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98243Y1 - 배전선로의 쐐기형 인장클램프 - Google Patents

배전선로의 쐐기형 인장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98243Y1
KR200298243Y1 KR2020020027970U KR20020027970U KR200298243Y1 KR 200298243 Y1 KR200298243 Y1 KR 200298243Y1 KR 2020020027970 U KR2020020027970 U KR 2020020027970U KR 20020027970 U KR20020027970 U KR 20020027970U KR 200298243 Y1 KR200298243 Y1 KR 200298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wedge
tension clamp
clamp
socket ey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2797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종률
표광찬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202002002797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9824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98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98243Y1/ko

Links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가공배전선로상에서 내장 및 인류개소의 전선 장악용으로 사용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 구조에 관한 것으로, 기존의 볼트조임 방식에서 쐐기형으로 변경하여 작업효율성 향상과 부실시공 예방을 위해 개발되었으나, 전선 삽입부와 일직선상에 위치한 소켓아이 연결부의 상향 돌출로 주상에서 장선기로 전선장력을 조정한 후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전선을 삽입하기 위한 준비작업 과정의 난이도 증가로 작업의 효율성 향상과 부실시공 예방이라는 당초의 개발목적을 달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어 이의 구조를 개선하여 완전한 시공품질과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 시킨 구조로 되어 있다.

Description

배전선로의 쐐기형 인장클램프{Wedge Type Dead-end Clamp for HDCC and ACSR}
본 고안은 가공 배전선로상에서 내장 및 인류개소의 전선 장악용으로 사용되는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전선 삽입 작업시 인장 하중이나 선조 장악력의 저하 현상없이 작업난이성을 해소하여 시공품질이 향상되는 배전선로의 쐐기형 인장클램프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공 배전선로 상에서 22.9㎸ 전력선을 인류개소 등에서 안전하고 완벽하게 장악하기 위해 인장클램프를 사용하고 있는바, 즉 전선류는 경간이 길고 짧음에 따라 지지점에서 장악에 필요한 힘이 일정하지 않지만 특고압 전력선으로 사용되는 전선류의 대부분은 지지점에서 장선기로 충분한 장력을 조정한 후 완금과 현수애자 또는 폴리머 현수 애자와 연결된 데드앤드 클램프에 지지하게 됨으로서 정상적인 설비로 운용될 수가 있다.
이와 같은 일련의 전선 작업 과정중 데드앤드 클램프를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클램프 볼트를 해체하여 전선을 삽입한 후, 다시 볼트를 조여 체결시키는 불편함이 있으며, 데드앤드 클램프에서 볼트를 조이는 과정에서 간혹 시공의 질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경우 전선을 삽입하여 최종적으로 장악하기 위한 볼트조임 과정이 생략되어 시공의 간편성은 있으나, 소켓 아이에 고정되는 체결부위가 전선이 장악되는 클램프 부위와 일직선으로 위치함과 두 지점 사이의 간격이 작음은 물론이려니와 오히려 애자와 체결되는 부위가 높이 솟아 있는 관계로 삽입시키고자 하는 전선에 인위적으로 외력을 가해 변형시켜야 하는데, 이는 소요되는 인력이 곧바로 작업 손실로 이어지며 인위적인 변형과정에서 혹 발생할 수 있는 전력상의 손상이나 시공품질의 부실 현상으로 차후 유,무형의 경제적 손실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력선 삽입 작업중 인장하중이나 선조 장악력을 저하시키지 않고도 안전하고 원활하게 전력선을 클램프에서 장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품질도 향상되는 배전선로의 쐐기형 인장클램프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소켓아이, 2 : 소켓아이 연결부,
3 : 몸체, 4 : 전선 삽입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애자에 연결하기 위한 보울트를 갖춘 소켓아이 연결부를 몸체의 한쪽 선단에 갖추고 이 몸체의 타단에는 전선 삽입부를 갖추어 이루어진 인장클램프 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선 삽입부와 소켓아이 연결부가 몸체의 일직선상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요부인 쐐기형 인장클램프의 측면도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자에 연결하기 위해 소켓아이(1)와 연결되는 소켓아이 연결부(2)를 몸체(3)의 한쪽선단에 갖추고 이 몸체(3)의 타단에는 전선삽입부(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인장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전선 삽입부(4)와 소켓아이 연결부(2)가 몸체(3)의 일직선상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여기서 미설명 도면부호 5는 보울트이다.
즉 본 고안은 종래 인장클램프에서 전선 장악에는 문제가 없으나 작업과정시 작업 난이도가 큰 구조적 결함을 개선시킨 것으로, 소켓아이(1)가 체결되는 보울트(5)를 갖춘 소켓아이 연결부(2)와 전선 삽입부(4)를 몸체(3)의 아래방향으로 돌출 형성시킴에 따라 인장클램프가 필요로 하는 인장 하중이나 선조 장악력을 떨어뜨리지 않고 전력선을 완벽하게 장악할 수 있고, 시공후 시공품질도 개선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쐐기형 인장클램프는 작업 난이성을 해소하고 완벽한 시공품질의 확보 및 무결점 설비를 구축할 수 있는 잇점 등을 갖게 된다.

Claims (1)

  1. 애자에 연결하기 위해 소켓아이(1)와 연결되는 소켓아이 연결부(2)를 몸체(3)의 한쪽선단에 갖추고 이 몸체(3)의 타단에는 전선삽입부(4)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인장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전선 삽입부(4)와 소켓아이 연결부(2)가 몸체(3)의 일직선상에서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전선로의 쐐기형 인장클램프.
KR2020020027970U 2002-09-17 2002-09-17 배전선로의 쐐기형 인장클램프 KR200298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970U KR200298243Y1 (ko) 2002-09-17 2002-09-17 배전선로의 쐐기형 인장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27970U KR200298243Y1 (ko) 2002-09-17 2002-09-17 배전선로의 쐐기형 인장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98243Y1 true KR200298243Y1 (ko) 2002-12-20

Family

ID=73128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27970U KR200298243Y1 (ko) 2002-09-17 2002-09-17 배전선로의 쐐기형 인장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9824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529B1 (ko) 2010-05-14 2011-12-13 제룡전기 주식회사 쐐기형 인장클램프 절연 커버
KR20150115427A (ko) * 2014-04-04 2015-10-14 윤송현 쐐기형 인장 클램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2529B1 (ko) 2010-05-14 2011-12-13 제룡전기 주식회사 쐐기형 인장클램프 절연 커버
KR20150115427A (ko) * 2014-04-04 2015-10-14 윤송현 쐐기형 인장 클램프
KR101588517B1 (ko) * 2014-04-04 2016-01-26 윤송현 쐐기형 인장 클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98243Y1 (ko) 배전선로의 쐐기형 인장클램프
KR200416492Y1 (ko)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JP6544575B2 (ja) 耐張クランプ
CN112186623B (zh) 一种带电接支接线路引线组合工具的作业方法
RU2317621C1 (ru) Натяжной клиновой зажим
KR100728320B1 (ko) 송전 및 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KR200301774Y1 (ko) 현수애자 지지용 연장형 볼쇄클
CN210380033U (zh) 一种电力电缆紧线器
KR20220064182A (ko) 배전선로 인장 클램프
CN212695680U (zh) 一种应用于架空线路的电力金具
US4312495A (en) Electrical transmission system conductor installation technique
CN219144963U (zh) 用于绝缘导线的楔型耐张线夹
CN218242286U (zh) 一种输配电线路断线快速连接线夹
CN215185758U (zh) 一种用于架空输电线路的柔性备用线夹
CN219086763U (zh) 一种用于变电站跳线间的金具
CN213905780U (zh) 一种智能高压电缆终端的联锁保护装置
KR20240012708A (ko) 분기고리형 인장클램프 구조체
CN215680257U (zh) 绝缘子用导线固定机构
CN210957634U (zh) 一种输变电线路电线固定装置
RU207421U1 (ru) Зажим ответвительный болтовой разъемный
KR200219456Y1 (ko) 특고압전선용 무정전 절연커버 구조
CN213484477U (zh) 一种中间紧线器
CN215185297U (zh) 10kv台架变综合配电箱进出线口防小动物双排孔夹线器
CN115241814B (zh) 一种输配电线路断线快速抢修线夹
CN218494588U (zh) 一种电气设备安装用绝缘支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Ip right invalidated
T601 Decision to invalidate utility model after technical evalu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