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4553A -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10154553A KR20210154553A KR1020200071686A KR20200071686A KR20210154553A KR 20210154553 A KR20210154553 A KR 20210154553A KR 1020200071686 A KR1020200071686 A KR 1020200071686A KR 20200071686 A KR20200071686 A KR 20200071686A KR 20210154553 A KR20210154553 A KR 2021015455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ire
- hanger
- cable
- bypass cable
- bypas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H02G1/04—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for mounting or stretch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2—Devices for maintaining distance between parallel conductors, e.g. spacer
Landscapes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쐐기를 이용하여 조가선을 고정하는 인장클램프와, 조가선에 바이패스케이블을 걸어서 연결해주는 케이블걸이 및 조가선을 당겨주는 윈치를 이용하여 조가선을 주상에 인상하여 고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조가선에 케이블걸이로 걸려있는 바이패스케이블 또한 가공 설치되고, 이에 따라 바이패스케이블이 지면에 포설되는 경우에 발생하는 통행 방해, 민원 발생, 바이패스케이블 손상, 공사 지연 등의 제반 문제가 해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배전선로에 설치되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주상에 설치하는데 이용되는 장치와 그 장치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설치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전선로(L) 교체 시에는 수용가에 전력 공급이 중단되지 않도록 전선교체구간에 병렬로 바이패스케이블(4)을 설치하여 바이패스케이블(4)을 통한 전력 공급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교체 작업을 실시하고 있다.
바이패스케이블(4)의 양단은 점퍼선(2,2′)과 공사용 개폐기(3,3′)를 매개로 배전선로(L)에 연결된다.
그런데,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케이블(4)이 지면에 포설되기 때문에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이 불편하여 민원이 자주 발생하고, 차량에 의해 바이패스케이블(4)의 손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이 적은 주말이나 휴일에 공사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아 협력업체(전선 교체 작업 시행 회사)의 불만이 가중되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지면 포설 공법은 전선 교체 구간이 자동차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날씨 등 긴급 상황으로 공사가 불가할 때는 바이패스케이블을 일단 철거했다가 상황이 종료되면 다시 재설치해야만 했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작업 재개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민원 발생이 방지되고, 차량에 의한 바이패스케이블 손상이 방지되며, 일부러 휴일에 작업할 필요가 없고, 자동차 도로를 횡단하는 구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며, 작업 중단 시에도 바이패스케이블을 철거할 필요가 없도록 된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는, 일단이 전선교체구간의 일측 전주에 고정된 조가선과; 상기 전선교체구간의 타측 전주에 설치되어 상기 조가선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조가선의 타단을 고정해주는 인장클램프와; 상기 조가선과 바이패스케이블을 연결해주는 복수의 케이블걸이 및; 상기 조가선의 타단을 당겨서 조가선과 함께 바이패스케이블을 인상하는 윈치;를 포함한다.
상기 인장클램프는 행거밴드에 장착된 행거바디와; 상기 행거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된 쐐기홀과; 상기 쐐기홀에 삽입된 쐐기;를 포함한다.
상기 조가선은 상기 쐐기의 하부로 상기 쐐기홀을 관통한다.
상기 쐐기홀의 바닥면에는 조가선의 하반부가 삽입되는 오목한 형상의 조가선홈이 쫴기홀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걸이는 중간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에 1개 형성된 상부행거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3개 형성된 하부행거;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행거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걸이부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행거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걸이부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방법은, 전선교체구간의 일측 전주에 행거밴드를 설치하는 행거밴드 설치단계와; 상기 전선교체구간의 타측 전주에 인장클램프를 설치하는 인장클램프 설치단계와; 가공 배전선로에 바이패스케이블을 병렬로 연결하되 바이패스케이블을 지상으로 늘어뜨려 지면에 포설해두는 바이패스케이블 설치단계와; 상기 일측 전주의 행거밴드에 조가선의 일단을 고정하는 조가선 일단 고정단계와; 상기 바이패스케이블의 3상 각 선을 케이블걸이의 하부행거 걸이부에 걸어주는 바이패스케이블에 케이블걸이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조가선에 케이블걸이의 상부행거 걸이부를 걸어주는 조가선에 케이블걸이를 연결하는 단계와; 상기 조가선의 타단부를 상기 인장클램프에 통과시키는 조가선 타단 인장클램프 통과단계와; 상기 인장클램프를 통과한 조가선의 타단부를 지상에 설치된 윈치에 연결하는 조가선 윈치 연결단계와; 상기 윈치를 작동시켜 조가선 및 그에 연결된 케이블걸이와 바이패스케이블을 모두 함께 상방으로 인상하는 조가선 인상단계 및; 상기 윈치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인장클램프로 조가선을 고정해주는 조가선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조가선 고정단계 이후에 바이패스케이블과 배전선로 사이에 설치된 공사용 개폐기를 ON시켜서 바이패스케이블을 통해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사용 개폐기 작동단계;를 더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바이패스케이블이 가공 설치되기 때문에 차량 및 사람의 통행에 영향을 주지 않아 통행 불편에 따른 민원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바이패스케이블을 차량이 밟고 지나가지 않으므로 바이패스케이블의 파손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 공사를 차량 및 사람의 통행이 적은 주말이나 휴일에 실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협력업체의 불만도 감소된다.
또한 바이패스케이블이 공중에 설치되므로 전선 교체 구간이 자동차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에도 별다른 문제없이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날씨 등 긴급 상황으로 공사가 불가할 때도 바이패스케이블을 그대로 두었다가 작업 재개시 즉시 작업을 시작할 수 있으므로 바이패스케이블을 철거하거나 재설치 하는 부가 작업이 필요 없고, 이에 전선 교체 작업을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지면 포설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의 일 구성인 케이블걸이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케이블걸이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의 일 구성인 인장클램프의 설치 상태 및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기 인장클래프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방법의 순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의 일 구성인 케이블걸이의 사시도.
도 4는 상기 케이블걸이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의 일 구성인 인장클램프의 설치 상태 및 작동 전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기 인장클래프의 작동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방법의 순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의 설치 상태도로서 바이패스케이블을 인상하기 이전의 준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는 일단이 전선교체구간의 일측 전주(1′)에 고정된 조가선(30)과, 전선교체구간의 타측 전주(1)에 설치되고 상기 조가선(30)의 타단이 통과된 상태에서 조가선(30) 인상이 완료된 후 조가선(30)의 장력을 유지해주는 인장클램프(20)와, 상기 조가선(30)과 바이패스케이블(4)을 연결해주는 복수의 케이블걸이(40) 및 상기 조가선(30)의 타단을 권취하여 조가선(30)과 함께 바이패스케이블(4)을 인상하는 윈치(50)를 포함한다.
도 2에서 도면부호 L은 가공 배전선로, 도면부호 1,2,3은 전원측의 전주, 점퍼선, 공사용 개폐기이고, 도면부호 1′,2′,3′는 부하측의 전주, 점퍼선, 공사용 개폐기이다.
공사용 개폐기(3,3′)는 지면에서 사람이 조작할 수 있는 높이로 전주(1,1′)에 설치되며, 공사용 개폐기(3,3′)의 일측 단자는 점퍼선(2,2′)으로 배전선로(L)에 연결된다. 또한 양측 공사용 개폐기(3,3′)가 바이패스케이블(4)로 연결됨으로써 바이패스케이블(4)을 통한 전력 우회 공급 경로가 형성된다.
상기 행거밴드(10)는 전주를 감싸는 스틸 밴드로서 볼트 조임에 의해 밴드 내경을 감소시켜 전주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전주에 전력설비들을 설치할 때 많이 이용되며 본 발명에 있어서도 전선교체구간의 일측 전주(1′)에 조가선(30)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기존에 널리 사용되는 것이고 특별한 구조를 갖는 것도 아니므로 그 상세한 도시는 생략한다.
상기 조가선(30)은 다수의 심선을 꼬아 강한 인장력을 가지도록 제작되며 다른 케이블 등을 매달아 가공 설치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조가선(30)은 행거밴드(10)에 고정되지 않은 타단이 인장클램프(20)를 통과하여 윈치(50)에 연결된다. 인장클램프(20)는 행거밴드(10)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며(이 역시 또 다른 행거밴드를 매개로 전주(1)에 고정된다), 상기 조가선(30)은 바이패스케이블(4)과 함께 지면에 놓일 수 있도록 여유 있는 길이를 갖는다.
상기 행거밴드(10)와 인장클램프(20)는 이후 설명하는 방식으로 바이패스케이블(4)을 인상할 때 바이패스케이블(4)을 차량 및 사람의 통행에 영향을 주지 않는 안전한 높이로 인상시킬 수 있는 높이에 설치된다. 즉 행거밴드(10)와 인장클램프(20)에 설치되는 조가선(30)이 상기 조건을 만족하는 높이에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걸이(40)는 조가선(30)에 걸려지는 상부행거(42)와, 바이패스케이블(4)이 걸려지는 하부행거(43)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행거(42)와 하부행거(43)는 각각 케이블걸이(40)의 중심부인 바디부(41)의 상부와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상부행거(42)는 케이블걸이(40)를 조가선(30)에 걸어주기 위한 것으로 1개만 있으면 족하며, 그 상단에 걸이부(42a)가 형성된다. 걸이부(42a)는 조가선(30)이 삽입되는 개구가 하방으로 형성되고 그 상부는 조가선(30)을 수용하여 케이블걸이(40)가 조가선(30)에 걸려 있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방으로 둥글게 말려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행거(43)는 바이패스케이블(4)의 3상선을 각각 걸어주기 위하여 총 3개가 형성된다. 3개의 하부행거(43) 단부에는 각각의 걸이부(43a)가 형성된다. 걸이부(43a)는 바이패스케이블(4)의 각 선이 삽입되는 개구가 상부에 형성되고 그 하부는 바이패스케이블(4)의 각 선을 수용하여 지지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방으로 둥글게 말려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도 4와 같이 상부행거(42)의 걸이부(42a)가 조가선(30)에 걸려지고, 각 하부행거(43)의 걸이부(43a)에 바이패스케이블(4)의 3상선이 각각 걸려짐으로써 케이블걸이(40)를 매개로 조가선(30)에 바이패스케이블(4)이 연결된다.
바이패스케이블(4)이 조가선(30)과 함께 안정적으로 인상될 수 있도록 지면에 포설된 바이패스케이블(4)의 전구간에 걸쳐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케이블걸이(40)가 설치된다.
상기 인장클램프(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밴드(24)를 매개로 전주(1)에 고정된다. 상기 인장클램프(20)는 클램프바디(21)를 수평으로 관통하여 쐐기홀(22)이 형성되고, 그 쐐기홀(22)에 쐐기(23)가 삽입된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쐐기홀(22)과 쐐기(23)는 높이가 낮은 단부(경사 하방)가 윈치(50)에 의해 조가선(30)이 당겨지는 방향의 반대쪽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 및 설치되어 있다.
상기 쐐기홀(22)은 클램프바디(21)의 양쪽 측면으로 개구되어 있어 쐐기홀(22)을 통해 조가선(30)이 통과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 조가선(30)은 쐐기홀(22) 통과시 쐐기(23)의 아래쪽으로 지나가게 되는데 쐐기홀(22)의 바닥면에는 하방으로 오목한 조가선홈(22a)이 쐐기홀(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전체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조가선(30)을 쐐기(23)의 하부로 통과시키는 작업을 좀 더 쉽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조가선홈(22a)은 클램프바디(21)와 조가선(30)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이후 쐐기(23)가 작동할 때 보다 강한 고정력이 발생할 수 있도록 해 준다.
상기 윈치(50)는 인장클램프(20)가 설치된 전주(1)의 외측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조가선(30)의 타단이 연결된다.
따라서 윈치(50)로 인장클램프(20)를 권취하여 당겨줌으로써 조가선(30)을 인상(상승)시킬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케이블걸이(40)를 매개로 바이패스케이블(4)이 조가선(30)을 따라 인상된다.
조가선(30)이 완전히 인상된 뒤에는 상기 윈치(50)의 작동을 중지하여도 도 6과 같이 상기 쐐기(23)가 쐐기홀(22)의 좁은 쪽(화살표 A 방향)으로 이동하여 쐐기 작용에 의해 조가선(30)을 눌러 고정해주며, 이로써 별도의 장선기(케이블을 당기거나 당긴 상태를 고정해주는 기구) 없이도 조가선(30)의 장력을 유지하여 바이패스케이블(4)의 가공 설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방법은, 행거밴드 설치단계(S10), 인장클램프 설치단계(S20), 바이패스케이블 설치단계(S30), 조가선 일단 고정단계(S40), 바이패스케이블에 케이블걸이를 연결하는 단계(S50), 조가선에 케이블걸이를 연결하는 단계(S60), 조가선 타단 인장클램프 통과단계(S70), 조가선 윈치 연결단계(S80), 조가선 인상단계(S90), 조가선 고정단계(S100)를 포함한다.
상기 행거밴드 설치단계(S10)는 조가선(30)의 일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행거밴드(10)를 전선교체구간의 양단 전주 중 일측 전주(1′)(도 2에는 부하측 전주에 설치된 예가 도시됨)에 설치하는 것이다. 행거밴드(10)에 조가선(30)을 고정하기 위한 별도의 브라켓, 클램프 등을 부가 설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인장클램프 설치단계(S20)는 조가선(30)의 타단부를 고정하기 위한 인장클램프(20)를 전선교체구간의 양단 전주 중 타측 전주(1)에 설치하는 것이다. 도 5를 예로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인장클램프(20) 역시 행거밴드(24)로 전주(1)에 설치된다. 인장클램프(20)는 송전 또는 배전 선로의 장력이 가해지는 곳에서 전선을 고정하기 위해 쓰는 금구류를 총칭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인장클램프(20)의 세부 구성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바이패스케이블 설치단계(S30)는 바이패스케이블(4)을 배전선로(L)에 병렬로 설치하는 것으로, 도 2와 같이 점퍼선(2,2′)과 공사용 개폐기(3,3′) 등을 이용하여 바이패스케이블(4)에 의한 우회선로를 만드는 것이다. 이 단계에서 바이패스케이블(4)은 지면에 포설된 상태이다.
위 세 단계(S10, S20, S30)은 바이패스케이블(4) 인상을 위한 준비 작업으로서 스텝 번호를 붙여 표시하였으나 그 순서에 의미는 없으며 다른 순서 또는 동시에 작업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조가선 일단 고정단계(S40)는 일측 전주(1′)에 고정된 행거밴드(10)에 조가선(30)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단계이다.
이 단계에서 일단부가 고정된 조가선(30)은 지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바이패스케이블(4)과 나란히 늘여놓는 것이 이후 케이블걸이(40)를 설치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바이패스케이블에 케이블걸이를 연결하는 단계(S50)는 케이블걸이(40)의 하부행거(43) 각각에 바이패스케이블(4)의 3상선을 각각 걸어주는 것으로 하부행거(43)의 걸이부(43a)에 바이패스케이블(4)의 각 선이 삽입 안착된다.
상기 조가선에 케이블걸이를 연결하는 단계(S60)는 케이블걸이(40)의 상부행거(42)에 조가선(30)을 걸어주는 것으로 상부행거(42)의 걸이부(42a)를 조가선(30)에 걸어주는 것이다.
상기 두 단계에 의해 조가선(30)과 바이패스케이블(4)이 케이블걸이(40)에 의해 연결된다. 이때 케이블걸이(40)는 다수 개 구비되어 일정한 간격마다 설치된다. 이에 따라 조가선(30)이 인상될 때 바이패스케이블(4)이 조가선(30)을 따라 원활하게 인상될 수 있다.
상기 두 단계(S50과 S60) 즉, 상기 바이패스케이블에 케이블걸이를 연결하는 단계(S50)와 조가선에 케이블걸이를 연결하는 단계(S60)는 그 순서를 서로 바꾸어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조가선 타단 인장클램프 통과단계(S70)는 조가선(30)의 타단 즉, 전주(1′)에 행거밴드(10)로 고정된 쪽의 반대쪽 단부를 인장클램프(20)에 통과시키는 단계이다.
인장클램프(20)에 형성된 쐐기홀(22)의 좁은쪽 개구(쐐기 입구의 반대쪽)로 조가선(30)을 집어 넣고 쐐기홀(22)의 반대쪽으로 빼낸다. 이때 조가선(30)은 쐐기(23)의 하부를 통과하게 되며 쐐기홀(22)의 바닥면에 형성된 조가선홈(22a)에 하반부가 안착된 상태에서 삽입 경로를 안내받을 수 있다. 이후의 쐐기(23) 작동시에도 조가선(30)은 조가선홈(22a)에 안착되어 있는 것이 쐐기(23)에 의한 고정력이 발생하는데 도움이 된다.
상기 조가선 윈치 연결단계(S80)는 인장클램프(20)를 통과한 조가선(30)의 타단부를 지상에 있는 윈치(50)에 연결하여 윈치(50)로 조가선(30)을 당겨줄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 놓는 것이다.
상기 조가선 인상단계(S90)는 위의 모든 단계(S10 내지 S80)가 실시된 후 실시되는 것으로, 윈치(50)를 작동시켜 조가선(30)을 감아 들임으로써 조가선(30)을 당겨주는 것이다.
윈치(50)의 작동은 조가선(30)이 완전히 인상되어 적절한 장력으로 팽팽히 당겨진 상태를 갖는 상태까지 계속된다.
상기 조가선 고정단계(S100)는 조가선(30)이 적절한 장력 및 높이로 당겨졌을 때 윈치(50)를 정지시키고 인장클램프(20)에 의해 조가선(30)을 고정하는 단계이다.
윈치(50)가 정지되면 조가선(30)에 걸리는 하중(조가선 자체, 다수의 케이블걸이, 케이블걸이에 걸려 있는 바이패스케이블의 중량에 의한 하중)에 의해 조가선(30)이 인장클램프(20)로부터 역으로 빠져나가는 방향(도 6의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하는데, 그와 동시에 조가선(30)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쐐기(23)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여 쐐기홀(22)의 내부에 박히게 된다. 따라서 쐐기 작용에 의해 쐐기(23)와 쐐기홀(22)의 바닥면 사이에 조가선(30)이 강하게 압착되어 인장클램프(20)에 견고하게 고정된다.
한편, 상기 쐐기(23)가 조가선(30)과의 마찰에 의해 충분히 신속히 또한 강력하게 작동되지 않는 경우에는 쐐기홀(22)의 넓은 개구를 통해 작업자가 직접 쐐기(23)를 그 내측으로 박아 넣음으로써 고정력을 발생시킬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와 같이 조가선(30)이 원하는 높이로 인상되면, 케이블걸이(40)에 의해 조가선(30)과 함께 인상된 바이패스케이블(4) 역시 목적한 높이에 설치된다. 즉 바이패스케이블(4)의 하부로 차량이나 사람이 자유롭게 왕래할 수 있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공사용 개폐기 작동단계(S110)를 수행하여 양측 공사용 개폐기(3,3′)를 ON상태로 전환함으로써 바이패스케이블(4)을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방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의 혼선 없이 용이하고 신속하게 바이패스케이블을 주상에 설치 즉, 가공 상태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바이패스케이블(4)이 가공 설치됨으로써 바이패스케이블이 차량과 사람의 통행을 방해하지 않으므로 통행 불편에 따른 민원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차량이 바이패스케이블을 밟고 지나가지 않게 되므로 바이패스케이블의 손상이 방지된다.
상기와 같은 이유에 의해 배전 선로 교체 공사를 일부러 통행량이 적은 주말이나 휴일에 실시할 필요가 없으므로 협력업체의 불만도 감소된다.
또한 바이패스케이블이 공중에 설치되므로 전선 교체 구간이 자동차 도로를 횡단하는 경우에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날씨 등 긴급 상황으로 공사가 불가할 때도 바이패스케이블을 철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다음 날 작업을 신속하게 재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1′ : 전주 2,2′ : 점퍼선
3,3′ : 공사용 개폐기 4 : 바이패스케이블
10 : 행거밴드 20 : 인장클램프
21 : 클램프바디 22 : 쐐기홀
22a : 조가선홈 23 : 쐐기
24 : 행거밴드 30 : 조가선
40 : 케이블걸이 41 : 바디부
42 : 상부행거 43 : 하부행거
42a,43a : 걸이부 50 : 윈치
3,3′ : 공사용 개폐기 4 : 바이패스케이블
10 : 행거밴드 20 : 인장클램프
21 : 클램프바디 22 : 쐐기홀
22a : 조가선홈 23 : 쐐기
24 : 행거밴드 30 : 조가선
40 : 케이블걸이 41 : 바디부
42 : 상부행거 43 : 하부행거
42a,43a : 걸이부 50 : 윈치
Claims (9)
- 일단이 전선교체구간의 일측 전주에 고정된 조가선과;
상기 전선교체구간의 타측 전주에 설치되어 상기 조가선의 장력이 유지되도록 조가선의 타단을 고정해주는 인장클램프와;
상기 조가선과 바이패스케이블을 연결해주는 복수의 케이블걸이 및;
상기 조가선의 타단을 당겨서 조가선과 함께 바이패스케이블을 인상하는 윈치;
를 포함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장클램프는 행거밴드에 장착된 행거바디와;
상기 행거바디를 관통하여 형성된 쐐기홀과;
상기 쐐기홀에 삽입된 쐐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은 상기 쐐기의 하부로 상기 쐐기홀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쐐기홀의 바닥면에는 조가선의 하반부가 삽입되는 오목한 형상의 조가선홈이 쫴기홀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걸이는 중간의 바디와;
상기 바디의 상부에 1개 형성된 상부행거와;
상기 바디의 하부에 3개 형성된 하부행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상부행거의 상단에는 하방으로 개구된 걸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하부행거의 하단에는 상방으로 개구된 걸이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 전선교체구간의 일측 전주에 행거밴드를 설치하는 행거밴드 설치단계(S10)와;
상기 전선교체구간의 타측 전주에 인장클램프를 설치하는 인장클램프 설치단계(S20)와;
가공 배전선로에 바이패스케이블을 병렬로 연결하되 바이패스케이블을 지상으로 늘어뜨려 지면에 포설해두는 바이패스케이블 설치단계(S30)와;
상기 일측 전주의 행거밴드에 조가선의 일단을 고정하는 조가선 일단 고정단계(S40)와;
상기 바이패스케이블의 3상 각 선을 케이블걸이의 하부행거 걸이부에 걸어주는 바이패스케이블에 케이블걸이를 연결하는 단계(S50)와;
상기 조가선에 케이블걸이의 상부행거 걸이부를 걸어주는 조가선에 케이블걸이를 연결하는 단계(S60)와;
상기 조가선의 타단부를 상기 인장클램프에 통과시키는 조가선 타단 인장클램프 통과단계(S70)와;
상기 인장클램프를 통과한 조가선의 타단부를 지상에 설치된 윈치에 연결하는 조가선 윈치 연결단계(S80)와;
상기 윈치를 작동시켜 조가선 및 그에 연결된 케이블걸이와 바이패스케이블을 모두 함께 상방으로 인상하는 조가선 인상단계(S90) 및;
상기 윈치의 작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인장클램프로 조가선을 고정해주는 조가선 고정단계(S100);
를 포함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방법.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조가선 고정단계(S100) 이후에 바이패스케이블과 배전선로 사이에 설치된 공사용 개폐기를 ON시켜서 바이패스케이블을 통해 전류가 공급되도록 하는 공사용 개폐기 작동단계(S110);
를 더 실시하는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1686A KR102390332B1 (ko) | 2020-06-12 | 2020-06-12 |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71686A KR102390332B1 (ko) | 2020-06-12 | 2020-06-12 |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154553A true KR20210154553A (ko) | 2021-12-21 |
KR102390332B1 KR102390332B1 (ko) | 2022-04-26 |
Family
ID=79165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71686A KR102390332B1 (ko) | 2020-06-12 | 2020-06-12 |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39033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18848A (ko) | 2022-08-03 | 2024-02-14 | 한국전력공사 | 바이패스 케이블 주상 설치장치 및 그 설치방법 |
KR20240022147A (ko) | 2022-08-11 | 2024-02-20 | 한국전력공사 | 바이패스 케이블용 조가선 행거 장치 및 무정전 배전공사용 바이패스 케이블 거치 방법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3945Y1 (ko) * | 2000-11-18 | 2001-05-15 | 권종원 | 케이블 지지용 케이블 행거 |
KR100842282B1 (ko) * | 2007-01-03 | 2008-06-30 | 주식회사 동해 | 무정전 바이패스 주상 배전장치 및 방법 |
KR101103553B1 (ko) * | 2011-03-07 | 2012-01-06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격유지용 절연 가이더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 |
KR20120000834U (ko) * | 2010-07-26 | 2012-02-06 | 김철우 | 와이어로프 멈춤 장치 |
CN103441451A (zh) * | 2013-08-26 | 2013-12-11 | 国网河南省电力公司周口供电公司 | 一种架空线路跨越敷线装置 |
KR101766162B1 (ko) | 2016-11-18 | 2017-08-08 | 대원전기 주식회사 |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
-
2020
- 2020-06-12 KR KR1020200071686A patent/KR10239033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23945Y1 (ko) * | 2000-11-18 | 2001-05-15 | 권종원 | 케이블 지지용 케이블 행거 |
KR100842282B1 (ko) * | 2007-01-03 | 2008-06-30 | 주식회사 동해 | 무정전 바이패스 주상 배전장치 및 방법 |
KR20120000834U (ko) * | 2010-07-26 | 2012-02-06 | 김철우 | 와이어로프 멈춤 장치 |
KR101103553B1 (ko) * | 2011-03-07 | 2012-01-06 | 대원전기 주식회사 | 간격유지용 절연 가이더를 이용한 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 |
CN103441451A (zh) * | 2013-08-26 | 2013-12-11 | 国网河南省电力公司周口供电公司 | 一种架空线路跨越敷线装置 |
KR101766162B1 (ko) | 2016-11-18 | 2017-08-08 | 대원전기 주식회사 |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390332B1 (ko) | 2022-04-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90332B1 (ko) | 바이패스케이블 주상 설치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40101909A (ko) | 케이블 가설용 행거 | |
KR102390667B1 (ko) | 간접 활선용 임시걸이구 | |
KR101198257B1 (ko) | 통신케이블용 서스펜션 | |
EP1855364A1 (en) | Machine for tightening the conductor cables of overhead electrical lines | |
JP2004302418A (ja) | ケーブル留め具 | |
EP1419324A1 (en) | Suspending equipment | |
JP2003189433A (ja) | 配電線工事施工法とそれに使用する工具 | |
JP2005510993A (ja) | コード保持具 | |
KR102413386B1 (ko) | 무정전 바이패스 케이블의 주상 포설 방법 | |
JP5114220B2 (ja) | 光ドロップケーブル引留具 | |
JP4588394B2 (ja) | ケーブルの支持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 |
KR200412783Y1 (ko) | 단상 2선식인입선용 인류애자(pvc) | |
JP5944361B2 (ja) | 一束化管路の構築方法及び架空ケーブルの布設方法 | |
JP7494514B2 (ja) | 引込線撤去工事方法、支持点フックおよびクランプ | |
KR100517886B1 (ko) | 통신케이블 가설용 조가선 긴장 조절장치 | |
JP6894547B1 (ja) | 架線交差方法および架線交差具 | |
US20240305082A1 (en) | Hook apparatus for hanging a cable and the like | |
JP4181507B2 (ja) | ファイバーケーブルの敷設構造、敷設方法及びメンテナンス方法 | |
US20230299568A1 (en) | Rope Brake | |
KR101876327B1 (ko) | 전력선에 권선되는 아마로드의 끝선정렬 고정부재 | |
KR960006574Y1 (ko) | 인입선 걸이 | |
JP2004080845A (ja) | 吊線装柱金具並びに接続金具及びこれらを使用した吊線延設工法 | |
KR200330550Y1 (ko) | 통신케이블 가설용 조가선 긴장 조절장치 | |
JP3915958B2 (ja) | 架設用線材の架設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