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35103A -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 Google Patents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35103A
KR20110035103A KR1020090092666A KR20090092666A KR20110035103A KR 20110035103 A KR20110035103 A KR 20110035103A KR 1020090092666 A KR1020090092666 A KR 1020090092666A KR 20090092666 A KR20090092666 A KR 20090092666A KR 20110035103 A KR20110035103 A KR 201100351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ormer
high voltage
temporary
line
transmiss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92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123272B1 (ko
Inventor
이정균
윤영모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090092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23272B1/ko
Publication of KR20110035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35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23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23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6Suspensions for lines or cables along a separate supporting wire, e.g. S-hook
    • H02G7/08Members clamped to the supporting wire or to the line or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004Arrangements for interchanging inductances, transformers or coils thereof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5/00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 H02B5/02Non-enclosed substations; Substations with enclosed and non-enclosed equipment mounted on pole, e.g. pole transformer substation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18Devices affording mechanical protection in the event of breakage of a line or cable, e.g. net for catching broken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20Spatial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lines or cables on poles, posts or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은 상기 소손 변압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임시송전장치에 접지선이 접속되고 접지되는 단계, 상기 임시송전장치에 저압선로에서 중성선 및 저압선이 접속되는 단계, 상기 임시송전장치에 고압선로에서 고압선이 접속되는 단계, 상기 임시송전장치에서 임시송전이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소손 변압기가 교체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임시송전장치에 고압선이 접속되는 단계는 상기 소손 변압기 인근 고압선로에 케이블 임시걸이가 고정되는 단계, 상기 케이블 임시걸이 하단에 케이블 클램프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케이블 클램프에 고압 케이블이 고정되는 단계, 상기 접속 클램프에 그립 올 크램프 스틱이 장착되는 단계, 상기 고압선로의 컷 아웃 스위치(COS; Cut Out Switch)에 상기 접속 클램프가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고압 케이블 접속 클램프를 장착한 그립 올 크램프 스틱을 견고히 조여 고압 케이블이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방법을 포함할 수 있다.
임시송전장치

Description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Temporary Transformer Device and Transformer Changing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임시송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상 주상변압기 및 3상 주상변압기 중 단상 소손시 특고압 케이블 하중을 임시 케이블 걸이 방법을 이용하여 분산시켜 컷 아웃 스위치 1차측 퓨즈 홀더 부분에 연결이 가능한 간접 활선 방법을 제공하는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에 관한 것이다.
배전용 변압기는 납품자재 중 점유율이 가장 높은 제품이며 배전손실의 약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변압기의 고장 원인으로는 불순물 침투나 바니시 함침불량 수분유입 등으로 인한 1차권선 층간단락, 오손지역(해안, 공단 등), 외함 도장 마모에 의한 변압기 외함 부식, 누유, 부싱 파손, 탭 리드 오결선 등 부품불량 및 제조공정상의 문제 그리고 단락강도 불량에 의한 여러가지 원인으로 고장이 발생되고 있다.
주상변압기 소손(불량)이 발생되었을 경우 배전운영실에서 현장으로 출동하여 변압기를 현장에서 점검하고 소손정도를 파악한 후에 교체여부를 결정한다.
이때 주상변압기 교체를 수행하는 동안 장시간이 소요되고 있어 고객의 불편 및 민원 발생의 요인이 되고 있다.
한편, 기존 주상변압기 교체 방법은 3상 주상변압기인 경우 소손 변압기가 한대인 경우더라도 3상 이동용 변압기차를 이용하여 3상 모두 정전 시킨 후 또는 무정전 활선작업을 시행 후 교체해야 하므로 작업이 복잡하고 교체시간이 장시간 소요되는 등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단상 변압기 차량이 고안되었지만 고장이 발생된 변압기의 1차 측이 연결된 특고압 배전선로의 해당 상을 활선작업을 해야 하는 고난이도 위험이 따라 안전에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단상 주상변압기 및 3상 주상변압기에 있어 단상 소손시 간접 활선으로 임시송전이 가능하고 소손 변압기를 무정전으로 교체할 수 있는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일 측면에 따르면, 임시송전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송전장치는 고압 배전선로로부터 고압선이 연결되는 고압 접속재, 상기 고압배전선로에서 유입되는 고압전류가 차단되는 고압차단기, 상기 고압 케이블을 통하여 유입된 고압전류를 저압전류로 변환하는 변압 기, 저압 배전선로로부터 결선상태에 따라 상기 저압선로와 연결되는 저압선 및 중성선을 정 또는 역으로 결선하는 정역결선함, 상기 저압선로에서 연결되는 저압선을 개폐하는 저압개폐기, 상기 저압선이 접속되는 저압접속재 및 상기 중성선이 접속되는 N선접속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압차단기 및 상기 저압개폐기는 상기 변압기 외부에 위치하여 과부하 또는 고장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이를 진단하고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임시송전 장치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은 상기 소손 변압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임시송전장치에 접지선이 접속되고 접지되는 단계, 상기 임시송전장치에 저압선로에서 중성선 및 저압선이 접속되는 단계, 상기 임시송전장치에 고압선로에서 고압선이 접속되는 단계, 상기 임시송전장치에서 임시송전이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소손 변압기가 교체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임시송전장치에 고압선이 접속되는 단계는 상기 소손 변압기 인근 고압선로에 케이블 임시걸이가 고정되는 단계, 상기 케이블 임시걸이 하단에 케이블 클램프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케이블 클램프에 고압 케이블이 고정되는 단계, 상기 접속 클램프에 그립 올 크램프 스틱이 장착되는 단계, 상기 고압선로의 컷 아웃 스위치(COS; Cut Out Switch)에 상기 접속 클램프가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고압 케이블 접속 클램프를 장착한 그립 올 크램프 스틱을 견고히 조여 고압 케이블이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정전 교체 방법을 포함할 수 있 다.
본 발명은 단상 주상변압기 및 3상 주상변압기에 있어 단상 소손시 간접활선으로 임시송전이 가능한 임시송전장치는 신속 간편한 시공 용이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손 변압기를 무정전으로 교체할 수 있고 유지보수의 편리성이 있고, 작업원의 안전성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긴급 복구시스템 구축을 위한 임시송전 변압기를 기존의 폐기 처리되는 지상변압기의 재활용으로 자원을 절약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 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송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시송전장치(100)는 고압접속재(110), 고압차단기(120), 단상변압기(130), 정역결선함(140) 저압개폐기(150), 저압접속재(160), N선 접속재(170) 및 접지접속재(180)를 포함한다.
고압접속재(110)는 1차측인 고압 배전선로로부터 고압 케이블이 연결되는 접속재이다.
고압차단기(120)는 2중 안전장치(1차측 고압차단기, 2차측 저압 개폐기) 구조 중 하나로 과부하 및 고장전류를 유입되는 경우 이를 진단하고, 차단하여 임시송전장치(100)를 보호한다.
고압차단기(120)는 고압을 차단하기 위하여 내부에 고압차단기 동작용 Trip Coil 및 모터제어부가 장착될 수 있다.
고압차단기(120) 및 아래에서 설명될 저압개폐기(150)는 과부하가 걸린 경우, 제어함을 통하여 램프로 이를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임시송전장치(100)의 상태를 알린다.
고압차단기(120)는 예를 들면, 실시간 전류, 과전류 보호 동작횟수, 최근 트립 전류치 및 상/대지 고장 표적 등을 볼 수 있는 MVI(Molded Vacuum Interrupter) 차단기일 수 있다.
단상변압기(130)는 단상의 고전압(예를 들면, 13.2kV)을 저전압(예를 들면, 230V)으로 변환한다.
단상변압기(130)는 차량 탑재 및 작업자의 접촉가능성을 고려하여 주상변압기를 또는 지상변압기를 모델로 제작할 수 있다.
정역결선함(140)는 주상변압기 2차측 결선상태가 정결선과 반대일 경우 역으로 결선이 가능하다.
도 2를 참조하여 정역결선함(140)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주상변압기 2차 결선 상태에 따라 정 또는 역결선 전압 결선함에서 적정 결선조정을 통하여 정결선(141, 143)인 경우, X1은 저압선, X2는 중성선에 연결되고, 역결선(142, 144)인 경우에는 X1은 중성선, X2는 저압선에 연결된다.
일반 변압기의 경우, 변압기 탱크 내에 보호장치가 직렬로 구성되어 변압기 내부 회로가 복잡하여 고장요인이 상대적으로 많고 한류퓨즈가 동작 시 현장에서 교체가 불가능하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임시송전장치(100)는 변압기(130) 외부에 차단기, 개폐기가 위치하여 변압기(130) 내부 회로가 단순하여 내부 고장요인이 적고, 외부 보호장치에 의한 1, 2차 고장요인 차단 뿐 아니라 어떠한 운전(고장) 상황에서도 정확하고 신속하게 고장전류의 차단이 가능토록 셋팅이 가능하고 고장전류 모니터링, 정상회로 복귀가 가능한 장점이 있으며 구 변압기와 전압결선을 동일하게 변경 할 수 있는 전압 결선판을 구비하여 병렬운전이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저압개폐기(150)는 2차측(저압측) 배전선로로 연결되는 선로를 개폐한다.
저압접속재(160)는 2차측 저압케이블이 접속한다.
N선 접속재(170)는 중성선의 접속재이며, 접지접속재(180)는 접지선을 접속하기 위한 접속재이다.
임시송전시스템(TTS:Temporary Transformer System) 중 임시송전장치(100)는 소손 주상변압기 교체 및 점검시 저압보수차량에 장착하여 이동한다.
임시송전장치(100)는 짧은 시간(약 1시간에서 2시간)동안 제한적으로 사용되는 장비로서 안전장치를 강화시킨 MVI(Molded Vacuum Interrupter) 장착형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임시송전장치(100)를 이용한 임시송전공법은 고압 활선 버켓 트럭과 활선 작업원 대신 저압 보수차와 일반작업원으로 시공이 가능하며 임시송전장치(100)는 부피 및 중량 최소화, 진동 및 절연강도 우수, 유지보수의 편리성, 작업원의 안전성 확보 및 신속 간편한 시공 용이성 확보를 고려한다.
임시송전장치(100)는 다음 표 1과 같이 기존 주상변압기와 병렬운전이 가능하도록 주요 설계 조건을 동일하게 하였고 임시 사용으로 변압기 온도상승의 문제는 없을 것으로 예상되어 방열판은 설치하지 않았다.
임시송전장치 주요 설계조건
구분 설계조건 구분 설계조건
용량[kVA]용량[kVA] 100100 무부하전류[%] 0.7
1차전압[V] 13200
무부하손[W]
209
2차전압[V] 230
부하손[W]
1210
1차 탭전압[V] 13800/13200/12600
%Z[%]
3.2
효율[%] 98.6 온도상승
[℃]
권선 65
전압변동율[%] 1.3 절연유 60
임시송전장치(100)는 과부하 및 고장전류로부터 변압기 보호 및 선로 파급을 방지하기 위한 자기진단 기능 및 현장에서 릴레이 트립 셋팅이 가능하다.
또한, 임시송전장치(100)는 1차측 및 2차측 자동투입과 병렬운전이 가능하도록 인터록 기능을 갖춘 제어함을 포함한다.
또한, 임시송전장치(100)는 표 2와 같이 임시송전장치를 1Φ, 3Φ 부하에 적용한 결과 전압변동율 및 부하 변동이 5% 미만으로 병렬운전시 이상없음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 그래프를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었다.
임시송전장치 실계통 상 전압 분석
구 분 1Φ 변압기 교체 3Φ 변압기 교체

ID No.

1000-3000

1000-4000

Sampling Time(횟수)[초]

30(총 49회)

30(총 70회)

측정평균전압 P3 [V]

230.4(T상)

228.9(R,S,T상)

전압불평형율[%]

0.74

2.05

부하전류[A]
단독 9 35
병렬 6 20
부하 히터 1kW 2대 고조파 발생기

전압변동

0.74 %

2.05 %

전압변동 그래프

도 3a조

도 3b참조
여기서, 도 3a는 단상 변압기 교체 후 병렬운전 상태의 상 전압을 표현한 도면이며, 도 3b은 삼상 변압기를 교체한 후 병렬운전 상태의 상 전압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변압기 교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0에서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소손변압기 교체 작업을 위한 준비작업이 수행된다. 저압보수차량이 주상변압기가 소손된 장소에 도착하면, 작업장 주변여건 파악, 교통량, 보행자 안전조치, 작업전 안전회의를 실시한다. 또한, 무정전 작업의 수행을 위하여 배전센터에 연락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임시송전을 위한 설비를 준비한다.
단계 S420에서 소손변압기가 파악된다. 소손된 변압기 1차 고압상이 확인되고, 소손변압기 컷 아웃 스위치 OFF 상태 및 소손 여부를 확인하고,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손 변압기 용량 및 결선이 확인된다. 이후, 송전장치 주변에 접근금지표시판 등 안전조치가 취해진다.
도 5 및 도 6c를 참조하면, 단계 S430에서 임시송전장치(100)는 접지선을 접속하고, 접지선을 접지한다. 접지선은 접지 접속재(180)에 접속된다. 여기서, 접지연결은 접지선 클램프를 이용한다.
단계 S440에서 임시송전장치(100)는 중성선 및 저압선을 접속한다.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성선은 N선 접속재(170)에 접속되며, 저압선은 저압선 접속재(160)에 접속된다.
단계 S450에서 임시송전장치(100)는 고압케이블을 접속한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접속재(110)는 절연 캡을 제거하고, 고압케이블을 접속한다.
단계 S460에서 임시송전장치(100)는 중성선 및 저압선을 설치한다. 임시송전장치(100)는 도 6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부 방호를 실시하고, N선 접속재(170)에 접속된 중성선을 중성선 클램프를 이용하여 주상 중성선에 연결한다. 또한, 소손 주상변압기의 저압선을 제거하여 저압선을 절연하고, 저압선 접속재(160)에 접속된 저압선을 저압선 클램프를 이용하여 주상 저압선을 연결한다.
단계 S470에서 임시송전장치(100)는 고압선이 설치된다. 임시송전장치(100)는 고압 접속재(110)에 접속된 고압선이 설치된다.
고압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은 이하 도 7 및 도 8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S480에서 임시송전장치(100)는 임시송전을 수행한다. 임시송전장치(100)는 도 6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함을 통하여 임시송전을 수행한다. 우선, 임시송전장치(100)는 제어함의 고압 투입 버튼을 눌러 고압 배전선로의 고압 전류가 투입된다. 이후 임시송전장치(100)는 제어함의 고압투입 점등이 확인된다. 임시송전장치(100)는 이상이 있는 경우 고압차단기(120)가 작동되어 고압전류의 투입이 차단된다. 이후, 제어함의 인터록 해제 버튼과 저압 투입버튼을 동시에 눌러지면, 임시송전이 완료된다. 만약, 임시송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비교전압 불일치 램프, 고압 미투입 램프, 과부하 램프에 점등과 동시에 부저가 울린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송전장치의 고압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710에서 도 8a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소손 주상변압기 인근 고압선로에 케이블 임시걸이가 고정된다.
단계 S720에서 도 8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임시걸이 하단에 케이블 클램프가 설치된다.
단계 S730에서 도 8c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블 클램프에 고압케이블이 고정된다.
단계 S740에서 도 8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케이블 접속클램프의 그립 올 크램프 스틱이 장착된다.
단계 S750에서 도 8e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컷 아웃 스위치(Cut Out Switch) 1차측에 고압 케이블 접속클램프가 연결된다.
단계 S760에서 도 8f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 케이블 접속클램프를 장착한 그립 올 크램프 스틱을 돌려 견고히 조여 고압 케이블이 설치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손 주상변압기 교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단계 S910에서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소손 주상변압기의 교체 작업을 위한 준비작업이 수행된다.
단계 S920에서 임시송전장치의 작동상태가 확인되어 임시송전이 확인된다.
단계 S930에서 소손된 주상변압기가 철거된다. 우선 1차측 컷 아웃 스위치가 OFF 되었는지 확인하고, 고압선 및 중성선을 순서대로 제거 후 소손 주상변압기를 철거한다.
단계 S940에서 정상 변압기가 설치된다. 우선 정상 변압기 내부 절연상태가 점검되고, 결선상태가 확인된다. 이 경우 필요시 탭이 절환된다. 이후 정상 변압기에 중성선, 고압선 순으로 연결된다.
단계 S950에서 정상 변압기에 컷 아웃 스위치가 투입된다. 정상변압기 2차측 전압을 확인(필요시 컷 아웃 스위치 개방 후 탭 절환)하고 저압선이 연결된다.
단계 S960에서 임시송전장치의 저압개폐기가 개방된다. 임시송전장치(100)는 제어함의 입력을 통하여 저압개폐기가 개방된다.
단계 S970에서 임시송전장치의 고압차단기가 개방된다. 임시송전장치(100)는 제어함의 입력을 통하여 고압차단기가 개방된다.
단계 S980에서 임시송전장치(100)에 접속된 케이블이 철거된다. 임시송전장치(100)는 고압케이블이 철거하고, 고압케이블 클램프를 중성선에 접촉하여 잔류전하의 방전을 실시한다. 이후, 임시송전장치(100)는 저압선, 중성선 및 접지선이 제거됨으로 소손 주상변압기의 무정전 교체가 완료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송전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변압기 교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시송전장치의 고압케이블을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손 주상변압기 교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Claims (7)

  1. 임시송전장치에 있어서,
    고압 배전선로로부터 고압선이 연결되는 고압 접속재;
    상기 고압배전선로에서 유입되는 고압전류가 차단되는 고압차단기;
    상기 고압 케이블을 통하여 유입된 고압전류를 저압전류로 변환하는 변압기;
    저압 배전선로로부터 결선상태에 따라 상기 저압선로와 연결되는 저압선 및 중성선을 정 또는 역으로 결선하는 정역결선함;
    상기 저압선로에서 연결되는 저압선을 개폐하는 저압개폐기;
    상기 저압선이 접속되는 저압접속재; 및
    상기 중성선이 접속되는 N선접속재를 포함하되,
    상기 고압차단기 및 상기 저압개폐기는 상기 변압기 외부에 위치하여 과부하 또는 고장전류가 유입되는 경우, 이를 진단하고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송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 상태에 따라 표시되는 비교전압 불일치 램프, 고압미투입 램프, 과부하 램프 중 적어도 하나의 램프를 포함하는 제어함을 더 포함하는 임시송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차단기는 실시간 전류, 과전류 보호 동작횟수, 최근 트립 전류치 및 상 또는 대지 고장 표적 중 적어도 하나를 진단하는 MVI(Molded Vacuum Interrupter) 차단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송전장치.
  4.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손 변압기의 상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임시송전장치에 접지선이 접속되고 접지되는 단계;
    상기 임시송전장치에 저압선로에서 중성선 및 저압선이 접속되는 단계;
    상기 임시송전장치에 고압선로에서 고압선이 접속되는 단계;
    상기 임시송전장치에서 임시송전이 수행되는 단계; 및
    상기 소손 변압기가 교체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임시송전장치에 고압선이 접속되는 단계는
    상기 소손 변압기 인근 고압선로에 케이블 임시걸이가 고정되는 단계;
    상기 케이블 임시걸이 하단에 케이블 클램프가 설치되는 단계;
    상기 케이블 클램프에 고압 케이블이 고정되는 단계;
    상기 케이블 클램프에 그립 올 크램프 스틱이 장착되는 단계; 및
    상기 고압선로의 컷 아웃 스위치(COS; Cut Out Switch)에 상기 케이블 클램프가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고압 케이블 클램프를 장착한 그립 올 크램프 스틱을 견고히 조여 고압 케이블이 설치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시송전 장치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손변압기를 파악하는 단계는
    상기 소손 변압기의 COS OFF 상태 및 소손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소손 변압기의 1차측 고압상이 확인되는 단계; 및
    상기 소손 변압기의 용량 및 결선이 확인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손 변압기가 교체되는 단계는
    상기 임시송전장치의 작동상태가 확인되어 임시송전이 확인되는 단계;
    상기 소손 변압기가 철거되는 단계;
    정상변압기가 설치되고, 중성선 및 고압선이 연결되는 단계;
    상기 정상변압기 저압 측 전압을 확인하고 저압선이 연결되는 단계;
    상기 임시송전장치의 저압개폐기 및 고압개폐기가 개방되는 단계; 및
    상기 임시송전장치에 접속된 케이블이 철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변압기가 설치되고, 중성선 및 고압선이 연결되는 단계는
    상기 정상변압기의 내부 절연상태가 점검되는 단계; 및
    상기 정상변압기의 결선상태가 확인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KR1020090092666A 2009-09-29 2009-09-29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KR101123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66A KR101123272B1 (ko) 2009-09-29 2009-09-29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92666A KR101123272B1 (ko) 2009-09-29 2009-09-29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35103A true KR20110035103A (ko) 2011-04-06
KR101123272B1 KR101123272B1 (ko) 2012-03-20

Family

ID=44043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92666A KR101123272B1 (ko) 2009-09-29 2009-09-29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232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420B1 (ko) * 2013-10-10 2015-03-10 (주) 진흥이엔지 변압기 고장발생시 간접활선공법을 통한 임시 전력 공급방법
KR20210145429A (ko) * 2020-05-25 2021-12-02 한국전력공사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지상 개폐기 pt 교체 표준화 공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810402A (zh) * 2016-05-10 2016-07-27 士林电机(苏州)电力设备有限公司 一种干式变压器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64561A (ko) * 1999-04-10 1999-08-05 황규홍 씨제이에스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
KR100415908B1 (ko) 2001-07-27 2004-01-24 주식회사 한빛특장 저압 무정전 바이패스 장치
KR200303386Y1 (ko) 2002-10-30 2003-02-06 한국전력공사 지상기기 연결용 엘보케이블
KR20100005384U (ko) * 2008-11-17 2010-05-26 (주) 진흥이엔지 고압 단상 고체절연개폐기가 내장된 이동용 단상 변압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9420B1 (ko) * 2013-10-10 2015-03-10 (주) 진흥이엔지 변압기 고장발생시 간접활선공법을 통한 임시 전력 공급방법
KR20210145429A (ko) * 2020-05-25 2021-12-02 한국전력공사 임시송전장치를 이용한 지상 개폐기 pt 교체 표준화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23272B1 (ko) 2012-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8055B2 (en) Auxiliary power supply for a wind turbine
CN106684739A (zh) 一种配电柜的安装工艺
KR101211834B1 (ko) 배전 시스템
JP2008541681A (ja) パネルトランス内蔵型配電盤
CN113168981A (zh) 低压板的开关和保护装置及包含开关和保护装置的低压板
CN108459230B (zh) 电气高压设备故障检测方法
US20160061872A1 (en) Non-destructive short circuit testing for electrically operated circuit breakers
KR101123272B1 (ko)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EP4046249A1 (en) High voltage overhead electric transmission line equipped with switchgear unit
JP2012084470A (ja) 分電盤用漏電遮断器および分電盤システム
JP2009141621A (ja) 開閉器遠隔制御装置の試験器
KR102332571B1 (ko) 지상 개폐기 및 차단기의 제어회로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방법
JP4808204B2 (ja) 電力外部入出力装置
KR100460622B1 (ko) 개폐장치가 내장된 지상변압기
KR101193220B1 (ko)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
JP2013029479A (ja) 絶縁抵抗測定装置、及び絶縁抵抗測定システム
KR101033672B1 (ko) 하이브리드 변압기 및 블랙박스를 구비하는 수배전반
JP2009177947A (ja) 応急接続回路及びそれに用いる接続装置
KR100940230B1 (ko) 접지가 형성된 가스 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KR200359402Y1 (ko) 순간절체형 3로식 온-로드 루프 절체 고압개폐기를내장한 무정전공사용 변압기
KR100960025B1 (ko) 접지가 형성된 기중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KR20100005384U (ko) 고압 단상 고체절연개폐기가 내장된 이동용 단상 변압기장치
KR200259107Y1 (ko) 이동용 무정전 변압기
KR101008234B1 (ko) 접지가 형성된 특별고압 수변전설비
KR19990064561A (ko) 씨제이에스 무정전 변압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