106351 A KR1020110106351 A KR 1020110106351A KR 20110106351 A KR20110106351 A KR 20110106351A KR 101125549 B1 KR101125549 B1 KR 101125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ss deck
fixing means
plate
deck plate
tru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63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강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주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주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주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101063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55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5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5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E04B1/78Heat insulat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27Three-dimensional reinforcements composed of a prefabricated reinforcing mat combined with reinforcing elements protruding out of the plane of the mat
    • E04C5/0631Reinforcing mats combined with separate prefabricated reinforcement cages or gir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36Three-dimensional reinforcing mats composed of reinforcing elements laying in two or more parallel planes and connected by separate reinforcing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2Connectors or means for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8Spacers of metal or substantially of met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20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of material other than metal or with only additional metal parts, e.g. concrete or plastics spacers with metal binding w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장에서 복수의 고정수단 설치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천공시켜 운송해온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들을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지주 상면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하는 공정과; 각각의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 저면에 소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단열재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에 일체로 부착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트러스 데크 플레이트트러스 데크 플레이트크리트를 타설하고 면 고르기를 한 다음 양생하여 단열재가 일체로 부착된 슬래브를 성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의 베이스 플레이트 자체가 거푸집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슬래브 시공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전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슬래브 시공 후 천정에 별도로 단열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에 따른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거푸집의 설치 및 해제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공사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슬래브의 천정으로부터 단열재의 이탈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재의 설치 중 또는 콘크리트의 타설 및 면 고르기 공정 중 단열재가 작업자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고, 슬래브의 강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슬래브에 대한 단열성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으며,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시 발생될 수 있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출로 인한 슬래브 자체의 강도 약화 및 천정면의 외관을 헤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슬래브 공사에 따른 시공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Slab constructing method using truss deck plate with heat insulator}
본 발명은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러스 거더와 트러스 거더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의 저면에 복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일체로 부착 설치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수단 설치공을 포함하여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들의 연결부 저면에 패킹제 및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을 부가 설치하여,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의 베이스 플레이트 자체가 거푸집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여 슬래브 시공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전혀 필요 없도록 함은 물론 슬래브 하부에 별도로 단열재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없도록 하고, 또한 슬래브의 천정으로부터 단열재의 이탈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시 발생될 수 있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출로 인한 슬래브 자체의 강도 약화 및 천정면의 외관을 헤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발명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은 압축재인 콘크리트와 인장재인 철근이 함께 사용되어지는 복합 구조물로서 거푸집을 가설한 후 철근을 배근하고 이어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 및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은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한 방안으로 먼저, 합판이나 각재 또는 강재 등으로 거푸집을 설치하고, 거푸집에 철근 등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 그리고 거푸집을 해체하는 과정이 소요됨에 따라 공기가 길어지고, 콘크리트의 타설 및 거푸집을 설치와 해체하는 과정 등에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경우가 종종 발생되고 있으며, 또한 단열성이 저하되고, 공사비가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콘크리트 구조물을 축조하기 위한 구조체인 보 사이에 가설되어 그 위에 타설되어지는 콘크리트 및 콘크리트가 양생되어지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콘크리트 자체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가 제안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는 통상 소정 넓이를 갖는 거푸집널의 상부에 트러스 거더가 구비되고 상기 트러스 거더의 하부에 연결구가 구비되어 거푸집 널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지며, 상기 트러스 거더는 상부철근, 하부철근 및 래티스재로 이루어고 양측 단부에는 지지구가 결합되어 구성되어진다.
그러나 상기의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게 될 경우, 상기 데크 플레이트를 보나 빔 사이에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고, 이어 거푸집널을 해체한 후 별도의 단열재를 후시공함에 따라 추가공정의 발생으로 인하여 시공비가 상승됨과 동시에 공기가 더 길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일부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을 채택하고 있는 경우, 상기 데크 플레이트 자체가 트러스 거더와, 아연도금감판 등과 같은 금속판재로 이루어져 트러스 거더가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어 별도의 거프집 설치 및 해체에 따른 문제점은 해결할 수 있으나, 베이스 플레이트에 단열재를 시공해야할 경우 접착제를 이용한 단열재의 부착 공정 등과 같은 별도의 작업이 요구되고, 또한 단열재의 부착성 저하 등으로 인해 단열성능이 부족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등록특허 10-0993879호의 단열 데크 플레이트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러스 거더(10)의 하부에 다복수의 연결구(30)가 구비되고, 상기 다복수의 연결구(30)에 거푸집널(40)이 분리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이루어지는 데크 플레이트에 있어서, 상기 트러스 거더(10)는 상부철근(110)을 중심으로 양측으로 웨이브형태로 절곡된 래티스재(120)가 각각 용접결합되고, 상기 래티스재(120) 하부 외측에는 하부철근(130)이 각각 용접결합되어 삼각형태로 구성되어지며, 상기 연결구(30)는 연결몸체(310)의 하부에 암나사공(311)이 상향으로 형성되어 연결볼트(320)가 연결, 분리되어지도록 구성되어지고, 상기 트러스 거더(10)와 거푸집널(40) 사이의 거푸집널(40) 상부에는 단열재(50)가 구비되어 상기 트러스 거더(10)에 상기 거푸집널(40)과 단열재(50)가 다복수의 연결구(30)에 의하여 결합되어 단열 데크플레이트(A)로 이루어지되, 상기 단열 데크 플레이트(A)의 거푸집널(40) 및 단열재(50)에는 상기 트러스 거더(10)의 하부에 구비된 다복수의 연결구(30)와 대응되어지는 다복수의 볼트공(H)이 각각 형성되어지고, 상기 연결구(30)의 연결몸체(310)와 상기 단열재(50) 사이에는 와셔(330)가 구비되며, 상기 트러스 거더(10)의 하부 양측 하부철근(130)에 구비된 다복수의 연결구(30)중 일부 연결구(30)의 연결몸체(310) 상부에는 밴딩캡(60)이 구비되어 상기 트러스 거더(10)의 하부철근(130)을 감싸면서 억지끼워지며, 상기 거푸집널(40)의 하부에서 상기 연결볼트(320)가 상기 거푸집널(40)에 형성된 볼트공(H)과 단열재(50)에 형성된 볼트공(H) 및 와셔(330)에 형성된 볼트공(H)을 상부로 관통하여, 상기 연결몸체(310)의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공(311)에 나사결합되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열재(50)의 상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후 상기 연결볼트(320)를 해체할 때, 상기 거푸집널(40)이 상기 단열재(50)로부터 분리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밴딩캡(60)은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의 형상으로 형성되어지되, 상기 밴딩캡(60)의 상부면에는 몰탈충진홀(610)이 형성되고 좌?우면에는 ∩자홈(620)이 형성되며, 전,후면에는 2개의 절취홈(630)(630')이 하부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절취홈(630)(630')에 의하여 전면에는 전방탄력편(640)이 형성되고, 후면에는 후방탄력편(650)이 형성되어지어 있다.
또한, 상기 밴딩캡(60)의 전,후방탄력편(640)(650) 하단 내측에는 걸림돌기(641)(651)가 각각 형성되어, 상기 밴딩캡(60)이 상기 연결구(30)의 연결몸체(310)에 억지끼워질때 상기 전,후방탄력편(640)(650)의 걸림돌기(641)(651)가 상기 연결몸체(310)의 전,후방끼움구(316)(317)에 끼워지도록 구성되어져 있다.
상기 연결구(30)는 연결몸체(310)의 상부 일측에 상기 트러스 거더(10)의 하부철근(130)이 횡방향으로 끼워지도록 ⊂형태의 끼움홈(312)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끼움홈(312)의 상부에 경사부(313)가 상기 끼움홈(312)을 향하여 하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지되, 상기 연결구(30)의 연결몸체(310) 상부의 끼움홈(312) 외부면에는 2개의 요부(318)(318')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2개의 요부(318)(318') 사이에는 보강돌부(319)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결몸체(310) 하부 중앙에는 원뿔대 모양의 지지부(314)가 하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314) 주변의 각 모서리에는 4개의 받침다리(315)가 하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몸체(310)의 하부 전,후방에는 전방끼움구(316) 및 후방끼움구(317)가 형성되어져 있다.
이때, 상기 연결구(30)의 연결볼트(320)는 숫나사부(321)의 하단에 와셔판(3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와셔판(322) 하부에 다각형의 볼트머리(323)가 형성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트러스 거더(10)의 양단부에는 지지구(2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지지구(20)는 수직재(210)의 하단부에 수평재(220)가 직교하는 방향으로 용접결합되어 상기 수직재(210)의 상단부에 상기 트러스 거더(10)의 상부철근(110)이 맞대어져 용접결합되고, 상기 수평재(220)의 양측단에 상기 트러스 거더(10)의 하부철근(130)이 맞대어져 용접결합되어지며, 상기 거푸집널(40)은 합판, 합성수지 또는 강판 중 어느 하나이고, 상기 단열재(50)는 합성수지 발포수지 또는 우레탄폼 중 어느 하나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일측 단열 데크 플레이트(A)와 이웃하여 설치되어지는 타측 단열 데크 플레이트(A) 사이의 각각의 단열재(50)에는 단차보강재(70)가 연결되게 설치되어지되, 상기 단차보강재(70)는 상기 일측 데크 플레이트(A)의 길이방향 단부에 설치된 트러스 거더(10)의 하부철근(130)과 타측 데크 플레이트(A)의 길이방향 단부에 설치된 트러스 거더(10)의 하부철근(130) 하부에 연결되어지도록 설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단열 데크 플레이트는 트러스 거더와 거푸집널 사이인 거푸집널 상부에 단열재가 미리 구비되어 있어 콘크리트가 타설 및 양생되어진 후 거푸집널을 분리한 상태의 콘크리트슬래브 하부에 별도로 단열재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고, 트러스 거더의 하부 양측 하부철근에 구비된 다복수의 연결구중 일부 연결구의 연결몸체 상부에 밴딩캡이 구비되어 있어 트러스 거더의 하부철근이 연결구로부터 일탈 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연결구의 연결몸체와 단열재 사이에 와셔가 구비되어 있어 트러스 거더의 자체 무게와 작업자가 트러스 거더를 밟을 경우 발생되는 하중에 의하여 연결구의 하부가 와셔에 의하여 단열재의 내부로 매립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상기 단열 데크 플레이트는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트러스 거더의 저부와, 이와 분리된 형태를 갖는 거프집널의 상면 사이에 비교적 두꺼운 단열재를 배치시키고, 연결몸체와 열결볼트 및 와셔로 구성되는 복수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트러스 거더와 거프집널을 상호 1차 고정한 다음 상기 연결구의 연결몸체 상에 각각 밴딩캡들을 결합시켜 트러스 거더의 일탈을 방지한 하고, 또한 일측 단열 데크 플레이트와 이웃하여 설치되어지는 타측 단열 데크 플레이트 사이의 각각의 단열재에는 단차를 보강하기 위한 별도의 단차보강재를 설치하되,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된 후에는 연결볼트를 해체할 때, 거푸집널이 단열재로부터 분리되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품의 구성품 수가 많을 뿐만 아니라 각각의 구성품 자체가 매우 복잡한 형상을 갖고 있어 단열 데크 플레이트 자체의 생산원가가 많이 들게 될 뿐만 아니라, 공장 또는 현장에서 복수의 구성부품을 상호 조립하는데 소비되는 인력 및 비용을 포함하여 이를 이용한 공사비가 많이 들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콘크리트의 타설 자체가 거푸집널의 상면에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거푸집널의 상면에 위치된 단열재의 상면에서 트러스 거더들이 함침되도록 타설되는 형태(즉, 거푸집널을 구성하는 금속제나 합성수지제 등에 비해 그 강도가 비교적 약한 합성수지 발포수지 또는 우레탄 폼 등으로 된 단열재의 상면에 콘크리트가 직접 타설되는 형태)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가 양생되면 연결볼트를 해체시켜 거푸집널을 단열재로부터 분리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어 콘크리트 슬래브 자체의 강도가 약한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비록 연결구의 연결몸체와 단열재 사이에 와셔가 구비되어 있다 하더라도, 트러스 거더의 자체 무게와 작업자가 트러스 거더를 밟을 경우 발생되는 하중에 의하여 연결구의 하부가 단열재의 내부로 일부 매립될 우려는 여전히 있음은 복수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상기 트러스 거더와 단열재 및 거푸집널을 상호 고정시키기 위해 작업자가 단열재의 상면을 걸어다니거나 특정 위치에서 이들을 조립하는 과정에서 집중하중이 발생될 경우, 또는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타설 후 면 고리기 등의 하기 위해 다수의 작업자가 단열재의 상면을 밟고 이동할 때 단열재 상면의 일부가 손상되거나 깊게 파이는 등의 결합이 발생되어 단열성능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연결구의 연결볼트가 통과되는 볼트공을 포함하여 두 단열 데크 플레이트가 상호 연결되는 부위에서 발생되는 틈새를 통해 유출될 수 있는 시멘트 페이스트에 대한 유출 방지구조가 전혀 구비되어 있지 않아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시 발생될 수 있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출로 인해 콘크리트 슬래브 자체의 강도가 약화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천정면의 외관이 경화된 시멘크 페이스트로 인해 미려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복수의 트러스 거더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용접 설치된 구성을 갖는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의 저면에 복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일체로 부착 설치하여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의 베이스 플레이트 자체가 거푸집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슬래브 시공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전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슬래브 하부에 별도로 단열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에 따른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거푸집의 설치 및 해제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공사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으며, 또한 슬래브의 천정으로부터 단열재의 이탈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재의 설치 중 또는 콘크리트의 타설 및 면 고르기 공정 중 단열재가 손상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고, 단열재의 상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식에 의해 슬래브의 강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슬래브에 대한 단열성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수단 설치공 상면을 포함하여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들의 연결부 저면에 패킹제 및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을 각각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시 발생될 수 있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출로 인한 슬래브 자체의 강도 약화 및 천정면의 외관을 헤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슬래브 공사에 따른 시공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소정 형상을 갖는 복수의 비드와 한 쌍의 걸고리형 연결단을 일체로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복수의 상,하부 철근과 저단부에 풋트가 일체로 절곡 성형된 복수의 래티스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비드 상면에 용접 설치되는 트러스 거더로 구성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장에서 복수의 고정수단 설치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천공시켜 운송해온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들을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지주 상면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하는 공정과; 각각의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 저면에 소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단열재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에 일체로 부착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들의 상면에 정해진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면 고르기를 한 다음 양생하여 단열재가 일체로 부착된 슬래브를 성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공장에서 제조할 때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절곡 형성된 걸고리형 연결단 내측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수단 설치공을 더 천공하고,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 저면에 단열재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에 일체로 부착 설치하는 공정을 실시할 때, 한 쌍의 걸고리형 연결단에 의해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는 두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의 연결부 저면에 위치된 두 단열재의 접촉부 저면에 각각 소정형상을 갖도록 절곡 성형한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을 위치시키고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는 공정을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열재 및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상기 고정수단은 볼트와 너트로 구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단열재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고정수단을 통해서는 복수의 볼트 통과공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시키고 단열재의 저면에 밀착 설치되어 단열재의 처짐 또는 손상을 방지하는 띠형 철판을 더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형 철판의 중심선을 따라 "U" 또는 "V"자 형상의 시멘트 페이스 유도홈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시멘트 페이스 유도홈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에는 복수의 볼트 통과공을 천공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의 볼트 상부에는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콘크리트와의 응력을 증대시켜 주는 응력 증강구를 더 일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수단의 너트는 일반 육각 너트를 포함하여 와셔 형상을 갖고 볼트 통과공의 주연부에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구비한 복수의 나사산 결합편이 방사형으로 구비된 판 스프링형 너트와, 양측에 나사산에 탄력적으로 걸려지는 한 쌍의 걸림편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종단면이 "
Figure 112011081273962-pat00001
"을 갖게 절곡 성형한 클립형 너트 또는 저부에 복수의 탄성형 나사 결합편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사출 성형한 앵커형 너트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 저면에 단열재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에 일체로 부착 설치할 때, 상기 고정수단의 볼트 머리 저부 또는 응력 증강구 저부에 고무나 실리콘으로 성형한 패킹제를 더 설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에 천공된 고정수단 설치공을 통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에 의하면, 복수의 트러스 거더가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면에서 정해진 간격을 두고 일체로 용접 설치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의 저면에 복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단열재를 일체로 부착 설치하여 줌으로써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의 베이스 플레이트 자체가 거푸집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슬래브 시공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전혀 필요 없을 뿐만 아니라 슬래브 시공 후 천정에 별도로 단열재를 설치할 필요가 없게 되어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에 따른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음은 물론 거푸집의 설치 및 해제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공사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슬래브의 천정으로부터 단열재의 이탈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단열재의 설치 중 또는 콘크리트의 타설 및 면 고르기 공정 중 단열재가 작업자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고, 저면에 단열재가 일체로 구비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 상면에 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함으로써 슬래브의 강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음은 물론 슬래브에 대한 단열성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고정수단 설치공 상면을 포함하여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들의 연결부 저면에 패킹제 및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을 각각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콘크리트의 타설 및 양생시 발생될 수 있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출로 인한 슬래브 자체의 강도 약화 및 천정면의 외관을 헤치는 경우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슬래브 공사에 따른 시공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단열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가 빔에 얹혀진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단열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종래 단열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연결구와 연결볼트 및 밴팅캡의 내,외부 구조를 절개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 및 분해 저면 사시도.
도 4는 종래 단열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구성하는 연결구와 연결볼트 및 밴팅캡을 절단하여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와 단열재, 고정수단 및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한 상태의 종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지주 상면에 설치한 상태의 종 단면도.
도 8의 (a)-(c)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5는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와 단열재, 고정수단 및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한 상태의 종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며, 도 7은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지주 상면에 설치한 상태의 종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8의 (a)-(c)는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고정수단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소정 형상을 갖는 복수의 비드(111)와 한 쌍의 걸고리형 연결단(112)을 일체로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11)와; 복수의 상,하부 철근(121)(122)과 저단부에 풋트(123)가 일체로 절곡 성형된 복수의 래티스(124)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의 비드(111) 상면에 용접 설치되는 트러스 거더(12)로 구성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장에서 복수의 고정수단 설치공(113)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천공시켜 운송해온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들을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지주(3) 상면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하는 공정과;
각각의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 저면에 소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단열재(2)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4)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2)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에 일체로 부착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들의 상면에 정해진 두께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면 고르기를 한 다음 양생하여 단열재(2)가 일체로 부착된 슬래브를 성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를 공장에서 제조할 때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양단부에 절곡 형성된 걸고리형 연결단(112) 내측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수단 설치공(113)을 더 천공하고,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 저면에 단열재(2)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4)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2)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에 일체로 부착 설치하는 공정을 실시할 때, 한 쌍의 걸고리형 연결단(112)에 의해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는 두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의 연결부 저면에 위치된 두 단열재(2)의 접촉부 저면에 각각 소정형상을 갖도록 절곡 성형한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5)을 위치시키고 고정수단(4)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는 공정을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단열재(2) 및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5)을 고정시키는데 사용되는 상기 고정수단(4)은,
볼트(41)와 너트(42)로 구성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되,
단열재(2)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고정수단(4)을 통해서는 복수의 볼트 통과공(431)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시키고 단열재(2)의 저면에 밀착 설치되어 단열재의 처짐 또는 손상을 방지하는 띠형 철판(43)을 더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5)은,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형 철판(51)의 중심선을 따라 "U" 또는 "V"자 형상의 시멘트 페이스 유도홈(511)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시멘트 페이스 유도홈(511)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512)에는 복수의 볼트 통과공(512a)을 천공한 구성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수단(4)의 볼트(41) 상부에는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콘크리트와의 응력을 증대시켜 주는 응력 증강구(44)를 더 일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고정수단(4)의 너트(42)는,
일반 육각 너트를 포함하여 와셔 형상을 갖고 볼트 통과공의 주연부에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구비한 복수의 나사산 결합편(421a)이 방사형으로 구비된 판 스프링형 너트(421)와, 양측에 나사산에 탄력적으로 걸려지는 한 쌍의 걸림편(422a)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종단면이 "
Figure 112011081273962-pat00002
"을 갖게 절곡 성형한 클립형 너트(422) 또는 저부에 복수의 탄성형 나사 결합편(423a)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사출 성형한 앵커형 너트(423)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 저면에 단열재(2)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4)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2)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에 일체로 부착 설치할 때, 상기 고정수단(4)의 볼트(41) 머리 저부 또는 응력 증강구(44) 저부에 고무나 실리콘으로 성형한 패킹제(6)를 더 설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천공된 고정수단 설치공(113)을 통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에 대한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1)와 트러스 거더(12)로 구성된 공지의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건축물의 지주(3) 상면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하는 공정과, 단열재(2)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의 저면에 일체로 부착 설치하는 공정 및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양생하여 단열재(2)가 일체로 부착된 슬래브를 성형하는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주요기술 구성요소로 한다.
이때,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들은 공장에서 제작할 때, 복수의 트러스 거더(12)가 일체로 용접 설치된 상태를 갖는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의 베이스 플레이트(11) 상에 복수의 고정수단 설치공(113)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하여 현장으로 운송시키는 것을 기본으로 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를 공장에서 제조할 때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양단부에 절곡 형성된 걸고리형 연결단(112) 내측에도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수단 설치공(113)을 더 천공하여 주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도록 공장에서 제조되어 작업 현장으로 이송되어온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들은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지주(3) 상면에 올려진 다음 베이스 플레이트(11)의 양측에 각각 절곡 형성되어 있는 걸고리형 연결단(112)을 상호 연결시켜 주는 방식을 통해 순차적으로 연결/설치하게 된다.
이후,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들의 저면에 각각 소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단열재(2)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4)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2)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 저면에 일체로 부착 설치한 다음,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들의 상면에 정해진 두께로 콘크리트(C)를 타설하고 면 고르기를 한 다음 양생하여 단열재(2)가 일체로 부착된 슬래브를 성형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 저면에 단열재(2)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4)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2)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에 일체로 부착 설치할 때, 필요에 따라서는 한 쌍의 걸고리형 연결단(112)에 의해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는 두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의 연결부 저면에 위치된 두 단열재(2)의 접촉부 저면에 각각 소정형상을 갖도록 절곡 성형한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5)을 위치시키고 고정수단(4)을 이용하여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5)을 단열재(2)의 접촉부 저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하는 공정을 더 실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단열재(2) 및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5)을 각각 고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상기 고정수단(4)으로는 공통적으로 길이가 긴 볼트(41)와 상기 볼트(41)의 저면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너트(42)로 구성한 것을 기본으로 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단열재(2)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고정수단(4)으로는 상기한 볼트(41)와 너트(42) 이외에도 복수의 볼트 통과공(431)이 정해진 간격(즉,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의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천공된 고정수단 설치공(113)에 대응되는 간격)을 두고 천공시킨 띠형 철판(43)을 더 구비시켜, 단열재(2)의 저면에 고정수단 설치공을 따라 밀착 설치한 다음 고정수단(4)을 이용하여 단열재(2)와 함께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에 일체로 고정 설치하여 단열재(2) 자체가 처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단열재의 일부가 적은 면 접촉을 갖는 고정수단(4)의 너트(42)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한 고정수단(4)의 구성 요소 중 너트(42)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 육각 너트를 포함하여, 도 8의 (a)와 같이 와셔 형상을 갖고 중앙의 볼트 통과공 주연부에 자체적으로 탄성력을 구비한 복수의 나사산 결합편(421a)이 방사형으로 구비된 판 스프링형 너트(421)와, 도 8의 (b)와 같이 양측에 나사산에 탄력적으로 걸려지는 한 쌍의 걸림편(422a)이 일체로 형성되도록 종단면이 "
Figure 112011081273962-pat00003
"을 갖게 절곡 성형한 클립형 너트(422) 또는 도 8의 (c)와 같이 내면 나사산이 구비된 복수의 탄성형 나사 결합편(423a)이 일체로 구비되도록 사출 성형한 앵커형 너트(423)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도록 성형한 형태를 갖게 된다.
상기에 있어서, 일반 너트 형상을 가질 경우 너트(42) 자체를 볼트(41)에 일일이 회전시켜 결합 또는 분해해야만 하므로 단열재(2) 및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5)의 설치 공정시간이 많이 걸리고 인건비 등이 많이들 우려가 있으나, 판 스프링형 너트(421)나 클립형 너트(422) 또는 앵커형 너트(423)의 경우 볼트(41)의 단부에 위치시킨 다음 단순히 밀어주는 동작만으로 볼트(41)에 너트(42)들이 결합되는 형태를 갖고 있어 일반 너트를 사용하는 것보다 단열재(2) 및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5)의 설치에 따른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음은 물론 인건비 역시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수단(4)의 볼트(41) 상부에 필요에 따라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한 응력 증강구(44)를 더 구비시켜 줌으로써 상기 단열재(2) 및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5)을 고정수단(4)을 이용하여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의 저면에 고정 설치하였을 때, 고정수단(4)의 볼트(41) 상부에 일체로 고정 설치되어 있는 상기 응력 증강구(44)가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의 베이스 플레이트(11) 상면으로 돌출된 형태를 갖게 되어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의 상면에 콘크리트(C)를 타설/양생하였을 때 상기 응력 증강구(44)가 콘크리트(C) 내에 일체로 고정된 형태를 갖게 된다.
따라서, 상기 고정수단(4)의 볼트(41)와 콘크리트(C) 사이의 응력을 크게 증대되어 볼트(41) 자체가 외압에 의해 회전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므로 상기 단열재(2) 및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5)가 고정수단(4)을 통해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의 저면에 일체로 고정 설치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5)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형 철판(51)의 중심선을 따라 "U" 또는 "V"자 형상의 시멘트 페이스 유도홈(511)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시멘트 페이스 유도홈(511)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512)에는 복수의 볼트 통과공(512a)을 천공한 구성을 갖고 있으므로 한 쌍의 걸고리형 연결단(112)에 의해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는 두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의 연결부 틈새 및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의 저면에 위치된 두 단열재(2)의 접촉부 틈새를 통해 흘러내릴 수 있는 시멘트 페이스트가 상기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5)에 의해 외부로 배출되지 않고 그의 중심선을 따라 절곡 형성된 "U" 또는 "V"자 형상의 시멘트 페이스 유도홈(511)을 따라 외측으로 흘려 내리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요에 따라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 저면에 단열재(2)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4)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2)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에 일체로 부착 설치할 때, 상기 고정수단(4)의 볼트(41) 머리 저부 또는 응력 증강구(44) 저부에 고무나 실리콘으로 성형한 패킹제(6)를 더 설치하여 줌으로써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의 베이스 플레이트(11)에 천공된 수개의 고정수단 설치공(113)을 통한 시멘트 페이스트가 유출되는 것도 완벽히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의 저면에 복수의 고정수단(4)을 이용하여 단열재(2)를 일체로 부착 설치하여 줌으로써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의 베이스 플레이트(11) 자체가 거푸집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어 슬래브 시공시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이 전혀 필요 없게 되고, 슬래브 시공 후 천정에 별도로 단열재를 설치할 필요도 없게 되므로 콘크리트 슬래브 시공에 따른 공기를 대폭 단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의 설치 및 해제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공사비용도 대폭 줄일 수 있다.
또한, 슬래브의 천정으로부터 단열재(2)의 이탈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저면에 단열재가 일체로 구비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 상면에 콘크리트를 직접 타설함으로써 단열재의 설치 중 또는 콘크리트의 타설 및 면 고르기 공정 중 단열재가 작업자 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완벽히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슬래브의 강도를 대폭 증대시킬 수 있고, 슬래브에 대한 단열성 자체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 필요에 따라 고정수단 설치공(113) 상면을 포함하여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1)들의 연결부 저면에 패킹제(6) 및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5)을 각각 선택적으로 또는 동시에 부가 설치하여 줌으로써 콘크리트(C)의 타설 및 양생시 발생될 수 있는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출을 완벽히 방지할 수 있어,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출로 인한 슬래브 자체의 강도 약화를 포함하여 슬래브 천정의 외관을 헤치게 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어 슬래브 공사에 따른 시공 품질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 :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
11 : 베이스 플레이트 111 : 비드
112 : 걸고리형 연결단 113 : 고정수단 설치공
12 : 트러스 거더 121, 122 : 상,하부 철근
123 : 풋트 124 : 래티스
2 : 단열재
3 : 지주
4 : 고정수단 41 : 볼트
42 : 너트
421 : 판 스프링형 너트 421a : 나사산 결합편
422 : 클립형 너트 422a : 걸림편
423 : 앵커형 너트 423a : 탄성형 나사 결합편
43 : 띠형 철판 431 : 볼트 통과공
44 : 응력 증강구
5 :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
51 : 띠형 철판 511 : 시멘트 페이스 유도홈
512 : 날개 512a : 볼트 통과공
6 : 패킹제

Claims (5)

  1. 복수의 비드와 한 쌍의 걸고리형 연결단을 일체로 구비된 베이스 플레이트와; 복수의 상,하부 철근과 저단부에 풋트가 일체로 절곡 성형된 복수의 래티스를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비드 상면에 용접 설치되는 트러스 거더로 구성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슬래브를 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공장에서 복수의 고정수단 설치공을 정해진 간격을 두고 베이스 플레이트 상에 천공시켜 운송해온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들을 슬래브를 시공하고자 하는 건축물의 지주 상면에 순차적으로 연결/설치하는 공정과;
    각각의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 저면에 소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단열재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에 일체로 부착 설치하는 공정과;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들의 상면에 정해진 두께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면 고르기를 한 다음 양생하여 단열재가 일체로 부착된 슬래브를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공장에서 제조할 때,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단부에 절곡 형성된 걸고리형 연결단 내측에 정해진 간격을 두고 고정수단 설치공을 더 천공하고,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 저면에 단열재를 위치시키고 복수의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각각의 단열재를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에 일체로 부착 설치할 때, 한 쌍의 걸고리형 연결단에 의해 상호 연결된 형태를 갖는 두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의 연결부 저면에 위치된 두 단열재의 접촉부 저면에, 소정 폭과 길이를 갖는 띠형 철판의 중심선을 따라 "U" 또는 "V"자 형상의 시멘트 페이스 유도홈이 일체로 절곡 형성되고, 상기 시멘트 페이스 유도홈의 양측에 형성된 날개에는 복수의 볼트 통과공을 천공한 구성을 갖는 시멘트 페이스트 유출 방지겸 유도판을 위치시킨 다음 고정수단을 이용하여 고정 설치하는 공정을 더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은 일반 육각 너트를 포함하여 판 스프링형 너트, 종단면이 "
    Figure 112012002762835-pat00004
    "을 갖는 클립형 너트 또는 앵커형 너트 중 어느 한 형상을 갖는 너트와, 볼트로 구성하되,
    상기 단열재를 고정하는데 사용되는 고정수단을 통해서는 복수의 볼트 통과공이 정해진 간격을 두고 천공된 구성을 갖고 상기 단열재의 저면에서 고정수단 설치공을 따라 밀착 설치되어 단열재의 처짐 또는 손상을 방지하는 띠형 철판을 더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볼트 상부에는 종단면이 "U"자 형상을 갖도록 절곡 형성되어 콘크리트와의 응력을 증대시켜 주는 응력 증강구를 더 일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수단의 볼트 머리 저부 또는 응력 증강구 저부에 고무나 실리콘으로 성형한 패킹제를 더 설치하여 베이스 플레이트에 천공된 고정수단 설치공을 통한 시멘트 페이스트의 유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20110106351A 2011-10-18 2011-10-18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125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351A KR101125549B1 (ko) 2011-10-18 2011-10-18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6351A KR101125549B1 (ko) 2011-10-18 2011-10-18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5549B1 true KR101125549B1 (ko) 2012-03-22

Family

ID=46142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6351A KR101125549B1 (ko) 2011-10-18 2011-10-18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5549B1 (ko)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7848A1 (ko) * 2012-08-17 2014-02-20 (주)제일테크노스 트러스 철근 보강 데크 플레이트
KR101389113B1 (ko) * 2012-11-23 2014-04-25 (주)다즈종합건축사사무소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1478406B1 (ko) * 2012-09-14 2015-01-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의 프리패브 바닥 시스템
CN104264845A (zh) * 2014-08-21 2015-01-07 常州五六亿谷智能装备有限公司 外墙保温板及其制造方法
KR101639009B1 (ko) * 2015-09-18 2016-07-12 구연진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액 흘러내림 방지용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CN104264845B (zh) * 2014-08-21 2017-01-04 常州五六亿谷智能装备有限公司 外墙保温板及其制造方法
KR101706086B1 (ko) * 2016-11-22 2017-02-14 구연진 단열재가 결합된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KR101721334B1 (ko) 2015-10-27 2017-03-30 현대건설주식회사 부착식 단열재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KR20180124242A (ko) 2017-05-11 2018-11-21 (주)디앤에프 확장 날개형 패스너, 이 패스너를 이용한 단열재 부착 트러스 일체형 데크 및 그 슬래브 시공방법
KR20190001131U (ko)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단열재 일체형 외줄 트러스거더 구조
CN110067314A (zh) * 2019-05-23 2019-07-30 张学勇 断热桥式墙体保温网架板
KR102048577B1 (ko) 2019-03-18 2019-11-25 정현석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KR102051008B1 (ko) * 2019-07-26 2019-12-02 (주)디앤에프 플라스틱 앙카를 이용한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041A (ja) 1997-01-25 1998-08-0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床等の構成材
JP2004211753A (ja) 2002-12-27 2004-07-29 Japan Power Fastening Co Ltd ナット及びこれとボルトとの組合せ
KR200399132Y1 (ko) 2005-08-06 2005-10-19 춘 기 이 데크 플레이트
KR20110068654A (ko) * 2009-12-16 2011-06-22 장승훈 샌드위치판넬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05041A (ja) 1997-01-25 1998-08-04 Kanegafuchi Chem Ind Co Ltd 床等の構成材
JP2004211753A (ja) 2002-12-27 2004-07-29 Japan Power Fastening Co Ltd ナット及びこれとボルトとの組合せ
KR200399132Y1 (ko) 2005-08-06 2005-10-19 춘 기 이 데크 플레이트
KR20110068654A (ko) * 2009-12-16 2011-06-22 장승훈 샌드위치판넬을 이용한 데크플레이트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27848A1 (ko) * 2012-08-17 2014-02-20 (주)제일테크노스 트러스 철근 보강 데크 플레이트
KR101478406B1 (ko) * 2012-09-14 2015-01-0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모듈러 건축물의 프리패브 바닥 시스템
KR101389113B1 (ko) * 2012-11-23 2014-04-25 (주)다즈종합건축사사무소 트러스거더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CN104264845A (zh) * 2014-08-21 2015-01-07 常州五六亿谷智能装备有限公司 外墙保温板及其制造方法
CN104264845B (zh) * 2014-08-21 2017-01-04 常州五六亿谷智能装备有限公司 外墙保温板及其制造方法
KR101639009B1 (ko) * 2015-09-18 2016-07-12 구연진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을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에서의 콘크리트 타설액 흘러내림 방지용 필러 및 이를 이용한 천장거푸집 시공구조
KR101721334B1 (ko) 2015-10-27 2017-03-30 현대건설주식회사 부착식 단열재를 이용한 데크 플레이트 시공방법
KR101706086B1 (ko) * 2016-11-22 2017-02-14 구연진 단열재가 결합된 데크플레이트 및 이를 이용한 단열재가 결합된 트러스거더형 데크패널
KR20180124242A (ko) 2017-05-11 2018-11-21 (주)디앤에프 확장 날개형 패스너, 이 패스너를 이용한 단열재 부착 트러스 일체형 데크 및 그 슬래브 시공방법
KR101959042B1 (ko) 2017-05-11 2019-07-04 (주)디앤에프 확장 날개형 패스너, 이 패스너를 이용한 단열재 부착 트러스 일체형 데크 및 그 슬래브 시공방법
KR20190001131U (ko) 2017-11-02 2019-05-10 주식회사 상아뉴매틱 단열재 일체형 외줄 트러스거더 구조
KR102048577B1 (ko) 2019-03-18 2019-11-25 정현석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CN110067314A (zh) * 2019-05-23 2019-07-30 张学勇 断热桥式墙体保温网架板
CN110067314B (zh) * 2019-05-23 2024-03-26 张学勇 断热桥式墙体保温网架板
KR102051008B1 (ko) * 2019-07-26 2019-12-02 (주)디앤에프 플라스틱 앙카를 이용한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549B1 (ko) 단열재가 부착된 트러스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
KR101503809B1 (ko) 트러스거더 고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데크플레이트와 트러스거더 간의 결합구조
KR101511504B1 (ko) 연결부 휨 강화 기능을 갖는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1890860B1 (ko) 이중 피씨벽패널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합성 벽체 시공 방법
KR100903212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101711202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교량 바닥판
KR101983719B1 (ko) 교각 구조물용 영구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교각 시공방법
KR10151414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와 이의 시공방법
KR20080025656A (ko)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KR101749959B1 (ko) 조립식 아치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903211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272601B1 (ko) 옥상 조형물의 피씨 접합 구조
KR101135881B1 (ko) 건축물용 와플형 무량판 슬래브 및 상기 와플형 무량판 슬래브를 이용한 건축물의 무량판 접합구조
KR101429482B1 (ko) 마감재 일체형 단열 데크플레이트 슬라브 시공방법
KR20010005431A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KR100653283B1 (ko)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의 연결 방법
KR100882163B1 (ko) 철근 콘크리트 슬래브용 트러스 거더 일체형 데크 패널 거푸집 구조
KR100894808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100865133B1 (ko) 결속구, 선조립 콘크리트 구조물용 거푸집 구조체 및 이를이용한 시공방법
KR20070027432A (ko) 철근조립체와 거푸집과 천정 판넬을 고정핀으로 고정시키는결속구
KR101483909B1 (ko) 앵글 브릿지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KR101734127B1 (ko) 프리캐스트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구조체
KR101257667B1 (ko) 건축 구조물의 내진보강구조 및 내진보강방법
KR100775676B1 (ko) 합판거푸집 보강 띠판형 장선, 합판거푸집 보강구조 및합판거푸집 보강구조 해체 후 마감방법
KR101576215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