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4567B1 -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 Google Patents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4567B1
KR101844567B1 KR1020180002239A KR20180002239A KR101844567B1 KR 101844567 B1 KR101844567 B1 KR 101844567B1 KR 1020180002239 A KR1020180002239 A KR 1020180002239A KR 20180002239 A KR20180002239 A KR 20180002239A KR 101844567 B1 KR101844567 B1 KR 1018445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support
bolt
coupl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22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미진
Original Assignee
(주)아현건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현건설 filed Critical (주)아현건설
Priority to KR10201800022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45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4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45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53Suspension clamps and clips for electric overhead lines not suspended to a supporting wi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02Suspension insulators; Strain insulators
    • H01B17/06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 H01B17/08Fastening of insulator to support, to conductor, or to adjoining insulator by cap-and-bol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7/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17/24Insulators apertured for fixing by nail, screw, wire, or bar, e.g. diabolo, bobbi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4Arrangements or devices for relieving mechanical tension

Landscapes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배전을 위해 지상에 설치되는 전신주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케이블을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동시에 지지할 수 있으며,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케이블이 좌우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흔들릴 경우, 결합유닛의 제1탄성부재에 의해 현수애자와 클램프유닛 간, 또는 현수애자와 지지대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외력에 대해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좌우방향으로 케이블이 흔들릴 때 결합볼트가 제1탄성부재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좌우이동보조유닛에 의해 결합볼트와 제1탄성부재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므로 외력에 대해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Device to support power-transmission, distribution and transformation cable on ground}
본 발명은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송전,배전 및 변전을 위해 지상에 설치되는 전신주에 설치되어 케이블을 수직 및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지지할 수 있는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전, 배전, 변전을 위한 케이블은 클램프를 사용하여 전신주와 전신주, 또는 전신주와 건물 사이에 현수 시켜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케이블을 전신주에 가설할 때 케이블의 절연피복을 벗기고 이 부분을 클램프를 이용하여 클램핑 한 후 전신주에 설치된 현수애자와 연결된 소켓아이에 상기 클램프를 지지시킨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케이블 설치수단은 케이블의 절연피복 제거부분으로 수분이 침투하게 되고 전신주와 전신주 사이의 늘어진 케이블 중앙부위에 물이 고임으로서 절연피복 내의 전선이 부식되어 단선의 위험성이 있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클램핑하는 부분의 절연피복을 벗겨야 함으로 이에 따른 작업의 불편함과 시간이 낭비되고, 전선의 손상마저 발생되는 폐단이 있었다.
또한 전신주와 건물 사이에 케이블을 가설하는 경우 수평방향으로는 소켓아이에 지지된 클램프에 의해 케이블에 지지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나 전신주로부터 건물로 늘어 뜨려지게 되어 케이블의 하중이 특정 부위에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쇼트 되거나 단락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 실용신안 제 20-0065920호에는 케이블용 클램프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케이블용 클램프는 압지용 외통체에 내장실을 형성하고, 이에 압지용 절연 내통체를 압착되게 설치하되, 이는 삽지홈을 갖는 상하측 압지구로 분리되도록 형성하며, 상기 압지용 외통체의 상측에는 덮개판을 삽착하고, 후측에는 연결용 링크를 설치한 구성을 가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케이블 클램프는 케이블을 수평방향 또는 수직방향 한 방향으로 지지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있다. 또한 이러한 케이블 클램프구조 및 현수애자 연결구조는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한 흔들림 발생 시 현수애자와 지지대 간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60624호 : 배전선로 인장 클램프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송전,배전 또는 변전을 위한 케이블을 수평 또는 수직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외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케이블의 길이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흔들림을 완화할 수 있는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일단에 연결고리를 가지는 본체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돌출된 제1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두 개의 제1승강부재들의 단부에 힌지연결되는 제1가동파지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수평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제2고정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돌출된 제2지지부에 나사결합되는 두 개의 제2승강부재들의 단부에 힌지연결되는 제2가동파지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수직지지부를 구비하여 송전 또는 배전용 케이블을 지지하는 클램프유닛과; 상기 클램프유닛의 상기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현수애자와; 외력에 의한 상기 케이블의 인장 또는 흔들림에 따라 전신주의 지지대에 연결된 상기 현수애자를 탄성있게 지지하는 결합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현수애자에 결합되는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가 관통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볼트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케이블의 인장 또는 흔들림에 따라 상기 결합볼트와 상기 지지대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늘어나도록 상기 결합볼트와 상기 지지대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제1탄성부재는 내측에 상기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볼트와 접하는 판상의 결합볼트지지부와, 상기 결합볼트 지지부의 양단에서 상기 지지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말려지게 각각 연장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인장 또는 흔들림에 따라 상기 현수애자가 상기 지지대에 멀어지게 당겨지면서 상기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지지부가 상기 지지대에 인접하게 이동될 때 말려진 정도가 풀리며 상기 외력 해제시 말림이 복원되어 상기 결합볼트지지부와 상기 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지지대와 접하는 제1 및 제2탄성지지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지지대에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게 관통형성되어 상기 결합볼트가 관통하는 제2관통공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케이블이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흔들릴 때 상기 결합볼트가 대응되게 이동되어 상기 케이블과 상기 현수애자에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된 장공형태로 각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케이블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릴 때 상기 결합볼트의 좌우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좌우이동보조유닛과, 상기 결합볼트와 함께 이동된 상기 좌우이동보조유닛을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의 중심측으로 복원시키는 위치복원유닛을 더 구비한다.
상기 좌우이동보조유닛은 상기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지지부 사이에 위치되게 내측이 관통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결합볼트와 접하는 판상의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타측면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볼트지지부에 대해 구름운동하는 복수의 휠을 구비한다.
상기 위치복원유닛은 상기 지지대에 돌출되는 상기 결합볼트와 상기 제1탄성부재를 수용하며 마주하는 지지대 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케이블이 흔들리는 좌우방향에 대응되며 상호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결합볼트가 제1 및 제2관통공의 중심측에 위치되게 상기 좌우이동보조유닛을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탄성 가압하는 제1 및 제2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케이블을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동시에 지지할 수 있으며,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케이블이 좌우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흔들릴 경우, 결합유닛의 제1탄성부재에 의해 현수애자와 클램프유닛 간, 또는 현수애자와 지지대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제1탄성부재의 결합볼트지지부가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양측 단부에 제1 및 제2탄성지지부가 형성되어 있어 넓은 면적으로 결합볼트와 지지대를 탄성 지지하므로 외력에 대해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안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케이블이 흔들릴 때 결합볼트가 제1탄성부재에 대해 케이블이 흔들리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좌우이동보조유닛에 의해 결합볼트와 제1탄성부재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므로 외력에 대해 발생될 수 있는 응력 및 흔들림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클램프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3는 도 1의 결합유닛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4은 도 3의 결합유닛에 대한 일부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의 수직지지부에 대한 일부 분리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3실시 예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의 결합유닛에 대한 일부분리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결합유닛에 대한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케이블(100)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지지하는 클램프유닛(10)과, 일측이 전신주(5)의 지지대(7)와 연결되고 타측이 클램프유닛과 연결되는 현수애자(50)와, 외력에 의한 케이블(100)의 인장 또는 흔들림에 따라 전신주의 지지대(7)에 연결된 현수애자(50)를 탄성있게 지지하는 결합유닛(70)을 구비한다.
클램프유닛(10)은 전신주의 지지대(7)에 설치된 현수애자(50)의 소캣아이(51)에 연결되어 케이블(100)을 파지하는 것으로서, 본체부(23)와, 케이블 수평지지부(30)와, 케이블 수직지지부(40)와, 복수의 제1가압부재(33)와, 복수의 제2가압부재(43)를 구비한다.
본체부(23)는 핀(21)에 의해 소캣아이(52)과 힌지 결합되는 연결고리(22)가 일단에 형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양측면에 평활면을 가지는 판상의 부재이다. 연결고리(22)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캣아이(52)에 형성된 고정고리(52a)와 힌지 결합된다. 본체부(23)는 도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케이블의 형태 또는 케이블의 수평 및 수직 지지부의 설치 위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23)는 전신주(5)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전면 상부에 돌출형성되어 제1가압부재(33)가 수직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1지지부(32)와, 전신주를 마주하는 후면에 돌출형성되어 제2가압부재(43)가 수평방향으로 나사결합되는 복수의 제2지지부(42)가 형성된다.
케이블수평지지부(30)는 전신주에 대해 외측을 향하는 본체부(23)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어 수평하게 설치되는 케이블(100)을 지지한다.
케이블수평지지부(30)는 본체부(23)의 전면에 각각 돌출되고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며 상하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1고정파지부(31)와, 제1가동파지부재(34)를 구비한다.
제1고정파지부(31)와 제1가동파지부재(34)의 상호 대향되게 인입된 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그루브(31a,34a)가 각각 형성된다. 특히, 제1고정파지부(31)에 형성된 그루브(31a)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톱니 형상의 돌기(31b)가 형성된다.
제1가압부재(33)는 제1지지부(32)에 나사결합 되는 볼트형상으로 회전 방향에 따라 승강되어 후술되는 케이블수평지지부(30)의 제1가동파지부재(34)를 하방으로 가압하거나 가압해제 함으로써 제1고정파지부(31)와 제1가동파지부재(34) 사이를 관통하는 케이블(100)이 고정되게 한다.
케이블수직지지부(40)는 전신주에 마주하는 본체부(23)의 후면에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블(100)을 지지한다.
케이블수직지지부(40)는 본체부(23)의 후면에 각각 돌출되고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수평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는 제2고정파지부(41)와, 제2가동파지부재(44)를 구비한다.
제2고정파지부(41)와 제2가동파지부재(44)의 상호 대향되게 인입된 측에는 길이방향으로 그루브(41a,44a)가 각각 형성된다. 제2고정파지부(41)와 제2가동파지부재(44)에 형성된 그루브(41a,44a)에는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방향으로 상방으로 경사지게 돌출된 래칫(ratchet; 45)이 형성된다.
제2가압부재(43)는 제2지지부(42)에 나사결합 되어 볼트형상으로 회전 방향에 따라 좌우 이동되어 후술되는 케이블수직지지부(40)의 제2가동파지부재(44)를 제2고정파지부 (41)방향으로 가압하거나 가압해제 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이 고정되게 한다.
현수애자(50)는 일측이 후술되는 결합유닛(70)의 결합볼트(71)와 결합되며, 타측이 소캣아이(52)의 고정고리(52b)와 힌지결합된다. 현수애자(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볼트(71)와 나사 결합될 수 있도록 일단 중심측에 인입된 결합홈(미도시)이 형성된다.
결합유닛(70)은 결합볼트(71)와, 제1탄성부재(75)와, 좌우이동보조유닛(180)을 구비한다.
결합볼트(71)는 지지대(7)에 관통되되 지지대(7)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장공형태로 관통형성된 제2관통공(8)을 관통하여 현수애자(50)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경이 확장되어 제1탄성부재(75)와 접하는 헤드부(72)와, 후술되는 제1탄성부재(75)와 지지대(7)를 관통하여 현수애자(50)와 결합하는 바디부(73)를 구비한다.
제1탄성부재(75)는 결합볼트(71)가 관통하며 제2관통공(8)에 대응되게 형성된 제1관통공(76)이 형성되어 결합볼트(71)와 지지대(7) 사이에 설치되며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100)의 인장 또는 흔들림에 따라 결합볼트(71)와 지지대(7)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늘어나도록 결합볼트(71)와 지지대(7)를 탄성지지한다
제1탄성부재(75)는 내측에 제1관통공(77)이 형성되며 결합볼트(71)와 접하는 판상의 결합볼트지지부(76)와, 결합볼트 지지부(76)의 양단에서 지지대(7)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말려지게 각각 연장형성된 제1 및 제2탄성지지부(78,79)를 구비한다.
제1 및 제2탄성지지부(78,79)는 결합볼트지지부(76)의 양단에서 지지대(7) 방향으로 연장형성된다.
제1 및 제2탄성지지부(78,79)는 외력에 의해 케이블(100)의 인장 또는 흔들림에 따라 현수애자(50)가 지지대(7)에 멀어지게 당겨지면서 결합볼트(71)와 결합볼트지지부(76)가 지지대(7)에 인접하게 이동될 때 말려진 정도가 풀리며, 외력 해제시 말림이 복원되어 결합볼트지지부(76)와 지지대(7)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킨다.
제1 및 제2관통공(76,8)이 장공 형태로 형성된 것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100)이 외력에 의해 케이블(100)의 길이방향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흔들릴 때 결합볼트(71)가 대응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케이블(100)과 현수애자(50)에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좌우이동보조유닛(180)은 케이블(100)이 외력에 의해 좌우방향으로 흔들릴 때 결합볼트(71)의 좌우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동플레이트(181)와, 복수의 휠(185)을 구비한다.
이동플레이트(181)는 결합볼트(71)와 결합볼트지지부(76) 사이에 위치되게 내측이 관통형성되며 일측면이 결합볼트(71)와 접하며 결합볼트지지부(76)에 나란한 사각판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휠(185)은 이동플레이트(181)의 타측면의 양측에 장착되어 결합볼트지지부(76)에 접촉되어 좌우 방향으로 구름 운동하는 것으로서, 제1관통공(77)의 상하방향의 폭보다 길게 연장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를 이용한 케이블의 설치 및 작용을 설명한다.
결합유닛(70)을 통해 지지대(7)와 현수애자(50)를 연결시키고, 현수애자(50)의 타측에 힌지 결합된 소켓아이(52)의 고정고리(52a)와 연결고리(22)를 핀(21)을 이용하여 클램프유닛(10)을 고정한다. 그리고 본체부(23)의 제1지지부(32)에 나사 결합된 제1가압부재(33)를 회전시켜 제1가동파지부재(34)를 상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파지하고자 하는 케이블(100)을 제1고정파지부(31)와 제1가동파지부재(34) 사이로 개재시킨다. 그리고 제 1가압부재(33)를 회전시켜 제1가동파지부재(34)를 하강시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100)을 파지한다. 여기에서 제1고정파지부(31)에 형성된 그루부(31a)에는 톱니형 돌기(34b)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블(100)의 파지력을 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케이블 수평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케이블(100)을 본체(23)의 후면에 위치된 케이블 수직 지지부(40)에 지지시켜 케이블(100)을 수직으로 지지시킨다. 즉, 상기 본체(23)의 배면에 설치된 제2지지부(42)에 지지된 제2가압부재(43)를 회전시켜 제2가동파지부재(44)를 제2고정파지부(41)에 대해 후퇴시킨 후 케이블 수평지지부(30)에 의해 지지된 케이블(100)을 밴딩하여 제2고정파지부(41)와 제2가동파지부재(44)의 사이에 위치시킨 후 제2가압부재(43)를 회전시켜 제2가동파지부재(44)를 제2고정파지부(41) 방향으로 이동시켜 케이블(100)을 수직 상태로 파지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케이블을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동시에 지지할 수 있으며,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케이블(100)이 좌우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흔들릴 경우, 결합유닛(70)의 제1탄성부재(75)에 의해 현수애자(50)와 클램프유닛(10) 간, 또는 현수애자(50)와 지지대(7)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제1탄성부재(75)의 결합볼트지지부(76)가 지지대(5)의 길이방향으로 연장형성되고, 양측단부에 제1 및 제2탄성지지부(78,79)가 형성되어 있어 넓은 면적으로 결합볼트(71)와 지지대(5)를 탄성 지지하므로 일반 코일 스프링보다 외력에 대해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안정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케이블의 길이방향 뿐만아니라 좌우방향으로 외력에 대한 흔들림을 감소할 수 있으므로 응력 감소효율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좌우방향으로 케이블이 흔들릴 때 결합볼트(71)가 제1탄성부재(75)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좌우이동보조유닛(180)에 의해 결합볼트(71)와 제1탄성부재(75) 사이의 마찰이 감소되므로 외력에 대해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도시한 도면에서와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 참조부호로 표기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의 구조에 위치복원유닛(300)을 더 구비한다.
위치복원유닛(300)은 외력 해제 또는 흔들림이 감소되면서 결합볼트(71)가 제1 및 제2관통공(77,8)의 중심으로 위치되게 좌우이동보조유닛(180)을 탄성가압한다.
위치복원유닛(300)은 하우징(310)과, 제1 및 제2탄성가압유닛(340,350)을 구비한다.
하우징(310)은 지지대(7)에 돌출되는 결합볼트(71) 단부 측과 제1탄성부재(75)를 수용하며 지지대(7)와 마주하는 일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311)이 형성되며 지지대(7)에 결합된다.
하우징(310)은 도 6 및 도 7을 참고하면, 타측에 내부공간(311)보다 작은 면적으로 관통되되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결합볼트의 헤드부(72)의 좌우 이동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공(312)이 형성되어 있다. 하지만, 도시된 것과 다르게 하우징(310)은 헤드부(72)가 내부공간(311)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되게 타측이 폐쇄된 것이 적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제1 및 제2탄성가압유닛(340,350)은 결합볼트(71)가 제1 및 제2관통공(77,8)의 중심측에 위치되게 좌우이동보조유닛(180)을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탄성 가압한다.
제1 및 제2탄성가압유닛(340,350)은 좌우방향에 대응되며 상호 마주하는 하우징(310)의 내주면에 각각 고정장착되되 상호 대향되게 장착된다. 여기서 좌우방향은 제1 및 제2관통공(77,8)이 연장된 방향이며, 지지대(7)의 길이방향이다.
제1탄성가압유닛(340)은 일단이 하우징(310)의 좌측 방향의 제1내주면에 고정되며 좌우위치이동유닛(180) 방향으로 연장된 신축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1스프링(341)과, 제1스프링(341)의 타단과 결합되며 좌우위치이동유닛(180)의 일측과 접하는 제1접촉가압부재(345)를 구비한다.
제2탄성가압유닛(350)은 일단이 하우징(310)의 제1내주면과 마주하는 우측방향의 제2내주면에 고정되며 좌우위치이동유닛(180) 방향으로 연장된 신축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제2스프링(351)과, 제2스프링(351)의 타단과 결합되며 좌우위치이동유닛(180)의 타측과 접하는 제2접촉가압부재(355)를 구비한다.
제1접촉가압부재(345)와 제2접촉가압부재(355)는 좌우위치이동유닛(180)의 이동플레이트(181)의 폭과 같거나 길게 상하방향으로 각각 연장되고, 휠(185)과 이동플레이트(181)가 결합된 두께보다 큰 일정한 폭으로 각각 형성된다.
또한, 제1접촉가압부재(345)와 제2접촉가압부재(355)는 폭이 일정하지 않은 좌우위치이동유닛(180)의 가압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좌우위치이동유닛(180)과 마주하는 일면(346,356)이 각각 제1 및 제2접촉가압부재(345,355)의 폭 방향에 대해 좌우위치이동유닛 측으로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접촉가압부재(345)와 제2접촉가압부재(355)의 일면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어 결합볼트(71)가 지지대에 인접하거나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되더라도 가장 큰 폭으로 형성된 이동플레이트(181)의 전후에 걸리지 않고 좌우위치이동유닛(180)을 제1 및 제2관통공(77,8)의 중심측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제1접촉가압부재(345)는 제1스프링(341)의 타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제1스프링(341)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제1스프링수용홈(347)과, 제1스프링수용홈(347)의 인입된 방향의 면에서 제1내주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스프링(341)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제1결합돌기(348)가 각각 형성된다.
제2접촉가압부재(355)는 제2스프링(351)의 타측을 고정할 수 있도록, 제2스프링(351)의 타단부가 수용되는 제2스프링수용홈(357)과, 제2탄성부재수용홈(357)의 인입된 방향의 면에서 제2내주면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스프링(341)의 내측으로 결합되는 제2결합돌기(358)가 각각 형성된다.
하우징(310)은 제1 및 제2스프링(341,351)의 신축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해 제1내주면과 제2내주면에 각각 가이드공(312)이 형성된 하우징(310)의 일단에 대해 지지대(7) 방향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좌우위치이동유닛(180) 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되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제1 및 제2가이드리브(316,317)와, 하우징(310)의 일단과 제1가이드리브(316) 사이의 제1내주면에 좌우위치이동유닛(180)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1스프링(34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1스프링(341)의 일단을 고정하는 제3결합돌기(318)와, 하우징(310)의 일단과 제2가이드리브(317) 사이의 제2내주면에 좌우위치이동유닛(180)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스프링(351)의 내측으로 돌출되어 제2스프링의 일단을 고정하는 제4결합돌기(319)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케이블(100)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면서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이동되는 결합볼트(71)가 위치복원유닛(300)에 의해 케이블(100)의 흔들림이 감소하거나 외력이 해제되면서 제1 및 제2관통공(77,8)의 중심측으로 위치 복원될 수 있어 케이블에 발생되는 응력을 더욱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케이블(100)을 수평과 수직 방향으로 동시에 지지할 수 있으며, 바람과 같은 외력에 의해 케이블(100)이 좌우방향 또는 길이방향으로 흔들릴 경우, 결합유닛(70)에 의해 현수애자(50)와 클램프유닛(10) 간, 또는 현수애자(50)와 지지대(7)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어 케이블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는 도면에 도시된 일 예를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5 : 전신주
7 : 지지대 10 : 클램프유닛
23 : 본체부 30 : 케이블 수평지지부
31 : 제1고정파지부 32 : 제1지지부
33 : 제1가압부재 34 : 제1가동파지부재
40 : 케이블 수직지지부 41 : 제2고정파지부
42 : 제2지지부 43 : 제2가압부재
44 : 제2가동파지부재 50 : 현수애자
70 : 결합유닛 71 : 결합볼트
75 : 제1탄성부재 76 : 결합볼트지지부
78 : 제1탄성지지부 79 : 제2탄성지지부
100 : 케이블 180 : 좌우위치이동유닛
181 : 이동플레이트 185 : 휠
300 : 위치복원유닛 310 : 하우징
340 : 제1탄성가압유닛 350 : 제2탄성가압유닛

Claims (2)

  1. 일단에 연결고리를 가지는 본체의 전면에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제1고정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돌출된 제1지지부에 나사 결합되는 두 개의 제1승강부재들의 단부에 힌지연결되는 제1가동파지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수평지지부와, 상기 본체의 후면에 수직으로 돌출되는 제2고정파지부와 상기 본체에 돌출된 제2지지부에 나사결합되는 두 개의 제2승강부재들의 단부에 힌지연결되는 제2가동파지부재를 포함하는 케이블 수직지지부를 구비하여 송전, 배전 또는 변전용 케이블을 지지하는 클램프유닛과;
    상기 클램프유닛의 상기 연결고리와 연결되는 현수애자와;
    외력에 의한 상기 케이블의 인장 또는 흔들림에 따라 전신주의 지지대에 연결된 상기 현수애자를 탄성있게 지지하는 결합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현수애자에 결합되는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가 관통하는 제1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결합볼트와 상기 지지대 사이에 설치되어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케이블의 인장 또는 흔들림에 따라 상기 결합볼트와 상기 지지대의 간격이 좁혀지거나 늘어나도록 상기 결합볼트와 상기 지지대를 탄성지지하는 제1탄성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는
    내측에 상기 제1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볼트와 접하는 판상의 결합볼트지지부와,
    상기 결합볼트 지지부의 양단에서 상기 지지대 방향으로 각각 연장되되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말려지게 각각 연장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인장 또는 흔들림에 따라 상기 현수애자가 상기 지지대에 멀어지게 당겨지면서 상기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지지부가 상기 지지대에 인접하게 이동될 때 말려진 정도가 풀리며 상기 외력 해제시 말림이 복원되어 상기 결합볼트지지부와 상기 지지대 사이의 간격을 유지시키도록 상기 지지대와 접하는 제1 및 제2탄성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1관통공과, 상기 지지대에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되게 관통형성되어 상기 결합볼트가 관통하는 제2관통공은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상기 케이블이 외력에 의해 상기 케이블의 길이방향에 대해 좌우방향으로 흔들릴 때 상기 결합볼트가 대응되게 이동되어 상기 케이블과 상기 현수애자에 발생되는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상기 지지대의 길이방향에 나란하게 연장된 장공형태로 각각 형성되고,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케이블이 좌우방향으로 흔들릴 때 상기 결합볼트의 좌우이동이 용이하도록 하는 좌우이동보조유닛과,
    상기 결합볼트와 함께 이동된 상기 좌우이동보조유닛을 상기 제1 및 제2관통공의 중심측으로 복원시키는 위치복원유닛을 더 구비하며,
    상기 좌우이동보조유닛은
    상기 결합볼트와 상기 결합볼트지지부 사이에 위치되게 내측이 관통형성되며 일측면이 상기 결합볼트와 접하는 판상의 이동플레이트와,
    상기 이동플레이트의 타측면의 양측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볼트지지부에 대해 구름운동하는 복수의 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복원유닛은
    상기 지지대에 돌출되는 상기 결합볼트와 상기 제1탄성부재를 수용하며 마주하는 지지대 측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와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케이블이 흔들리는 좌우방향에 대응되며 상호 마주하는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각각 장착되어, 상기 결합볼트가 제1 및 제2관통공의 중심측에 위치되게 상기 좌우이동보조유닛을 대향되는 방향으로 각각 탄성 가압하는 제1 및 제2탄성가압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180002239A 2018-01-08 2018-01-08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18445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239A KR101844567B1 (ko) 2018-01-08 2018-01-08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2239A KR101844567B1 (ko) 2018-01-08 2018-01-08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44567B1 true KR101844567B1 (ko) 2018-04-02

Family

ID=619763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2239A KR101844567B1 (ko) 2018-01-08 2018-01-08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445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859B1 (ko) * 2019-07-26 2020-02-11 (주)인우크로스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492Y1 (ko) * 2005-11-28 2006-05-16 (주)세진엔지니어링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JP2009026657A (ja) * 2007-07-20 2009-02-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支持がいし取付機構及びその取扱方法
KR101357282B1 (ko) * 2013-09-12 2014-01-28 노영철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
KR101399043B1 (ko) * 2014-03-12 2014-05-27 (주)도현전력기술단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1503779B1 (ko) * 2014-09-01 2015-03-19 주식회사 중앙씨아이씨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6492Y1 (ko) * 2005-11-28 2006-05-16 (주)세진엔지니어링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JP2009026657A (ja) * 2007-07-20 2009-02-05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支持がいし取付機構及びその取扱方法
KR101357282B1 (ko) * 2013-09-12 2014-01-28 노영철 전신주의 배전선로 고정용 완철
KR101399043B1 (ko) * 2014-03-12 2014-05-27 (주)도현전력기술단 가공 배전선 고정용 전주의 애자 설치형 완철
KR101503779B1 (ko) * 2014-09-01 2015-03-19 주식회사 중앙씨아이씨 감전사고 방지를 위한 가공 배전선 절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2859B1 (ko) * 2019-07-26 2020-02-11 (주)인우크로스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6993B1 (ko) 배전용 전신주의 전선 지지장치
KR20160125774A (ko) 호스를 이용한 케이블 지지 보호유닛
KR101844567B1 (ko) 지상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KR102040544B1 (ko) 송배전 및 변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CN215646028U (zh) 一种用于机电安装的支撑架
KR101709677B1 (ko) 송전 선로 철탑용 상간 스페이서
KR101831263B1 (ko) 송배전 케이블 지지장치
KR200416492Y1 (ko) 송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CN212875048U (zh) 一种监控摄像机用防雷避雷装置
KR101844568B1 (ko) 응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송전, 배전 및 변전 케이블 지지장치
CN114188792B (zh) 一种可快速安装的楔形接续金具
KR100728320B1 (ko) 송전 및 배전용 케이블 클램핑 장치
JP3241624U (ja) 取付装置及び通信装置
CN210927877U (zh) 一种通信工程施工用配线架
CN213093844U (zh) 一种柔性调距线夹
CN203014315U (zh) 一种终端线夹
KR100791127B1 (ko) 전력선 연결장치
CN215732544U (zh) 一种便于悬挂固定的插排
CN219677979U (zh) 一种弱电布线装置
CN217215735U (zh) 一种高压电缆安装支架
CN218768910U (zh) 一种挂点可调式耐张绝缘子串
CN218498400U (zh) 一种电力工程用接地线夹
CN220934621U (zh) 一种用于弱电箱的束线结构
CN219833643U (zh) 一种弱电工程建筑安装辅助固定机构
CN216450459U (zh) 一种电力用绝缘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