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25656A -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25656A
KR20080025656A KR1020070118510A KR20070118510A KR20080025656A KR 20080025656 A KR20080025656 A KR 20080025656A KR 1020070118510 A KR1020070118510 A KR 1020070118510A KR 20070118510 A KR20070118510 A KR 20070118510A KR 20080025656 A KR20080025656 A KR 200800256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truss
formwork
reinforcing
cho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18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광윤
Original Assignee
장광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광윤 filed Critical 장광윤
Priority to KR1020070118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25656A/ko
Publication of KR200800256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256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04C5/168Spacers connecting parts for reinforcements and spacing the reinforcements from th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트러스가 결합된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재 자체의 자중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압과 콘크리트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동바리 설치가 불필요한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과 이를 이용함으로 간편한 현장작업으로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해진 슬래브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은 철근트러스, 슬래브거푸집널, 연결구, 고정구, 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는데 특징이 있으며, 본 발명의 슬래브시공방법은 소판거푸집에서 대판거푸집으로 시공 현장에서 완성하면서 슬래브 공사를 수행한다는데 특징이 있다.
철근트러스, 슬래브, 거푸집, 일체

Description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slab form with truss bar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철근트러스가 결합된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과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재 자체의 자중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압과 콘크리트 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동바리 설치가 불필요한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과 이를 이용함으로 간편한 현장작업으로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해진 슬래브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근콘크리트구조는 철근과 콘크리트를 일체화한 구조로서 가장 보편적인 구조방식이다. 철근콘크리트공사는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방법으로 진행되며, 특히 슬래브 시공함에 거푸집 설치과정에는 동바리 설치과정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즉, 슬래브 시공을 위해서는 시공위치에 자재를 반입한 후 시공위치에서 설계에 따라 동바리로 지지하면서 거푸집을 설치하고 철근을 배근하며, 이어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시킨 후 거푸집 및 동바리를 해체하는 것 이다.
그러나, 동바리는 거푸집 설치와는 별도로 현장에서 직접 그 높이를 조절하면서 지지상태를 점검해야 하므로, 그 설치작업이 상당히 번거롭다. 또한, 콘크리트의 양생이 충분히 이루어진 후에야 비로소 동바리를 제거할 수 있기 때문에 동바리가 설치된 해당층에서의 작업은 작업공간 확보에 문제가 있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아울러, 다층 건축물의 시공은 하층부에 사용한 가설자재를 상층부로 운반하면서 이루어지는데, 이때 동바리는 부재 사이즈가 커 자재 운반시 불편함을 초래한다. 이와 같이 동바리 설치과정은 철근콘크리트공사에서 작업 전반에 걸쳐 시공효율성을 떨어뜨리는 하나의 요인이 된다.
위와 같은 동바리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방법을 개선하기 위해 철판 슬래브거푸집을 영구거푸집으로 활용하면서 철근을 미리 조립한 형태의 트러스데크를 이용한 공법이 제안되었다. 통상 트러스데크는 와렌형 트러스 내에 비렌딜형 트러스를 끼워넣는 방식으로 철근을 조립하여 철판에 용접접합하는 방법으로 제작되거나, 경사재가 하현재 아래로 연장되는 푸트를 가지는 삼각트러스 방식으로 철근을 조립하여 푸트를 철판에 용접접합하는 방법으로 제작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이러한 제작방법은 모두 철근의 피복두께를 고려하여 제안된 방법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트러스데크를 이용한 공법은 철판이 노출되어 방청처리와 내화피복이 요구되며 슬래브거푸집의 재활용이 곤란하여 공사비가 증대되는 등 단점을 수반한다.
이에, 본 발명자는 종래의 트러스데크를 개선하여 철판 대신 제거용 슬래브거푸집을 사용하면서 동바리 설치가 불필요한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를 개선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부재 자체의 자중과 콘크리트 하중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압과 작업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동바리 설치가 불필요한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과 이를 이용함으로 간편한 현장작업으로 경제적인 시공이 가능해진 슬래브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기술적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슬래브거푸집널의 착탈이 용이한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과 이를 이용하여 현장작업이 간소해진 슬래브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1본의 상현재와 2본의 하현재 및 상기 상현재와 하현재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한 쌍의 웨브재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웨브재는 연속적인 파형을 이루되 상부의 마루가 상현재와 만나고 하부의 골이 하현재와 만나도록 접합되면서 그 양 끝단이 하현재에 접합되도록 마무리되는 철근트러스; 상기 철근트러스의 하현재 아래에 이격하여 배치되며 면내에 통공이 형성된 슬래브거푸집널; 상기 슬래브거푸집널 통공 위에 배치되면서 상기 철근트러스의 2본의 하현재 각각에 결속하는 연결구; 상기 슬래브거푸집널 아래에서 통공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구에 탈락가능하게 결합된 고정구; 및, 상기 슬래브거푸집널 양 단부 위에 배치되면서 철근트러스의 하현재에서 웨브재 양 끝단이 접합된 부분을 받치도록 설치되는 지지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구는 철근트러스의 하현재가 결속하는 상단의 철근결속부와 암나사구멍이 형성된 하단의 암나사부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는 상기 연결구의 암나사부와 나사결합하는 조임볼트로 마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a)상기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소판 거푸집으로 다수개 완성하는 단계; (b)상기 소판 거푸집 다수개를 병렬로 배열하여 대판 거푸집을 완성하는 단계; (c)병렬된 철근트러스의 하현재 또는 상현재 각각에 동시에 걸리도록 대판 거푸집 양쪽으로 양중보를 설치하는 단계; (d)양중보를 들어올리면서 크레인으로 대판 거푸집을 양중하여 슬래브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e)상기 대판 거푸집 위로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 (f)고정구를 탈락시키면서 상기 대판 거푸집의 슬래브거푸집널을 탈형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슬래브거푸집널에 결합되는 조립철근으로 파형 웨브재의 절점이 상현재 및 하현재에 접합된 철근트러스를 이용함으로 부재 자체의 자중과 콘크리트 하중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압과 작업하중을 충분히 지지할 수 있게 되어 동바리를 설치하지 않고 간편하면서도 신속한 슬래브시공이 가능해진다.
둘째, 본 발명은 슬래브거푸집널과 철근트러스의 조립이 간단하여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으로 소판 거푸집에서 대판 거푸집으로 용이하게 완성하면서 간소하게 슬래브시공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셋째, 본 발명은 소판 거푸집을 현장에서 적층하면서 대판 거푸집으로 완성할 수 있으므로 공사의 공정에 지장이 없이 좁은 장소에서도 다량의 대판 거푸집을 완성하면서 슬래브시공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도시한 도면으로, 본 발명은 철근트러스(100), 슬래브거푸집널(200), 연결구(300), 고정구(400), 지지구(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철근트러스(100)는 1본의 상현재(110), 2본의 하현재(120, 2본의 하현재는 약 6㎝정도의 간격으로 배치하면 적당함) 및 상기 상현재(110)와 하현재(120)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한 쌍의 웨브재(130)로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웨브재(130)는 양방향으로 배치되어 연속적인 파형을 이루면서 상부의 마루는 상현재(110)와 만나고 하부의 골은 하현재(120)와 만나도록 접합된다. 이러한 철근트러스(100)는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하는 과정에서는 콘크리트 타설하중과 작업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고, 슬래브콘크리트를 타설한 후에는 슬래브철근으로 구조적인 내력을 발휘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철근트러스에서 철근은 통상 철근콘크리트 구조에서 사용하는 철근은 원형철근, 이형철근, 철선 등을 포괄하며, 다만 제작의 용이성을 감안할 때 상현재, 하현재, 웨브재를 철선으로 채택하여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철근트러스(100)를 파형의 웨브재(130) 절점(마루와 골)이 상현재(110) 및 하현재(120)와 직접 만나도록 구성하고 있는데, 이는 콘크리트 타설하중과 작업하중에 의한 압축을 받는 상현재(110)의 횡변위를 충분히 지지하도록 감안한 것으로, 파형 웨브재(130)의 절점(마루와 골)이 상현재(110) 및 하현재(120)와 직접 만나기 때문에 상현재(110)에서 하현재(120)로 하중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어 상·하현재의 2차모멘트와 처짐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이 종래의 트러스데크(철판에 조립철근이 접합된 것)에 적용되는 철근트러스와 다르다. 종래의 트러스데크는 바닥 철판과의 피복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 경사재(웨브재)가 하현재 아래로 연장되는 푸트를 가지는 삼각트러스형태(파형 경사재의 하부 골이 하현재 아래에 위치한 형태임)의 철근트러스를 채택하였으나, 이러한 철근트러스는 상,하현재에 2차모멘트가 발생하고 처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파형 웨브재(130)의 절점(마루와 골)이 상현재(110) 및 하현재(120)와 만나도록 마련하여 상현재(110)와 하현재(120)의 상호간 하중전달을 극대화하는 방법으로 종래 철근트러스가 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으며, 특히 2본의 하현재의 좌우에 배치하는 연결구(300)가 피복두께를 확보하면서 하현재(1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상현재(110)의 횡변위를 효율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철근트러스(100)는 1본의 상현재(110)와 2본의 하현재(120) 및 웨브재(130)가 완전한 삼각형으로 이루어져 자립하므로 특히 현장조립이 매우 용이한 이점이 있다.
슬래브거푸집널(200)은 상기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 아래에 이격하여 배치되며, 면내에 통공이 형성된다. 슬래브거푸집널(200)은 향후 탈형하기 때문에 재사용이 가능하므로 전체 공사비 절감에 유리한 작용을 한다. 상기 슬래브거푸집널(200)은 합판, 철판 등 어떤 재료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연결구(300)는 상기 슬래브거푸집널(200) 통공보다 큰 크기를 가지는 부재로 슬래브거푸집널(200) 통공 위에 배치되면서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와 결합하도록 설치된다. 연결구(300)의 마련으로 철근트러스(100)의 고정 배치가 가능해지는 것은 물론 철근트러스 하현재(120)와 슬래브거푸집널(200)의 이격거리를 통해 피복두께의 확보가 가능해진다. 또한, 연결구(300)는 전술한 바와 같은 철근트러스(100, 파형의 웨브재 절점(마루와 골)이 상현재(110) 및 하현재(120)와 일치하는 형태)를 채택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상기 연결구(300)는 금속, 플라스틱(특히, PVC) 등 재료를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으며, 다만 슬래브시공 후 슬래브거푸집널(200)이 탈형될 때 연결구(300) 하부면이 노출된다는 점을 감안하면 플라스틱을 선택함이 바람직하다. 도 2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연결구(300)를 보여주고 있는데, 관련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고정구(400)는 상기 슬래브거푸집널(200) 아래에서 통공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구(300)에 탈락가능하게 결합되는 부재로, 연결구(300)와의 결합여부에 따라 슬래브거푸집널(200)을 고정 또는 탈형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고정구가 연결구에 결속되면 연결구에 의해 슬래브거푸집널이 철근트러스에 매달려 설치되는 것이며, 고정구가 연결구에서 해체되면 슬래브거푸집널이 철근트러스에서 탈락하면서 탈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고정구(400)는 연결구(300)와 마찬가지로 금속, 플라스틱(특히, PVC) 등 재료를 선택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고정구(400)로는 상기 연결구(300)와 일체로 연장되면서 슬릿홀이 형성된 타이바와 슬래브거푸집널(200)의 통공을 통과한 타이바의 슬릿홀에 끼워져 결합하는 타이핀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도 2에서와 같이 연결구(300)에 암나사구멍을 형성시킨 후 고정구(400)로 조임볼트로 마련하는 것이 견고하면서도 용이한 결합을 위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연결구(300)와 비슷한 구성으로 지지구(500)를 더 포함 할 것을 제안하고 있는데, 상기 지지구(500)는 슬래브거푸집널(200) 위에 배치되면서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를 받치도록 설치되어 철근트러스(100)의 안정성을 확보케 하는 구성으로 역할하며, 이와 같은 지지구(500)는 고정구(400)와 결속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연결구(300)와 차이가 있다.
특히, 상기 지지구(500)는 도 1에서와 같이 철근트러스의 웨브재(130) 양끝단이 하현재(120)에 접합되도록 한 후 슬래브거푸집널(200) 양단부에서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 중 웨브재(130) 끝단이 접합된 부분을 받치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원발명의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은 이미 안정적인 지지상태를 확보한 보거푸집 또는 브라켓 등의 지지대에 거치하면서 설치될 것인데, 이러한 설치상태를 감안할 때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이 받는 전체하중은 철근트러스(100)를 통해 양단부로 전달되면서 최종적으로 지지대로 전달될 것이므로, 지지구(500)를 슬래브거푸집널 양단부에 배치하면서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 중 웨브재(130) 끝단이 접합된 부분을 받치도록 설치하면 철근트러스의 웨브재(130)에서 지지구(500)로 다시 지지대로 안정적인 하중전달이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지지구(500) 대신에 이와 유사한 연결구(300)의 설치를 고려해볼 수 있으나, 연결구(300)에는 반드시 고정구(400)가 결속되므로 슬래브거푸집널(200)의 양단부 하부에 고정구(400)가 설치되면 그 상태로 지지대 위에 거치하는 것이 곤란한 바, 이는 적절하지 못하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에서 슬래브거푸집널(200)과 철근트러스(100)를 결속시키는 연결구(300)와 고정구(400)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실시예 모두 연결구(300)를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가 결속하는 상단의 철근결속부(310)와 암나사구멍이 형성된 하단의 암나사부(320)로 구성되도록 마련하면서 고정구(400)를 상기 연결구의 암나사부(320)와 나사결합하는 조임볼트로 채택한 예이며, 연결구의 철근결속부(310) 형태 및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와 철근결속구의 결속방법에 따라 구분하고 있다.
도 2(a)는 연결구의 철근결속부(310)를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가 끼워져 안착하도록 안착홈으로 형성시킨 예로서,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가 안착홈에 안착됨으로 연결구의 철근결속부(310)와 결속되는 예이다. 특히, 도 2(a)에서는 안착홈의 양 측면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마련하면서 상기 관통홀에 끼워져 결합하는 체결핀(315)을 더 마련하여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가 체결핀(315)에 걸리면서 안착홈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처리하고 있다.
도 2(b)는 도 2(a)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안착홈 대신에 연결구의 철근결속부(310)를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가 기대어 설치되도록 가이드날개를 쌍줄로 돌출하여 형성시킨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물론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쌍줄 가이드날개는 양 측면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마련하고 상기 관통홀에 끼워져 결합하는 체결핀(315)을 더 마련하면,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가 체결핀(315)에 걸리면서 쌍줄 가이드날개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2(c)는 도 2(a)와 전체적으로 동일하나 안착홈 대신에 연결구의 철근결속부(310)를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를 덮으면서 정착되는 ∩자형 커버가 더 마련 되도록 구성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2(c)에서도 철근트러스 하현재(12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자형 커버를 양 측면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마련하면서 상기 관통홀에 체결핀(315)을 끼워 결합하고 있다.
도 2(d)는 도 2(b)의 변형예로서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를 쌍줄 가이드날개에 용접접합한 예이며, 도 2(e)는 도 2(d)의 변형예로서 외줄 가이드날개에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를 용접접합한 예이다. 물론 도시하지 않았지만,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와 연결구(300)를 결속시키는 방법으로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를 상기 연결구의 철근결속부(310)에 직접 용접접합하는 방법을 택할 수도 있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a)소판 거푸집 완성단계- 도 3
전술한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소판 거푸집(SF)으로 다수개 완성한다. 즉, 슬래브거푸집널(200)과 철근트러스(100), 그리고 연결구(300)와 고정구(400)를 준비하여 조립하는 것이다. 물론, 소판 거푸집(SF)은 현장에서 간편하게 조립하면서 완성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 소판 거푸집(SF)의 크기로는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 현장에서 조립할 때 작업자 2인이 1조가 되어 운반가능한 정도가 적당하며, 도 3에서는 철근트러스(100)를 3열로 배열한 상태의 소판 거푸집(SF)을 보여준다.
(b)대판 거푸집 완성단계- 도 4
소판 거푸집(SF) 다수개를 병렬로 배열하여 대판 거푸집(LF)을 완성한다. 도 4(a)에서와 같이 거치대를 마련하여 소판 거푸집(SF)의 슬래브거푸집널 상호간을 밀착시키는 방법으로 대판 거푸집(LF)을 완성하도록 한다. 본 단계에서는 도 4(b)에서와 같이 병렬된 철근트러스(100)에 교차하는 배력근(B)을 배근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력근(B)의 배근으로 소판 거푸집(SF) 상호간의 긴결 결합이 가능해져 해체의 우려 없는 대판 거푸집(LF)의 완성이 가능하게 된다.
소판 거푸집에서 대판 거푸집으로의 완성은 이미 완성된 대판 거푸집에 위에서 적층시키는 방법으로도 진행할 수 있으므로, 공사의 공정에 지장이 없이 좁은 장소에서 많은 양의 대판 거푸집을 완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c)양중보 설치단계- 도 5
병렬된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 또는 상현재(110) 각각에 동시에 걸리도록 양중보(LB)를 설치한다. 양중보(LB)의 설치로 소판 거푸집(SF) 상호간의 긴결 결합이 가능해지며, 양중무게의 분산을 통해 안정적인 양중이 가능해진다. 양중보(LB)로는 휨성능이 우수한 부재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향후 제거할 수도 있으나 철근, 철골 등의 슬래브에 영구적으로 매입되는 매입형 부재를 채택할 수도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도 5에서와 같이 양중보(LB)로 2본의 상현재(L1), 1본의 하현재(L2),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는 웨브재(L3) 및 2본의 상현재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재(L4)를 포함하여 구성된 철근트러스를 채택할 것을 제안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양중보(LB) 2개를 준비하여 이의 철근트러스 하현재(L2, 특히 웨브재의 골이 접합된 부분)를 대판 거푸집(LF)의 병렬된 철근트러스의 상현재(110) 끝 단에 걸리도록 끼우는 방식으로 대판 거푸집(LF) 양쪽에 양중보(LB)를 설치하게 된다. 즉, 양중보(LB)의 철근트러스 하현재(L2)를 대판 거푸집(LF)의 병렬된 철근트러스의 상현재(110) 끝단에 걸리도록 양중보(LB) 2개를 대판 거푸집(LF) 양쪽에 끼우고 양중보(LB)의 철근트러스 2본의 상현재(L1) 중 바깥쪽 상현재에 연결끈으로 연결하여 연결끈에 크레인의 걸림고리를 건 후 양중하면, 양중 무게중심이 크레인의 걸림고리가 위치한 대판 거푸집(LF)의 한가운데로 위치하면서 연결끈이 당겨지게 될 것이고, 연결끈이 당겨지면 양중보(LB)의 철근트러스 2본의 상현재(L1) 중 안쪽 상현재가 대판 거푸집(LF)의 병렬된 철근트러스의 상현재(110) 위를 누르면서 지지될 것이며, 이로써 양중보(LB))의 위치고정이 이루어지면서 안정적인 양중작업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양중보(LB)의 철근트러스 2본의 상현재(L1)는 연결재(L4)에 의해 서로 연결 보강되어 있으므로, 양중과정에서 양중보(LB)의 철근트러스 상현재(L1)에 발생하는 압축좌굴을 억제할 수 있게 된다.
(d)대판 거푸집 양중 설치단계- 도 5
양중보(LB)를 들어올리면서 크레인으로 대판 거푸집(LF)을 양중하여 슬래브 위치에 설치한다. 철근트러스형 양중보와 같이 양중보(LB)로 임시 가설부재를 채택한 경우에는 본 단계에서 양중보(LB)를 제거해야 할 것이다. 대판 거푸집(LF)을 설치한 후에는 대판 거푸집 상호간을 연결하는 이음철근을 더 배근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e)슬래브콘크리트 타설 양생단계- 도 6
대판 거푸집(LF) 위로 슬래브콘크리트(SC)를 타설 양생한다.
(f)슬래브거푸집널(200) 탈형단계
슬래브콘크리트(SC)가 양생되면 고정구(400)를 탈락시키면서 상기 대판 거푸집의 슬래브거푸집널(200)을 탈형한다. 이로써, 철근콘크리트 슬래브가 완성되며, 철근콘크리트 슬래브 내에는 철근트러스(100), 연결구(300), 지지구(500)가 매입되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에서 설명된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부가 및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당연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아래에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에서 슬래브거푸집널과 철근트러스를 결속시키는 연결구와 고정구의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철근트러스 110: 상현재
120: 하현재 130: 웨브재
200: 슬래브거푸집널 300: 연결구
310: 철근결속부 320: 암나사부
400: 고정구 500: 지지구
SF: 소판 거푸집 LF: 대판 거푸집
LB: 양중보 B: 배력근
SC: 슬래브콘크리트

Claims (6)

1본의 상현재(110), 2본의 하현재(120) 및 상기 상현재(110)와 하현재(120)를 경사지게 연결하는 한 쌍의 웨브재(130)로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웨브재(130)가 연속적인 파형을 이루어 그 상부의 마루가 상현재(110)와 만나고 그 하부의 골이 하현재(120)와 만나도록 접합되면서 그 양 끝단이 하현재(120)에 접합되도록 제작된 철근트러스(100);
상기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 아래에 이격하여 배치되며, 면내에 통공이 형성된 슬래브거푸집널(200);
상기 슬래브거푸집널 통공 위에 배치되면서 상기 철근트러스의 2본의 하현재(120) 각각에 결속하는 연결구(300);
상기 슬래브거푸집널(200) 아래에서 통공을 통과하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연결구(300)에 탈락가능하게 결합된 고정구(400); 및,
상기 슬래브거푸집널(200) 양 단부 위에 배치되면서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에서 웨브재(130) 양 끝단이 접합된 부분을 받치도록 설치되는 지지구(5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연결구(300)는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가 결속하는 상단의 철근결속부(310)와 암나사구멍이 형성된 하단의 암나사부(320)로 구성되며,
상기 고정구(400)는 상기 연결구의 암나사부(320)와 나사결합하는 조임볼트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
제1항에서,
상기 연결구의 철근결속부(310)는, 상기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가 끼워져 안착하도록 안착홈으로 형성된 것이거나, 상기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가 기대어 설치되도록 가이드날개가 쌍줄로 돌출하여 형성된 것이거나, 상기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를 덮으면서 정착되는 ∩자형 커버가 더 마련된 것으로서, 상기 안착홈의 양 측면, 쌍줄 가이드날개의 양 측면, ∩자형 커버의 양 측면 동일한 위치에 관통홀이 형성되도록 마련되면서 상기 관통홀에 끼워져 결합하는 체결핀(315)이 더 마련된 것이며,
상기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가 안착홈 또는 가이드날개 또는 ∩자형 커버에 삽입된 후 체결핀의 체결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제1항에서,
상기 연결구의 철근결속부(310)는 상기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가 기대어 설치되도록 가이드날개가 외줄 또는 쌍줄로 돌출하여 형성된 것이며,
상기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는 외줄 또는 쌍줄의 가이드날개에 용접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
(a)상기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소판 거푸집(SF)으로 다수개 완성하는 단계;
(b)상기 소판 거푸집(SF) 다수개를 병렬로 배열하여 대판 거푸집(LF)을 완성하는 단계;
(c)병렬된 철근트러스의 하현재(120) 또는 상현재(110) 각각에 동시에 걸리도록 대판 거푸집(LF) 양쪽으로 양중보(LB)를 설치하는 단계;
(d)양중보(LB)를 들어올리면서 크레인으로 대판 거푸집(LF)을 양중하여 슬래브 위치에 설치하는 단계;
(e)상기 대판 거푸집(LF) 위로 슬래브콘크리트(SC)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
(f)고정구(400)를 탈락시키면서 상기 대판 거푸집의 슬래브거푸집널(200)을 탈형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제4항에서,
상기 (b)단계는 병렬된 철근트러스(100)에 교차하는 배력근(B)을 배근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이용 한 슬래브시공방법.
제4항에서,
상기 (c)단계는 양중보(LB)로 2본의 상현재(L1), 1본의 하현재(L2), 상현재와 하현재를 연결하는 웨브재(L3), 2본의 상현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재(L4)를 포함하여 구성된 철근트러스를 채택하여 양중보(LB)의 철근트러스 하현재(L2)를 대판 거푸집의 병렬된 철근트러스의 상현재(110) 끝단에 걸리도록 끼우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d)단계는 상기 양중보(LB)의 철근트러스를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KR1020070118510A 2007-11-20 2007-11-20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KR200800256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510A KR20080025656A (ko) 2007-11-20 2007-11-20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18510A KR20080025656A (ko) 2007-11-20 2007-11-20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4844A Division KR100807276B1 (ko) 2006-09-18 2007-01-16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25656A true KR20080025656A (ko) 2008-03-21

Family

ID=39413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18510A KR20080025656A (ko) 2007-11-20 2007-11-20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25656A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212B1 (ko) * 2009-02-06 2009-06-1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트러스거더 연결구
KR20160140120A (ko) * 2015-05-29 2016-12-07 임경상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CN108668706A (zh) * 2018-06-15 2018-10-19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三角形空间桁架及大跨度无立柱温室
CN109296210A (zh) * 2018-11-10 2019-02-01 河北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底模可拆卸式钢筋桁架楼承板安装用连接件
CN109296209A (zh) * 2018-11-10 2019-02-01 河北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钢筋桁架楼承板安装用连接件
CN109487941A (zh) * 2018-11-10 2019-03-19 河北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钢筋桁架楼承板
CN110067314A (zh) * 2019-05-23 2019-07-30 张学勇 断热桥式墙体保温网架板
CN110185181A (zh) * 2019-07-01 2019-08-30 惠州盛康高科材料有限公司 一种钢筋桁架底模板连接组件及桁架楼承板的组装方法
CN110952701A (zh) * 2019-12-27 2020-04-03 无锡市光彩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钢筋桁架与模板的能分离式装配结构
CN111502290A (zh) * 2020-05-07 2020-08-07 福建华桁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扣件及钢筋桁架楼承板
KR20210053003A (ko) * 2019-11-01 2021-05-11 한국도로공사 접속슬래브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접속슬래브 시공 방법
CN113738006A (zh) * 2021-10-14 2021-12-03 山东省建设科技与产业化中心有限公司 桁架楼层板
CN113738007A (zh) * 2021-10-14 2021-12-03 山东省建设科技与产业化中心有限公司 桁架楼层板
CN114351923A (zh) * 2021-12-09 2022-04-15 正方利民(天镇)建筑工业化有限公司 预应力pc桁架双向叠合板
CN115450420A (zh) * 2022-10-20 2022-12-09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楼板后浇带免拆模板体系及其施工方法
WO2023283737A1 (en) * 2021-07-13 2023-01-19 Construction Formule Inc. Rebar installa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CN115807541A (zh) * 2022-12-12 2023-03-17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高空大悬挑构件劲性骨架整体浇筑工法

Cited B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3212B1 (ko) * 2009-02-06 2009-06-18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트러스거더 연결구
KR20160140120A (ko) * 2015-05-29 2016-12-07 임경상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CN108668706A (zh) * 2018-06-15 2018-10-19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三角形空间桁架及大跨度无立柱温室
CN108668706B (zh) * 2018-06-15 2024-05-07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三角形空间桁架及大跨度无立柱温室
CN109296210A (zh) * 2018-11-10 2019-02-01 河北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底模可拆卸式钢筋桁架楼承板安装用连接件
CN109296209A (zh) * 2018-11-10 2019-02-01 河北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钢筋桁架楼承板安装用连接件
CN109487941A (zh) * 2018-11-10 2019-03-19 河北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钢筋桁架楼承板
CN110067314A (zh) * 2019-05-23 2019-07-30 张学勇 断热桥式墙体保温网架板
CN110067314B (zh) * 2019-05-23 2024-03-26 张学勇 断热桥式墙体保温网架板
CN110185181A (zh) * 2019-07-01 2019-08-30 惠州盛康高科材料有限公司 一种钢筋桁架底模板连接组件及桁架楼承板的组装方法
KR20210053003A (ko) * 2019-11-01 2021-05-11 한국도로공사 접속슬래브 보강체 및 이를 이용한 접속슬래브 시공 방법
CN110952701A (zh) * 2019-12-27 2020-04-03 无锡市光彩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钢筋桁架与模板的能分离式装配结构
CN111502290A (zh) * 2020-05-07 2020-08-07 福建华桁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扣件及钢筋桁架楼承板
WO2023283737A1 (en) * 2021-07-13 2023-01-19 Construction Formule Inc. Rebar installation device and corresponding method
CN113738006A (zh) * 2021-10-14 2021-12-03 山东省建设科技与产业化中心有限公司 桁架楼层板
CN113738007A (zh) * 2021-10-14 2021-12-03 山东省建设科技与产业化中心有限公司 桁架楼层板
CN114351923A (zh) * 2021-12-09 2022-04-15 正方利民(天镇)建筑工业化有限公司 预应力pc桁架双向叠合板
CN115450420A (zh) * 2022-10-20 2022-12-09 上海建工一建集团有限公司 楼板后浇带免拆模板体系及其施工方法
CN115807541A (zh) * 2022-12-12 2023-03-17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高空大悬挑构件劲性骨架整体浇筑工法
CN115807541B (zh) * 2022-12-12 2024-03-19 中建八局第四建设有限公司 一种建筑高空大悬挑构件劲性骨架整体浇筑工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25656A (ko)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WO2009011516A2 (en) Form with reinforcing bars, non-support form system and non-support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225662B1 (ko) 조립식 프리캐스트 격자형 강합성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0807276B1 (ko) 철근일체형 슬래브거푸집을 이용한 슬래브시공방법
KR100728106B1 (ko) 교량 바닥판의 캔틸레버부 설치구조 및 시공방법
JP4028831B2 (ja) 取り外し可能支保工梁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CN105040880A (zh) 一种屋盖钢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987789B1 (ko) 거푸집의 용이한 탈형을 위한 거푸집-철근 연결장치와 이를이용한 철근일체형 거푸집 조립체, 및 그 철근일체형거푸집 조립체를 이용한 조이스트보 시공방법
KR100814379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100906156B1 (ko) 트러스 거더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구조
KR20220032872A (ko) 절곡철근을 이용한 pc 보-기둥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0593664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100565384B1 (ko) 빔 연결부재와 강재가로보를 이용한 프리캐스트 피에스씨빔의 연속화 구조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0634344B1 (ko) 합성바닥판 및 그 연결구조
KR100894808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101324884B1 (ko) 습식공법과 건식공법을 결합한 하이브리드 건축 시공방법
KR101058906B1 (ko) 유지관리용 합성 데크플레이트와 이를 이용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100989153B1 (ko) 바닥판 주철근 대체가 용이하도록 횡방향 강성연결재를 구비한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 연결구조 및 십자형 피에스씨 거더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KR102294174B1 (ko) 거푸집 전용 가설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60117158A (ko) 카본-유리섬유 복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KR101576224B1 (ko) 건축물 시공용 조립식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거더
CN105926820A (zh) 一种预制梁钢承板电阻网片组合楼面的施工工法
KR101062909B1 (ko) 바닥판용 수직보강판을 이용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100650444B1 (ko) 교량의 캔틸레버부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