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93220B1 -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 - Google Patents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93220B1
KR101193220B1 KR1020120056884A KR20120056884A KR101193220B1 KR 101193220 B1 KR101193220 B1 KR 101193220B1 KR 1020120056884 A KR1020120056884 A KR 1020120056884A KR 20120056884 A KR20120056884 A KR 20120056884A KR 101193220 B1 KR101193220 B1 KR 101193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cable
transformer
switch
vehicle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68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한익
Original Assignee
(주)한성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전기 filed Critical (주)한성전기
Priority to KR10201200568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93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93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93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2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 H01H33/121Load break switch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3/00Line transmission systems
    • H04B3/02Details
    • H04B3/42Circuits for by-passing of ringing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고압 수용가 구내의 자가수전설비에서 단전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이용하여 수용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자가수전설비의 고장, 수리, 장치 교환으로 비상발전기를 작동시켜 수용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수용가의 구내 소정 위치에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위치시키는 과정; 지상개폐기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 지상개폐기에서 공급되는 특고압을 단속시키는 공사용 개폐기를 바이패스 케이블의 선단측에 설치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의 특고압 인입부에 바이패스 케이블의 종단부를 연결하고, 지상개폐기의 예비단자에 바이패스 케이블이 연결되는 엘보 접속재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과정; 지상개폐기를 투입시킨 다음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시켜 바이패스 케이블을 통해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의 1차측에 특고압을 공급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의 2차측과 수용가의 저압부하를 저압 케이블로 연결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를 투입시켜 변압기를 통해 변환된 저전압을 수용자의 저압부하에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METHOD FOR EMERGENCY POWER SUPPLY OF CONSUMER}
본 발명은 전력 수용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고압 수용가 구내의 자가수전설비에서 단전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이용하여 수용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장이나 빌딩, 병원, 아파트 단지 및 각종 산업시설 등을 포함하는 특고압 수용가의 구내에는 변전소로부터 공급되는 22.9KV의 특고압을 수용하여 규정된 용량의 정격 전압, 예를 들어 220V 혹은 380V의 전압으로 변환시킨 다음 수용가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 시설물들에 전원으로 공급하는 자가수전설비가 설치된다.
도 6은 특고압 수용가의 구내에 설치되는 자가수전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자가수전설비(A)는 공장이나 빌딩, 병원, 아파트 단지 및 각종 산업시설 등을 포함하는 특고압 수용가의 구내에 설치되며, 변전소에서 송전되는 22.9KV의 특고압이 전송되는 지상개폐기(1)와 3상(U,V,W)으로 연결된다.
상기 자가수전설비(A)는 부하개폐기((Load Breaker Switch : LBS)(2), 변성기(Metering Out Fit : MOF)(3), 파워 퓨즈(Power Fuse : 4), 변압기(5), 기중차단기(Air Circuit Breaker ; ACB)(6), 자동절체개폐기(Automatic Transfer Switch : ATS)(7) 및 발전기(8)를 포함한다.
상기 부하개폐기(2)는 지상개폐기(1)로부터 자가수전설비(A)로 수전되는 22.9KV의 특고압을 차단하거나 연결하여 특고압 선로의 온/오프를 제공한다.
변성기(3)는 수전되는 22.9KV의 특고압을 설정된 일정 비율의 저전압으로 변압 및 변류시켜 저압쪽에서의 전력 사용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파워 퓨즈(4)는 자가수전설비(A)의 선로 혹은 구성요소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오픈되어 설비를 보호한다.
변압기(5)는 파워 퓨즈(4)의 후단에 연결되어 수전되는 22.9KV의 특고압을 규정된 용량의 정격 전압, 예를 들어 220V 혹은 330V의 전압으로 변환시킨 다음 구내 및 수용가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 시설물들에 요구되는 전압을 공급한다.
기중차단기(6)는 과전압 혹은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선로를 오프시켜 저압 부하에 구성되는 각종 전기시설물을 보호하여 준다.
자동절체개폐기(7)는 자가수전설비(A)에 공급되는 전압의 단전이 발생하거나 자가수전설비(A)에 구성되는 특정 장치의 고장, 혹은 선로의 차단이 발생되는 경우 비상발전기(8)로 자동 절체되어 수용가 구내의 전기시설물에 비상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비상발전기(8)는 자가수전설비(A)에 공급되는 전압의 단전이나 자가수전설비(A)의 특정 부품의 고장, 선로의 차단이 발생되는 경우 구동되어 전압을 발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특고압 수용가의 구내에 설치되는 다수개 장치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자가수전설비(A)는 예상하지 못한 고장이 발생하거나 사용 내구화에 따른 장치의 노후로 교체가 필요한 상황이 발생된다.
이와 같이 자가수전설비(A)를 구성하는 다수개의 장치 중 어느 하나의 교체가 이루어지거나 예상하지 못한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수용가의 저압부하인 전기적 시설물에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정전을 유발시켜 매우 심각한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수용자의 자가수전설비(A)의 고장이나 특정 장치의 교체 작업으로 전원의 차단이 발생되는 경우 비상발전기(8)를 구동시켜 수용가의 전기적 시설물인 저압부하에 최소한의 비상전원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수용자의 자가수전설비(A)의 고장이나 특정 장치의 교체 작업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부하개폐기(2)를 오픈시켜 지상개폐기 혹은 특고압 배전 가공선로(1)와 자가수전설비(A)의 선로를 차단한다.
그리고, 기중차단기(6)를 차단시켜 잔류전압을 제거함으로써, 고장이나 내구화로 특정장치를 교체할 때 작업자를 감전 위함으로부터 보호한다.
이후, 비상발전기(8)를 투입하여 수용가의 저압부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330V 내지 220V의 전압을 발전시키고, 자동절체개폐기(7)를 비상발전기(8)의 출력단으로 연결하여 수용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여 준다.
그러나, 전술한 바와 같은 비상발전기를 동작시켜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방법은 자가수전설비를 구성하는 장치 중에서 주문 제작으로 생산되는 변압기 등에서 소손이 발생하는 경우 변압기의 교체에 매우 장시간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비상발전기가 장시간 운전되므로 고장이 발생될 수 있으며, 비상발전기의 고장이 발생되는 경우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2차적 방안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 아주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시킬 수 있다.
또한, 비상발전기의 장시간 가동으로 인한 소음, 진동에 대하여 민원이 발생될 수 있으며, 비상발전기의 장시간 가동에 따른 막대한 연료비의 손실과 에미션에 따른 환경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특히, 비상발전기의 구동으로 공급되는 비상전원은 수용가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시설물 및 저압부하에서 요구되는 모든 전압을 관장할 수 없어 극히 제한적인 전기시설물의 구동만 제공할 수 있어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시킨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3524호(2009.03.05.)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102721호(2008.11.26.)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특고압 수용가 구내의 자가수전설비에서 예기치 못한 고장이나 장치의 교환으로 단전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이용하여 수용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도록 하는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자가수전설비의 고장, 수리, 장치 교환으로 비상발전기를 작동시켜 수용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수용가의 구내 소정 위치에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위치시키는 과정; 지상개폐기(특고압 배전 가공선로)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 지상개폐기(특고압 배전 가공선로)에서 공급되는 특고압을 단속시키는 공사용 개폐기를 바이패스 케이블의 선단측에 설치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의 특고압 인입부에 바이패스 케이블의 종단부를 연결하고, 지상개폐기의 예비단자에 바이패스 케이블이 연결되는 엘보 접속재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과정; 지상개폐기(특고압 배전 가공선로)를 투입시킨 다음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시켜 바이패스 케이블을 통해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의 1차측에 특고압을 공급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의 2차측과 수용가의 저압부하를 저압 케이블로 연결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를 투입시켜 변압기를 통해 변환된 저전압을 수용자의 저압부하에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지상개폐기(특고압 배전 가공선로)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간의 거리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바이패스 케이블의 양쪽 끝단을 직선접속재로 연결하여 바이패스 케이블을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공사용 개폐기와 직선접속재는 바이패스 케이블이 포설되는 길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통해 수용자의 저압부하에 비상전원이 공급되면 비상발전기의 구동을 오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는 특징은 비상발전기를 작동시켜 수용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수용가의 구내 소정 위치에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위치시키는 과정; 지상개폐기(특고압 배전 가공선로)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의 2차측과 수용가의 저압부하를 저압 케이블로 연결하는 과정; 지상개폐기에서 공급되는 특고압을 단속시키는 공사용 개폐기를 바이패스 케이블의 선단측에 설치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의 특고압 인입부에 바이패스 케이블의 종단부를 연결하고, 지상개폐기의 예비단자에 바이패스 케이블이 연결되는 엘보 접속재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과정; 지상개폐기를 투입시킨 다음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시켜 바이패스 케이블을 통해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의 1차측에 특고압을 공급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를 투입시켜 변압기를 통해 변환된 저전압을 수용자의 저압부하에 공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지상개폐기(특고압 배전 가공선로)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간의 거리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바이패스 케이블의 양쪽 끝단을 직선접속재로 연결하여 바이패스 케이블을 확장시킬 수 있다.
상기 공사용 개폐기와 직선접속재는 바이패스 케이블이 포설되는 길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특고압 수용가의 구내에 설치되는 자가수전설비의 고장이나 장치의 교환으로 단전이 발생되는 경우 바이패스 케이블과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이용하여 우회 선로를 포설함으로서 수용가의 저압부하에 안정된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어 비상전원의 공급에 안전성 및 신뢰성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자가수전설비의 고장이나 장치의 교환으로 단전이 발생되는 상태에서 비상발전기의 운전이 최소화되어 비상발전기의 운전으로 발생되는 소음, 진동, 연료비용, 배기가스 등의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최적의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고압 수용가의 자가수전설비와 비상전원의 연결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절차를 도시한 흐롬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케이블의 연결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지상개폐기와 바이패스 케이블의 연결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일반적인 특고압 수용가에 설치되는 자가수전설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특고압 수용가의 자가수전설비와 비상전원의 연결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특고압 수용기의 구내에 설치되는 자가수전설비(20)는 부하개폐기(21), 변성기(22), 파워 퓨즈(23), 변압기(24), 기중차단기(25), 자동절체개폐기(26) 및 비상발전기(27)를 포함한다.
상기 부하개폐기(21)는 지상개폐기(10)로부터 자가수전설비(20)로 수전되는 22.9KV의 특고압을 차단하거나 연결하여 특고압 선로의 온/오프를 제공한다.
변성기(22)는 수전되는 22.9KV의 특고압을 설정된 일정 비율의 저전압으로 변압 및 변류시켜 저압쪽에서의 전력 사용량을 검출할 수 있도록 한다.
파워 퓨즈(23)는 자가수전설비의 선로 혹은 구성요소에서 단락이 발생하는 경우 오픈되어 설비를 보호한다.
변압기(24)는 파워 퓨즈(23)의 후단에 연결되어 수전되는 22.9KV의 특고압을 규정된 용량의 정격 전압, 예를 들어 220V 혹은 330V의 전압으로 변환시킨 다음 구내 및 수용가에 설치되는 각종 전기 시설물들에 요구되는 전압을 공급한다.
기중차단기(25)는 과전압 혹은 과전류가 발생되는 경우 선로를 오프시켜 저압 부하에 구성되는 각종 전기시설물을 보호하여 준다.
자동절체개폐기(26)는 자가수전설비(20)에 공급되는 전압의 단전이 발생하거나 자가수전설비(20)에 구성되는 특정 장치의 고장 혹은 선로의 차단이 발생되는 경우 비상발전기(27)로 자동 절체되어 수용가 구내의 전기시설물에 비상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비상발전기(27)는 자가수전설비(20)에 공급되는 전압의 단전이나 자가수전설비(20)의 특정 부품의 고장이나 선로의 차단이 발생되는 경우 구동되어 전압을 발전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특고압 수용가의 구내에 설치되며, 다수개 장치가 연결되어 구성되는 자가수전설비(20)는 예상하지 못한 고장이 발생하거나 사용 내구화에 따른 장치의 고장 혹은 노후화에 따른 교체 작업으로 수용가의 저압부하에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상황에서 지상개폐기(10)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을 이용한 바이패스 선로를 포설하여 수용가의 저압부하에 안정된 비상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절차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특고압 수용가의 구내에 설치되는 자가수전설비(20)에서 예상하지 못한 고장 발생하거나 사용 내구화에 따른 장치의 고장 혹은 노후화에 따른 교체 작업으로 수용가의 저압부하에 정상적인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비상발전기(27)를 동작시켜 전압을 발전시키고 자동절체개폐기(26)의 선로 연결을 자가수전설비(20)의 선로에서 비상발전기(27)의 출력단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비상발전기(27)에서 발전되는 전압으로 수용가의 저압부하에 비상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상발전기(27)를 통해 수용가의 저압부하에 비상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을 수용가의 구내 주변에 위치시킨 다음 지상개폐기(10)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을 연결하기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C)을 3상으로 포설한다(S101).
그리고, 지상개폐기(10)에서 공급되는 22.9KV의 특고압을 단속하기 위한 공사용 개폐기(3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케이블(C)의 선단측에 설치한다(S102).
상기 공사용 개폐기(30)는 바이패스 케이블(C)을 포설하거나 회수하는 과정 혹은 연결상태를 확인 및 정비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감전을 방지하기 위해 지상개폐기(10)로부터 투입되는 22.9KV의 특고압을 차단 혹은 연결시킨다.
상기 공사용 개폐기(30)는 바이패스 케이블(C)의 연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바이패스 케이블(C)은 대략 50M로 구성되므로, 지상개폐기(10)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이 위치된 지점까지의 거리 제약이 발생되므로, 거리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선 접속재(40)를 이용하여 바이패스 케이블(C)의 양쪽 끝단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바이패스 케이블(C)의 선로 길이를 확장시킨다(S103).
이후,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에 설치되는 특고압 인입부에 바이패스 케이블(C)의 종단부를 연결하고(S104),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상개폐기(10)의 예비단자(11)에 바이패스 케이블(C)이 소정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엘보 접속재(100)를 접속하여 고정시킨다(S105).
상기와 같이 지상개폐기(10)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케이블(C)의 포설이 완료되면 지상개폐기(10)를 투입시켜 지상개폐기(10)의 예비단자(11)로부터 22.9KV의 특고압이 바이패스 케이블(C)로 공급되도록 한다(S106).
그리고, 공사용 개폐기(30)를 투입시켜 지상개폐기(10)의 예비단자(11)로부터 공급되는 22.9KV의 특고압이 바이패스 케이블(C)을 통해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의 변압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S107).
상기와 같이 지상개폐기(10)로부터 22.9KV의 특고압이 바이패스 케이블(C)을 통해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에 공급되면,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의 변압기 출력단과 수용가의 저압부하를 연결하는 저압 케이블을 포설한 다음(S108) 이동식 변압기를 투입시킨다(S109).
따라서, 이동식 차량에 장착되는 이동식 변압기는 우회선로인 포설된 케이블(C)을 통해 공급되는 22.9KV의 특고압을 220V 혹은 330V로 절환시켜 수용가의 저압부하에 안정적인 비상전원으로 공급하여 준다(S110).
상기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을 통한 비상전원이 공급되면 비상발전기(27)를 정지시켜 불필요한 연료 소비와 소음 진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절차를 도시한 흐롬도이다.
특고압 수용가의 구내에 설치되는 자가수전설비(20)에서 예상하지 못한 고장 발생하거나 사용 내구화에 따른 장치의 고장 혹은 노후화에 따른 교체 작업으로 수용가의 저압부하에 정상적인 전원을 공급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되면 비상발전기(27)를 동작시켜 전압을 발전시키고 자동절체개폐기(26)의 선로 연결을 자가수전설비(21)의 선로에서 비상발전기(27)의 출력단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비상발전기(27)에서 발전되는 전압으로 수용가의 저압부하에 비상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비상발전기(27)를 통해 수용가의 저압부하에 비상전원이 공급되는 상태에서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을 수용가의 구내 주변에 위치시킨 다음 지상개폐기(10)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을 연결하기 위한 바이패스 케이블(C)을 3상으로 포설한다(S201).
그리고,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의 변압기 출력단과 수용가의 저압부하를 연결하는 저압 케이블을 포설한 다음(S202) 수용가의 저압부하에 연결한다(S203).
또한, 지상개폐기(10)에서 공급되는 22.9KV의 특고압을 단속하기 위한 공사용 개폐기(30)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이패스 케이블(C)의 선단측에 설치한다(S204).
상기 공사용 개폐기(30)는 바이패스 케이블(C)을 포설하거나 회수하는 과정 혹은 연결상태를 확인 및 정비하는 과정에서 작업자의 감전 위함을 방지하기 위해 지상개폐기(10)로부터 투입되는 22.9KV의 특고압을 차단 혹은 연결시킨다.
상기 공사용 개폐기(30)는 바이패스 케이블(C)의 연장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다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바이패스 케이블(C)은 대략 50M로 구성되므로, 지상개폐기(10)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이 위치된 지점까지의 거리 제약이 발생되므로, 거리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직선 접속재(40)를 이용하여 바이패스 케이블(C)의 양쪽 끝단을 상호 연결함으로써 바이패스 케이블(C)의 선로 길이를 확장시킨다(S205).
이후,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에 설치되는 특고압 인입부에 바이패스 케이블(C)의 종단부를 연결하고(S206),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상개폐기(10)의 예비단자(11)에 바이패스 케이블(C)이 소정의 방식으로 고정되는 엘보 접속재(100)를 접속하여 고정시킨다(S207).
상기와 같이 지상개폐기(10)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케이블(C)의 포설이 완료되면 지상개폐기(10)를 투입시켜 지상개폐기(10)의 예비단자(11)로부터 22.9KV의 특고압이 바이패스 케이블(C)로 공급되도록 한다(S208).
그리고, 공사용 개폐기(30)를 투입시켜 지상개폐기(10)의 예비단자(11)로부터 공급되는 22.9KV의 특고압이 바이패스 케이블(C)을 통해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의 변압기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S209).
이때, 이동식 변압기를 투입시킨다(S210).
따라서,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에 장착되는 이동식 변압기로 우회선로로 포설된 케이블(C)을 통해 공급되는 22.9KV의 특고압을 220V 혹은 330V로 절환시켜 수용가의 저압부하에 안정적인 비상전원으로 공급하여 준다(S211).
상기한 설명에서는 지상개폐기(10)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을 연결하는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전신주에 가설되는 특고압 배전 가공선로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50)을 케이블로 포설하여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동작도 동일하며 이에 대하여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지상개폐기 20 : 자가수전설비
30 : 공사용개폐기 40 : 직선 접속재
50 : 이동식 변압기 차량 C : 케이블

Claims (7)

  1. 자가수전설비의 고장, 수리, 장치 교환으로 비상발전기를 작동시켜 수용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수용가의 구내 소정 위치에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위치시키는 과정;
    지상개폐기(특고압 배전 가공선로)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
    지상개폐기(특고압 배전 가공선로)에서 공급되는 특고압을 단속시키는 공사용 개폐기를 바이패스 케이블의 선단측에 설치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의 특고압 인입부에 바이패스 케이블의 종단부를 연결하고, 지상개폐기의 예비단자에 바이패스 케이블이 연결되는 엘보 접속재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과정;
    지상개폐기(특고압 배전 가공선로)를 투입시킨 다음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시켜 바이패스 케이블을 통해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의 1차측에 특고압을 공급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의 2차측과 수용가의 저압부하를 저압 케이블로 연결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를 투입시켜 변압기를 통해 변환된 저전압을 수용자의 저압부하에 공급하는 과정;
    을 포함하며,
    상기 지상개폐기(특고압 배전 가공선로)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간의 거리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바이패스 케이블의 양쪽 끝단을 직선 접속재로 연결하여 바이패스 케이블을 확장시키고
    상기 공사용 개폐기와 직선 접속재는 바이패스 케이블이 포설되는 길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 설치되며,
    상기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통해 수용자의 저압부하에 비상전원이 공급되면 비상발전기의 구동을 오프시키는 수용자 비상전원 공급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비상발전기를 작동시켜 수용가에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상태에서 수용가의 구내 소정 위치에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위치시키는 과정;
    지상개폐기(특고압 배전 가공선로)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케이블을 포설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의 2차측과 수용가의 저압부하를 저압 케이블로 연결하는 과정;
    지상개폐기에서 공급되는 특고압을 단속시키는 공사용 개폐기를 바이패스 케이블의 선단측에 설치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의 특고압 인입부에 바이패스 케이블의 종단부를 연결하고, 지상개폐기의 예비단자에 바이패스 케이블이 연결되는 엘보 접속재를 접속하여 고정하는 과정;
    지상개폐기를 투입시킨 다음 공사용 개폐기를 투입시켜 바이패스 케이블을 통해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의 1차측에 특고압을 공급하는 과정;
    이동식 변압기 차량에 설치된 변압기를 투입시켜 변압기를 통해 변환된 저전압을 수용자의 저압부하에 공급하는 과정;
    을 포함하되,
    상기 지상개폐기(특고압 배전 가공선로)와 이동식 변압기 차량간의 거리 제약을 극복하기 위해 바이패스 케이블의 양쪽 끝단을 직선 접속재로 연결하여 바이패스 케이블을 확장시키고,
    상기 공사용 개폐기와 직선 접속재는 바이패스 케이블이 포설되는 길이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 복수개 설치되는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
  6. 삭제
  7. 삭제
KR1020120056884A 2012-05-29 2012-05-29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 KR101193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884A KR101193220B1 (ko) 2012-05-29 2012-05-29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6884A KR101193220B1 (ko) 2012-05-29 2012-05-29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93220B1 true KR101193220B1 (ko) 2012-10-19

Family

ID=4728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6884A KR101193220B1 (ko) 2012-05-29 2012-05-29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932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8629A (zh) * 2015-06-29 2015-09-16 上海科泰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近海核电站用应急移动电源车
CN113991833A (zh) * 2021-11-24 2022-01-28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具备应急保安用电接口的低压用户供电系统运行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08629A (zh) * 2015-06-29 2015-09-16 上海科泰电源股份有限公司 一种近海核电站用应急移动电源车
CN113991833A (zh) * 2021-11-24 2022-01-28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具备应急保安用电接口的低压用户供电系统运行方法
CN113991833B (zh) * 2021-11-24 2024-03-19 河南省水利勘测设计研究有限公司 具备应急保安用电接口的低压用户供电系统运行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1213B1 (ko) 고장처리장치를 구비하는 마이크로그리드 시스템 및 그 동작 방법
KR20100054948A (ko) 단상변압기장치(이동용)를 이용한 주상변압기 (단상 또는 삼상) 무정전교체공법
JP2008541681A (ja) パネルトランス内蔵型配電盤
KR101211834B1 (ko) 배전 시스템
KR101193220B1 (ko) 수용가 비상전원 공급방법
KR101907951B1 (ko) Hvdc 시스템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02011263A2 (en) Power grid backfeed protection apparatus
EP2744062B1 (en) A subsea system with ride-through protection
CN103208775B (zh) 用于探测故障电流的保护开关装置和控制方法
KR101123272B1 (ko) 임시송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소손 변압기 교체방법
KR20090126931A (ko) 누전차단기 자동복구장치
KR102332571B1 (ko) 지상 개폐기 및 차단기의 제어회로 동작을 위한 전원 공급방법
KR101813673B1 (ko) 단락전류 저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차단 장치, 분전반 및 케이블 릴 장치
JP4808204B2 (ja) 電力外部入出力装置
KR20220056060A (ko) 누전, 지락, 서지에 의한 감전, 화재, 정전사고방지 자동제어반
KR100460622B1 (ko) 개폐장치가 내장된 지상변압기
KR20220056319A (ko) 누전, 지락에 의한 감전, 화재방지 임시배전반(분전반)
KR101084104B1 (ko) 결상검출 선택차단기능을 갖는 고·저압 배전반
KR100940230B1 (ko) 접지가 형성된 가스 절연형 간이 수변전장치
KR100734334B1 (ko) 가스절연형 간이수변전장치
ES2887249T3 (es) Procedimiento para el mantenimiento sin tensión de una estación transformadora estacionaria y de una estación transformadora móvil
KR102426831B1 (ko) 배전 자동화 개폐기용 전원공급장치
KR101008234B1 (ko) 접지가 형성된 특별고압 수변전설비
CN203504132U (zh) 矿用隔爆型移动变电站过流保护装置
RU100683U1 (ru) Система электроснабж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4

Year of fee payment: 7