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5942B1 - 다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 - Google Patents

다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5942B1
KR102235942B1 KR1020200097101A KR20200097101A KR102235942B1 KR 102235942 B1 KR102235942 B1 KR 102235942B1 KR 1020200097101 A KR1020200097101 A KR 1020200097101A KR 20200097101 A KR20200097101 A KR 20200097101A KR 102235942 B1 KR102235942 B1 KR 102235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box
sub
welding machine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1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원철
Original Assignee
최원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원철 filed Critical 최원철
Priority to KR10202000971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59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5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015Boards, panels, desk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04Mounting thereon of switches or of other devices in general, the switch or device having, or being without,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10Other electric circuits therefor; Protective circuits; Remote controls
    • B23K9/1006Power supp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9/00Arc welding or cutting
    • B23K9/32Accesso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8Mounting of cabinets togethe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0Cabinet-type 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38Hinged covers or do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3/00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 H02B13/02Arrangement of switchgear in which switches are enclosed in, or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casing, e.g. cubicle with metal casing
    • H02B13/025Safety arrangements, e.g. in case of excessive pressure or fire due to electrical defec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istribution Boar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리작업이나 용접작업을 위해 용접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 메인함(201)과 서브함(202)은 각각 독립적인 도어(14)를 구비하되, 각 도어(14)의 전면에는 전원의 사용여부를 알려주는 경고등(203)과 각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204)가 설치되며, 메인함(201)에는 주전원의 온/오프를 담당하는 메인개폐기(11)와 누전차단기(15)가 설치되고, 복수의 서브함(202) 각각에는 분기전원의 온/오프(on/off)를 담당하는 분전개폐기(12)와 용접기 전원케이블을 연결하는 전원접속단자(13)를 설치하되, 각 서브함 별로 서로 다른 연결방식의 전원접속단자(13, 160)가 설치되도록 한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호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다중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시간과 인건비의 절감이 가능하며, 감전이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용접기의 형태와 작업환경에 맞춘 사전작업 준비가 더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Welder distribution box capable of supporting multi-work}
본 발명은 다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리작업이나 용접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감전이나 화재 사고 등을 예방할 수 있으면서 전원공급과 관련하여 복수의 작업자가 상호 영향을 미치지 않는 독립된 상태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전류공급이 원활하지 않은 지역에서도 용접작업을 할수 있도록 하는 용접기 분전함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에서 이용하는 전력은 일반적으로 수·배전함을 통해 용도별로 분배되고, 분전함을 통해 각 부하별로 분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전력계통의 관리에는 감전이나 화재 등에 대한 안전사고 예방대책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한 안전사고 예방대책에는 모든 전기기기의 금속성 외부케이스를 접지하고, 이동형 전기기기에는 누전차단기를 설치하며, 전기기기를 수리·보수할 경우에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한 후 작업할 것 등의 3가지 안전수칙을 반드시 지키도록 권고하고 있다.
그중에서도 고압전기를 이용하는 용접작업의 경우에는 작업자가 용접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열에 의한 화상 또는 전원연결부의 접촉에 의한 감전사고에 노출될 수 있고, 용접 중 발생하는 불티에 의한 화재사고 또는 유해가스, 유해광선 등에 의한 신체조직의 손상사고를 당할 수도 있다. 그 때문에 용접작업장 인근에는 가연성 물질이나 물웅덩이 등을 철저히 배제하고 작업장 바닥에는 방화포를 깔도록 하는 등의 특별한 조치를 요구받고 있다. 더욱이 산업현장에서 상시적으로 이용하는 전력계통은 전문가에 의한 설계를 통해 어느 정도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지만, 용접이나 절단 등의 수리작업을 위해 간헐적으로 이용하는 전력계통은 필요에 따라 가설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누전이나 합선, 과전류, 화재, 감전사고 등의 전기재해’에 취약할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더욱더 특별한 안전조치를 요구받고 있는 상황이다.
그러한 현실적 요구를 반영하여 화재나 감전 등의 전기재해를 예방하기 위한 용접기 배전반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다. 도면 2에서 보듯, 등록실용신안 제20-0480229호에는 분전함 본체의 전면에 회동 개폐할 수 있는 외부도어(130)를 구비하고, 그 외부도어(130)의 표면에 설치된 다수의 온/오프 스위치(140)를 통해 본체 외부에서 분전 개폐기를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 다수의 콘센트(160)를 통해 용접기 전원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코드연결방식’의 용접기 분전함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용접기 분전함(100)은 분전함의 본체 외부에서 온/오프 스위치를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감전사고의 위험이 줄어들고 사용상의 편의성이 증진된다는 장점은 있으나, 분전함(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분전개폐기(Circuit Braker)가 외부도어(130)의 온/오프 스위치(140)를 통해 전기적 또는 기계적으로 작동되어야 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그러한 작동방식의 지원을 위해서는 추가적으로 다수의 전기배선이나 물리적 기구 등이 필요하기 때문에 용접기 분전함의 제조비용 상승은 물론 공정의 복잡성을 피하기 어렵고, 다수의 온/오프 스위치(140) 배열구조상 작업자의 조작실수가 유발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에서 화재, 감전 등의 사고예방에는 여전히 미흡한 부분이 있었다.
또한 도면 3에서 보듯, 특허 제10-1577969호에는 절연손잡이(37)와 절연덮개(32)를 이용하여 절연단자볼트(34)에 부하케이블을 연결하고, 각 절연단자볼트(34) 사이에는 합성수지의 아크방지 보호가이드(35)를 설치하여 각 상별 단자대가 보호가이드(35)로 격리된 상태에서 부하케이블을 접속할 수 있는 ‘직접연결 방식’의 분전함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도면 3의 분전함에서도 각 상별 단자대를 상호격리하기 위한 다수의 아크방지 보호가이드(35)가 필요하다는 점에서 분전함의 제조비용 상승과 공정의 복잡성은 피하기 어렵고, 작업자가 메인개폐기(11)와 분전개폐기(12)를 직접 조작하면서 각 상별 단자대에 결선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화상이나 감전 등의 사고발생 가능성을 줄이는 데는 여전한 한계가 있었다.
(선행특허문헌 1) 실용신안등록 제20-0480229호
(선행특허문헌 2) 특허 제10-1577969호
본 발명은 위 배경기술이 안고 있는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상호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다중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작업환경을 지원하여 용접작업의 효율성 제고와 함께 감전, 화재 등의 전기재해를 예방할 수 있고, 소요부품수의 축소 및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작업환경과 용접기의 형태에 맞춰 신속하게 전원을 접속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용접기 분전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고전류의 산업용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지역이나 일시적 단전상황에서도 배터리 전원을 통한 용접작업이 가능하도록 지원하는 하이브리드형 분전함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분전함은 주전원이 인입되는 하나의 메인함(201)과 상기 메인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서브함(202)으로 이루어진 용접기 분전함(100)으로서, 메인함(201)과 서브함(202)은 각각 독립적인 도어(14)를 구비하고, 각 도어의 전면에는 해당전원의 사용여부를 알려주는 경고등(203)과 각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204)가 설치되어 있으며, 메인함(201)에는 주전원의 온/오프를 담당하는 메인 개폐기(11)와 누전차단기(15)가 설치되고, 복수의 서브함(202) 각각은 분기전원의 온/오프를 담당하는 분전개폐기(12)와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접속단자(13, 160)를 구비하되, 각 서브함 별로 서로 다른 연결방식의 전원접속단자(13, 160)가 설치되어 있으며, 복수의 서브함(202)은 각자 별개로 상기 전원케이블의 접속 또는 분리가 가능하여, 적어도 2이상의 다중작업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분전함의 메인함(201)과 복수의 서브함(202)에는 도어의 개폐와 전원의 온/오프가 연동되어 작동하는 안전장치(미도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분전함(100)은 코드연결 방식(선행특허 1)과 직접연결 방식(선행특허 2)을 하나의 분전함에서 동시에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분전함에서 복수의 서브함(202) 중 하나에는 배터리(16)가 수용되고, 그 배터리(16)를 수용한 서브함에는 배터리의 충전설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분전함은 메인함(201)과 서브함(202)들을 각각 모듈(Module)식으로 제작하고 그 모듈을 작업환경에 맞춰 조립하며, 그 조립과정에서 전기적 연결과 기계적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결합수단으로 소켓과 플러그 및 결합력 강화를 위한 보강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소요부품수의 감소와 구조의 단순화를 통해 용접기 분전반의 제조비용을 줄일 수 있고, 상호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다중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시간과 인건비의 절감이 가능하며, 감전이나 화재 등의 안전사고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음은 물론, 용접기의 형태와 작업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용접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일반적인 전력계통과 그 전력계통 에 포함된 분전반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코드연결방식의 용접기 분전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3의 (a), (b)는 종래의 직접연결방식의 용접기 분전함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분전함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a)는 외부사시도이고 (b)는 내부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접기 분전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이나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는 점을 밝혀둔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도면 1은 용접작업에 투입되는 설비의 상호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 주목하고 있는 것은 용접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설비에 해당하는 분전반의 기술적 구성 및 기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기는 분전반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있으며, 도면 1에 예시된 것처럼, 분전반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는 경우에는 감전사고의 위험성이 높다. 그 때문에 분전반을 케이스(함체) 내부에 설치하여 감전사고의 위험성을 줄이고 있는데, 이때의 분전반 케이스가 바로 본 발명의 특징적 구성인 ‘분전함’에 해당한다. 그리고 용접기의 전원케이블과 분전함의 전원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방식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코드연결 방식’과 ‘직접연결 방식’이 있는데, 용접기의 전원으로는 통상적인 전력계통의 상시전원이나 배터리에 충전된 전원을 이용할 수 있으며, 그 이용전원의 특성에 따라 용접기의 형태를 단상 또는 3상 용접기, 직류 또는 Hybrid(교류·직류 겸용) 용접기 등으로 구분하여 제품화되고 시중에 보급이 이루어지고 있다.
도면 2, 3은 종래의 분전함을 나타낸 것으로, 도면 2는 코드연결 방식의 분전함이고 도면 3은 직접연결 방식의 분전함을 예시하고 있다.
특히 도면 3에 예시된 종래의 분전함은 용접기로의 전원공급을 위해 하나의 메인개폐기(11)에서 복수의 분전개폐기(12)를 연결하고, 그 분전개폐기(12)를 경유하여 복수의 부하(용접기)가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물론 메인개폐기(11)와 분전 개폐기(12) 사이에는 누전차단기(15) 등의 안전설비가 당연히 구비되어 있다. 도면 3에 예시된 종래의 용접기 분전함의 경우에는 절연단자볼트(34)에 용접기의 전원케이블을 직접 연결하는데 하나의 분전함에서 복수의 용접기를 연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구성이 나타나 있다. 도면 3의 분전함에서 용접기 전원케이블을 탈부착하기 위해서는 분전함의 도어(14)를 열고, 메인개폐기(11)와 분전개폐기(12)를 오프(off) 시킨 다음, 용접기 전원케이블을 분전반의 전원단자(34)에 접속하는 작업의 진행과정을 거쳐야 한다. 물론, 해당 분전개폐기(12)만 오프(off) 시킨 상태로 용접기 전원케이블을 연결할 수도 있지만. 분전함(100)의 좁은 공간에서 작업자가 인접한 전원단자 근처까지 접근할 수밖에 없는 구조적 특성상, 사소한 실수에도 감전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위험성은 항상 잠재되어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분전함은 도면 3의 (b)에 나타난 것처럼, 하나의 케이스(함체) 내에 동일한 접속방식의 전원단자를 병렬로 설치하여(도면 3 (b)는 3개의 직접연결방식을 보여주고 있다.) 복수의 용접기 접속을 지원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원케이블의 접속방식이 다른 경우에는 그에 맞는 별도의 분전함을 준비할 수밖에 없었다. 예를 들어 용접기 A가 코드연결 방식이고 용접기 B가 직접연결 방식이라면, 동일한 접속방식의 전원단자가 병렬 설치된 종래의 분전함에서는 용접기 A, B를 함께 연결할 수 없기 때문에 용접기 A, B 각각에 맞는 분전함을 별도로 준비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한편, 종래의 분전함은 전면도어(front door)가 개방되어 있는 상태에서도 용접작업이 가능했기 때문에 분전함 근처에 있는 작업자의 사소한 부주의에도 감전사고 등의 위험성을 안고 있었다.
또한, 종래의 분전함은 벽이나 기둥 등에 고정 설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용접작업을 할 수 있는 공간이 용접기의 전원케이블 길이로 제한되는 한계가 있었고, 상용전력을 이용하기 어려운 공간에서 용접작업을 수행해야 할 경우에는 장거리의 전원케이블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케이블을 확보해야 하는 등의 준비과정이 번거로울 수밖에 없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는 도면 4에 나타나 있다. 도면 4에 예시된 분전함은 하나의 메인함(201)과 3개의 서브함(202)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메인함(201)에는 외부 전력선의 인입구와 서브함(202)으로 통하는 분지선의 가이드홀(Guide hole)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내부에는 메인개폐기(11)와 누전차단기(15) 등의 안전설비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서브함(202)에는 메인함(201)의 분지선 가이드홀과 정렬되어 관통홀(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서브함(202)의 내부에는 분전개폐기(12)와 용접기 전원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13 160) 등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함(202)의 개수를 3개로 예시하고 있으나 그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용접작업의 특성, 작업장의 규모 및 용접기의 형태 등을 고려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서브함(202)을 갖도록 적절히 조정하는 것은 얼마든지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복수의 서브함(202)은 각자의 도어(Door)와 도어락(Door Lock)을 구비하여 독립적으로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각 서브함(202)에는 코드연결 방식 또는 직접연결 방식으로 용접기 전원케이블을 연결할 수 있는 접속단자(13. 160)가 설치되어 있는데, 각 서브함의 접속단자는 서로 다른 연결방식에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예를 들어, 제1 서브함이 직접연결 방식의 접속단자를 갖는다면, 제2, 3서브함은 코드연결 방식의 접속단자를 갖도록 구성하고, 반대로 제1 서브함이 코드연결방식의 접속단자라면, 제2, 3서브함은 직접연결 방식의 접속단자를 갖는 것으로 그 단자구조를 설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때는 작업현장에서 널리 이용하여 범용성을 갖게 된 용접기 형태를 우선하여 그 서브함(202)의 배치구조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의 서브함 가운데 하나에는 배터리(16) 및 그 충전설비를 수용하여 용접작업에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거나 배터리와 상용전원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하이브리드(hybrid)형으로 설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하이브리드(hybrid) 형으로 설계할 경우, 배터리가 수용된 서브함(202)은 용접작업이 없는 평상시에 배터리를 우선 충전하고, 충분한 용량(100%)의 충전이 이루어진 후에는 배터리가 아닌 다른 전력계통에서 직접 용접기에 전원을 공급하지만, 그러한 전원공급이 정전 등으로 불가능한 경우에는 배터리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용접작업을 계속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용접작업 전용 전력공급 전원이 아니라 전력공급이 충분하지 않은 일반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하는 경우에는, 우선 배터리에 전원을 계속 적으로 공급하고, 용접기에서는 배터리에 전류를 공급한 방식으로 회로를 구성할 경우 일반 전원으로부터 전류를 공급하더라도 상당기간동안 용접 작업을 계속 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존의 일반 전원을 이용하여 용접 작업을 할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계통에서 이는 용접기의 형태와 용접작업의 특성에 맞는 분전함(100)을 선택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 용접작업의 효율성을 제고시키는데 기여하게 될 것이다.
또한, 각 서브함(202)의 도어(Door)에는 후크 스위치(미도시)를 설치하여 도어가 닫혀야만 용접작업이 가능하도록 설계하고, 도어의 전면에는 해당전원의 사용여부를 알려주는 경고등(203)을 설치하여 작업자가 감전 등의 사고에 노출될 위험성을 줄이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여기에서 도어의 개폐와 전력공급을 연계시키는 것은 공지된 기술을 이용하여 누구나 쉽게 구현할 수 있을 것이므로 그 구체적 설명은 생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메인개폐기(11)를 오프(off) 시키지 않고도 각 서브함(202)의 분전개폐기(12)를 조작하는 것만으로 용접기 전원케이블을 안전하면서도 쉽게 접속하거나 분리할 수 있고, 다른 사람의 작업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각자가 독립적으로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작업자의 부주의로 인한 화재나 감전사고 등을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속방식이 다른 용접기의 전원케이블을 분전함에 연결해야 하는 상황에서도 쉽게 적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연결방식이 다르다는 이유로 별도의 분전함을 마련해야 하는 준비작업의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상용전력을 이용하기 어려운 공간에서도 배터리 전원을 이용할 수 있어 효율적인 용접작업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서브함(202)을 모듈(Module)식으로 제작하여 메인함(201)에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모듈형태의 메인함(201)과 서브함(202)을 ‘소켓과 플러그’와 같은 결속수단을 통해 전기적, 기계적으로 결합시켜 조립할 수 있는 구조로 설계하여, 메인함(201)으로부터 서브함(202)의 자유로운 탈부착을 가능하게 하고 용접기의 형태와 용접작업의 특성에 맞는 서브함을 선택하여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물론 기계적, 전기적 결속력을 보강하기 위한 수단이 추가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이는 제2 실시예의 본질적 요소가 아니기 때문에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하면, 용접기의 전원케이블 접속방식에 맞춰 신속하면서도 능동적인 작업준비가 가능하고, 특히, 배터리와 그 배터리의 충전설비를 구비한 서브함(202)을 메인함(201)으로부터 분리하여 상시전원을 공급받기 어려운 영역에서의 용접작업을 지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 후 다시 메인함(201)에 결합시켜 배터리를 충전하는 등의 방식으로 운용하면, 용접작업의 효율성 제고에 크게 기여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는지 여부는 오로지 청구범위의 기재에 의하여 정해진다는 사실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1 : 메인 개폐기 12 : 분전 개폐기
13 : 전원접속단자 14 : 도어(door)
15 : 누전차단기 16 : 배터리
32 : 단자덮개 34 : 절연단자볼트
35 : 아크방지 보호가이드 37 : 절연 손잡이
140 : 온/오프 스위치 160 : 접속구
201 : 메인함 202 : 서브함
203 : 경고등 204 : 잠금장치

Claims (5)

  1. 주전원이 인입되는 하나의 메인함(201)과 상기 메인함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복수의 서브함(202)으로 이루어진 용접기 분전함(100)에 있어서,
    상기 메인함(201)과 서브함(202)은 각각 독립적인 도어(14)를 구비하고, 상기 각 도어(14)의 전면에는 해당 전원의 사용여부를 알려주는 경고등(203)과 상기 각 도어가 열리는 것을 방지하는 잠금장치(204)가 설치되며, 상기 메인함(201)에는 주전원의 온/오프(on/off)를 담당하는 메인개폐기(11)와 누전차단기(15)가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서브함(202) 각각은 분기전원의 온/오프(on/off)를 담당하는 분전개폐기(12)와 전원케이블이 연결되는 전원접속단자(13, 160)를 구비하되, 각 서브함 별로 서로 다른 연결방식의 전원접속단자(13, 160)가 복수개 설치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서브함(202) 중 하나에는 배터리(16)가 수용되고, 상기 배터리를 수용한 서브함(202)에는 배터리의 충전설비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서브함(202)은 각자 별개로 상기 전원케이블의 접속 또는 분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적어도 2이상의 다중작업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용접기 분전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함(201)과 복수의 서브함(202)에는 도어(14)의 개폐와 공급전원의 온/오프(on/off)를 연동시켜 작동하는 안전장치가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 분전함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방식은 코드연결방식 또는 직접연결방식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 분전함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함(201)과 서브함(202)은 각각 모듈(Module)식으로 제작되고, 그 조립과정에서 전기적 연결과 기계적 고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결합수단으로 소켓과 플러그 및 결합력 강화를 위한 보강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접기 분전함
KR1020200097101A 2020-08-04 2020-08-04 다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 KR10223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01A KR102235942B1 (ko) 2020-08-04 2020-08-04 다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01A KR102235942B1 (ko) 2020-08-04 2020-08-04 다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5942B1 true KR102235942B1 (ko) 2021-04-02

Family

ID=7546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101A KR102235942B1 (ko) 2020-08-04 2020-08-04 다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594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458Y1 (ko) * 2004-10-21 2005-01-14 (주)현대정밀 배전반
KR20090001542U (ko) * 2007-08-13 2009-02-18 동영전기 주식회사 양면복합 분전반
KR101577969B1 (ko) 2015-09-21 2015-12-16 진정화 다기능 아크 보호용 분전반 및 그 운전방법
KR200478979Y1 (ko) * 2015-08-18 2015-12-29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분전반 전원상태 표시장치
KR200480229Y1 (ko) 2015-09-30 2016-04-27 이희남 고압 용접기 분전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458Y1 (ko) * 2004-10-21 2005-01-14 (주)현대정밀 배전반
KR20090001542U (ko) * 2007-08-13 2009-02-18 동영전기 주식회사 양면복합 분전반
KR200478979Y1 (ko) * 2015-08-18 2015-12-29 (주) 선엔지니어링종합건축사사무소 분전반 전원상태 표시장치
KR101577969B1 (ko) 2015-09-21 2015-12-16 진정화 다기능 아크 보호용 분전반 및 그 운전방법
KR200480229Y1 (ko) 2015-09-30 2016-04-27 이희남 고압 용접기 분전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35982B2 (en) Meter socket adapter with integral automatic transfer switch
CA2868570C (en) Enclosed metering and protective electrical apparatus including an external disconnect handle
Fox Electric vehicle charging stations: Are we prepared?
KR101577969B1 (ko) 다기능 아크 보호용 분전반 및 그 운전방법
CN102398524B (zh) 一种用于电动车的电力管理装置
CN106300104B (zh) 应急电源车与低压架空导线的通用型连接装置及其应用
CN203135226U (zh) 三级配电箱
KR102235942B1 (ko) 다중작업을 지원하기 위한 용접기 분전함
CN208046026U (zh) 发电车接入箱和站用电系统
US9118139B1 (en) Flip lid interlock
KR100610156B1 (ko) 서지 보호기 내장형 세대 분전반
CN213717674U (zh) 一种可快速灵活组网的ups箱
CN215870355U (zh) 一种检修照明配电箱
KR100757730B1 (ko) 지중선의 무정전 공법
CN202840294U (zh) 移动式变电站中的多功能集装箱
JP3521678B2 (ja) 高圧受電設備
CN207559280U (zh) 电气柜接地闭锁装置
CN212751876U (zh) 应急电源车
KR20110035103A (ko)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CN206225847U (zh) 应急电源车与低压架空导线的通用型连接装置
CN216773961U (zh) 一种带充电枪的岸电箱
CN217405954U (zh) 高压开关绝缘摇测辅助装置
CN202394328U (zh) 施工电缆防盗装置
CN219576216U (zh) 可拼装的组合式馈电开关
CN214124344U (zh) 一种集成工业插座的专用型配电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