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93664B1 -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93664B1
KR100593664B1 KR1020040071064A KR20040071064A KR100593664B1 KR 100593664 B1 KR100593664 B1 KR 100593664B1 KR 1020040071064 A KR1020040071064 A KR 1020040071064A KR 20040071064 A KR20040071064 A KR 20040071064A KR 100593664 B1 KR100593664 B1 KR 100593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composite
plate
lower plate
tens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1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22324A (ko
Inventor
김형열
김정호
정연주
Original Assignee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건설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건설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400710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93664B1/ko
Publication of KR2006002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93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93664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하부판과 수직보강재가, 긴장재에 의하여 압축응력을 받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바닥판재와 결합하여 높은 하중저항성능과 피로내구성을 보유하면서, 경량화와 간편한 시공이 가능하여 교량바닥판의 장수명,장지간화,공기단축 및 경제성이 우수한 합성바닥판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하부판에 수직보강재를 설치함과 더불어 긴장재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보강재 및 긴장재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부판에 바닥판재를 형성시키고,상기 바닥판에 설치된 긴장재를 긴장 후 정착시켜 바닥판 하부에 형성된 바닥판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켜 합성바닥판을 공장에서 모듈화하여 제작하는 단계; 및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모듈화된 합성바닥판을 현장에 운반하고, 합성바닥판을 설치해야 할 위치에 합성바닥판을 거치하고, 거치된 상기 합성바닥판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되는 합성바닥판의 연결부에 연결부 바닥판재를 별도로 형성시켜 복합형 합성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합성바닥판, 보강재

Description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Construction Method for prestressed composite slab}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는 종래의 합성바닥판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2a, 도 2b,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 그 설치 구성도 , A-A 단면도 및 수직보강재를 도시한 것이다.
도 2e 및 도 2f는 본 발명의 전단연결재의 설치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긴장재의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 및 종/횡방향 연결부의 설치 사시도이다.
<주요 도면부호의 설명>
100:합성바닥판 110:하부판
120:바닥판재 130:수직보강재
140:긴장재 150:강판
160:스터드 170:연결부 바닥판재
200:거더
본 발명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모듈화되고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을 현장에서 거치하는 방식으로 시공하는 합성바닥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종래의 교량용 바닥판은 RC 바닥판(Reinforced Concrete Slab)으로 시공되었다. 이러한 RC바닥판은 두께가 20CM 정도로 시공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자중이 크고, 강성이 낮아 공용하중(활하중)이 작용함에 따라 균열 및 처짐이 발생되어 결국 바닥판의 내하성능 및 내구성이 떨어지게 됨으로써, 바닥판 보수, 보강작업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되는 실정이었다. 또한 현장에서 동바리 등과 같은 가설재를 이용하여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시공되므로 고소작업에 의하여 안전사고 및 시공성이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거푸집 설치 및 철근배근 작업에 있어 많은 공임 및 공사비가 증대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이러한 RC바닥판을 대체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이 합성 슬래브 또는 합성바닥판(Composite Slab)이다.
상기 합성바닥판은 통상 강재판으로 제작된 하부판 상부에 소정의 두께를 가지도록 콘크리트를 타설시킴으로써 상기 하부판과 콘크리트가 서로 합성된 상태로 제작되며, 공용하중 및 자중에 의하여 발생하는 인장응력은 상기 하부판이 부담하게 하고, 압축응력은 상기 바닥판 상부의 콘크리트가 부담하도록 하는 역학적 메커니즘을 이용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합성바닥판의 예를 도시한 것이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d이다.
도 1a에 도시된 합성바닥판(10a)은 주형(11a)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부판(12a)상부에 구멍이 형성된 I 형강(13a)을 횡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가지도록 설치하고, 상기 구멍을 관통하도록 하부배력철근(14a)을 설치함과 더불어 바닥판 상부에 상부배력철근(15a)을 설치한 뒤, 콘크리트(16a)를 타설 및 양생시켜 시공된다.
하지만 이러한 합성바닥판(10a)은 구조가 복잡하고, 하부판에 전단연결재를 별도로 설치하지 않는 방식으로 시공되어 하부판과 콘크리트의 합성작용이 성립되지 않아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b에 도시된 합성바닥판(10b)은 주형(11b)에 의하여 지지되는 하부판(12b) 상부에 전단연결재(13b) 및 배력철근(14b)을 바닥판 상부에 격자형으로 설치한 뒤, 콘크리트(15b)를 타설 및 양생시켜 시공된다.
하지만 상기 합성바닥판(10b)도 시공시 가설하중을 지지하기 위해서는 하부판의 두께가 커져 자중이 커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c에 도시된 합성바닥판(10c)은 주형(11c)에 의하여 지지되며 오목부와 볼록부를 가지는 요철부를 가지는 하부판(12c) 상부에 전단연결재(13c) 및 배력철근(14c)을 격자형으로 설치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시공된다.
또한 도 1d의 합성바닥판(10d)의 경우에는 대한민국 특허출원 41239호로써, 역시 주형(11d)에 의하여 지지되며 오목부와 볼록부를 가지는 요철부(A)를 가지며 전단연결재(13d)가 구비되어 있는 하부판(12d), 상기 오목부에 전단연결재(13d)가 구비된 I 형강(14d)을 설치한 뒤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시켜 시공된다.
이러한 합성바닥판(10d)의 경우 배력철근을 별도로 설치하지 않아 시공성이 향상된다는 장점은 있으나, 다수의 I 형빔 및 콘크리트의 무게에 의하여 경량화 및 공장제작에 의한 현장설치에 애로사항이 많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무엇보다고 위에서 살펴본 합성바닥판들(10a,10b,10c,10d)은 공용하중이 작용하는 경우에 발생하는 바닥판 하부의 인장응력은 모두 하부판이 부담하도록 설계되었다. 즉, 바닥판에 타설되는 하부콘크리트의 경우 상기 인장응력에 저항하지 못하고 바닥판의 자중만 증가시킬 뿐 구조적인 기능을 가진 구성으로써 작용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기 때문에 효율적인 단면으로 구성된 합성바닥판으로 이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합성바닥판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합성바닥판에 공용하중이 작용하는 등 하중이 작용할 때, 바닥판 하부콘크리트에 발생하는 인장응력을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도록 하여 구조적으로 단면성능이 향상되어, 바닥판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어 경량화를 가능하도록 하고, 이로써 운반 및 시공이 용이하여 근본적으로 모듈화된 합성바닥판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합성바닥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합성바닥판에 있어 시공성이 우수한 전단연결재의 부착방법을 수반한 합성바닥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첫째, 합성바닥판을 구성하는 하부판에 형성되는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하부바닥판재에 긴장재를 설치하고, 상기 긴장재를 긴장 후 정착시켜 바닥판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여 바닥판 하부에 형성된 콘크리트가 공용하중 등에 의한 인장응력에 저항할 수 있도록 하여 바닥판의 구조적 단면의 효율성이 증진되도록 하였다.
둘째,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은 두께가 작아 자중이 크지 않아 이를 모듈화 하여 운반 및 시공이 실질적으로 가능해지도록 함으로써, 합성바닥판의 시공이 용이해지도록 하였다.
본 발명을 보다 명확하고 용이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이하 본 발명의 최선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며,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100) 및 그 조립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2c는 상기 합성바닥판(100)의 A-A단면도이며, 도 2d는 수직보강재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합성바닥판(100)의 시공방법은 하부판(110)에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바닥판재(120)를 형성시켜 합성시킨 합성바닥판(100)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10)에 수직보강재(130)를 설치함과 더불어 긴장재(140)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보강재(130) 및 긴장재(140)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부판에 바닥판재(120)를 형성시키고,상기 바닥판에 설치된 긴장재를 긴장 후 정착시켜 바닥판 하 부에 형성된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바닥판재(120)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켜 합성바닥판을 공장에서 모듈화하여 제작하는 단계(S1); 및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모듈화된 합성바닥판을 현장에 운반하고, 합성바닥판을 설치해야 할 위치에 합성바닥판을 거치하고, 거치된 상기 합성바닥판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되는 합성바닥판의 연결부위에 연결부 바닥판재(170)를 별도로 형성시켜 복합형 합성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S2);가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S1단계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합성바닥판(100)을 공장에서 제작하는 단계이다.
상기 하부판(110)은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강판을 가공하여 요철부(A)가 연속하여 형성되도록 가공될 수 있으며 유사하게는 데크플레이트로 지칭될 수도 있으나 상기 재질 및 명칭에 의하여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상기 바닥판재(120)는 통상 콘크리트를 지칭하지만 콘크리트 이외의 재료로써 바닥판과 합성되어 작용하는 재질도 본 발명의 바닥판재에 포함된다. 이하 하부판은 강판, 바닥판재는 콘크리트를 이용하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하부판(110)은 콘크리트가 소정의 높이를 타설되는 거푸집의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합성바닥판에 공용하중이 작용할 때 발생하는 하부 인장응력에 저항하는 구조부재로 기능하게 되어 통상의 RC 바닥판과 비교하여 상기 RC바닥판의 하부인장철근의 설치 및 바닥판 인장부의 콘크리트 단면감소가 가능하게 된다.
이로써 바닥판의 자중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요철부(A) 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어 휨강성 및 뒤틀림강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는 장점도 구비된다.
상기 요철부(A)의 형상은 사다리꼴 형상, 원형, 삼감형 등 그 형상에 관계없이 오목부와 볼록부로 구성된 것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설치되는 하부판(110)은 외부에 노출되기 때문에 하부판의 부식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부식은 하부판의 내구성을 저하시키므로 그 표면에 용융아연도금처리와 같이 부식방지대를 도포시켜 부식을 방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직보강재(130)는 본 발명에서 2가지 기능을 담당하게 된다.
첫째는 공용하중에 저항하는 인장응력보강재의 역할을 하게 된다. 공용하중에 의하여 바닥판 하부에는 인장응력이 발생하고, 상부에는 압축응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인장응력은 위에서 살펴본 하부판이 대부분 부담하게 되는데, 이러한 부담이 커지는 경우 하부판의 두께를 증대시켜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하부판은 그 두께에 따라 경제성 및 제작 용이성이 결정되므로 최적의 두께로 구성시키되 이를 분담할 수 있는 대체 구성 즉, 인장응력보강재가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도 1d와 같이 이러한 인장응력보강재로써 I형강을 사용한다.
상기 수직보강재는 분담해야 하는 인장응력의 크기를 고려하여 소요의 단면을 가지는 I형강을 제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러한 수직보강재는 하부판(110)의 오목부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는데 이 는 볼록부에 설치하는 경우 불필요하게 바닥판의 두께를 증가시키는 요인이 될 뿐 만 아니라 인장응력보강재로써 하부강판의 형성위치에 위치시키는 것이 구조적으로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수직보강재의 상기 고정 설치는 용접에 의한 방법에 의할 수 있다. 수직보강재의 상부는 I형강의 상부플랜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바닥판의 상부에 발생하는 압축응력에 충분히 저항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에서는 도 1b와 같이 바닥판 상부에 격자형의 이형철근 조립체와 같은 압축보강재를 바닥재 상부에 설치하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 결국 상기 I형강은 바닥판 하부의 인장응력, 바닥판 상부의 압축응력에 저항하는 역할을 동시에 가지게 된다.
이러한 수직보강재는 바닥판에서 차지하는 공간이 커져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바닥판재(120)과의 합성을 위하여 다수의 전단연결재를 복부 및 플랜지부에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도 1d와 같이 스터드 형태의 전단연결재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 설치작업이 매우 번거롭고 품질관리가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의 수직보강재인 I형강의 경우 전단연결재를 스터드를 이용하되 판재(150)에 미리 스터드(16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상기 스터드가 설치된 판재를 I형강의 복부 및 플랜지부에 설치하도록 하였다.
상기 판재는 I형강의 단면을 증대시키기 때문에 이를 고려하여 미리 I형강의 단면을 처음부터 판재에 의하여 증대되는 면적만큼 작은 단면으로 구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e 및 도 2f는 상기 판재를 I형강에 설치하는 구체예를 도시한 것이다.
첫째, 도 2e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가공된 판재(150)에는 다수의 스터드(160)를 공장에서 미리 부착되도록 하여 제작할 수도 있지만 판재를 제작할 때 스터드가 형성된 판재로 성형시킨 것을 제작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스터드(160)가 설치된 판재(150)는 I형강의 길이방향으로 복부 및 플랜지부 상부면에 설치된다. 따라서 굴곡된 부위인 복부, 플랜지부에 스터드를 하나씩 전단연결재를 설치하는 것보다 굴곡되지 않고 평평한 판재에 전단연결재를 형성시키고, 전단연결재가 설치된 판재를 I형강에 용접등의 방법으로 설치하는 작업이 훨씬 시공성 및 작업공기가 단축된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도 2f와 같이 판재(150)를 이용하되 미리 I형강의 플랜지 및 복부에 의하여 형성되는 굴곡부의 형상으로 예컨대 ㄷ 자 형상으로 판재(150)를 제작하여 길이방향으로 판재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부착시키는 방식이다. 길이방향으로 길게 제작된 판재보다는 설치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I형강 양 측면의 굴곡부 형상으로 판재를 제작하되 상기 판재에는 전단연결재(160)가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전단연결재는 평평한 판재에 미리 형성시킨 후 전단연결재가 형성된 판재를 굴곡부의 형상으로 가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긴장재(140)는 하부판(110) 하부에 I형강인 수직보강재의 하부플랜지 양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긴장재(140)는 강연선을 포함한 텐던을 이용할 수 있는데, 강연선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강연선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강연 선이 부착식으로 설치하는 방식 및 비부착식으로 설치하는 방식으로 나눌수 있다.
상기 부착식으로 설치하는 방식은 도 3a와 같이 먼저 하부판 상부 I형강의 양 측에 쉬스(SHEATH,141)관을 설치하게 된다. 쉬스관은 추후에 강연선(142)을 삽입시킬 수 있는 공간을 형성시키는 기능을 가지게 되며 강연선이 삽입된 후에는 강연선과 쉬스관 사이를 충전시킬 수 있도록 모르타르와 같은 충진재(143)를 충전시키게 된다. 쉬스관이 매입되도록 바닥판재를 형성시킨 이전 또는 이후에 강연선을 쉬스관에 삽입시키게 된다.
상기 비부착식으로 설치하는 방식은 도 3b와 같이 쉬스관을 설치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부착식과 차이가 있다. 이에 비부착식 강연선은 통상 외피(144) 내부에 강연선(142)이 삽입된 상태로 제작되어 있으며, 외피와 강연선 사이에는 그리스가 채워져 있다. 즉 상기 외피가 쉬스관의 역할도 가지기 때문에 별도의 쉬스관을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비부착식 강연선은 바닥판재에 매립된 이후라도 언제든지 재긴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며 긴장재 설치공정이 단순화되어 시공성이 증진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긴장재(140)가 설치된 이후에는 수직보강재(130)와 더불어 긴장재가 매립되도록 콘크리트인 바닥판재(120)를 타설하게 된다.
콘크리트는 미리 정해진 소정의 높이까지 형성되도록 하되 적어도 수직보강재가 내부에 포함되도록 타설하게 되며, 하부판의 요철부에 밀실하게 충전될 수 있도록 하고 양생을 통하여 경화되도록 한다.
바닥판재(120)를 하부판에 형성시킨 후에는 긴장재를 긴장하여 바닥판재의 양 단부에 정착시킨다. 정착구는 통상의 수단을 이용하면 되며, 부착식 긴장재의 경우에는 정착 후 쉬스관에 충진제를 충진시키도록 한다.
상기와 구성된 합성바닥판은 프리캐스트 부재로 공장에서 모듈화하여 현장에서는 단순 거치되는 방식으로 설치된다.
종래의 합성바닥판의 경우 모듈화 제작이 가능하다고 하지만 I형강을 수직보강재로 이용하는 경우 경량화가 어려워 모듈화하여 설치하기에는 작업상 문제점이 많이 지적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에서는 I형강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바닥판에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하였기 때문에 바닥판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고, 이로써 중량의 콘크리트와 같은 바닥판재의 양을 줄일 수 있어 자중을 크게 감소 시킬 수 있게 된다. 왜냐하면 합성바닥판의 중량은 대부문 바닥판재인 콘크리트의 무게가 그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이다.
이에 소요의 면적 및 두께를 가지는 합성바닥판을 모듈로 제작하고, 이러한 모듈화된 합성바닥판을 공장으로부터 현장에 운반시켜 설치하게 된다.
상기 S2단계는 모듈화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되도록 합성바닥판(100)을 설치하는 단계이다.
모듈화된 합성바닥판(100)은 도 4a와 같이 현장에서 교각 위에 설치된 교량용 거더(200) 위에 설치되는데, 현장 부근 야적장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모듈화된 합성바닥판을 연결시키게 된다. 여기서 종방향은 거더의 길이방향 즉, 교축 방향이 되고 횡방향은 교축방향과 직각방향이 되며, 종방향 및 횡방향 연결은 결국 하부판의 연결 및 수직보강재의 연결작업을 요구하게 된다.
다양한 기계적이음을 통해 모듈화된 합성바닥판은 서로 연결되어 소요의 크기로 제작되어 현장에서 크레인 등과 같은 인양장치에 의하여 거더 위에 거치된다. 이때 상기 합성바닥판의 연결부는 하부판 및 수직보강재만 연결되어 있을 뿐 연결부 바닥판재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연결부에 별도로 바닥판재와 동일한 재질 또는 별도의 재질인 도 4b와 같이 연결부 바닥판재(170)를 형성시킬 필요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합성바닥판의 바닥판재와 동일한 재질의 연결부 바닥판재를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성바닥판에 의하여, 하부판, 수직보강재의 복부 하부뿐 만 아니라 긴장재에 의해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바닥판재에 압축응력이 도입됨에 따라 합성바닥판 중립축 이하의 바닥판재도 인장응력에 저항할 수 있으므로, 휨 강성이 증대되어 작은 단면으로도 보다 큰 외부하중(공용하중)을 지지할 수 있게 되며, 진동 및 처짐에도 유리하며, 높은 내피로성 확보가 가능하게 되며, 실질적인 공장에서의 모듈화에 의한 프리캐스트 제작 및 설치가 가능하게 되어 품질관리 향상에 기여할 수 있으며, 현장작업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I형강을 수직보강재로 이용함으로써 압축, 인장철근의 배근작업을 생략할 수 있으며 별도의 거푸집이 없더라도 콘크리트인 바닥판재를 형성시킬 수 있게된다.

Claims (7)

  1. 하부판(110)에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바닥판재(120)를 형성시켜 합성시킨 합성바닥판(100) 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10)에 수직보강재(130)를 설치함과 더불어 긴장재(140)를 설치하고, 상기 수직보강재(130) 및 긴장재(140)가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부판에 바닥판재(120)를 형성시키고,상기 바닥판에 설치된 긴장재를 긴장 후 정착시켜 바닥판 하부에 형성된 콘크리트를 포함하는 바닥판재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시켜 합성바닥판을 공장에서 모듈화하여 제작하는 단계; 및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모듈화된 합성바닥판을 현장에 운반하고, 합성바닥판을 설치해야 할 위치에 합성바닥판을 거치하고, 거치된 상기 합성바닥판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서로 연결하고, 상기 연결되는 합성바닥판의 연결부에 연결부 바닥판재(170)를 별도로 형성시켜 복합형 합성바닥판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10)은 강판을 가공하여 오목부(110a)와 볼록부(110b)가 구비된 요철부(A)를 더 형성시켜 제작하고, 상기 수직보강재(130)는 I형강으로써 상기 요철부(A)의 오목부(110a)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 및 I형강에 전단연결재가 추가로 더 설치하되 상기 전단연결재는, I형강의 길이방향으로 복부와 플랜지부 외부면에 부착된 강판; 및 상기 강판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스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 및 I형강에 전단연결재가 추가로 더 설치하되 상기 전단연결재는, I형강의 길이방향으로 복부와 플랜지부 외부면에 부착되며 I형강의 복부 및 플랜지부에 의하여 형성된 굴곡부의 형상으로 형성된 강판; 및 상기 강판에 돌출되도록 형성된 스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140)는, 미리 하부판에 쉬스관을 설치하고, 상기 쉬스관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부판에 바닥판재를 형성시킨 후, 상기 쉬스관에 스트랜드 다발인 텐던을 삽입하고, 상기 바닥판에 설치된 텐던을 긴장 후 정착시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긴장재는, 미리 하부판에 비부착식 스트랜드를 설치하고, 상기 쉬스관이 내부에 형성되도록 하부판에 바닥판재를 형성시킨 후, 상기 바닥판에 설치된 스트랜드를 긴장 후 정착시켜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판(110)은 부식방지재가 도포되어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1020040071064A 2004-09-07 2004-09-07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100593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064A KR100593664B1 (ko) 2004-09-07 2004-09-07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1064A KR100593664B1 (ko) 2004-09-07 2004-09-07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324A KR20060022324A (ko) 2006-03-10
KR100593664B1 true KR100593664B1 (ko) 2006-06-26

Family

ID=371288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1064A KR100593664B1 (ko) 2004-09-07 2004-09-07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9366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478B1 (ko) 2009-06-12 2011-05-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분매입형 합성 바닥판
KR101170628B1 (ko) * 2012-02-29 2012-08-02 이경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요철형 강판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슬래브교의 시공방법
KR101688773B1 (ko) 2016-06-03 2016-12-22 박용필 반전식 프리스트레스 도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 및 복원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359065B (zh) * 2011-08-05 2014-05-07 中国神华能源股份有限公司 一种桥梁
ES2537258B1 (es) * 2013-10-25 2015-12-02 Universidad De Sevilla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ón de un forjado mixto mediante chapa nervada colaborante postensado de grandes luces
CN105625619A (zh) * 2015-12-31 2016-06-01 扬州大学 内置空心方钢管的压型钢板混凝土双向组合楼板
CN108316533A (zh) * 2018-03-23 2018-07-24 江苏东尚住宅工业有限公司 双向叠合板与预应力混凝土预制板构件及制作与施工方法
KR102000531B1 (ko) * 2019-01-09 2019-10-01 김찬녕 하이브리드 모듈형 슬래브 시공방법
KR102462235B1 (ko) * 2021-08-18 2022-11-03 이노스텍 주식회사 철도용 하로교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478B1 (ko) 2009-06-12 2011-05-2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부분매입형 합성 바닥판
KR101170628B1 (ko) * 2012-02-29 2012-08-02 이경표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요철형 강판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강합성 슬래브교의 시공방법
KR101688773B1 (ko) 2016-06-03 2016-12-22 박용필 반전식 프리스트레스 도입장치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의 보강 및 복원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2324A (ko) 200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23757B1 (ko)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트러스 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78876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 라멘교 시공방법
KR20040046673A (ko) 프리캐스트 조립구조에 의한 고소 교각 및 그 시공방법
KR101045929B1 (ko) 친환경 프리스트레스 장경간 경량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패널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693256B1 (ko) 조립식 psc 교량의 시공방법
KR101270733B1 (ko) 강상판데크 일체식 복합구조의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의 시공방법
CA2023198C (en) Composite gird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593664B1 (ko)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합성바닥판 시공방법
KR100343960B1 (ko) 강콘크리트 구조시스템
JP2006009449A (ja) トラスパネル桁およびプレキャストトラスパネル
KR100894650B1 (ko) 프리플렉션 하중이 도입된 라멘교 및 그 시공방법
KR100634344B1 (ko) 합성바닥판 및 그 연결구조
KR100652353B1 (ko) 콘크리트건축물의 바닥슬래브 시공방법
KR100522298B1 (ko) 개량된 프리스트레스트 철골 철근 콘크리트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140125754A (ko) 교각 연속지점부를 거더 연결형 코핑부로 형성하는 교량 시공 방법
KR100489383B1 (ko) 요철형 데크플레이트와 아이형 빔의 복합형 합성 바닥판및 그 시공방법
KR101067717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구조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90709A (ko) 교각 또는 교대 위에서 상부 플랜지 콘크리트와 바닥판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복부파형강판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합성빔 교량의 시공방법
KR20080111973A (ko) 프리스트레스 강합성빔 및 그 제작 방법
KR200383489Y1 (ko) 영구 구조체로 이용되는 frp 구조체를 사용한 복합 철근콘크리트 보 구축 시스템
KR101476411B1 (ko) 포스트텐션 방식으로 연속화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를 이용한 건축물용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골조
KR20100121865A (ko) 피알씨 복합화 공법을 이용한 건축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0492885B1 (ko) 하부연결재와 루프 철근에 의한 이음구조를 가진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바닥판 및 그 시공방법
KR100580223B1 (ko) 상하부 플랜지에 다양한 형태의 강판을 사용한프리스트레스트 스틸 철근 콘크리트빔 및 이를 이용한교량 설치방법
KR100913161B1 (ko) 프리스트레스트 강합성보의 제작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0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2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