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6492Y1 -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 Google Patents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6492Y1
KR200416492Y1 KR2020050033562U KR20050033562U KR200416492Y1 KR 200416492 Y1 KR200416492 Y1 KR 200416492Y1 KR 2020050033562 U KR2020050033562 U KR 2020050033562U KR 20050033562 U KR20050033562 U KR 20050033562U KR 200416492 Y1 KR200416492 Y1 KR 20041649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main body
support
horizontal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356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갑
Original Assignee
(주)세진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세진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세진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2005003356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6492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649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6492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2/00Towers; Masts or poles; Chimney stacks; Water-towers; Methods of erecting such structures
    • E04H12/24Cross ar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GBELTS, CABLES, OR ROPES, PREDOMINANTLY USED FOR DRIVING PURPOSES; CHAINS; FITTINGS PREDOMINANTLY USED THEREFOR
    • F16G11/00Means for fastening cables or ropes to one another or to other objects; Caps or sleeves for fixing on cables or ropes
    • F16G11/12Connections or attachments, e.g. turnbuckles, adapted for straining of cables, ropes, or wir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2Devices for adjusting or maintaining mechanical tension, e.g. take-up devic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따르면,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는 전주의 지지대 또는 현수애자의 소캣아이에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가지는 본체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돌출 된 제1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승강부재들의 단부에 힌지연결되는 제1 가동파지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 수평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제2고정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돌출된 제2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승강부재들의 단부에 힌지연결되는 제2 가동파지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 수직 지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2고정파지부에는 길이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는 톱니형상의 돌기가 형성된다.
송전, 배전, 케이블, 고정

Description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clamping apparatus for power-transmission and distribution lines}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의 설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분리사시도,
본 고안은 케이블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송전 및 배전을 위해 전주 또는 전신주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 또는 배전을 위한 케이블은 클램프를 사용하여 전주와 전주, 또는 전주와 건물사이에 현수시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블을 전주에 가설(架設)할 때 케이블의 절연피복을 벗기고 이 부분을 클램프를 이용하여 클램핑 한 후 전주에 설치된 현수애자와 연결된 소켓아이에 상기 클램프를 지지시킨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설치수단은 케이블의 절연피복제거 부분으로 수분이 침투하게 되고 전주와 전주 사이의 늘어진 케이블 중앙부위에 물이 고임으로서 절연피복내의 전선이 부식되어 단선의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클램핑하는 부분의 절연피복을 벗겨야 함으로 이에 따른 작업의 불편함과 시간이 낭비되고, 전선의 손상마저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전주와 건물 사이에 케이블을 가설하는 경우 수평방향으로는 소켓아이에 지지된 클램프에 의해 케이블에 지지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전주로부터 건물로 늘어 뜨려지게 되어 케이불의 하중이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쇼트 되거나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065920호에는 케이블용 클램프의 일예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케이블용 클램프는 압지용 외통체에 내장실을 형성하고, 이에 압지용 절연 내통체를 압착되게 설치하되, 이는 삽지홈을 갖는 상하측 압지구로 분리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압지용 외통체의 상측에는 덮개판을 삽착하고, 후측에는 연결용 링크를 설치한 구성을 가진다.
등록 실용신안 제20-0098262호에는 케이블 고정클램프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 실용신안 제20-0133315호에는 연합케이블의 케이블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 실용신안 제 20-0152196호에는 케이블 고정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등록실용신안 제20-0361584호에는 케이블 현수용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등록 제 0445984호에는 케이블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클램프는 케이블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 한 방향으로 지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송전 또는 배전을 위한 케이블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그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한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장치는
전주의 지지대 또는 현수애자의 소캣아이에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가지는 본체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돌출된 제1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승강부재들의 단부에 힌지연결되는 제1 가동파지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 수평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제2고정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돌출된 제2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승강부재들의 단부에 힌지연결되는 제2 가동파지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 수직지지부와;를 구비하며,
상기 제1,2고정파지부에는 길이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는 톱니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는 제1고정고리가 구비되고, 이 제1고정고리와 상기 수평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에 설치된 제1보조 클램프를 연결하는 제 1케이블 고정와이어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제2고정고리가 구비되고, 이 제2고정고리와 상기 케이블 수직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에 설치된 제 2보조 클램프를 연결하는 제 2케이블 고정와이어를 더 구비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따른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는 송전탑, 전주 또는 전신주에 설치되어 이들의 사이에 설치되는 수평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을 클램핑함과 아울러 수직방향으로 인출되는 케이블을 클램핑하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및 도 2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장치(10)는 송전탑, 전주, 전신주에 설치된 현수애자(11)의 소캣아이(12)에 연결되어 케이블(100)을 파지하는 것으로, 상기 소캣아이(12)에 설치되는 핀(21)에 의해 결합되는 연결고리(22)를 가지는 본체(23)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23)의 전면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블(100)을 지지하는 케이블 수평지지부(30)를 구비하며, 상기 본체(23)의 후면에는 상기 케이블(100)을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케이블 수직 지지부(40)를 구비한다.
상기 본체(23)는 양측면에 평활면을 가지는 판상의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연결고리(22)는 링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캣아이(12)에 형성된 고정고리(12a)와 핀(21)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본체의 형상은 케이블의 형태 또는 케이블의 수평 및 수직 지지부의 설치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블 수평지지부(30)는 수평하게 설치되는 케이블(100)을 지지하는 것으로, 본체(23)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파지부(31)와, 상기 본체에 돌출된 제1지지부(32)에 나사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승강부재(33)들의 단부에 힌지연결되는 제1 가동파지부재(34)를 구비한다. 상기 제 1고정파지부(31)와 상기 제 1가동파지부재(34)의 상호 대향되는 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그루브(31a)(34a)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제 1가동파지부재(34)에 형성된 그루브(34a)에는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톱니 형상의 돌기(34b)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수직 지지부(40)는 본체(23)의 후면에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고정파지부(41)와, 상기 본체에 돌출된 제2지지부(42)에 나사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승강부재(43)들의 단부에 고정되는 힌지연결되어 제 2 가동파지부재(44)를 구비한다. 상기 제 2고정파지부(21)와 상기 제 2가동파지부재(44)의 상호 대향되는 측에는 길이 방향으로 그루브(41a)(44a)가 각각 형성되는데, 상기 제 2가동파지부재(44)와 제 2고정파지부(41)에 형성된 그루브(44a)(41a)에는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래칫(ratchet; 45)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블 수평지지부와, 케이블 수직 지지부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케이블을 수평 및 수직 상태로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3)의 후단부에는 제1고정고리(51)가 설치되고, 이 제1고정고리에는 상기 수평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100)의 설치된 제1보조 클램프(52)와 연결된 제 1케이블 고정와이어(53)를 구비한 다. 상기 제1보조 클램프(52)는 케이블에 고정되는 것으로 케이블을 감싸며 인장력이 가하여지는 방향으로 래칫돌기(52b)가 형성된 제 1상하부재(52a)(52a)와, 이들을 결합하는 체결부재(52c)인 볼트와 너트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제2고정고리(55)가 설치되고, 이 제2고정고리(55)에는 상기 수직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불(100)에 설치된 제 2보조 클램프(56)와 연결된 제 2케이블 고정와이어(57)를 더 구비한다. 상기 제 2보조 클램프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다시 설명하지 않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장치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클램핑하기 위해서는 소켓아이(12)의 고정고리(12a)와 연결고리(22)를 핀(21)을 이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본체(23)의 제 1지지부(32)에 나사 결합된 제 1승강부재(33)를 회전시켜 제 1가동파지부재(34)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파지 하고자 하는 케이블(100)을 개재시킨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 1승강부재(33)를 회전시켜 제1가동파지부재(34)를 하강시켜 케이블(100)을 파지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1고정파지부(31)에 형성된 그르부(31a)에는 톱니형 돌기(34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블(100)의 파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수평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케이블(100)을 본체(23)의 후면에 위치된 케이블 수직 지지부(40)에 지지시켜 케이블(100)을 수직으로 지지시킨다. 즉, 상기 본체(23)의 배면에 설치된 제 2지지부(42)에 지지된 제 2승강부재(43)를 회전시켜 제 2가동파지부재(44)를 제 2고정파지부(41)에 대해 후퇴시킨 후 상기 케이블 수평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된 케이블(100)을 밴딩하여 상기 제 2고정파지부(41)와 제 2가동파지부재(44)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제 2승강부재(43)를 회전시켜 제 2가동파지부재(44)를 이동시켜 케이블(100)을 수직 상태로 파지한다.
이 과정에서 케이블에 하중이 상대적으로 큰 경우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케이블(100)에 제1,2보조 클램프(52)(52)를 설치하고 이 제1,2보조 크램프(52)(52)를 제 1고정고리(51) 및 제 2고정고리(55)와 제 1,2케이블 고정와이어(53)(57)를 이용하여 고정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케이블을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동시에 지지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는 전주, 전신주 또는 송전탑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을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동시에 지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케이블이 하중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 할 수 있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 할 것이다.

Claims (2)

  1. 전주의 지지대 또는 현수애자의 소캣아이에 연결되는 연결고리를 가지는 본체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돌출된 제1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1승강부재들의 단부에 힌지연결되는 제1 가동파지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 수평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제2고정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돌출된 제2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적어도 두 개의 제2승강부재들의 단부에 힌지연결되는 제2 가동파지부재를 구비하는 케이블 수직지지부와;를 구비하며,
    상기 제1,2고정파지부에는 길이 방향의 직각 방향으로 돌출되는 톱니형상의 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후단부에는 제1고정고리가 구비되고, 이 제1고정고리와 상기 수평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에 설치된 제1보조 클램프를 연결하는 제 1케이블 고정와이어를 더 구비하며,
    상기 본체의 하면에는 제2고정고리가 구비되고 이 제2고정고리와 상기 수직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는 케이블에 설치된 제 2보조 클램프를 연결하는 제 2케이블 고정와이어를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KR2020050033562U 2005-11-28 2005-11-28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KR20041649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562U KR200416492Y1 (ko) 2005-11-28 2005-11-28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3562U KR200416492Y1 (ko) 2005-11-28 2005-11-28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4410A Division KR100728320B1 (ko) 2005-11-28 2005-11-28 송전 및 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6492Y1 true KR200416492Y1 (ko) 2006-05-16

Family

ID=41765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3562U KR200416492Y1 (ko) 2005-11-28 2005-11-28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6492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263B1 (ko) * 2017-11-08 2018-02-22 주식회사 세광플러스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844567B1 (ko) * 2018-01-08 2018-04-02 (주)아현건설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844568B1 (ko) * 2018-01-08 2018-04-02 (주)아현건설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40544B1 (ko) 2019-07-04 2019-11-06 (주)인우크로스 송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263B1 (ko) * 2017-11-08 2018-02-22 주식회사 세광플러스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844567B1 (ko) * 2018-01-08 2018-04-02 (주)아현건설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844568B1 (ko) * 2018-01-08 2018-04-02 (주)아현건설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40544B1 (ko) 2019-07-04 2019-11-06 (주)인우크로스 송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6492Y1 (ko)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KR102040544B1 (ko) 송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KR100728320B1 (ko) 송전 및 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US6300567B1 (en) Junction box for low voltage data, video or communications connections
KR100934151B1 (ko) 배전용 전주 지지대
KR100746235B1 (ko) 레이스웨이 조명시스템용 전원공급장치
KR101844567B1 (ko)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CN216289088U (zh) 一种光伏连接器
KR101831263B1 (ko)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N112186623B (zh) 一种带电接支接线路引线组合工具的作业方法
KR200433444Y1 (ko) 통신케이블용 원터치 조가선 클램프
KR101668108B1 (ko) 통신용 케이블 행거
KR200298243Y1 (ko) 배전선로의 쐐기형 인장클램프
KR20100062001A (ko) 유형케이블행거
KR101785718B1 (ko) 배전용 케이블 클램핑장치
KR101844568B1 (ko)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CN219554510U (zh) 一种拼装式电缆桥架
KR100978133B1 (ko) 티형 인입용 클램프
CN210380173U (zh) 一种配电用线缆架高用紧固夹
JP2007236171A (ja) ケーブル支持具とケーブル布設構造体及びケーブル布設方法
KR200219456Y1 (ko)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구조
CN213905780U (zh) 一种智能高压电缆终端的联锁保护装置
KR20000017736A (ko) 건물 내부의 배선방법
CN211062967U (zh) 直形插接式电缆连接头组件
CN216450459U (zh) 一种电力用绝缘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8

Year of fee payment: 3

EXTG Extingu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