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8445B1 -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 Google Patents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8445B1
KR102128445B1 KR1020180121682A KR20180121682A KR102128445B1 KR 102128445 B1 KR102128445 B1 KR 102128445B1 KR 1020180121682 A KR1020180121682 A KR 1020180121682A KR 20180121682 A KR20180121682 A KR 20180121682A KR 102128445 B1 KR102128445 B1 KR 1021284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voltage
construction
low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16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1535A (ko
Inventor
이기운
라동춘
주상도
엄주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801216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84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415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15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84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84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4Arrangements for interchanging inductances, transformers or coils thereof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5/00Arrangements for measuring phase angle between a voltage and a current or between voltages or curr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9/00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 H01F29/02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 H01F29/04Variable transformers or inductances not covered by group H01F21/00 with tappings on coil or winding; with provision for rearrangement or interconnection of windings having provision for tap-changing without interrupting the load curr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고압전력을 입력받는 고압부와 상기 고압부에서 입력받은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부와 상기 변압부에서 변환된 저압전력을 출력하는 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압부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에 인가되는 고압전력을 개폐하는 고압 개폐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부는 입력받은 고압전력을 그대로 바이패스시켜 다른 곳으로 보낼 수 있는 바이패스 모듈과 고압선로 검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압부는 상기 변압부에서 변환된 저압전력을 저압선로에 인가 또는 차단하는 저압 개폐기를 포함하는 One-package형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Three Phases Pole Transformer for Uninterruptible Power Construction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에 관한 것으로, 고압전력을 입력받는 고압부와 상기 고압부에서 입력받은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부와 상기 변압부에서 변환된 저압전력을 출력하는 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압부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에 인가되는 고압전력을 개폐하는 고압 개폐기를 포함하고, 상기 고압부는 입력받은 고압전력을 그대로 바이패스시켜 다른 곳으로 보낼 수 있는 바이패스 모듈과 고압선로 검상기를 포함하고, 상기 저압부는 상기 변압부에서 변환된 저압전력을 저압선로에 인가 또는 차단하는 저압 개폐기를 포함하는 One-package형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에 관한 것이다.
무정전 공법이란 배전 활선작업 공법과 임시 송전공법 및 직접 송전공법을 이용하여 정전 없이 작업을 시행하는 공법을 말한다.
활선작업 공법이란, 고압이상의 전압이 가압된 선로나 기기에서 배전 활선전기원이 활선공구를 이용하여 간접적으로 시행하는 간접공법과 활선작업차의 버킷에 승탑 하여 고무장갑 등의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선로에서 직접 작업하는 직접공법을 말한다. 활선간접공법에는 인하선 연결, 분기점퍼선 연결, 현수애자 교체, 할입주 신설 및 전주 교체와 같이 5개 공법이 있으며, 현재는 주로 활선작업차가 진입이 안 되는 장소에만 국한하여 시행하고 있다. 활선직접공법에는 인하선 연결, 분기점퍼선 연결, COS 교체, 현수애자 교체, 전주 교체, 장주 변경 및 개폐기 신설 등의 공법이 있다.
임시 송전공법이란, 배전활선공법을 적용할 수 없는 복잡한 선로에 대하여 작업구간에 바이패스케이블, 이동용변압기장치 및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임시로 전력을 공급하면서 작업구간을 선로에서 분리하여 정전상태에서 작업을 시행하는 것을 말한다.
바이패스(by-pass) 케이블 공법이란, 분기선로, 특고압 고객 책임분계점 등 활선작업으로 교체 및 이설이 불가능한 설비가 공사 구간 내에 있을 경우 공사구간의 전원 및 부하 측을 바이패스(by-pass) 케이블을 이용하여 임시로 전력을 송전하면서 공사구간의 전원 측 및 부하 측 점퍼선을 활선작업으로 분리 후 사선 상태에서 교체 및 이설 시공하는 공법이다.
이동용 변압기 공법이란, 저압부하의 정전 없이 주상변압기를 교체 및 이설하거나 공급방식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 이동용변압기를 이용하여 저압고객에게 임시로 전력을 공급하면서 주상변압기는 사선상태에서 교체하는 공법이다
공사용 개폐기 공법이란, 공사구간 내에 부하가 없고 공사구간 이후 부하를 타 선로로 절체 할 수 있는 경우 공사구간 부하 측에 공사용개폐기를 설치하여 공사구간 이후는 부하전환을 시행한 다음 공사구간의 전원 측 점퍼선을 활선으로 분리하고 공사구간에서는 사선으로 작업을 시행하는 공법이다.
이러한 무정전 공법은, 순간의 정전도 허용하지 않는 고품질 전력에 대한 수요 요구에 부응하기 위한 것이지만, 많은 장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주상변압기와 관련된 무정전 공법의 문제점을 설명하면,
먼저 이동용 변압기차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은, 버킷트럭, 변압기차, 오가크레인, 자재 운송차 등 최소 4종 이상의 장비 필요하며, 협소한 도로에서 일반인 및 차량 통행에 불편 초래하고, 변압기 차량 운행에 따른 유해가스 배출문제 및 변압기차 운용에 따른 기계경비 및 운전원 추가에 따른 경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발전기차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은, 발전차 운용에 따른 기계경비 및 장비 운송료가 과다한 문제, 고가의 장비 구입 및 유지에 따른 협력업체 부담이 증가하는 문제, 발전기 가동에 따른 소음 및 매연 발생으로 민원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단상변압기 활선교체 공법은, 단상변압기 교체와 3상화만 가능하여 3상 변대 작업 불가로 시공에 제한이 있으며, 활선 변압기 근접작업으로 위험부담이 높아서 현재는 시행하지 않는 공법이다.
ESS 차량 공법은, 고가의 장비 구입으로 시공업체 경제적 부담이 가중되며, 배터리 충전 시 전력비용, 공사횟수 및 용량 제한으로 시공업체의 비용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특고압 개폐 및 차단, 선로 바이패스용 개폐기, 특고압 및 저압 검상 장치 및 저압측 개폐 및 차단 기능을 갖는 One-package형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로 바이패스용 개폐기 기능이 있어 단독으로도 무정전 공법 수행 가능한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정전 변압기 교체 공법,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무정전 개폐기 공법은,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이용한 공법으로서, 무정전 공법에 투입되는 장비를 최소화하고 작업공간(면적)을 축소하여 장비 구입비와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자 및 일반인의 안전도를 향상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는 실시예를 가진다.
본 발명은, 고압전력을 입력받는 고압부와 상기 고압부에서 입력받은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부와 상기 변압부에서 변환된 저압전력을 출력하는 저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변압부는 변압기와, 상기 변압기에 인가되는 고압전력을 개폐하는 고압 개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압 개폐기는, 변압기 내부고장 및 일정 조건의 과부하 운전시 자동차단 및 변압기의 개폐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압부는, 입력받은 고압전력을 그대로 바이패스시켜 다른 곳으로 보낼 수 있는 바이패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바이패스 모듈은 바이패스 선로와 고압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압부는, 상기 고압 스위치 양단의 상별 결상 및 역상을 검사하는 고압선로 검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저압부는, 상기 변압부에서 변환된 저압전력을 저압선로에 인가 또는 차단하는 저압 개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저압부는, 상기 저압 개폐기의 양단의 상별 결상 및 역상을 검사하는 저압 검상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정전 변압기 교체 공법은,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이용한 공법으로서, 공사용 변압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부에 바이패스 케이블을 연결하여 접속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부에 저압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에 고압전력을 투입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 검상기로 저압부를 검상하고, 상기 저압케이블에 저압전력을 투입하는 단계; 주상변압기의 2차 인하선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주상변압기의 COS(Cut Out Switch)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주상변압기를 교체하는 단계; 교체된 주상변압기의 COS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교체된 주상변압기의 2차 인하선 검상 및 연결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 회로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은,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이용한 공법으로서, 공사용 변압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부에 고압 입상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부에 저압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 검상기로 저압부를 검상하고, 상기 저압케이블에 저압전력을 투입하는 단계; 주상변압기의 2차 인하선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의 COS를 개방하는 단계; 점퍼선을 절분하는 단계; 기설 선로를 철거하는 단계; 신규 전선 설치 및 상기 점퍼선을 압축하는 단계; 상기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의 COS 투입 및 2차 인하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개폐기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고압 입상케이블 및 상기 공사용 변압기를 철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정전 개폐기 공법은,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이용한 공법으로서, 공사용 변압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부에 고압 입상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부에 저압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검상기로 고압부를 검상하고, 고압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 검상기로 저압부를 검상하고, 저압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 주상변압기의 2차 인하선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의 COS를 개방하는 단계; 전원측 점퍼선을 절분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개폐기 개방 및 부하측 케이블을 분리하는 단계; 본작업 시행 및 부하측 케이블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점퍼선을 압축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1차 인하선의 COS 투입 및 2차 인하선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2차 인하선을 검상하고 상기 주상변압기의 2차 인하선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개폐기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개폐기를 개방하는 단계; 저압케이블 및 입상케이블을 분리하고 방전하는 단계; 및 공사용 변압기를 철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특고압 개폐 및 차단, 선로 바이패스용 개폐기, 특고압 및 저압 검상 장치 및 저압측 개폐 및 차단 기능을 갖는 One-package형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선로 바이패스용 개폐기 기능이 있어 단독으로도 무정전 공법 수행 가능한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정전 변압기 교체 공법,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무정전 개폐기 공법은,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이용한 공법으로서, 무정전 공법에 투입되는 장비를 최소화하고 작업공간(면적)을 축소하여 장비 구입비와 공사비용을 절감하고 작업자 및 일반인의 안전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의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의 내부 회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별도의 장비 없이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하여 무정전으로 변압기를 교체하는 공법에 관한 순서도
도 4는, 도 3에 따른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하여 무정전으로 변압기를 교체하는 공법에 관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별도의 장비 없이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에 관한 순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에 관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별도의 장비 없이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무정전 개폐기 공법에 관한 순서도
도 8은, 도 7에 따른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무정전 개폐기 공법에 관한 도면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 3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1 항목, 제2 항목 또는 제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1 항목, 제2 항목 및 제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의 내부 회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인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는, 고압전력을 입력받는 고압부(100), 상기 고압부에서 입력받은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환하는 변압부(200), 상기 변압부에서 변환된 저압전력을 출력하는 저압부(300)을 포함한다.
상기 고압부(100)는, 고압 접속부(110), 바이패스 모듈(120), 고압선로 검상기(130)를 포함한다.
상기 고압 접속부(110)는 고압 케이블이 접속되는 부분으로, 3상 고압 전력을 공급받기 위하여 3 쌍의 접속 단자로 구성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접속부(110)는 1상의 접속단자 H1A H1B, 2상의 접속단자 H2A H2B, 3상의 접속단자 H3A H3B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바이패스 모듈(120)은, 상기 고압 접속부(110)를 통하여 입력받은 고압전력을 그대로 바이패스시켜서 다른 곳으로 보낼 수 있는 구성으로, 바이패스 선로와 고압 스위치(LBS: Load Breaking Switch)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고압 스위치가 단락으로 동작하는 경우는 상기 고압 접속부(110)를 통하여 입력된 고압전력이 후술할 변압기(210)으로 전달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우회되어 다른 곳으로 보내진다.
상기 고압선로 검상기(130)는, 상기 고압 스위치 양단의 상별 결상 및 역상을 검사한다.
상기 변압부(200)는, 변압기(210), 고압 개폐기(220)를 포함한다.
상기 변압기(210)는, 전술한 고압 접속부(110)을 통하여 입력받은 고압전력을 저압전력으로 변환하는 부분이다. 상기 바이패스 모듈(120)의 고압 스위치가 개방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고압전력이 변압기(210)에 전달되게 된다.
상기 고압 개폐기(220)는, 상기 변압기(210)가 내부고장 및 일정 조건의 과부하 운전시 자동차단 및 변압기의 개폐기능을 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고압 개폐기(220)는, 스위치 타입의 차단퓨즈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저압부(300)는, 저압 개폐기(310), 저압 검상기(320), 저압 접속부(330)을 포함한다.
상기 저압 개폐기(310)는, 상기 변압부(200)에서 변환된 저압전력을 저압 접속부(330)에 인가 또는 차단한다.
상기 저압 검상기(320)는, 상기 저압 개폐기(310) 양단의 상별 결상 및 역상을 검사한다.
상기 저압 접속부(330)는, 2차 인하선을 통하여 저압 계통에 연결되는 구성으로 상기 변압부(200)에서 변환된 저압전력을 저압 계통에 공급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는, 특고압 개폐 및 차단, 선로 바이패스용 개폐기, 특고압 및 저압 검상 장치 및 저압측 개폐 및 차단 기능을 갖는 One-package형으로 구성된다.
별도의 장비 없이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하여 무정전으로 변압기를 교체하는 공법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별도의 장비 없이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하여 무정전으로 변압기를 교체하는 공법에 관한 순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하여 무정전으로 변압기를 교체하는 공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정전 변압기 교체 공법은,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이용한 공법으로서, 공사용 변압기를 설치하는 단계(S101);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부에 바이패스 케이블을 연결하여 접속하는 단계(S102);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부에 저압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S103); 상기 공사용 변압기에 고압전력을 투입하는 단계(S104);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 검상기로 저압부를 검상하고, 상기 저압케이블에 저압전력을 투입하는 단계(S105); 주상변압기의 2차 인하선을 분리하는 단계(S106); 상기 주상변압기의 COS(Cut Out Switch)를 개방하는 단계(S107); 상기 주상변압기를 교체하는 단계(S108); 교체된 주상변압기의 COS를 투입하는 단계S109); 상기 교체된 주상변압기의 2차 인하선 검상 및 연결 단계(S110); 상기 공사용 변압기 회로를 분리하는 단계(S111);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고압 개폐 및 차단, 선로 바이패스용 개폐기, 특고압 및 저압 검상 장치 및 저압측 개폐 및 차단 기능을 갖는 One-package형으로 구성된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장비 없이 무정전으로 변압기를 교체함으로써, 종래의 변압기 교체 과정에서 많은 장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별도의 장비 없이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별도의 장비 없이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에 관한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은,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이용한 공법으로서, 공사용 변압기를 설치하는 단계(S201);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부에 고압 입상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S202);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부에 저압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S203);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S204);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 검상기로 저압부를 검상하고, 상기 저압케이블에 저압전력을 투입하는 단계(S205); 주상변압기의 2차 인하선을 분리하는 단계(S206); 상기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의 COS를 개방하는 단계(S207); 점퍼선을 절분하는 단계(S208); 기설 선로를 철거하는 단계(S209); 신규 전선 설치 및 상기 점퍼선을 압축하는 단계(S210); 상기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의 COS 투입 및 2차 인하선을 연결하는 단계(S211);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개폐기를 개방하는 단계(S212); 및 상기 고압 입상케이블 및 상기 공사용 변압기를 철거하는 단계(S213); 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고압 개폐 및 차단, 선로 바이패스용 개폐기, 특고압 및 저압 검상 장치 및 저압측 개폐 및 차단 기능을 갖는 One-package형으로 구성된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장비 없이 무정전으로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을 제시함으로써, 종래의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과정에서 절차가 번잡하고 많은 장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별도의 장비 없이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무정전 개폐기 공법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별도의 장비 없이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무정전 개폐기 공법에 관한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무정전 개폐기 공법에 관한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제공하는 무정전 개폐기 공법은,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이용한 공법으로서, 공사용 변압기를 설치하는 단계(S301);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부에 고압 입상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S302);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부에 저압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S303);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검상기로 고압부를 검상하고, 고압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S304);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 검상기로 저압부를 검상하고, 저압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S305); 주상변압기의 2차 인하선을 분리하는 단계(S306); 상기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의 COS를 개방하는 단계(S307); 전원측 점퍼선을 절분하는 단계(S308);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개폐기 개방 및 부하측 케이블을 분리하는 단계(S309); 본작업 시행 및 부하측 케이블 연결하는 단계(S310);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S311); 상기 점퍼선을 압축하는 단계(S312);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1차 인하선의 COS 투입 및 2차 인하선을 설치하는 단계(S313); 상기 2차 인하선을 검상하고 상기 주상변압기의 2차 인하선과 연결하는 단계(S314);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개폐기를 개방하는 단계(S315);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개폐기를 개방하는 단계(S316); 저압케이블 및 입상케이블을 분리하고 방전하는 단계(S317); 및 공사용 변압기를 철거하는 단계(S318); 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특고압 개폐 및 차단, 선로 바이패스용 개폐기, 특고압 및 저압 검상 장치 및 저압측 개폐 및 차단 기능을 갖는 One-package형으로 구성된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를 이용하여, 별도의 장비 없이 무정전으로 개폐기 공법을 제시함으로써, 종래의 개폐기 공법 과정에서 절차가 번잡하고 많은 장비가 소요되는 문제점을 해결하였다.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공사용 변압기
20: 주상변압기
100: 고압부
110: 고압 접속부
120: 바이패스 모듈
130: 고압선로 검상기
200: 변압부
210: 변압기
220: 고압 개폐기
300: 저압부
310: 저압 개폐기
320: 저압 검상기
330: 저압 접속부

Claims (12)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으로서,
    공사용 변압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부에 고압 입상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부에 저압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 검상기로 저압부를 검상하고, 상기 저압케이블에 저압전력을 투입하는 단계;
    주상변압기의 2차 인하선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의 COS를 개방하는 단계;
    점퍼선을 절분하는 단계;
    기설 선로를 철거하는 단계;
    신규 전선 설치 및 상기 점퍼선을 압축하는 단계;
    상기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의 COS 투입 및 2차 인하선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개폐기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고압 입상케이블 및 상기 공사용 변압기를 철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용 변압기는,
    바이패스 선로와 고압 스위치를 포함하여, 입력받은 고압전력을 그대로 바이패스시켜 다른 곳으로 보낼 수 있는 바이패스 모듈;
    상기 고압 스위치 양단의 상별 결상 및 역상을 검사하는 고압선로 검상기;
    변압기에 인가되는 고압전력을 개폐하는 고압 개폐기;
    고압에서 저압으로 변환된 저압전력을 저압선로에 인가 또는 차단하는 저압 개폐기; 및
    상기 저압 개폐기의 양단의 상별 결상 및 역상을 검사하는 저압 검상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11.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무정전 개폐기 공법으로서,
    공사용 변압기를 설치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부에 고압 입상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부에 저압케이블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검상기로 고압부를 검상하고, 고압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 검상기로 저압부를 검상하고, 저압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
    주상변압기의 2차 인하선을 분리하는 단계;
    상기 주상변압기의 1차 인하선의 COS를 개방하는 단계;
    전원측 점퍼선을 절분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개폐기 개방 및 부하측 케이블을 분리하는 단계;
    본작업 시행 및 부하측 케이블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 개폐기를 투입하는 단계;
    상기 점퍼선을 압축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1차 인하선의 COS 투입 및 2차 인하선을 설치하는 단계;
    상기 2차 인하선을 검상하고 상기 주상변압기의 2차 인하선과 연결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저압개폐기를 개방하는 단계;
    상기 공사용 변압기의 고압개폐기를 개방하는 단계;
    저압케이블 및 입상케이블을 분리하고 방전하는 단계; 및
    공사용 변압기를 철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무정전 개폐기 공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공사용 변압기는,
    바이패스 선로와 고압 스위치를 포함하여, 입력받은 고압전력을 그대로 바이패스시켜 다른 곳으로 보낼 수 있는 바이패스 모듈;
    상기 고압 스위치 양단의 상별 결상 및 역상을 검사하는 고압선로 검상기;
    변압기에 인가되는 고압전력을 개폐하는 고압 개폐기;
    고압에서 저압으로 변환된 저압전력을 저압선로에 인가 또는 차단하는 저압 개폐기; 및
    상기 저압 개폐기의 양단의 상별 결상 및 역상을 검사하는 저압 검상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무정전 개폐기 공법.
KR1020180121682A 2018-10-12 2018-10-12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KR1021284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82A KR102128445B1 (ko) 2018-10-12 2018-10-12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1682A KR102128445B1 (ko) 2018-10-12 2018-10-12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535A KR20200041535A (ko) 2020-04-22
KR102128445B1 true KR102128445B1 (ko) 2020-06-30

Family

ID=70472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1682A KR102128445B1 (ko) 2018-10-12 2018-10-12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84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5023B1 (ko) * 2020-05-25 2022-03-17 한국전력공사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지상 개폐기 pt 교체 표준화 공법
KR102433162B1 (ko) * 2020-07-24 2022-08-18 한국전력공사 무정전 교체 장치 및 방법
KR102375020B1 (ko) 2020-08-10 2022-03-16 송종용 배전 선로 부하 자동 절환 장치 및 방법
KR102236962B1 (ko) * 2020-12-31 2021-04-05 김경영 공사현장 설치용 일체형 하이브리드 변압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402Y1 (ko) * 2004-05-06 2004-08-21 (주) 진흥이엔지 순간절체형 3로식 온-로드 루프 절체 고압개폐기를내장한 무정전공사용 변압기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462A (ko) * 2007-07-30 2009-02-04 주식회사 평일 고압수용가용 수전변압기의 무정전 교체방법
KR20090024035A (ko) * 2007-09-03 2009-03-06 하영숙 공사용 변압기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무정전 교체공법
KR101080680B1 (ko) * 2009-10-28 2011-11-08 주운종 변압기 무정전 교체 공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9402Y1 (ko) * 2004-05-06 2004-08-21 (주) 진흥이엔지 순간절체형 3로식 온-로드 루프 절체 고압개폐기를내장한 무정전공사용 변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1535A (ko) 2020-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445B1 (ko) 무정전 공사용 3상 주상변압기 및 이를 이용한 무정전 공법
KR101122499B1 (ko) 전선이선기구 및 바이패스케이블을 이용한 무정전 배전공법
WO2010120035A1 (ko) 분기접속기능을 갖는 익스텐션 엘보우를 이용한 지중배전선로의 무정전 바이패스 시공법
KR20100054948A (ko)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KR100769583B1 (ko) 무정전 공법에 의한 지중 배전선로의 지상 변압기 교체방법
CN208257232U (zh) 一种低压配电箱不停电作业系统
CN105098734A (zh) 一种防10kV开关越级跳闸的方法及保护控制装置
KR20230124873A (ko) 선로 작업 방법
KR20040074749A (ko) 가공 임시선을 이용한 단상선로의 무정전 배전공법
CN205790973U (zh) 变压器‑线路单元接线的供电系统
KR101123272B1 (ko)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Shobole et al. Protection Coordination Practices for Industrial Ring Distribution Network Case Study of Organized Industrial Zone (GEBZE, Turkey)
CN109581136A (zh) 电流回路带电分断防开路装置及方法
CN208445281U (zh) 一种10kV开关合闸闭锁回路
KR101754043B1 (ko) 개별 개폐형 단상 다분기 공사용개폐기를 이용한 바이패스케이블 중간접속개소가 없는 무정전 배전공법
KR101736175B1 (ko) 절연스틱 및 공사용 개폐기를 이용한 사선작업 공간확보 무정전 공법
KR102622675B1 (ko) 지상변압기 엘보접속재 3상일괄분리연결장치와 피드쓰루를 이용한 지상변압기 무정전교체방법
KR100434152B1 (ko) 지상형 이동변압기
KR20200071557A (ko) 스마트 바이패스 장치
CN202840317U (zh) 一种快装变电站
KR20190114140A (ko) 저압선로 무정전 배전공사 공법
KR101036585B1 (ko) 방전 기능이 구비된 자동 부하 전환 개폐기
RU59336U1 (ru) Шахтная трансформаторная подстанция
KR102375023B1 (ko)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지상 개폐기 pt 교체 표준화 공법
Morley et al. The application of 2400 V to longwall fac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